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924B1 -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924B1
KR101325924B1 KR1020100103526A KR20100103526A KR101325924B1 KR 101325924 B1 KR101325924 B1 KR 101325924B1 KR 1020100103526 A KR1020100103526 A KR 1020100103526A KR 20100103526 A KR20100103526 A KR 20100103526A KR 101325924 B1 KR101325924 B1 KR 10132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ushion
delete delete
beads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050A (ko
Inventor
주홍규
Original Assignee
주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규 filed Critical 주홍규
Priority to KR102010010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9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1Manufacture of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쿠션 테이블 제조방법은 아랫감(14); 겉감(16); 윗감(12); 및 주입편(18);을 봉제하여 쿠션(3)의 외피를 제작하는 외피봉제단계(S10), 상기 쿠션(3)을 뒤집어 상기 윗감(12)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다음 상기 판재수용부(13) 안으로 상기 속판(15)을 삽입한 뒤 상기 충진재 투입구(22)를 밀봉하는 속판삽입단계(S20), 상기 쿠션(3)을 다시 뒤집어 원상 회복한 뒤 다수의 비즈를 충진한 다음 상기 주입편(18)의 입구(31)를 봉하고 주입편(18)을 공간(S)으로 수납하는 비즈주입단계(S30), 및 상기 판재수용부(13)의 겉감(16)에 겉판(17)을 부착하는 겉판부착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쿠션의 일측면에 판재가 부착되므로 소파나 침대와 같이 쿠션이 많이 사용되는 가구 등의 불규칙한 바닥에서 쿠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책이나 커피잔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쿠션의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판재를 쿠션 겉과 속의 이중판으로 제작하므로 겉판이 부착되는 겉감을 겉판과 속판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겉판과 겉감 그리고 겉감과 아랫감 사이의 경계가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하여 쿠션의 외관을 일층 미려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Cushion t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 위에 판재를 부착하여 소파나 침대 등 바닥면이 불규칙한 가구나 인체 위에 올려 놓고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안정되며, 쿠션과 테이블을 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쿠션 테이블 및 이러한 테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쿠션은 의자나 소파, 차량 등의 좌석에 편히 앉을 수 있도록 솜, 스펀지,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탄력을 갖게 한 잡화로서,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개 한 변이 40㎝ 전후가 되게 제작되며, 통상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의 형태를 가지나, 특별한 조형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판덱스와 같은 고탄력의 외피에 탄력이 없는 작은 알갱이를 충진한 비즈 쿠션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일반 쿠션이든 비즈 쿠션이든 쿠션은 형태를 유지하는 정형성을 가지고 있어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현재의 모양을 유지하게 되나, 그 위에 책이나 커피잔과 같은 무거운 물품을 올려 놓게 되면, 하중으로 인해 형태가 일그러지게 되므로, 물품을 올려 놓기 위한 테이블로는 사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쿠션의 일측면에 단단한 판재를 부착함으로써 커피잔 등 각종 물품을 판재 위에 올려 놓을 수 있게 하여 쿠션을 본래 데로 편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쿠션 위에 판재를 부착함에 있어 판재를 속판과 겉판으로 분리하고, 속판을 쿠션 상측면 안쪽에 삽입한 다음 겉판을 쿠션 상측의 겉감을 사이에 두고 속판에 부착되게 함으로써 겉감과 쿠션의 경계부위를 깔끔하게 마감하여 쿠션의 심미감을 높이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위와 같이 겉판과 속판을 부착함에 있어 겉감의 에지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겉판이 겉감과 속판에 동시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겉감이 겉판과 속판 사이로 길게 늘어나지 않도록 하여 쿠션의 외형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력을 갖도록 비즈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용기 형태의 아랫감; 상기 아랫감의 상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덮개 형태의 겉감; 상기 아랫감와 겉감 사이를 분할하여 상기 겉감과의 사이에 판재수용부를, 상기 아랫감와의 사이에 쿠션부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판재수용부로 속판을 삽입하는 내측 수납구가 형성된 윗감; 및 상기 아랫감의 일측에 형성된 충진재 투입구 안쪽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상기 비즈충진공간에 비즈를 충진하는 데 사용되는 주입편;을 봉제하여 쿠션의 외피를 제작하는 외피봉제단계, 상기 외피봉제단계에서 완성된 상기 쿠션을 뒤집어 상기 윗감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다음 상기 내측 수납구를 통해 상기 판재수용부 안으로 상기 속판을 삽입한 뒤 상기 충진재 투입구를 밀봉하는 속판삽입단계, 상기 속판삽입단계에서 상기 속판이 삽입된 상기 쿠션을 다시 뒤집어 원상 회복한 뒤 상기 주입편을 통해 상기 공간에 다수의 비즈를 충진한 다음 상기 주입편의 