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478A -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478A
KR20110076478A KR1020090133210A KR20090133210A KR20110076478A KR 20110076478 A KR20110076478 A KR 20110076478A KR 1020090133210 A KR1020090133210 A KR 1020090133210A KR 20090133210 A KR20090133210 A KR 20090133210A KR 20110076478 A KR20110076478 A KR 2011007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amp
light emitting
connector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운
박종렬
신재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478A/ko
Publication of KR2011007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램프 모듈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커넥터와 제1 커넥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반도체 발광 소자에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어 램프 모듈의 후방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LED, 램프, 전조등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Lamp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어셈블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연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주행 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차량에는 헤드 램프 이외에도 방향 지시등, 안개등과 같이 다양한 램프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LED를 이용한 램프는 각각의 LED에 대하여 복수의 램프 모듈을 구비하고, 복수의 램프 모듈을 브라켓에 장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각각의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은 램프 모듈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모듈에 연결된다. 이때, 전원 공급 모듈에 길게 이어지는 복수의 전원선을 처리하기 위해서 와이어링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공수를 늘리는 요인이 될 수가 있다. 또한, 램프 모듈이 장착되는 차량의 내부는 구성이 복잡한데 복수의 전원선이 램프 후방으로 길게 이어지면서 미관을 나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램프 모듈의 후방에 플라스틱 재질의 브라켓을 형성하고 브라켓에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조립 공수를 줄이고 미관이 향상된 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램프 모듈;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에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모듈의 후방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램프 모듈의 후방에 플라스틱 재질의 브라켓을 형성하고 브라켓에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를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조립 공수 를 줄이고 복잡하게 구성된 램프 후방을 간결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브라켓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램프 하우징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는 램프 모듈 및 브라켓(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램프 모듈은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빛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램프 모듈은 반도체 발광 소자(110) 및 장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램프 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각각의 램프 모듈은 브라켓(200)에 장착될 수가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110)는 반도체의 조성비를 조절하며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한 물질로,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들 수가 있다. LED는 높은 광변환 효율과 낮은 소비 전력 등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고, 수명은 길어서 자동차 램프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된다. 반도체 발광 소자(110)는 도 1에서와 같이 장착부(120)에 장착될 수가 있다.
장착부(120)는 반도체 발광 소자(110)를 장착시킨다. 장착된 반도체 발광 소자(110)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장착부(120)는 회로 기판(120)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회로 기판(120)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1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 및 제어하도록 복수의 칩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회로 기판(110)에는 외부의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데, 전원 공급을 위한 배선은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후방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회로 기판(은 별도의 블록(125)에 장착될 수가 있고, 블록(125)을 브라켓(200)에 고정시킴으로써 반도체 발광 소자(110)의 위치를 브라켓(200)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때, 회로 기판(1120)을 장착시키는 블록(125)의 하단에는 방열 구조가 형 성될 수가 있다. 방열 구조는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표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다수의 방열핀(127)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음각과 양각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가 있다. 방열 구조의 형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방열 구조가 형성된 블록(125)은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열 전도성이 높은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성의 재질로 구성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램프 모듈은 직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 반사형(MFR) 타입의 램프 모듈, 및 프로젝션(projection) 타입의 램프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직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은 별도의 리플렉터를 구비하지 않고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직접 외부로 조사시킨다.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은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리플렉터(145)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도 1에서는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에 있어서 리플렉터(145)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리플렉터(145)의 상부에는 반도체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리플렉터(145)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하방으로 조사된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조사시킨다.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은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리플렉터(140) 및 렌즈(13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에서 리플렉터(140)는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키며 조사된 빛을 전방의 일 지점에 모이도록 할 수가 있다. 리플렉터(140)를 타원으로 형성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110)를 타원 형상의 리플렉터(140)의 일 초점에 위치하도록 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조사된 빛은 리플렉터(140)에서 반사되어 다른 일 초점의 위치에 모일 수가 있다. 반사된 빛이 모이는 다른 일 초점의 위치에는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빛의 일부를 차단시키는 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가 있다. 렌즈(130)는 쉴드(미도시)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을 외부로 통과시킨다.
도 1의 상부 1열에 있는 두 개의 램프 모듈은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회로 기판(120)에 장착된 반도체 발광 소자(110)는 상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방을 향하여 방사되는 빛은 리플렉터(140)에 도달한 후 반사됨에 따라서 전방에 일 지점에 모이게 되고 쉴드(미도시)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은 렌즈(130)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된다.
직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 및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은 공지된 기술로 당업자에게 있어서 널리 알려진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브라켓(200)은 램프 모듈의 후방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110) 및 장착부(120)를 포함하는 램프 모듈을 장착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200)에는 복수의 램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상부의 제 1 열에는 두 개의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이 장착되고, 하부의 제 2 열에는 한 개의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직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 및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을 각각 다양하게 조합하여 다양한 개수로 장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브라켓(200)은 램프 모듈을 지지할 수가 있는데, 브라켓(2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브라켓(200)에 장착된 램프 모듈에 의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즉, 브라켓(200)은 램프 모듈을 에이밍시키는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브라켓(200)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이밍 스크류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202), 제 1 에이밍부(204), 및 제 2 에이밍부(206)가 형성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300)과 브라켓(200)에 형성된 지지부(202), 제 1 에이밍부(204), 및 제 2 에이밍부(206) 사이에는 에이밍 스크류(미도시)가 각각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지지부(202)는 브라켓(200)을 에이밍시키기 위한 고정점이 될 수가 있고, 램프 하우징(300)의 바깥에서 제 1 에이밍부(204) 또는 제 2 에이밍부(204)와 결합되는 에이밍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지지부(20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브라켓(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에 장착된 램프 모듈의 조사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브라켓(200)을 에이밍시키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브라켓(2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00)을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서, 전체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중량을 줄일 수가 있고, 따라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00)에 커넥터 단자(210)가 형성될 수가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브라켓(200)의 후방부의 일측에 커넥터 단자(210)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커넥터 단자(210)에는 외부의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410)의 끝단에 형성된 제 1 커넥터(415)와 제 1 커넥터(415)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반도체 발광 소자(110)에 공급하는 배선(420)의 끝단에 형성된 제 2 커넥터(425)가 각각 결합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로부터 반도체 발광 소자(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도 2에서는 제 1 커넥터(415)는 커넥터 단자(210)에 분리되어 있고, 제 2 커넥터(425)는 커넥터 단자(210)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브라켓(200)에 커넥터 단자(21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브라켓(200)의 재질이 플라스틱 재질이어서 기판으로써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200)에 커넥터 단자(210)가 형성됨에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110)로부터 이어지는 배선(420)에 대하여 종래와 같이 와이어링 작업을 길게 할 필요가 없다. 배선(420)의 끝단에 형성된 제 2 커넥터(425)를 커넥터 단자(210)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배선 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도 3에서는 제 1 커넥터(415)와 제 2 커넥터(425)와 결합하는 커넥터 단자(420)가 동일 위치에 함께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커넥터(415)와 제 2 커넥 터(425)와 결합하는 커넥터 단자(210)를 각각 이격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이격된 위치에 있는 각각의 커넥터 단자(210)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브라켓(200)의 내부에는 이격된 커넥터 단자(210)를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수가 있다.
즉,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의 위치는 특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의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제 1 커넥터(415)와 결합하는 커넥터 단자(210)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커넥터(415)와 전원 공급 모듈(미도시) 사이의 배선(410) 길이를 최단으로 줄일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반도체 발광 소자(110)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제 2 커넥터(425)와 결합하는 커넥터 단자(210)를 형성함으로써 제 2 커넥터(425)와 반도체 발광 소자(110) 사이의 배선(420) 길이를 최단으로 줄일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은 브라켓에 형성되는 커넥터 단자와 각 커넥터 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을 인서트 사출의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 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가 램프 하우징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반도체 발광 소자 120: 장착부
130: 렌즈 140: 리플렉터
200: 브라켓 300: 램프 하우징
415: 제 1 커넥터 425: 제 2 커넥터

