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015A -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015A
KR20110074015A KR1020090130845A KR20090130845A KR20110074015A KR 20110074015 A KR20110074015 A KR 20110074015A KR 1020090130845 A KR1020090130845 A KR 1020090130845A KR 20090130845 A KR20090130845 A KR 20090130845A KR 20110074015 A KR20110074015 A KR 20110074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atellite
support
horizontal frame
pay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26388B1 (en
Inventor
우성현
박홍원
김진희
이상률
장익수
이문석
조창래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0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388B1/en
Publication of KR2011007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5/00Ground equipment for vehicles, e.g. starting towers, fuel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holding a satellite loading body is provided to enhance the adjustability of a worker by compensating the weight of a loading body to rais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mounting work of the satellite loading body. CONSTITUTION: A device for holding a satellite loading body comprises a horizontal frame(10), a vertical frame(20), a connecting unit(30), a first adjusting unit(40), a second adjusting unit(50) and a handle unit(60). The satellite loading body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The vertical frame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can be lifted using a crane. The connec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crane. The first adjusting unit connects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frame and slopes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adjust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us the loading body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o the left and right.

Description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본 발명은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의 인공위성 탑재체의 장착을 돕는 조립지원장비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that is an assembly support device that assists in mounting a weight satellite payload.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의 탑재체는 고가의 제품이며, 외부 환경 및 충격에 민감한 장비이므로 핸들링 및 장착 작업에 높은 레벨의 안정성 및 신중함이 요구된다. In general, satellite payloads are expensive products and are sensitive to external environments and shocks, so handling and mounting operations require a high level of stability and prudence.

더욱이, 인공위성 탑재체의 기능이 통합되는 근래의 추세로 인하여 고중량의 탑재체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탑재체를 적절한 방식으로 인공위성의 몸체에 장착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은 인공위성 조립 업무에 있어서 주요한 업무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Moreover, due to the recent trend of incorporating the functions of the satellite payload, a heavier payload is increasing, and devising a method of mounting the payload on the satellite body in an appropriate manner has emerged as one of the main tasks in the satellite assembly work. .

인공위성의 탑재체 장착의 경우 탑재체의 중량이 25kg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나, 탑재체가 이 이상의 중량을 가지거나, 탑재체가 플랫폼의 -Z(아랫면)에 거꾸로 장착되는 경우 탑재체를 장착부위까지 이동 시키고 장착작업동안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지원장비가 필요하다. If the payload of the payload is less than 25kg, it is possible to assemble it by the worker's manpower.However, if the payload has more weight or if the payload is mounted upside down on the platform's -Z (lower surface), Appropriate support equipment is required to move to the mounting site and maintain posture during the mounting operation.

또한, 탑재체의 장착작업이 위성 내부에서 진행될 때에는 장착부위 주변의 다른 탑재체 및 전기선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work is carried out inside the satellite, it should be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payloads and electric cables around the mounting site.

그리고, 현재까지는 인공위성 탑재체의 장착작업이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여 진행되어 왔다.And until now,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atellite payload has been advanced depending on the manpower of an operator.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서는 탑재체의 장착 부위가 위성체 내부인 경우 작업자의 상반신이 위성체 내부에 진입해야 되는 관계로 다른 탑재체의 물리적인 손상 위험이 많았으며, 또한 탑재체가 위성체에 거꾸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탑재체를 장착작업 동안 지속적으로 지지해야 하므로 작업에 부담 및 위험성이 매우 높았다. However, in the above case, whe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ayload is inside the satellite,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has to enter the satellite, so there is a high risk of physical damage of the other payload, and when the payload is mounted upside down on the satellite, The payload was very burdensome and risky because the payload had to be continuously supported during mounting.

