KR20110082003A - 회전식 조정 요소를 구비한 다중 스위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정 요소를 구비한 다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003A
KR20110082003A KR1020117009290A KR20117009290A KR20110082003A KR 20110082003 A KR20110082003 A KR 20110082003A KR 1020117009290 A KR1020117009290 A KR 1020117009290A KR 20117009290 A KR20117009290 A KR 20117009290A KR 20110082003 A KR20110082003 A KR 2011008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ead
shaft
lever
adjustmen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아담스
Original Assignee
굿바이 코포레이션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바이 코포레이션 에스.아. filed Critical 굿바이 코포레이션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1008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13Combined operation of electric switch and variable impedance, e.g. resistor,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01H23/146Tumblers having a generally tubular or conical elongated shape, e.g. do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6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having a spherical b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housing or bez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스위치 헤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들이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 헤드와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토글 스위치는 수많은 구성 및 타입들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가변 저항과 같은 조정 요소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와 조정 요소의 조합들이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합들은 스위치가 단지 2개의 상태들 사이에서만 스위칭될 수 있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스위칭 상태들 사이를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정 요소를 구비하는 토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는 스위치 레버(1)가 스위치 샤프트(1)를 포함하고, 그 스위치 샤프트(1)의 회전에 의해 조정될 수 있게 스위치 샤프트(1)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하는 스위치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회전식 조정 요소를 구비한 다중 스위치{MULTIPLE SWITCH HAVING A ROTATIONALLY ADJUSTABLE ELEMENT}
본 발명은 스위치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스위치 헤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들이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 헤드와 스위치 레버를 포함하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는 수많은 구성 및 타입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가변 저항(potentiometer)과 같은 조정 요소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push switch)와 조정 요소의 조합들이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합들은 스위치가 단지 2개의 상태들 사이에서만 스위칭될 수 있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수의 스위칭 상태들 사이를 스위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조정 요소를 또한 구비하는 토글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따른 스위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들이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5에 기재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스위치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스위치 헤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들이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 헤드와 스위치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 레버는 본 발명에 따라 스위치 샤프트 및 그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조정될 수 있게 스위치 샤프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를 조정 요소용 스위치 샤프트와 조합하고 있다.
이때, 스위치 샤프트가 스위치 레버의 단지 일부일 수 있거나, 스위치 레버 그 자체가 스위치 샤프트일 수도 있다.
스위치 헤드에 의해 스위칭되는 전기 접점들은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해당 요건에 따라 적절한 전기 접점들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요소로서는, 예컨대 전기적 또는 기계적 조정 요소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기술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조정 요소는 예컨대 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에 의해, 다수의 기능들을 위한 조작 요소들을 매우 비좁은 공간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것은 공간 절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조작을 현저히 수월하게 하여 그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게 한다. 또한, 스위치의 기능성이 현격히 개선되고 사용 시의 융통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스위치 레버가 스위치 샤프트이고, 그 스위치 샤프트가 바람직하게는 회전 및 경사 가능하게 볼 시트에 의해 유지 부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 스위치 샤프트는 볼 시트에 수납되는 구형의 두터운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그러한 구성에 의해, 간단하면서 재료를 절감하는 타입이 가능하게 된다.
스위치 샤프트가 스위치 레버의 단지 일부인 경우, 스위치 레버의 바깥쪽 영역이 볼 시트에 수납되는 구형의 두터운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 샤프트가 예컨대 스위치 레버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안쪽 부분인 경우에는, 스위치 레버의 바깥쪽 부분이 회전 및 경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야 한다. 그 경우, 스위치 레버의 바깥쪽 부분을 기울일 수 있는 것이 보장되기만 하면 그것으로 충분한데, 왜냐하면 스위치 샤프트가 스위치 레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이다.
스위치 샤프트는 청구항 3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스위치 헤드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통과를 위해, 스위치 헤드는 단순한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베어링, 특히 볼 베어링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구성은 그와 같이 할 경우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 시에 스위치 헤드가 동반 회전하지 않고, 그에 따라 전기 접점들의 스위칭이 매우 확실하게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조정 요소는 청구항 4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위치 헤드 내에 배치되어 스위치 헤드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은 공간을 매우 절감하게 하는 구성이다.
