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444A -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444A
KR20110075444A KR1020090131897A KR20090131897A KR20110075444A KR 20110075444 A KR20110075444 A KR 20110075444A KR 1020090131897 A KR1020090131897 A KR 1020090131897A KR 20090131897 A KR20090131897 A KR 20090131897A KR 20110075444 A KR20110075444 A KR 2011007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outer ring
compresso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419B1 (ko
Inventor
이헌상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1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2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아우터 링의 일 부분을 절곡함에 의해 풀리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배출될 수 있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의 조립 틈새로 유입된 경우라도 본 발명에 의해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수분이나 이물질등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수분등이 베어링 내부로 역류하거나 혹은 베어링 인접 부분에 수분이 장기 잔류하지 않게 되어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베어링의 소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출 통로, 아우터 링, 클러치리스

Description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아우터 링의 일 부분을 절곡함에 의해 풀리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베어링주위의 부식발생 방지 및 베어링의 소착 발생을 방지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냉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전자 클러치의 단속 작용에 의해 엔진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고정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와, 상기 전자 클러치 없이 항상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용량을 조절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있다.
이러한 압축기 중에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전자 클러치가 없는 바, 온/오프시 발생하는 소음 및 쇼크에 의한 탑승자의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엔진의 동력을 항상 전달받기 때문에 압축기의 이상 작동으로 풀리에 과도한 토크가 발생되면 이와 연결된 엔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압축기에 갑작스런 로킹(locking)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구동축에 연결된 풀리 또는 압축기가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서는 동력 전달하는 풀리에 과도한 토크가 작용되는 경우 압축기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이른바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은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110)와, 풀리(110)의 회전력을 압축기의 회전축(130)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120)으로 구성된다.
풀리(110)는 압축기(150)의 하우징(151) 일측 둘레에 베어링(111)을 개재하여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동력전달유닛(120)은 풀리(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아웃터링(121)과, 아웃터링(121) 내에 댐퍼충진공간을 두고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이너링(123)과, 아웃터링(121)과 이너링(123) 사이에 수용되는 댐퍼(125)와, 이너링(123)과 압축기(150)의 회전축(130)을 연결하며 상기 댐퍼(125) 및 압축기(150)의 토오크가 소정의 토오크 이상일 때 파단되는 리미터허브(127)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풀리(110)가 회전하고, 풀리(110)의 회전은 동력전달유닛(120)에 의해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축(130)으로 전달됨으로써, 압축기를 구동시키게 된 다.
그리고, 압축기의 구동 중 과도한 토오크가 발생할 경우, 리미터허브(127)가 파단되어 이너링(123)과 압축기 회전축(130)간의 동력전달통로를 끊어줌으로써,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는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9-0079058에 자세히 기재되어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는 자동차의 부식 내수성 기준이 강화되면서 상기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의 내수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는 이물질이나 수분들이 상기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101)의 조립 틈새로 유입된 경우 풀리 외주면으로 유출이 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내부에 잔류하게 되고 그 결과 베어링 내부로 역류하거나 혹은 베어링 인접 부분에 수분이 장기 잔류하게 되면서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생된 부식에 의해 베어링의 소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내부로 유입된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베어링주위의 부식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베어링의 소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외부 배출 통로를 구비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의 아우터 링 본체와 상기 아우터 링 본체 일측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풀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아우터 링과 상기 아우터 링의 내부에 배치되되 동일 중심을 갖는 인너 링과, 상기 이우터 링과 인너 링사이에 배치되는 댐퍼와, 상기 인너 링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리미터 허브를 포함하는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링의 플랜지 일 영역을 돌출시켜 상기 풀리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변형된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와 상기 풀리 내측면사이의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이나 이물질등이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의 조 립 틈새로 유입된 경우라도 본 발명에 의해 배출 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수분이나 이물질등을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수분등이 베어링 내부로 역류하거나 혹은 베어링 인접 부분에 수분이 장기 잔류하지 않게 되어 부식이 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베어링의 소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인너링(123)과 댐퍼(125) 그리고 아우터 링(12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도이다.
도 4는 인너링(123)과 댐퍼(125) 그리고 아우터 링(121)이 결합된 상태에 풀리(110)와 베어링(13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인너링(123)과 댐퍼(125) 그리고 아우터 링(121)과 풀리(110) 및 베어링(13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종래의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10)와, 상기 풀리(110)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아우터 링(121)과 상기 아우터 링(121)의 내부에 배치되되 동일 중심을 갖는 인너 링(123)과, 상기 이 우터 링(121)과 인너 링(123)사이에 배치되는 댐퍼(125)와, 상기 인너 링(123)과 압축기의 회전축(130)을 연결하는 리미터 허브(12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풀리(110)에 전달된 동력을 압축기의 회전축(130)으로 전달하기 위해 아우터 링(121)이 상기 풀리(110)에 부착된다.
상기 아우터 링(121)은 링 형상의 아우터 링 본체(121a)와 상기 아우터 링 본체(121a) 일측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풀리(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12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121b)에 본 발명의 드레인부(121c)가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부(121c)는 상기 플랜지(121b) 일 영역을 돌출시켜 상기 풀리(110)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드레인부(121c)와 상기 풀리(110) 내측면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이 앞서 설명한 수분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 통로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121b) 또는 드레인부(121c)와 대향되는 풀리(110)의 일 영역을 요홈되게 형성하여 상기 수분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홈(110a)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에서는 상기 수분등이 배출될 수 있는 통로가 없어 상기 수분등이 잔류하게 되고 이에 의해 베어링이 소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레인부(121c)와 풀리(110) 내측면 사이에 상기 수분이 배 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종래 클러치리스 동력전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121c)와 상기 풀리(110) 내측면사이의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1.5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격 거리가 1.5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랜지(121a)의 성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고, 상기 이격 거리가 0.2mm이하인 경우 배출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플랜지(121b)는 두께가 얇은 판체 형상을 구비한 관계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 성형할 수 있는 깊이(본 발명이서는 이격 거리)가 제한되어 있다.
이는, 상기 1.5mm이상 깊이(즉, 이격 거리)로 성형하는 경우 상기 플랜지(121a)가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드레인부(121c)는 풀리(110)와 이격되어 수분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하게 되는데, 상기 이격 거리가 0.2m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통로가 너무 좁아 수분등을 배출하는데 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드레인부(121c)는 상기 플랜지(121b)의 원주방향으로 2개이상 형성하는 것이 배출 성능 유지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우터 링(121)의 플랜지(121b)를 6개로 분할한 후 상기 플랜지(121b)사이에 간극(121d)을 형성하고 상기 6개로 분할된 플랜지(121b)의 중앙부분을 돌출 변형하여 드레인부(121c)를 형성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드레인부(121c)는 상술한 바와 같이 풀리(110) 내측면과 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을 통해 수분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플랜지(121b)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또는 다른 개수로 분할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부(121c)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구비한 상태에서 돌출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부(121c)는 상기 풀리(110)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드레인부(121c)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드레인부(121c)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상기 도 4는 풀리(110)에 인너 링(123)과 아우터 링(121) 그리고 댐퍼(125)가 장차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기 풀리(110) 내부에 베어링(111)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일부를 절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사시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아우터 링 본체(121a)의 외측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플랜지(1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21b)의 일 영역을 돌출시킨 드레인부(121c)를 형성하여 상기 풀리(110)의 내측면과 상호 이격되게 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레인부(121c)와 대향되는 풀리(110)의 일 영역에 요홈되게 형성되는 배출홈(110a)에 의해 상기 수분등의 배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에 의해 수분등이 외부로 배출되고(도 5의 파선 참조),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의 소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우터 링과 인너 링 그리고 댐퍼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우터 링과 인너 링 그리고 댐퍼가 결합된 상태에 풀리와 베어링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사시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아우터 링 121c : 드레인 부
123 : 인너 링 125 : 댐퍼
110 : 풀리 110a : 배출홈
130 : 베어링