또한, 상기의 경우 위성체를 별도의 회전 치구를 사용하여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조립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작업구성은 위성 기계조립의 초기 단계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탑재체의 장착작업 일정의 선정에 크게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the assembling work may be performed while the satellite body is rotated 180 degrees by using a separate rotary jig, but such a work configuration is possible only at the initial stage of assembling the satellite machine, so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 mounting work schedule of the payload.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constrain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위성 탑재체의 장착작업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탑재체의 중량을 보상하여 작업자의 조정성을 향상시키고 주변 기물들의 간섭을 피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작업에 필요한 탑재체의 자세를 원활하게 변환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조립지원장비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mpensate the weight of the payloa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satellite payload to improve the operator's controllability and avoid the interference of the surrounding objects as we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that is an assembly support device capable of smoothly converting and maintaining a payload of a payload required for a job.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의 인공위성 탑재체의 장착을 지원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는, 일측에 인공위성 탑재체가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과 연결되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을 연결시켜주는 부위로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제1 조절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탑재체가 상하 및 좌우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2 조절부; 상기 수평 프레임에 구비된 제2 조절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어서 장착면에 대한 탑재체의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손잡이; 및 인터페이스 브라켓과 탑재체와 동일한 무게로 이루어져서 수평 프레임이 수평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질량모사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mounting of a weight pay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frame on which a satellite payload is installed; A vertical fram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to be lifted using a crane; A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connected to the crane; A first adjusting uni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a portion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 second adjust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to allow the mounting body to be installed to be movable up, down, left and right; A handle moun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djuster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to adjust an angle of the payloa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a mass replica having the same weight as the interface bracket and the payload,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can be balanced horizontal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360°로 회전하는 호이스트 링(hoist ring)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made up of a hoist ring which rotates by 36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을 에워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제1 고정체와, 양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전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고정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각도조절부와, 베어링 및 축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각도조절부에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힌지부의 축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연결체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body fixed in a form surrounding the horizontal frame and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in a predetermined angle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fixing body. A first hinge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 hinge portion formed of a bearing and a shaft and installed on the first angle adjustment portion, and a rotational connector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axis of the hinge portion. Is d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조절부는, 체결홈부 또는 회전 조절홈부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체와, 상기 탑재체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2 고정체에 장착되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인터페이스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justing part includes a second fixing body mounted on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with a fastening groove part or a rotation adjusting groove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by supporting the mounting body in a flowable manner. Is mounted on the stagnate, it consists of an interface bracket that is mounted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와 같은 중량의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을 돕기 위한 조립지원장비 개발함으로써, 인공위성의 개발과정에서 중량의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 작업의 효율성, 정확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By developing an assembly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in mounting a satellite payload of the same weight as 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weight payload mounting work in the process of satellite development Provide effec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의 연결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의 B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서의 C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in FIG. 1,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in FIG. 1, and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in FIG. 2.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의 인공위성 탑재체(1)의 장착을 지원하는 조립장비인 인공위성 탑재체(1) 장착장치는, 수평 프레임(10), 수직 프레임(20), 연결부(30), 제1 조절부(40), 제2 조절부(50), 손잡이(60) 및 질량모사체(7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tellite payload 1, which is an assembly device that supports the mounting of the weight payload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0, a vertical frame 20, and a connection part. 30, the first adjusting unit 40, the second adjusting unit 50, the handle 60, and the mass replica 70.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10) 및 수직 프레임(2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지만, 사용되는 작업장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is made to have a rectangular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o a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used.

상기 수평 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서 일측에 인공위성 탑재체(1)가 설치되게 하며, 타측에는 다음에 기술될 설치된 탑재체(1)의 각도가 위성체의 장착면에 대응되게 조절되게 하는 손잡이(60) 또는 질량모사체(70)가 구비된다.1 to 3, the horizontal frame 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atellite payload 1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stalled payload 1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andle 60 or mass replica 70 is provided to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수평 프레임(10)의 중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수평 프레임(10)에 장착된 탑재체(1)가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vertical frame 20 is installed vertically in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frame 10 serves to lift the mounting body (1) mounted on the horizontal frame 10 by using a crane (not shown). .

상기 수직 프레임(20)은 수평 프레임(10)에 제1 조절부(40)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vertical frame 2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10 through the first adjusting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연결부(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크레인과 연결되는 부위이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nection part 30 is a part connected to the crane by being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상기 연결부(30)는, 수직 프레임(20)이 크레인과 연결되어 이동될 때 그의 자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회동하여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2)가 꼬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360°로 회전하는 호이스트 링(hoist ring, 35)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ortion 30 is a hoist ring that rotates by 360 ° to prevent the wire rope 2 of the crane from twisting by swinging or rotating by its own weight when the vertical frame 20 is connected to the crane and moved. , 35).

상기 제1 조절부(4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과 수직 프레임(20)을 연결시켜주는 부위로서 기구적으로 회전각도를 규제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5, the first adjusting unit 40 is a portion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to a predetermined angle by mechanically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Tilt to.

상기의 제1 조절부(40)는 제1 고정체(42), 제1 각도조절부(44), 힌지부(46) 및 회동 연결체(48)로 구성된다.The first adjusting part 40 is composed of a first fixing body 42, a first angle adjusting part 44, a hinge portion 46 and the rotational connector (48).

상기 제1 고정체(42)는 수평 프레임(10)의 상부측을 에워싸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다수 개의 볼트(42-1)를 통해 고정된다.The first fixture 42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is fixed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42-1).