스위치 헤드는 청구항 5에 따라 직사각형 횡단면, 바람직하게는 모퉁이가 둥글게 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축과 평행한 스위치 헤드의 모든 회전이 방지되도록 수납부에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헤드의 그러한 안내를 위해, 수납부에는 예컨대 굽은 돌기, 레일,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그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스위치 헤드와 스위치 샤프트를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 시에 스위치 헤드가 동반 회전하지는 못하도록 스위치 헤드를 그 이동에 있어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것은 그러한 구성에서는 전기 접점들의 스위칭이 매우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고, 조정 요소가 더 이상의 준비 조치 없이도 스위치 헤드에 고정되고 나서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스위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한 조정 요소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청구항 6에 따라, 유지 부시를 마련하여 수납부에 고정하되, 그 유지 부시가 스위치를 예컨대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청구항 7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의 배선을 위한 전기 도선들을 마련하여 그 도선들이 2개의 전기 접점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도선들을 수납부에 고정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청구항 8에 따라, 용도별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를 전기 조정 요소, 특히 가변 저항(potentiometer)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청구항 9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절연된 스위치 플래그(switch flag)들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한 스위치 플래그들은 전기 접점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 플래그들은 예컨대 판금 블랭크(sheet-metal blank)들로 이뤄질 수 있다.
스위치 플래그들을 전기 접점들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그러한 스위치 플래그들이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그 가능한 가요성에 의거하여 매우 확실한 접촉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청구항 10에 따라, 서로 절연된, 바람직하게는 수납부에 대해서도 절연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씩의 스위치 플래그들이 수납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그러한 배치에서는 스위치 헤드와 각각의 스위치 플래그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뤄질 수 있다. 수납부의 양측에 2개씩의 스위치 플래그들이 배치된다면, 예컨대 2개씩의 스위치 플래그들이 스위치 헤드에 의해 서로 눌러지게 함으로써도 전기 접촉이 이뤄질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라, 스위치 헤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이 있게 형성되고, 수납부에 스위치 헤드와의 전기 커플링들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스위치 헤드가 예컨대 스위치 플래그와 접촉하게 되는 것에 의해 이미 전기 접촉이 이뤄질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다수의 스위치 플래그들이 잇달아 배치된다면, 다수의 접촉 단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 단은 스위치 헤드를 제1 스위치 플래그에 맞대어 눌러 스위치 헤드와 제1 스위치 플래그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2 접촉 단에서는 예컨대 제1 스위치 플래그에 맞대어 눌린 스위치 헤드가 제1 스위치 플래그를 또 다른 스위치 플래그에 맞대어 누르게 된다.
즉, 예컨대 저항기 스트링(register string)이 스위칭될 수 있다.
이때, 수납부와 스위치 헤드 사이의 전기 접촉은 슬라이딩 접점에 의해 이뤄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납부와 스위치 헤드 사이에 고정 케이블 접속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청구항 12에 따라, 수납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플래그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요건 여하에 따라서는 청구항 13에 따라 스위치 헤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절연되게 형성하고, 스위치 레버를 기울일 때에 그 중의 적어도 2개가 스위치 헤드에 의해 서로 전기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3개의 스위치 플래그들이 마련하는 것도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스위치 헤드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와 같이 하여, 스위치 샤프트 또는 스위치 레버를 더 이상의 절연 처리를 할 필요가 없이 전위가 걸리지 않게 유지하는 것도 간단하게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4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스위치 플래그들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각각 마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들에 의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또 다른 이점들, 변형들, 및 바람직한 구성들이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본 실시예 및 첨부 도면들은 순전히 예시적이고 개략적인 것으로,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3차원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수납부(7)의 일 측에 2개씩 위치되는 4개의 스위치 플래그들(8)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스위치 플래그들(8)은 서로 절연되고, 수납부(7)에 대해서도 절연된다. 수납부(7)에는 유지 부시(5)가 고정되고, ㅇ그 유지 부시(5)는 스위치를 예컨대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한다. 회전 및 경사 가능한 스위치 샤프트(1)가 유지 부시를 통과하여 안내된다. 스위치 샤프트(1)를 기울이기 위해, 유지 부시(5)에는 적절한 리세스들이 마련된다. 수납부(7) 내에서 및 유지 부시(5)의 아래에서 스위치 헤드(3)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한 스위치 헤드(3) 내에는 가변 저항(4)이 스위치 헤드(3)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그러한 가변 저항(4)은 스위치 샤프트(1)와 연결된다.
