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835A -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835A
KR20110080835A KR1020100001249A KR20100001249A KR20110080835A KR 20110080835 A KR20110080835 A KR 20110080835A KR 1020100001249 A KR1020100001249 A KR 1020100001249A KR 20100001249 A KR20100001249 A KR 20100001249A KR 20110080835 A KR20110080835 A KR 2011008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elding
primary
assembl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267B1 (ko
Inventor
광 호 옥
Original Assignee
(주)청송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송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청송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0000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2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6Controll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04Lasrobot, welding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Robo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ipulator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용접 캐리지에 설치되어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조정시키는 아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캐리지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이동축와, 상기 이동축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손잡이와, 상기 이동축과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평이동 슬라이드로 구성되는 수평이동 어셈블리와, 상기 수평이동 슬라이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1차회전 몸체와, 상기 1차회전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워엄축과, 상기 1차워엄축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1차회전축으로 구성되는 1차회전 어셈블리와, 상기 1차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2차회전 몸체와, 상기 2차회전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2차워엄축과, 상기 2차워엄축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2차회전축으로 구성되는 2차회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치 클램프는 상기 2차회전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여, 용접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 어셈블리와 1차 회전 어셈블리 및 2차 회전 어셈블리를 통해서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a supporter of welding carriage}
본 발명은 용접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용접용 캐리지에서 용접 토치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하는 다관절 아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동 용접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용접부위의 품질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용접을 수행하기 위한 캐리지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 캐리지는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용접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용접 부위를 추적하면서 작동으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오토 캐리지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용접 캐리지에 대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20-2001-0017655호, 제20-2002-0006092호, 등이 있다.
다만, 용접은 가열 온도와 방법, 이음형식, 이음부의 형상, 용접 자세 등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특히 용접 자세에 따라서 아래 보기 용접, 수평 용접, 수직 용접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종래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10-2003-0072290호 등은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용접 캐리지에 대하여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술들도 구조가 복잡해 제작 단가가 비싸고, 조정하는 방법이 어려워 산업현장에 바로 적용되기에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접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는 용접 캐리지에 설치되어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조정시키는 아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캐리지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손잡이와 상기 이동축과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평이동 슬라이드로 구성되는 수평이동 어셈블리와, 상기 수평이동 슬라이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1차회전 몸체와 상기 1차회전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워엄축과 상기 1차워엄축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1차회전축으로 구성되는 1차회전 어셈블리와, 상기 1차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2차회전 몸체와 상기 2차회전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2차워엄축과 상기 2차워엄축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2차회전축으로 구성되는 2차회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치 클램프는 상기 2차회전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1차워엄축과 2차워엄축에는 회전 손잡이가 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차회전 몸체는 상기 1차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 클램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토치 클램프는 상기 2차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제3 클램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는 용접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 어셈블리와 1차 회전 어셈블리 및 2차 회전 어셈블리를 통해서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어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는 워엄축과 워엄휠을 이용하여 미세한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접 캐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아암 장치가 설치된 용접 캐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아암 장치를 이용한 용접 토치의 이동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아암 장치의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아암 장치가 설치된 용접 캐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캐리지(1)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b)와, 이동용 손잡이(1a) 및 용접선을 추적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c) 등이 설치되는 점은 종래의 용접 캐리지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는 수평이동 어셈블리(100), 1차회전 어셈블리(200) 및 2차회전 어셈블리(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2차회전 어셈블리(300)에 토치 클램프(10)가 설치되며, 상기 토치 클램프(10)에 용접 토치(2)가 설치된다.
먼저, 수평이동 어셈블리(100)는 용접 토치(2)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캐리지(1)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110)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이동축(120)과, 상기 이동축(120)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손잡이(122)와, 상기 이동축(120)과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평이동 슬라이드(13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는 브라켓(3)을 통해서 캐리지(1)에 고정되며, 상기수평이동 어셈블리(10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 어셈블리는 용접 토치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손잡이(122)를 회전시키면 이동축(120)이 회전되면서 이동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24)가 수평이동 슬라이드(130)에 형성된 암나사(132)에 의해서 수평이동 슬라이드(130)를 이동시키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동축(120)은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몸체(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1차회전 어셈블리(200) 및 2차 회전 어셈블리(300)는 용접 토치의 상하 이동 및 용접 각도를 조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회전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평이동 슬라이드(130)의 단부에 고정되는 1차회전 몸체(210)와, 상기 1차회전 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워엄축(220)과, 상기 1차워엄축(220)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1차회전축(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2차회전 어셈블리(300)는 상기 1차회전축(230)의 단부에 고정되는 2차회전 몸체(310)와, 상기 2차회전 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2차워엄축(320)과, 상기 2차워엄축(320)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2차회전축(3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치 클램프(10)는 상기 2차회전축(33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1차워엄축(220)과 2차워엄축(320)에는 회전 손잡이(222,322)가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손쉽게 용접 토치의 수직 높이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2차회전 몸체(310)는 상기 1차회전축(230)에 고정되는 제2 클램프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토치 클램프(10)는 상기 2차회전축(330)에 고정시키는 제3 클램프부(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필요에 의해서 1차회전축(230)에 고정되는 2차회전 몸체(31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2차회전축(330)에 고정되는 토치 클램프(10)의 각도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잡한 모재가 아닌 경우에는 1차회전축(230)에 토치 클램프(10)를 직접 연결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아암 장치를 이용한 구체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아암 장치를 이용한 용접 토치의 이동을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아암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토치(2)를 수평(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손잡이(122)를 회전시켜서 수평이동 슬라이드에 고정된 1차회전 어셈블리 및 2차회전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토치(2)의 각도를 조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회전 어셈블리의 회전 손잡이(322)를 회전시키게 되고,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토치(2)의 수직 위치를 조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회전 어셈블리의 회전 손잡이(2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1차회전 어셈블리와 2차회전 어셈블리는 워엄축과 워엄휠을 통해서 작동되므로 미세한 각도와 정확한 위치에 용접 토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캐리지가 주행하는 모재가 수직재 또는 수평재이더라도 용접 토치를 적절한 각도와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활한 용접 작업이 가능하며, 모재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현장에서 신속하게 용접 토치의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용접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용접 토치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용접 캐리지
2: 용접 토치
10: 토치 클램프
12: 제3 클램프부
100: 수평이동 어셈블리
110: 슬라이드 몸체
120: 이동축
122: 이동손잡이
130: 수평이동 슬라이드
200: 1차회전 어셈블리
210: 1차회전 몸체
220: 1차워엄축
230: 1차회전축
232: 회전손잡이
300: 2차회전 어셈블리
310: 2차회전 몸체
312: 제2 클램프부
320: 2차워엄축
330: 2차회전축
332: 회전손잡이