상기 제1 각도조절부(44)는 중앙부(44-1)를 기점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전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43)를 구비하여 제1 고정체(42)의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결합장치를 통해 결합된다.The first angle adjusting part 44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43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 and rear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oth sides from the central portion 44-1 as an integral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body 42. It is formed or coupled through a separate coupling device.

여기서, 상기 경사부(43)는 수평 프레임(10)에 대한 수직 프레임(20)의 회전각도가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기구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경사각이 15°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clined portion 43 is for mechanically regulating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vertical frame 2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10 is excessive, and preferably, the inclination angle is made 15 °.

상기 힌지부(46)는 베어링(미도시) 및 축(46-2)으로 이루어져서 제1 각도조절부(44)에 일체로 설치되어서 수직 프레임(20)의 회전에 의한 기울어짐을 돕는 역할을 한다.The hinge portion 46 is composed of a bearing (not shown) and the shaft 46-2 to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first angle adjusting portion 44 to help tilt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frame 20.

따라서,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부(46)의 축(46-2)과 결합되는 별도의 회동 연결체(48)가 구비되게 하였다.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ivotal connection 48 coupled to the shaft 46-2 of the hinge portion 46.

즉, 상기 회동 연결체(48)는 힌지부(46)의 축(46-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수직 프레임(20)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부(43)의 경사각인 15°만큼씩 회전되도록 하게 한다. That is, the pivotal connector 4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46-2 of the hinge portion 46 so that the vertical frame 20 rotates by 15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43 in both directions. Make it as possible.

상기 제2 조절부(50)는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탑재체(1)가 상하 및 좌우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6, and 7, the second adjusting unit 5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so that the mounting body 1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down, left and right. It plays a role.

상기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조절부(50)를 살펴보면, 이는 제2 고정체(52) 및 인터페이스 브라켓(56)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looking at the second adjustment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a second fixture 52 and the interface bracket 56.

상기 제2 고정체(52)는 회전조절홈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수평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서, 아래와 같은 인터페이스 브라켓(56)을 상하 및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fixing body 52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ontrol groove (not shown)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and serves to support the following interface bracket 56 to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o.

상기 인터페이스 브라켓(56)은 탑재체(1)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제2 고정체(52)에 장착되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게 장착되며, 지지체(56-1), 록킹 핀(56-2), 제2 각도조절부(56-3), 제3 각도조절부(56-4), 핸들(56-5) 및 홀더(56-6)로 구성된다.The interface bracket 56 is movably supported by the mounting body 1 and is mounted to the second fixing body 52 to be pivotal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support 56-1 and a locking pin. 56-2, the second angle adjusting portion 56-3, the third angle adjusting portion 56-4, the handle 56-5, and the holder 56-6.

상기 지지체(56-1)는 위성체의 장착면에 설치될 탑재체(1)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56-1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mounting body 1 to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atellite body.

상기 록킹 핀(56-2)은 상기 지지체(56-1)의 뒷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56-1)가 제2 고정체(52)에 단단히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locking pin 56-2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56-1, and serves to securely support the support 56-1 to the second fixture 52.

상기 제2 각도조절부(56-3)는 제2 고정체(52)의 회전 조절홈부(미도시)에 체결되어서 상기 지지체(56-1)의 상하 및 좌우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angle adjusting unit 56-3 is fastened to the rotation adjusting groove part (not shown) of the second fixing body 52 so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s of the support body 56-1 are adjusted.

상기 제3 각도조절부(56-4)는 상기 지지체(56-1)의 뒷면 및 상기 제2 고정체(52)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56-1)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third angle adjusting unit 56-4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56-1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ixing body 52, and the vertical angle of the support body 56-1 is adjusted. Play a role.

여기서, 상기 제3 각도조절부(56-4)는 사용자가 핸들(56-5)을 잡고서 지지체(56-1)를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hird angle adjusting unit 56-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support body 56-1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holding the handle 56-5.

상기 핸들(56-5)은 지지체(56-1)의 뒷면에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그를 잡고서 탑재체(1)의 상하 이동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handle 56-5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56-1 so that the user can grasp him and adjust the vertical movement and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mounting body 1.

상기 홀더(56-6)는 지지체(56-1)의 전면에 다수 개로 설치되어서 탑재체(1)가 장착 및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holder 56-6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ody 56-1 and serves to mount and support the mounting body 1.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인터페이스 브라켓(56)을 통해서 지지체(56-1)의 좌우 각도는 50°로 조절되고 상하 각도는 15°로 조절되게 하였다.Therefore,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support 56-1 are adjusted to 50 ° and the up and down angle is adjusted to 15 ° through the interface bracket 56 as described above.