입구를 봉하고 주입편을 상기 충진재 투입구를 통해 상기 공간으로 수납하는 비즈주입단계, 및 상기 속판삽입단계에서 상기 속판이 수용된 상기 판재수용부의 겉감에 겉판을 부착하는 겉판부착단계로 이루어지는 쿠션 테이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겉판부착단계에서 상기 겉판은 상기 판재수용부 겉감에 도포된 순간 접착제에 의해 상기 겉감과 상기 속판에 동시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쿠션 특히, 비즈 쿠션의 일측면에 판재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소파나 침대와 같이 쿠션이 많이 사용되는 가구 등의 불규칙한 바닥에서 쿠션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책이나 커피잔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태가 변하지 않는 간이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쿠션의 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재가 속판과 겉판으로 분리되어 속판은 쿠션의 판재수용부를 통해 쿠션의 일측에 수용되고, 겉판은 판재수용부의 겉감을 사이에 두고 속판에 접착되므로, 겉감이 속판과 겉판 사이에 고정되어 겉판과 겉감 그리고 겉감과 아랫감 사이의 경계가 깔끔하게 마감되어 쿠션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겉감의 에지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겉판을 접착하므로, 겉판만 잡고 쿠션을 들어올려도, 겉감이 겉판과 속판 사이에서 길게 늘어지지 않기 때문에 쿠션의 미려한 외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쿠션 테이블을 판재와 쿠션으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쿠션 테이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쿠션 테이블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외피봉제단계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속판삽입단계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비즈주입단계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 테이블의 겉판부착단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은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쿠션(3)과 판재(5)로 구성되는 바, 상기 쿠션(3)은 일반적인 쿠션과 마찬가지로 외피 내부에 스폰지나 솜과 같은 고탄력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푹신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최근에 개발된 비즈(beads) 쿠션과 같이 외피를 스판덱스와 같은 고탄력의 재질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작은 알갱이 형태의 비즈를 충진하여 탄력을 얻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특히 쿠션(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커피잔 등의 각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충분한 크기의 수납면(4)을 확보할 수 있는 넓적한 박스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재(5)는 커피잔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단단하게 만든 사용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3)의 수납면(4) 상에 배치되어 쿠션(3)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지지되는 바, 목재나 플라스틱 등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이면 어떤 재질로도 제작이 가능하지만, 장식성을 고려하여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재(5)는 도 3에서와 같이 쿠션(3)의 수납면(4) 상에 부착되는 바, 접착제 등으로 영구 부착할 수도 있지만, 찍찍이나 테두리 밴드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5)를 쿠션(3) 상단의 외피 안으로 수납한 것으로, 판재(5)는 제1 실시예의 판재(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쿠션(3)은 제1 실시예의 쿠션(3)과 상이한 바, 도시된 것처럼 아래쪽의 쿠션부(11)와 위쪽의 판재수용부(1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쿠션부(11)는 일반 쿠션이나 비즈 쿠션과 같이 탄력을 주는 부분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피와 이 외피 내에 충진되어 탄력을 발생시키는 충진재 또는 반대로 탄력을 갖는 외피와 이 외피 내에 충진되는 무탄력의 비즈 등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탄력을 제공하는 한편으로 위쪽에 배치되는 판재(5)가 정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정형성도 가진다. 이때, 쿠션부(11)는 그 내부에 충진재를 집어넣기 위한 투입구(22)가 하단 일측의 봉제선을 따라 형성되는 바, 개폐가 용이하고 밀봉성이 좋은 지퍼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재수용부(13)는 쿠션부(11) 위에 판재(5)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얇은 주머니로서, 쿠션부(11)를 이루는 조각 중 위쪽에 위치하는 윗감(12)의 위쪽을 덮도록 둘레부분이 봉합되는 겉감(16)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일측 장변의 봉합선을 따라 구비된 지퍼(24)를 통해서 외부의 판재(5)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고, 반대로 내부에 수용된 판재(5)는 지퍼(24)를 열고 꺼낼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쉽게 판재(5)를 쿠션(3)에 착탈할 수 있다. 