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8261A -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261A
KR20110078261A KR1020090135022A KR20090135022A KR20110078261A KR 20110078261 A KR20110078261 A KR 20110078261A KR 1020090135022 A KR1020090135022 A KR 1020090135022A KR 20090135022 A KR20090135022 A KR 20090135022A KR 20110078261 A KR20110078261 A KR 2011007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top
mattress
frame
cover
to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242B1 (ko
Inventor
안유수
Original Assignee
안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유수 filed Critical 안유수
Priority to KR102009013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feathers, down or similar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inside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부재가 내장된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 상에 적층시켜 구성한 이중 구조의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관미 저하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종래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취약함 및 지지력 부족을 보완한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프링 조립체 및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 상측으로 고정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와, 내측으로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둘레부가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틀 구조의 둘레부가 필로우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는 침대 매트리스가 개시된다.
침대, 매트리스, 필로우탑, 필로우탑 본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

Description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Pillow top mattress and bed mattr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부재가 내장된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 상에 적층시켜 구성한 이중 구조의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침대 매트리스는 침대틀 상에 탑재되어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스프링 조립체와, 이 스프링 조립체의 상/하면에 적층 부착되는 쿠션부재와, 스프링 조립체의 둘레면에 끼워져 부착되는 에지포머와, 상기 쿠션부재 및 에지포머의 표면을 감싸는 커버부재(=침대 매트리스 커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메모리폼, 스폰지, 견면, 양모, 라텍스 등의 쿠션부재가 내장된 형태의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 상에 적층시켜 구성한 이중 구조의 침대 매트리스가 출시되고 있는 바, 일반적인 매트리스에 비해 쿠션감이 더 좋은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메인 매트리스에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적층한 침대 매트리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구조의 침대 매트리스는, 스프링 조립체의 상/하면과 둘레면에 쿠션부재 및 에지포머를 개재하고 커버부재로 밀봉한 메인 매트리스(10)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10)의 상측으로 쿠션부재들을 적층하고 상기 쿠션부재들이 메인 매트리스(10)에 고정되도록 커버부재로 밀봉한 필로우탑 매트리스(20)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로우탑 매트리스(20)는, 메인 매트리스(10)의 상/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재봉되는 하부날개부(21)와, 상기 하부날개부(21)에 탑재되어 부직포와 함께 재봉되면서 쿠션부재들을 수용하는 상부날개부(22)와, 상기 상부날개부(22)의 테두리부에 봉합부재(23)를 통해 재봉되어 상기 쿠션부재들을 감싸는 커버부재(24)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부날개부(21)와 상부날개부(22)를 박음질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한 다음, 하부날개부와 상부날개부의 수용공간에 부직포를 맞댄 상태에서 재봉하고, 이후 상부날개부에 쿠션부재들을 탑재한 뒤 커버부재(24)로 밀봉하는 제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메인 매트리(10)스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한 면에 상기 하부날개부(21)를 맞댄 상태에서, 메인 매트리스의 측면커버와 하부날개부의 테두리부분을 맞대고 봉합부재를 통해 재봉하면 메인 매트리스에 하부날개부가 고정된다.