상기 손잡이(6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에 구비된 제2 조절부(50)의 반대 측에 장착되어서 장착면에 대한 탑재체(1)의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handle 60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ontrol unit 50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10 as described above to serve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body 1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손잡이(60) 측에는 탑재체(1)를 장착하여 위성체의 장착면으로 이동시킬 때에 인터페이스 브라켓(56)과 탑재체(1)와 동일한 무게로 유지되게 하여 수평 프레임(10)이 수평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질량모사체(7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장착된다.Meanwhile, the mounting frame 1 is mounted on the handle 60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to maintain the same weight as the interface bracket 56 and the mounting body 1 when moving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atellite body. ) Is further mounted as shown in FIGS. 1-3.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1) 장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8을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satellite mounting body 1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s follows.

상기 인공위성의 탑재체(1)는 장착작업 전 장착면의 방향을 고려하여 적정한 방향으로 치구의 수평 프레임(10)의 한쪽 끝에 설치되어서 고정되어진 후, 오버헤드 크레인을 수직 프레임(20)의 상단부에 구비된 연결부(30)와 결합되게 하여 들어 올려지게 된다. The mounting body 1 of the satellite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of the jig in a proper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surface before the mounting operation and is fixed, and then provided with an overhead crane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It is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lifted.

들어 올려진 치구는 작업자들의 조절 및 오버헤드 크레인 조작에 의해 장착면에 서서히 접근하게 되고 이후 장착면과 탑재체(1)의 체결면의 정렬이 이루어지면 볼트 체결 등을 통하여 장착작업을 최종적으로 완료하게 된다. The raised jig is gradually approach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the operator's adjustment and overhead crane operation. After the mounting surface is aligned with the mounting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the mounting work is finally completed by bolting or the like. do.

이때, 장착면과 탑재체(1)의 장착면의 정렬에 다소 차이가 있을 경우 반대쪽 손잡이를 잡고 있는 작업자가 약간의 인력으로 치구 자체를 회전시키게 되면 탑재체(1)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At this time, when the alignment between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is slightly different, the worker holding the opposite handle is designed to easily mount the mounting body 1 when the jig itself is rotated with a little manpower.

또한, 도 8과 같이 3D 설계모델 상에서 치구의 진입각도, 장착면과 치구의 상대 각도 및 간섭여부를 미리 확인하면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 on the 3D design model, the jig angle of entry,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relative angle of the jig and check whether the interference can be carried out more smooth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의 연결부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에서의 A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in FIG. 1.

도 6은 도 1에서의 B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1.

도 7은 도 2에서의 C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탑재체 10: 수평 프레임1: payload 10: horizontal frame

20: 수직 프레임 30: 연결부20: vertical frame 30: connection portion

40: 제1 조절부 42: 제1 고정체40: first adjusting portion 42: first fixing body

44: 제1 각도조절부 46: 힌지부44: first angle adjusting portion 46: hinge portion

48: 회동 연결체 50: 제2 조절부 48: rotational connector 50: second control unit

52: 제2 고정체 56: 인터페이스 브라켓52: second fixing body 56: interface bracket

56-1: 지지체 56-2: 록킹핀56-1: Support 56-2: Locking Pin

56-3: 제2 각도조절부 56-4: 제3 각도조절부56-3: second angle control unit 56-4: third angle control unit

56-5: 핸들 56-6: 홀더56-5: Handle 56-6: Holder

60: 손잡이 70: 질량모사체60: handle 70: mass replica

Claims (9)