이때, 판재수용부(13)를 형성하는 겉감(16)은 쿠션부(11)에 봉합되어 분리할 수 없으므로, 내자 등과 같은 세탁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1)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쿠션 테이블(1)은 도시된 것처럼, 판재(5)를 속판(15)과 겉판(17) 둘로 나누어 겉판(17)과 쿠션(3)의 경계가 선명하게 마감되도록 한 것인 바, 도시된 것처럼 판재(5)가 속판(15)과 겉판(17) 2 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속판(15)은 겉판(17)의 지지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시예의 판재(5)와 같이 쿠션(3)의 판재수용부(13) 내부에 수용되어 겉판(17)이 겉감(16)을 사이에 두고 쿠션(3) 위쪽에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겉판(17)은 도시된 것처럼, 판재수용부(13)를 형성하는 겉감(16)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커피잔 등의 각종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속판(15)과 동일한 형태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는 속판보다 약간 얇게 할 수도 있다. 이때, 겉판(17)과 속판(15)은 중간에 낀 겉감(16)이 접착제 등에 의해 마주보는 접착면에 밀착되도록 하므로, 겉감(16)이 스판덱스와 같이 늘어지는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겉판(17)과 속판(15) 사이에 물려 더 이상 늘어지지 않게 하며, 따라서 겉판(17)과 겉감(16) 사이의 접촉부위가 깔끔하게 마감된다.
한편, 제3 실시예의 판재수용부(13)는 속판(15)이 통과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곳이라도 속판(15)을 집어넣을 수 있는 수납구를 형성할 수 있는 바, 전체적인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구를 판재수용부(13)의 내측면 즉, 쿠션부(11)의 윗감(12)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내측 수납구(19)는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나 도시된 것처럼 지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쿠션부(11)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일측의 봉제선을 따라 충진재 투입구(22)가 형성되는 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이 투입구(22)는 속판(15)을 판재수용부(13)에 집어넣기 위해 쿠션부(11)와 주입편(18)을 뒤집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지퍼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1)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쿠션 테이블(1)은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제3 실시예의 쿠션 테이블(1)과 동일하나, 다만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속판(15)을 담고 있는 판재수용부(13)와 쿠션부(11)가 각각 별체로 분리되어 형성되며, 사용 시에 연결부재(21)에 의해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때에도 연결부재(21)로는 단추나 찍찍이 등 다양한 연결수단이 채용될 수 있지만, 착탈이 용이하고, 연결이 견고한 지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쿠션 테이블(1)은 쿠션부(11)의 바닥면(25)에 쿠션부(11)의 다른 부분 외피보다 탄력성이 훨씬 떨어지는 정형부(27)를 형성하여 굴곡진 면에 놓았을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데,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무릎을 모아 앉은 자세에서 양 다리의 대퇴부 위에 올려 놓았을 때 다리 위에 안착되도록 W자 형태로 완만하게 골이 진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등 정형부(27)를 안착면을 미리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정형부(27)는 재질이 단단한 직물재를 원하는 모양으로 절곡하여 덧대거나 원하는 형태로 촘촘하게 바느질을 하는 등의 가공을 통해 쿠션부(11)가 놓이는 면의 형태 데로 정형성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쿠션 테이블(1)이 제작되는 과정을 제3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쿠션 테이블 제조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쿠션 테이블(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외피봉제단계(S10), 속판삽입단계(S20), 비즈주입단계(S30), 및 겉판부착단계(S4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외피봉제단계(S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감(12), 아랫감(14), 겉감(16), 및 주입편(18)을 봉제하여 쿠션(3)의 외피를 제작하는 단계로서, 특히 아랫감(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부분과 바닥부분을 별도의 패치로 제작하여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에서, 상기 아랫감(14)은 스판덱스와 같은 탄력적인 재질로 제작되되, 충진재인 비즈를 담을 수 있는 공간(S)을 내부에 확보하도록 용기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겉감(16)은 아랫감(14)의 상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덮개로서, 이후 공정에서 겉판(17)과 부착되도록 쿠션(3)의 상단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윗감(12)은 아랫감(14)와 겉감(16) 사이를 분할함으로써 겉감(16)과의 사이에 판재수용부(13)를 형성함과 동시에, 아랫감(14)과의 사이에는 쿠션부(11)를 각각 형성하며, 이들 패치는 윗감(12)과 아랫감(14)의 경계선을 따라 3개가 한꺼번에 봉제된다. 이때, 윗감(12)에는 지퍼 등으로 된 내측 수납구(19)를 대각선 방향으로 미리 형성하여 둔다. 끝으로, 주입편(18)은 외부에서 쿠션부(11)의 내부 공간(S)으로 비즈를 충진하는 데 사용하는 패치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1) 하단 일측에 형성된 충진재 투입구(22) 바로 안쪽에 재봉되어 부착되는 바, 충진재 투입구(22)에 가까운 부분은 쿠션부(11)를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넓게 되어 있고, 선단부분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비즈(23) 주입이 용이하도록 좁게 되어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을 취한다.