또한 상부날개부(22)의 공간부에 쿠션부재(단수 또는 복수가 될 수 있음)들을 탑재한 상태에서, 상부날개부(22)와 커버부재(24)의 테두리부분을 맞대고 봉합부재(23)를 통해 재봉하면, 침대 매트리스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침대 매트리스를 이용하여 휴식을 취하는 경우, 메인 매트리스에 내장된 코일스프링들과 쿠션부재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쿠션감 및 안락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적층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쿠션력이 부가되어 색다른 안락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침대 매트리스에서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로우탑 매트리스(20)의 테두리부분과 메인 매트리스(10)의 테두리부분 사이가 크게 노출되어 보이며, 이로 인해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부날개부(22)의 테두리부분이 완만히 상승하는 곡면을 형성하면서 상측의 봉합부재(23)에 의해 커버부재(24)에 재봉되므로 메인 매트리스(10) 측에 재봉된 하부날개부(21)와의 간극이 벌어져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외관상으로 필로우탑 매트리스(20)가 메인 매트리스(10) 위에서 떠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특히, 스프링 조립체에 의해 지지력이 크고 안정되어 보이는 메인 매트리스에 비하여, 쿠션부재만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 지지력이 약한 필로우탑 매트리스가 외관상으로도 안정되어 보이지 않고 다소 취약해 보이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에 필로우탑 매트리스가 메인 매트리스 위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등 움직임에 취약하고, 사용자가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어느 한쪽을 눌러주면 어느 특정 부분이 심하게 움직이거나 반대쪽에서 테두리부분이 심하게 위로 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아래로 쉽게 꺼지게 되어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고, 심지어는 테두리부분의 지지력이 약하여 사용자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외관미 저하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종래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취약함 및 지지력 부족을 보완한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와, 내측으로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둘레부가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틀 구조의 둘레부가 필로우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조립체 및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메인 매트리스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 상측으로 고정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와, 내측으로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둘레부가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틀 구조의 둘레부가 필로우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필로우탑 매트리스에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적용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과 메인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 사이가 크게 노출되어 보이는 외관미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관상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이 안정되어 보이지 않고 취약해 보이는 문제점, 필로우탑 매트리스가 메인 매트리스 위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등 움직임에 취약했던 문제점, 테두리부분이 심하게 들리거나 꺼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필로우탑 매트리스에서 쿠션부재만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지지력이 약한 필로우탑 본체를 테두리지지용 틀부재가 안정되게 보완하므로 외관상으로도 안정되어 보일 수 있고, 메인 매트리스 위에서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동시에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어느정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필로우탑 매트리스에서 테두리부분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로 인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바, 종래의 필로우탑 매트리스에서 테두리부분의 지지력이 약하여 사용자가 바닥으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로우탑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로우탑을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며, 도 6은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 상측에 적층시켜 고정한 침대 매트리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100)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스프링 조립체(111) 및 쿠션부재(112)를 내장한 상태로 커버부재(114)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메인 매트리스(110)와, 쿠션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 상태로 커버부재(미부호)로 밀봉하여 제작되고 상기 메인 매트리스(110)의 상측에 적층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 매트리스(110)는 스프링 조립체(111) 및 쿠션부재(112)를 내장하여 쿠션력 및 완충력을 제공하는 통상적인 매트리스 구성을 가지는 바, 스프링 조립체(111)와, 이 스프링 조립체(111)의 상/하면에 적층 부착되는 쿠션부 재(112)와, 스프링 조립체(111)의 둘레면에 끼워져 부착되는 에지포머(113)와, 상기 쿠션부재(112) 및 에지포머(113)의 표면을 감싸는 커버부재(1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는,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121)와,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내측으로 필로우탑 본체(121)가 넣어져 결합되고 나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에서 틀 구조를 형성하는 둘레부(126)가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둘레부(126)가 필로우탑 본체(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는 메모리폼, 스폰지, 견면, 양모, 라텍스 등의 쿠션부재를 부직포 및 커버부재를 사용하여 밀봉한 통상의 필로우탑 매트리스와 비교할 때 구성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으며,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에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가 추가로 조립되어 하나의 필로우탑 매트리스(120)가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는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한 구성(상기 필로우탑 본체임)에 테두리부분 둘레를 따라서 돌출턱 구조를 형성하는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에서는 쿠션부재가 내장된 상태로 커버부재의 외측에서 쿠션부재와 커버부재(상면커버 및 하면커버)를 함께 박음질을 하여 쿠션부재 와 커버부재를 일체화하고 커버부재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면부호 122는 쿠션부재와 커버부재의 상면커버(123) 및 하면커버를 함께 박음질하여 형성한 재봉선을 나타낸다.