Claims (4)

  1. 용접 캐리지에 설치되어 용접 토치의 각도와 위치를 조정시키는 아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 캐리지에 고정된 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단부에 형성된 이동손잡이와, 상기 이동축과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평이동 슬라이드로 구성되는 수평이동 어셈블리와;
    상기 수평이동 슬라이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1차회전 몸체와, 상기 1차회전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1차워엄축과, 상기 1차워엄축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1차회전축으로 구성되는 1차회전 어셈블리와;
    상기 1차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2차회전 몸체와, 상기 2차회전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2차워엄축과, 상기 2차워엄축과 결합되는 워엄휠이 설치된 2차회전축으로 구성되는 2차회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치 클램프는 상기 2차회전축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워엄축과 2차워엄축에는,
    회전 손잡이가 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회전 몸체는 상기 1차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 클램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 클램프는 상기 2차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제3 클램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KR1020100001249A 2010-01-07 2010-01-07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KR10123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49A KR101234267B1 (ko) 2010-01-07 2010-01-07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49A KR101234267B1 (ko) 2010-01-07 2010-01-07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35A true KR20110080835A (ko) 2011-07-13
KR101234267B1 KR101234267B1 (ko) 2013-02-18

Family

ID=4491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249A KR101234267B1 (ko) 2010-01-07 2010-01-07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2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9504A (zh) * 2012-10-17 2013-02-06 哈尔滨工程大学 容器接管相贯线切割机器人机构
KR101409365B1 (ko) * 2012-12-07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이음 용접용 캐리지
CN104482912A (zh) * 2014-12-09 2015-04-01 方盛车桥(柳州)有限公司 前桥转向角度测量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699Y1 (ko) * 1995-12-30 1999-02-18 김광호 용접용 대상물의 고정 지그
KR100218051B1 (ko) * 1997-07-28 1999-10-01 박종덕 냉동식품의 절단장치
KR100683838B1 (ko) * 2005-12-20 2007-0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 자동용접로봇의 핸들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09504A (zh) * 2012-10-17 2013-02-06 哈尔滨工程大学 容器接管相贯线切割机器人机构
KR101409365B1 (ko) * 2012-12-07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이음 용접용 캐리지
CN104482912A (zh) * 2014-12-09 2015-04-01 方盛车桥(柳州)有限公司 前桥转向角度测量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267B1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593B2 (en)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2869475B (zh) 用于大型小齿轮机加工的摇台
KR101769270B1 (ko) 로봇 용접 장치
CN203956365U (zh) 石油平台桩腿焊接设备
KR101565323B1 (ko) 볼밸브 하우징용 자동 육성 용접장치
KR101234267B1 (ko) 용접 캐리지의 다관절 아암 장치
US4570842A (en) Conduit weld positioner with arc length adjustor
KR20150144513A (ko) 파이프 맞대기 용접 및 플랜지 용접을 위한 자동 용접 장치
JP2014221482A (ja) シーム溶接方法およびシーム溶接装置
KR20170136171A (ko) 관형 모재의 용접 위치별 토치 각도 제어가 가능한 용접장치
JP4929698B2 (ja) 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装置及びワークパネル位置決め姿勢変更方法
US8056889B2 (en) Positioning device for the fabrication of compressor impellers
JP2003103325A (ja) ロールヘム加工装置およびロールヘム加工方法
JPWO2020090079A1 (ja) ワーク自動搬送機
JPH0825088A (ja) 溶接ロボット用ポジショナ傾動装置
KR101749733B1 (ko) 파이프 자동 용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751848A (ja) 大形鋼管の継目溶接装置
KR20110010875U (ko) 파이프 용접용 회전 장치
KR20040102037A (ko) 윤곽 용접을 위한 방법 및 용접 장치
KR20180045418A (ko) 오버레이용접 자동화장치
JP5498854B2 (ja) シーム溶接装置
CN113359614B (zh) 一种并联机器人及其圆弧运动轨迹插补方法
CN109719453A (zh) 机器人自动焊接用焊变位工装及焊接方法
KR101863150B1 (ko) 용접 장치
KR20170120495A (ko) 작업물을 위한 지지면 위에 위치 마크를 설정하기 위한 마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416

Effective date: 201301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