수납부(7)는 스위치 헤드(3)가 기울어질 수 있지만 스위치 샤프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는 없도록 스위치 헤드(3)를 안내하는 가이드 요소(9)를 구비한다.
그러한 가이드 요소(9)는 굽어진 돌기이다.
도 1에는, 가변 저항(4)의 전기 접속 단자들 및 급전 라인들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스위치 레버로서의 역할도 하는 스위치 샤프트(1)에 의해 스위치 헤드(3)가 이동하면, 스위치 헤드(3)는 우선 안쪽 스위치 플래그들(8) 중의 하나와 맞닿고, 이어서 내부 스위치 플래그들(8) 중의 하나를 해당 바깥쪽 스위치 플래그(8) 상에 대고 눌러 각각의 안쪽 스위치 플래그(8)와 각각의 바깥쪽 스위치 플래그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뤄지게 한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이한 전기 접점들이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샤프트(1)의 회전에 의해 가변 저항(4)이 조정될 수 있다.
스위치 플래그들(8), 그들 사이에 있는 절연체들, 및 수납부(7)에 도시된 구멍들은 개개의 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유지 핀들 또는 나사들을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 유지 핀들 또는 나사들에 의해 스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분해 사시도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구조를 알아볼 수 있다.
수납부(7)의 우측과 좌측에 우선 절연체들(6)이 배치되고, 이어서 안쪽 스위치 플래그(8), 그에 뒤이은 또 다른 절연체(6), 및 바깥쪽 스위치 플래그(8)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1)는 구형의 두터운 부분(2)을 구비하는데, 그 구형의 두터운 부분(2)에 의해 스위치 샤프트(1)가 유지 부시(5) 내에서 볼 시트에 회전 및 경사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이후의 진로에서, 스위치 샤프트(1)는 회전 가능하게 스위치 헤드(3)의 상면을 통과하여 가변 저항(4)의 내부에서 종결된다. 가변 저항(4)의 하우징도 역시 부분적으로 스위치 헤드(3)에 수납되어 거기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위치 샤프트(1)가 스위치 헤드(3)에 대해 회전하면, 가변 저항(4)이 조정되게 된다.
유지 부시(5)도 역시 수납부(7)에 고정된다.
수납부(7)는 스위치 헤드(3)를 위한 가이드들을 구비하고, 그에 따라 스위치 헤드(3)가 볼 시트 또는 구형의 두터운 부분(2)의 둘레로 기울어질 수 있지만 스위치 샤프트(1)의 축을 따라 회전할 수는 없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묘사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되는 이점들을 명료하게 보이고 있다. 당업자라면 설정된 과제에 따라 부가의 구성들 및 변형들을 쉽게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당업자는 스위칭 가능한 전기 접점들의 수를 설정된 과제에 맞춰 쉽게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위치 샤프트 2: 구형의 두터운 부분
3: 스위치 헤드 4: 가변 저항
5: 유지 부시 6: 절연체
7: 수납부 8: 스위치 플래그
9: 가이드

Claims (14)

  1. 스위치 레버(1)를 기울임으로써 스위치 헤드(3)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들이 스위칭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 헤드(3)와 스위치 레버(1)를 포함하는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레버(1)는 스위치 샤프트(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4)가 포함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4)는 스위치 샤프트(1)의 회전에 의해 그 조정 요소(4)가 조정될 수 있게 스위치 샤프트(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레버(1)가 스위치 샤프트(1)이고, 스위치 레버(1)는 바람직하게는 볼 시트에 의해 회전 및 경사 가능하게 유지 부시(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치 샤프트(1)는 회전 가능하게 스위치 헤드(3)를 통과하고,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하게 스위치 헤드(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위치 헤드 내에 배치되어 스위치 헤드(3)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 헤드(3)는 직사각형 횡단면, 바람직하게는 모퉁이가 둥글게 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스위치 샤프트(1)의 회전축과 평행한 모든 축들을 중심으로 한 스위치 헤드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수납부(7)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유지 부시(5)는 수납부(7)에 고정되고, 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4)의 배선을 위한 전기 도선들이 스위치 레버(10의 기울어짐 및 적어도 2개의 전기 접점의 스위칭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납부(7)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요소(4)는 전기 조정 요소, 특히 가변 저항(potenti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서로 절연된 스위치 플래그들(8)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절연된, 바람직하게는 수납부(7)에 대해서도 절연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씩의 스위치 플래그들(8)이 수납부(7)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부(7)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접점에 