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에서 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와 이를 밀봉하기 위한 부직포 및 커버부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통상의 필로우탑 매트리스 구성을 가지는 것이지만, 커버부재의 상면커버(123)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보다 명확히는 둘레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필로우탑 본체(121)의 전 둘레에 걸쳐 커버부재의 상면커버(123) 부분이 소정 폭으로 연장되어 커버연장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연장부(124)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를 감싸도록 밀봉하여 고정됨으로써 필로우탑 본체(121)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가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에서 필로우탑 본체(121)의 전 둘레를 따라 필로우탑 본체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서, 내측으로 필로우탑 본체(121)가 수용되어 일체화되는 부재이다.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는 사각 형상의 필로우탑 본체(121)가 내측으로 넣어질 수 있도록 사각틀 구조로 제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내측으로 필로우탑 본체(121)가 넣어지게 되면,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에서 필로우탑 본체(1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에 의해 형성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테두리부분이 내측 필로우탑 본체(121)의 높이(두께가 됨)보다 높게 돌출된 구조를 이루게 되고, 이렇게 돌출된 구조가 필로우탑 본체(121)의 전 둘레에 걸쳐 연속되어,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테두리부분에서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는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소재, 예컨대 우레탄 폼을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필로우탑 본체(121)의 두께를 고려하여 필로우탑 본체(121)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둘레부(126)의 높이가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일 실시예 구조를 살펴보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돌출된 테두리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틀 구조의 테두리부분, 즉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테두리부분을 따라 연속 형성되는 둘레부(126)와, 상기 둘레부(126) 내측으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가 상측으로 적층되는 부분인 바닥부(12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바닥부(127) 위로 필로우탑 본체(121)가 넣어져 적층되고 나면, 필로우탑 본체(121)의 상면커버(123)에 형성된 커버연장부(124)가 상기 둘레부(126)를 감싼 상태로 밀봉하여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바닥부(127) 하면에 고정되고, 이로써 필로우탑 본체(121)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가 일체화된다.
여기서, 커버연장부(124)를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바닥부(127) 하면에 고정하는 방식은 접착수단을 사용한 접착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접착수단으로는 접착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는 커버연장부(124)를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바닥부(127) 하면에 재봉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필로우탑 본체(121)의 전 둘레에 걸쳐서 상기 커버연장부(124)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를 밀봉하게 되고, 이에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중앙의 매트리스 부분(필로우탑 본체에 해당함)에 비해 테두리부분(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에 해당함)이 소정 높이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하나의 필로우탑 매트리스(120)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로우탑 본체(121)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을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 내측면에 끼움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 내측면에 전 둘레에 걸쳐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지는 요홈(128)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28)에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을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필로우탑 본체(121)를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에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요홈(128)의 폭은 필로우탑 본체(121)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 볼 때 입구에서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와 7b는 둘레부(126)와 바닥부(127)로 이루어진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내측면에 상기와 같이 하향 경사진 요홈(128)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는 상기와 같은 요홈(128) 대신에,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위치를 따라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내측면을 전 둘레에 걸쳐서 커팅하여 커팅라인(129)을 형성한 뒤, 상기 커팅라인(129)에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커팅라인(129)은 요홈(128)과 마찬가지로 단면상 수평으로 형성하거나 하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내측면을 커팅하여 커팅라인(129)을 형성한 뒤 커팅라인(129)에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을 삽입해주게 되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가 뒤로, 즉 바깥쪽으로 살짝 젖혀져 밀려나면서 둘레부(126)가 위로 들어 올려지고, 이때 둘레부(126)의 높이가 최초 성형된 높이에 비해 