다음으로, 상기 속판삽입단계(S20)는 쿠션부(11)의 판재수용부(13) 안으로 속판(15)을 삽입하는 단계로서, 먼저 위 외피봉제단계(S10)에서 봉제가 완료된 쿠션(3)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안팎을 뒤집어 윗감(12)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지퍼 등으로 된 윗감(12)의 내측 수납구(19)를 열어 판재수용부(13) 안으로 속판(15)을 삽입한 뒤 재차 내측 수납구(19)를 잠그면 속판(15) 삽입이 완료된다. 이때, 내측 수납구(19)의 개폐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나, 도시된 것처럼 지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비즈주입단계(S30)에서는 먼저 위 속판삽입단계(S20)에서 속판(15)이 삽입된 상기 쿠션(3)을 다시 뒤집어 원상 회복한다. 그리고 나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주입편(18)의 입구(31)를 통해 쿠션부(11) 내부의 공간(S)에 다수의 비즈를 주입한 후, 입구(31)를 봉하고, 주입편(18)을 공간(S) 안으로 밀어 넣은 다음, 충진재 투입구(22)를 잠그면 비즈의 주입이 완료된다.
끝으로, 겉판부착단계(S40)는 비즈 충진이 완료된 쿠션(3) 위쪽에 겉판(17)을 부착하는 단계로서, 앞서의 속판삽입단계(S20)에서 속판(15)이 수용된 상기 판재수용부(13)의 겉감(16)에 겉판(17)을 부착함으로써 일련의 쿠션 테이블(1) 제조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겉판(17)을 겉감(16)에 부착하는 수단으로는 스냅식 버튼이나 찍찍이 등 다양한 부착수단이 채용될 수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겉감(16) 위에 도포된 순간접착제(33)를 이용해 겉감(16) 외면에 겉판(17)을 순간적으로 접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겉감(16)에 도포된 순간접착제(33)가 겉감(16) 내부로 스며듦에 의해 겉감(16)을 기준으로 겉감(16) 내면에 접착된 속판(15)과 함께 겉판(17)이 겉감(16) 외면에 동시에 접착되고, 따라서 속판(15)과 겉판(17) 사이에 끼인 겉감(16)의 늘어짐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접착제(33)는 겉감(16)의 에지부분 가까이까지 도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 쿠션 테이블 3 : 쿠션
5 : 판재 11 : 쿠션부
12 : 윗감 13 : 판재수용부
14 : 아랫감 15 : 속판
16 : 겉감 17 : 겉판
18 : 주입편 19 : 내측 수납구
21 : 연결부재 22 : 충진재 투입구
23 : 비즈 24 : 지퍼
27 : 정형부 31 : 주입편 입구
33 : 접착제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탄력을 갖도록 비즈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S)이 확보된 용기 형태의 아랫감(14); 상기 아랫감(14)의 상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덮개 형태의 겉감(16); 상기 아랫감(14)와 겉감(16) 사이를 분할하여 상기 겉감(16)과의 사이에 판재수용부(13)를, 상기 아랫감(14)와의 사이에 쿠션부(11)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판재수용부(13)로 속판(15)을 삽입하는 내측 수납구(19)가 형성된 윗감(12); 및 상기 아랫감(14)의 일측에 형성된 충진재 투입구(22) 안쪽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상기 비즈충진공간(S)에 비즈를 충진하는 데 사용되는 주입편(18);을 봉제하여 쿠션(3)의 외피를 제작하는 외피봉제단계(S10),
    상기 외피봉제단계(S10)에서 완성된 상기 쿠션(3)을 뒤집어 상기 윗감(12)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다음 상기 내측 수납구(19)를 통해 상기 판재수용부(13) 안으로 상기 속판(15)을 삽입한 뒤 상기 내측 수납구(19)를 밀봉하는 속판삽입단계(S20),
    상기 속판삽입단계(S20)에서 상기 속판(15)이 삽입된 상기 쿠션(3)을 다시 뒤집어 원상 회복한 뒤 상기 주입편(18)을 통해 상기 공간(S)에 다수의 비즈를 충진한 다음 상기 주입편(18)의 입구(31)를 봉하고 주입편(18)을 상기 충진재 투입구(22)를 통해 상기 공간(S)으로 수납하는 비즈주입단계(S30), 및