의해 스위치 헤드(3)와 전기 접속되고, 스위치 헤드(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이 있게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플래그(8)와 전기 접촉하게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수납부(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플래그(8)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 헤드(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절연되게 형성되고, 스위치 레버(1)를 기울일 때에 그 중의 적어도 2개가 스위치 헤드(3)에 의해 서로 전기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스위치 플래그들(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스위치 플래그들(8)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도체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117009290A 2008-09-26 2009-09-25 회전식 조정 요소를 구비한 다중 스위치 KR20110082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5299A EP2169696A1 (de) 2008-09-26 2008-09-26 Mehrfachschalter mit Drehverstellelement
EP08165299.2 2008-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003A true KR20110082003A (ko) 2011-07-15

Family

ID=4030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290A KR20110082003A (ko) 2008-09-26 2009-09-25 회전식 조정 요소를 구비한 다중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66119A1 (ko)
EP (1) EP2169696A1 (ko)
JP (1) JP2012503850A (ko)
KR (1) KR20110082003A (ko)
CN (1) CN102197450A (ko)
CA (1) CA2738772A1 (ko)
WO (1) WO2010034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7601B (zh) * 2017-02-15 2020-06-30 厦门百霖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带摇杆的双旋钮开关
US10777341B2 (en) 2018-07-25 2020-09-1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otentiometer toggle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4850A (en) * 1970-05-26 1972-08-15 Guardian Electric Mfg Co Programmable lever switch with snap-in detachable cam detent means
JPS5454875U (ko) * 1977-09-27 1979-04-16
JPS57128185A (en) * 1981-01-08 1982-08-09 Atari Inc Control unit for portable player operation
DE8428052U1 (de) * 1984-09-24 1984-12-20 Heinrich Kopp Gmbh & Co Kg, 8756 Kahl Wippenschalter-Helligkeitssteller-Kombination
JP2942098B2 (ja) * 1993-06-23 1999-08-3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US5685419A (en) * 1995-09-07 1997-11-11 Daichi Denso Buhin Co., Ltd. Lever switch
JP3864812B2 (ja) * 2002-03-07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3988584B2 (ja) * 2002-08-27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66119A1 (en) 2011-11-03
CN102197450A (zh) 2011-09-21
CA2738772A1 (en) 2010-04-01
EP2169696A1 (de) 2010-03-31
WO2010034809A1 (de) 2010-04-01
JP2012503850A (ja)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5038B1 (en) Connector terminal
US20150090696A1 (en) Electric current switching apparatus
KR20110082003A (ko) 회전식 조정 요소를 구비한 다중 스위치
CN100349238C (zh) 旋转型电部件
JP2002237248A (ja) プラグイン端子装置及び分電盤
JPH0922642A (ja) 多方向切換スイッチ
US3261930A (en) Rotary selector switch with improved spring biasing structure
JP2017016790A (ja) 切替開閉器
JP2012503850A5 (ko)
US20030027446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current betweent two terminals
DE3638403C2 (ko)
JP7149799B2 (ja) 端子台
JP2009087841A (ja) 電気コネクタ
CN220065523U (zh) 一种多档位的旋转电源开关
JP2016219277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JP2000077240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タップ選択器
JPS604351Y2 (ja) 多方向切換スイツチ
KR102329759B1 (ko) 토글 스위치 장치
KR101101673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어셈블리
WO2022190805A1 (ja) 短絡部材
JP2571815Y2 (ja) 多方向傾動操作レバーの配線構造
JP3212202U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GB2278240A (en) Slide control device
JP6429846B2 (ja) 切替開閉器
JP2002158048A (ja) 電線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