좀더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요홈(128)의 폭을 필로우탑 본체(121)의 두께에 비해 작게 한 뒤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을 삽입하는 경우에도 둘레부(126)가 뒤로 젖혀지면서 둘레부(126)의 높이가 최초 성형된 높이에 비해 좀더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이 요홈(128) 또는 커팅라인(129)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요홈(128) 또는 커팅라인(129)의 내측면과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 사이를 접착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접착수단으로는 접착제 또는 테이프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8a와 도 8b는 다른 형태의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바닥부가 삭제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부(126)만으로 사각 틀 구조를 형성하도록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가 성형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때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는 둘레부(126)가 사각 형으로 연속되어 틀 구조를 형성하면서 둘레부(126) 내측의 바닥면은 개구된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바닥부가 없는 대신 그 위치에, 즉 둘레부(126) 내측의 개구된 공간에 필로우탑 본체(121)만이 조립되어, 둘레부(126)만으로 이루어진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와 필로우탑 본체(121)가 하나의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구성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 역시 필로우탑 본체(121) 주변의 전 둘레에 걸쳐 둘레부(126)가 위치되어, 필로우탑 본체(121)의 상면 높이보다 상기 둘레부(126)의 높이가 높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때 테두리부분의 둘레부(126)가 필로우탑 본체(121)의 상면커버(123)에 형성된 커버연장부(124)에 의해 밀봉되어 외관상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전 둘레에 걸쳐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형성하는 둘레부(126) 를 상면커버(123)의 커버연장부(124)가 감싸도록 밀봉하게 되며, 밀봉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연장부(124)는 둘레부(126)의 하면 또는 필로우탑 본체(121)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연장부(124)를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 하면에 고정하는 방식은 접착수단을 사용한 접착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접착수단으로는 접착제 또는 테이프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커버연장부(124)를 필로우탑 본체(121)의 하면에 고정할 때에는 접착방식 대신 양측을 재봉하여 고정하는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가 없는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사용함에 있어서, 둘레부(126)의 내측면에 요홈(128)을 형성하거나 커팅라인(129)을 형성한 뒤,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을 요홈(128) 또는 커팅라인(129)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삽입 후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128) 또는 커팅라인(129) 내부면과 필로우탑 본체(121)의 테두리부분 사이를 접착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접착수단으로는 접착제 또는 테이프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요홈(128) 또는 커팅라인(129)을 형성함에 있어서 둘레부(126)의 단면상에서 수평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상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필로우탑 본체(121)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로 구성된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테 두리지지용 틀부재(125)를 추가로 적용하여 구성한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포함한다. 도 3은 단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예시한 것이다.
결국, 위와 같은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메인 매트리스(110) 위에 적층시켜 결합하는 경우에는 침대 매트리스(10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메인 매트리스(11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필로우탑 본체(121)의 커버부재에 형성된 커버연장부(124)에 날개부(124a)를 재봉하여 고정한 뒤 상기 날개부(124a)를 메인 매트리스(110)의 커버부재(114)에 고정하는 방식,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하면, 예컨대 필로우탑 본체(121)의 하면(하면커버임)과 메인 매트리스(110)의 커버부재(114) 상면을 재봉 혹은 접착방식 등을 통해 고정하는 방식, 또는 필로우탑 본체(121)의 하면커버에 날개부를 연장 형성한 뒤 상기 날개부를 메인 매트리스(110)의 커버부재(114)에 고정하는 방식 등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물론, 상기 하면커버에 날개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면커버(123)의 커버연장부(124)와 마찬가지로 하면커버를 전 둘레에 걸쳐 바깥쪽으로 연장시켜서 날개부를 형성하거나, 하면커버에 별도의 날개부를 재봉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침대 매트리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에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를 밀봉하는 방식, 및 필로우탑 매트리스(120)를 메인 매트리스(110)에 고정하는 방식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우선, 필로우탑 본체(121)의 전 둘레에 걸쳐 커버부재의 상면커버(123) 부분이 소정 폭으로 연장되어 커버연장부(124)가 형성되고, 이 커버연장부(124)와 메인 매트리스(110)의 커버부재(114)에 재봉된 날개부(124a)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125)의 둘레부(126)를 밀봉한다.
이때, 메인 매트리스(110)의 상측에서 상기 날개부(124a)는 하부 가장자리 끝단이 메인 매트리스(110)의 커버부재(114)에 재봉되고, 상부 가장자리 끝단이 상기 커버연장부(124)에 재봉된다.
결국, 상기 날개부(124a)와 커버연장부(124)의 봉합선(124b)은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둘레부(126) 바깥면에서 그 중간부분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때 봉합선(124b)이 둘레부(126) 바깥면의 중간부분에서 전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124a)에서 커버연장부(124)에 재봉된 상부(상부 날개부가 됨)와 메인 매트리스(110)의 커버부재(114)에 재봉된 하부(하부 날개부가 됨)는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와 메인 매트리스(110) 사이에서 상하로 적층되도록 서로 포개지는 부분이 된다.