Claims (4)

  1.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풀리(110)와, 상기 풀리(110)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의 아우터 링 본체(121a)와 상기 아우터 링 본체(121a) 일측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풀리(1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플랜지(121b)를 포함하는 아우터 링(121)과, 상기 아우터 링(121)의 내부에 배치되되 동일 중심을 갖는 인너 링(123)과, 상기 이우터 링(121)과 인너 링(123)사이에 배치되는 댐퍼(125)와, 상기 인너 링(123)과 압축기의 회전축(130)을 연결하는 리미터 허브(127)를 포함하는 클러치리스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링(121)의 플랜지(121b) 일 영역을 돌출시켜 상기 풀리(110)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변형된 드레인부(12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121c)와 상기 풀리(110) 내측면사이의 이격 거리는 0.2mm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121c)는 상기 플랜지(121b)의 원주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1b) 또는 드레인부(121c)와 대향되는 풀리(110)의 일 영역을 요홈되게 형성되는 배출홈(110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20090131897A 2009-12-28 2009-12-28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629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97A KR101629419B1 (ko) 2009-12-28 2009-12-28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97A KR101629419B1 (ko) 2009-12-28 2009-12-28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444A true KR20110075444A (ko) 2011-07-06
KR101629419B1 KR101629419B1 (ko) 2016-06-10

Family

ID=4491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897A KR101629419B1 (ko) 2009-12-28 2009-12-28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4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90B1 (ko) * 2011-09-02 2014-01-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50018003A (ko) 2013-08-08 2015-02-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210105566A (ko) 2020-02-19 2021-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177A (ja) * 1999-10-22 2001-05-0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クラッチレス圧縮機
JP2002364667A (ja) * 2001-06-06 2002-12-1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KR20090079058A (ko) * 2008-01-16 2009-07-21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JP2009299875A (ja) * 2008-06-17 2009-12-24 Denso Corp 動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177A (ja) * 1999-10-22 2001-05-0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クラッチレス圧縮機
JP2002364667A (ja) * 2001-06-06 2002-12-18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KR20090079058A (ko) * 2008-01-16 2009-07-21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JP2009299875A (ja) * 2008-06-17 2009-12-24 Denso Corp 動力伝達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90B1 (ko) * 2011-09-02 2014-01-0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50018003A (ko) 2013-08-08 2015-02-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210105566A (ko) 2020-02-19 2021-08-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19B1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7587B1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US10113596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50267717A1 (en) Turbo type fluid machine
US7909701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20110075444A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US20050261093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02098213A (ja) 動力伝達機構
US20010025761A1 (en) Torque limiting mechanism
EP1719929B1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of compressor
US7503757B2 (en) Oil pump having rotor receiving portion for restriction moving range of an outer ro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ccentric direction
KR101680157B1 (ko) 압축기용 동력전달장치
JP5077771B2 (ja) トルク伝達装置
KR100653695B1 (ko) 파단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구비한 클러치리스 압축기
KR101362200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JP4197081B2 (ja) 動力伝達装置
US8371947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clutchless compressor
KR101371165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378021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401688B1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837327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 전달 차단 구조
JP5350618B2 (ja) トルク伝達装置
KR101142771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111950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839176B1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60031529A (ko) 클러치리스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