Claims (8)

  1.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램프 모듈; 및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에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 모듈의 후방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를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는 이격된 위치에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는 각각의 상기 커넥터 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이 형성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직사형 타입, 반사형 타입, 및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 및 상기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을 전방으로 조사시키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램프 모듈을 지지하며 에이밍이 가능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넥터 단자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선과 함께 인서트 사출로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은 상단부 제 1 열에 형성되는 프로젝션 타입의 램프 모듈과, 상기 하단부 제 2 열에 형성되는 반사형 타입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0090133210A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10076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210A KR20110076478A (ko)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210A KR20110076478A (ko)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78A true KR20110076478A (ko) 2011-07-06

Family

ID=4491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210A KR20110076478A (ko) 2009-12-29 2009-12-29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4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3A (ko) * 2015-07-10 2017-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ed 고장 경고 장치
EP3486553A1 (en) * 2017-11-20 2019-05-22 Valeo Iluminac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ligh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23A (ko) * 2015-07-10 2017-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ed 고장 경고 장치
EP3486553A1 (en) * 2017-11-20 2019-05-22 Valeo Iluminac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ligh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39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구조
US9108563B2 (en) Head lamp for vehicle including plural light source units
CN104832854B (zh) 车辆用灯具
CN102159875B (zh) 照明单元和车辆头灯
US8847242B2 (en) Multi-element LED lamp
EP2620696B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vehicle lamp
US10794561B2 (en) Vehicle lamp
JP2014007106A (ja) 車両用灯具
WO2012162927A1 (zh) 近光带有明暗截止线的汽车前照灯led光学组件
CN102483208A (zh) 车辆用前照灯
JP2020205207A (ja) 灯具ユニット
KR10137524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10076478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N207350084U (zh) 汽车led远光灯模组
CN209944228U (zh) Led汽车大灯整体式散热定位装置
CN103486520A (zh) Led光源前照灯
CN102128405B (zh) Led汽车远光灯具
CN111059511A (zh) Led远近光大灯模组
CN215570253U (zh) 用于汽车大灯的led光源
CN218001351U (zh) 一种led光源车灯远近光一体模组
CN216244083U (zh) 一种多光源车灯照明系统
CN211232734U (zh) 一种前照灯模组、车灯及车辆
CN215636963U (zh) 一种具有远光辅助的双光透镜大灯
CN216113814U (zh) 一种高效能聚光仿激光led汽车工作灯
CN108426231A (zh) 车辆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