도 1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합선(124b)이 둘레부(126) 바깥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필로우탑 매트리스(120) 단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커버부재에서 상면커버(123)에 연장 형성된 커버연장부(124)와 하면커버(123a)를 둘레부(126)의 바깥면 중간부분에서 재봉하여, 커버연장부(124)와 하면커버의 봉합선(124b)이 상기 둘레부(126)의 바깥면 중간부분 전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필로우탑 매트리스(120) 단품에서는, 메인 매트리스(110)와의 연결을 위한 날개부(도 11에서 도면부호 124a임) 대신,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하면커버(123a)가 상면커버(123)에 연장 형성된 커버연장부(124)에 재봉되어,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의 둘레부 바깥면 중간부분을 따라 봉합선(124b)이 형성되는 구조가 된다.
특히,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필로우탑 매트리스(120)에 형성되는 봉합선(124b)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도 11에서 도면부호 125임)의 둘레부(도 11에서 도면부호 126임) 바깥면을 따라 전 둘레에 걸쳐 일 직선으로 곧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봉합선(124b)은 필로우탑 매트리스(120)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다 아름답게 만들어주고, 제품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침대 매트리스는 필로우탑 매트리스에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적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필로우탑 매트리스가 메인 매트리스 상측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통상의 침대 매트리스에서,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과 메인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 사이가 크게 노출되어 보이는 외관미 저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외관상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이 안정되어 보이지 않고 취약해 보이는 문제점, 필로우탑 매트리스가 메인 매트리스 위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등 움직임에 취약했던 문제점, 테두리부분이 심하게 들리거나 꺼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필로우탑 매트리스에서 쿠션부재만을 사용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지지력이 약한 필로우탑 본체를 테두리지지용 틀부재가 안정되게 보완하므로 외관상으로도 안정되어 보일 수 있고, 메인 매트리스 위에서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동시에 필로우탑 매트리스의 테두리부분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어느정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필로우탑 매트리스에서 테두리부분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로 인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는 바, 종래의 필로우탑 매트리스에서 테두리부분의 지지력이 약하여 사용자가 바닥으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로우탑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로우탑을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 상측에 적층시켜 고정한 침대 매트리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에서 둘레부와 바닥부로 이루어진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내측면에 상기와 같이 하향 경사진 요홈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서 바닥부가 삭제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둘레부의 내측면에 요홈을 형성한 구조의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서 바닥부가 삭제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둘레부의 내측면에 커팅라인을 형성한 구조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침대 매트리스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대 매트리스 110 : 메인 매트리스
111 : 스프링 조립체 112 : 쿠션부재
113 : 에지포머 114 : 커버부재
120 : 필로우탑 매트리스 121 : 필로우탑 본체
122 : 재봉선 123 : 상면커버
124 : 커버연장부 124a : 날개부
125 : 테두리지지용 틀부재 126 : 둘레부
127 : 바닥부 128 : 요홈
129 : 커팅라인

Claims (18)

  1.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와,
    내측으로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둘레부가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틀 구조의 둘레부가 필로우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상기 틀 구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 내측으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상측으로 적층되는 바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상기 둘레부가 연속되어 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둘레부 내측의 바닥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둘레부 내측의 개구된 공간에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본체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 내측면에 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둘레부의 내측면을 따라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둘레부의 내측면을 따라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지는 커팅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커버부재에서 연장 형성된 커버연장부가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밀봉함으로써 필로우탑 본체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8.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와,
    내측으로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둘레부가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틀 구조의 둘레부가 필로우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커버부재에서 상면커버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버연장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커버가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밀봉하되, 상기 커버연장부와 상기 하면커버가 상기 둘레부의 바깥면 중간부분에서 재봉되어, 커버연장부와 하면커버의 봉합선이 상기 둘레부의 바깥면 중간부분 전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