    상기 속판삽입단계(S20)에서 상기 속판(15)이 수용된 상기 판재수용부(13)의 겉감(16)에 겉판(17)을 부착하는 겉판부착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테이블 제조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겉판부착단계(S40)에서 상기 겉판(17)은 상기 판재수용부(13) 겉감(16)외면에 도포된 순간 접착제의 겉감(16) 내부로 스며듦에 의해 상기 겉감(16)을 기준으로 겉감(16) 내면에 접착된 속판(15)과 함께 겉감(16) 외면에 동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테이블 제조방법.
KR1020100103526A 2010-10-22 2010-10-22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526A KR101325924B1 (ko) 2010-10-22 2010-10-22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526A KR101325924B1 (ko) 2010-10-22 2010-10-22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050A KR20120042050A (ko) 2012-05-03
KR101325924B1 true KR101325924B1 (ko) 2013-11-07

Family

ID=4626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526A KR101325924B1 (ko) 2010-10-22 2010-10-22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85Y1 (ko) 2013-12-05 2014-08-01 이강일 보강 밴드가 구비된 빈백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89B1 (ko) * 2014-02-28 2015-06-10 최융재 구슬 매트리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81U (ko) * 2007-04-27 2008-10-30 김종성 쿠션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081U (ko) * 2007-04-27 2008-10-30 김종성 쿠션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85Y1 (ko) 2013-12-05 2014-08-01 이강일 보강 밴드가 구비된 빈백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050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2323A (en) Molded plastic furniture construction
US8336964B2 (en) Beanbag sofa with retractable headrest
US20130283533A1 (en) Pillow
US9603454B2 (en) Bean bag chair with storage compartment
KR200470931Y1 (ko) 쿠션베개 및 쿠션베개 결합체
KR200469750Y1 (ko) 접이식 쇼파
US3438676A (en) Article of furniture
US3761130A (en) Convertible chair
KR101325924B1 (ko) 쿠션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MX2007014804A (es) Cojin y metodo para manufacturar el mismo.
CN200938967Y (zh) 带储物箱的沙发
KR20160002842U (ko) 모듈형 빈백 소파 및 이를 이용한 빈백 소파 조립체
CN111657714A (zh) 一种多功能床垫及其使用方法
CN206548227U (zh) 一种星型两用靠垫
CN103330412B (zh) 多层复合式靠背连扶手沙发
CN202234231U (zh) 椅套结构
KR200415546Y1 (ko) 소파용 쿠션
CN204970419U (zh) 组合式沙发
CN210446347U (zh) 一种包裹乳胶的弹簧坐垫
KR200273089Y1 (ko) 침대용 매트리스
CN217565439U (zh) 一种懒人沙发
JP3239304U (ja) 組み合わせ式背もたれクッションユニット
CN220562596U (zh) 舒适型转盘座垫
JP3100276U (ja) ビーズクッションソファ
KR101104242B1 (ko) 필로우탑 매트리스 및 이를 이용한 침대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