  9. 스프링 조립체 및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메인 매트리스 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 상측으로 고정되는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는,
    쿠션부재를 커버부재로 밀봉하여 제작되는 필로우탑 본체와,
    내측으로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될 수 있는 틀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수용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 주변을 따라 배치되는 둘레부가 형성된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틀 구조의 둘레부가 필로우탑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상기 틀 구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 내측으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상측으로 적층되는 바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상기 둘레부가 연속되어 틀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둘레부 내측의 바닥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둘레부 내측의 개구된 공간에 상기 필로우탑 본체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본체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이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 내측면에 끼움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둘레부의 내측면을 따라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는 둘레부의 내측면을 따라 필로우탑 본체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지는 커팅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커버부재에서 연장 형성된 커버연장부가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밀봉함으로써 필로우탑 본체와 테두리지지용 틀부재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커버연장부에 날개부를 재봉하여 고정한 뒤 상기 날개부를 메인 매트리스의 커버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커버부재에서 하면커버에 날개부를 연장 형성한 뒤 상기 날개부를 메인 매트리스의 커버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필로우탑 매트리스를 메인 매트리스에 일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탑 본체의 커버부재의 상면커버로부터 연장 형성된 커버연장부와 상기 메인 매트리스의 커버부재에 고정된 날개부가 상기 테두리지지용 틀부재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서로 재봉되고, 상기 커버연장부와 상기 날개부의 봉합선이 상기 둘레부의 바깥면 중간부분 전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KR1020090135022A 2009-12-31 2009-12-31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KR10110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22A KR101104242B1 (ko) 2009-12-31 2009-12-31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22A KR101104242B1 (ko) 2009-12-31 2009-12-31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61A true KR20110078261A (ko) 2011-07-07
KR101104242B1 KR101104242B1 (ko) 2012-01-11

Family

ID=4491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022A KR101104242B1 (ko) 2009-12-31 2009-12-31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19B1 (ko) * 2017-09-18 2018-04-24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04A (ko) * 1999-07-07 2000-04-06 유택수 폐타이어고무분말을이용한컬러고무매트의제조방법
KR100651356B1 (ko) * 2002-03-29 2006-11-28 에스케이 주식회사 중질 탄화수소 및 탈아스팔트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방법
KR200378382Y1 (ko) 2004-12-27 2005-03-1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매트리스의 오염 방지 장치
KR100538708B1 (ko) 2005-03-21 2005-12-2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침대매트리스의 쿠션력 증대 장치
KR100899006B1 (ko) * 2007-10-18 2009-05-26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필로우탑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242B1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537B2 (en) Multi-component pillo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same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KR200470931Y1 (ko) 쿠션베개 및 쿠션베개 결합체
US10104984B2 (en) Expandable mattress cover
JP4794543B2 (ja)
KR200477927Y1 (ko) 적층식 침대용 매트리스
JP2002336086A (ja) ベッドマットレ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04242B1 (ko)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KR20130002866U (ko) 접이식 쇼파
KR100827277B1 (ko) 쿠션시트를 이용한 침대매트리스
KR100703195B1 (ko) 맞춤형 베개
KR101325924B1 (ko)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6295A (ko) 쿠션시트를 이용한 침대매트리스
CN217524432U (zh) 床垫
KR101468535B1 (ko) 다층의 매트리스를 일체로 구성한 침대매트리스
KR100897025B1 (ko) 침대 매트리스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제조방법
KR20160002842U (ko) 모듈형 빈백 소파 및 이를 이용한 빈백 소파 조립체
KR102167691B1 (ko) 밴드부를 구비한 차량용 탈착식 암레스트
KR200165577Y1 (ko) 탄력이 강화된 침대용 매트리스지
KR20200120145A (ko) 매트리스
JP2014045890A (ja) 睡眠用枕
JP3003112B2 (ja) クッションマット
JPS6010476Y2 (ja) 座席
KR102492357B1 (ko) 베개
JP2796948B2 (ja) 布団を収容してソファーを形成するための収容カバー及び収容カバーに布団を収容して形成したソファ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