중량의 인공위성 탑재체의 장착을 지원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에 있어서,In 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that supports the mounting of a weight satellite payload, 일측에 인공위성 탑재체가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10);A horizontal frame 10 having a satellite payload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상기 수평 프레임(10)과 연결되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수직 프레임(20);A vertical frame 20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10 to lift by using a crane;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연결부(30); A connection part 3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and connected to the crane; 상기 수평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을 연결시켜주는 부위로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제1 조절부(40);A first adjusting part 4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a portion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10 and the vertical frame 20;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탑재체(1)가 상하 및 좌우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2 조절부(50); 및A second adjusting part (5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to allow the mounting body (1) to be installed in 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able direction; And 상기 수평 프레임(10)에 구비된 제2 조절부(50)의 반대 측에 장착되어서 장착면에 대한 탑재체(1)의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손잡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And a handle part 60 moun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djusting part 50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10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body 1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Payload m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30)는 360°로 회전하는 호이스트 링(hoist ring, 3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The connecting portion 30 is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ist ring (35, 35) rotating at 36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40,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상부측을 에워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제1 고정체(42)와,A first fixture 42 fixed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양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전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43)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고정체(4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각도조절부(44)와,A first angle adjusting portion 44 having an inclined portion 43 inclined downwar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both sides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body 42; 베어링 및 축(46-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각도조절부(44)에 설치되는 힌지부(46)와,A hinge 46 formed of a bearing and a shaft 46-2 and installed on the first angle adjusting unit 44;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힌지부(46)의 축(46-2)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연결체(4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 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tating connector (48)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46-2) of the hinge portion (46).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경사부(43)는 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The inclined portion 43 is a satellite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15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5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adjustment unit 50, 회전 조절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제2 고정체(52)와,A second fixing body 52 having a rotation adjusting groove and mounted to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0; 상기 탑재체(1)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2 고정체(52)에 장착되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인터페이스 브라켓(5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Mounting the satellite mount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face bracket 56 which is mounted to the second fixed body 52 to support the mounting body (1) to be movabl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브라켓(56)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erface bracket 56, 탑재체(1)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체(56-1)와,A support body 56-1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mounting body 1, 상기 지지체(56-1)의 뒷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56-1)가 상기 제2 고정체(52)와 체결되도록 하는 록킹 핀(56-2)과, A locking pin 56-2 installed at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56-1 so that the support 56-1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body 52; 상기 제2 고정체(52)의 회전 조절홈부에 체결되어서 상기 지지체(56-1)의 상하 및 좌우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제2 각도조절부(56-3)와,A second angle adjusting part 56-3 fastened to a rotation adjusting groove of the second fixing body 5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support 56-1 are adjusted; 상기 지지체(56-1)의 뒷면 및 상기 제2 고정체(52)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56-1)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제3 각도조절부(56-4)와,A third angle adjusting unit 56-4 installed to b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56-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body 52, and allow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support 56-1 to be adjusted; Wow, 상기 지지체(56-1)의 뒷면에 설치되어서 상하 및 좌우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핸들(56-5)과,A handle 56-5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56-1 to adjust vertical, horizontal and horizontal angles; 상기 지지체(56-1)의 전면에 설치되어서 탑재체(1)가 장착 및 지지되게 하는 다수 개의 홀더(5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The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56-1) consists of a plurality of holders (56-6) for mounting and supported the payload (1).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3 각도조절부(56-4)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The third angle adjusting unit (56-4) is a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인터페이스 브라켓(56)의 상기 지지체(56-1)의 좌우 각도는 50°로 조절되고 상하 각도는 1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support (56-1) of the interface bracket (56) is adjusted to 50 ° and the top and bottom angle is adjusted to 15 °, characterized in that the satellite mou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 프레임(10)의 손잡이(60) 측에는 인터페이스 브라켓(56)과 탑재체(1)와 동일한 무게로 이루어져서 수평 프레임(10)이 수평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질량모사체(7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탑재체 장착장치.On the handle 60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10 is a mass replica 70 made of the same weight as the interface bracket 56 and the payload 1 so that the horizontal frame 10 can be horizontally balanced. Satellite payload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KR1020090130845A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KR101126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45A KR101126388B1 (en)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845A KR101126388B1 (en)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015A true KR20110074015A (en) 2011-06-30
KR101126388B1 KR101126388B1 (en) 2012-03-28

Family

ID=4440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845A KR101126388B1 (en) 2009-12-24 2009-12-24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3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6271A (en) * 2014-07-09 2014-12-03 上海卫星装备研究所 Protection frame device for satellite single-unit driving mechanism
KR101488113B1 (en) * 2013-12-09 2015-01-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he body panel rotary assembly device and the test satellites equipped with the rotary assembl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79B1 (en) 2016-10-24 2018-07-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ayload moun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210A (en) * 1992-11-02 1995-04-11 Cbc Industries, Inc. Hoist ring assembly and method
KR0132519B1 (en) * 1995-06-19 1998-04-11 김태구 Car-battery transferring device
JPH1072183A (en) 1996-06-24 1998-03-17 Takeya Saito Suspending gripping device
JP2004076509A (en) * 2002-08-22 2004-03-11 Izumo Zoki Kk Lifting machine for loading material such as ditch li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13B1 (en) * 2013-12-09 2015-01-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he body panel rotary assembly device and the test satellites equipped with the rotary assembly device
CN104176271A (en) * 2014-07-09 2014-12-03 上海卫星装备研究所 Protection frame device for satellite single-unit driving mechanism
CN104176271B (en) * 2014-07-09 2016-11-23 上海卫星装备研究所 A kind of satellite unit drive mechanism fender brack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388B1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967B2 (en) Electronic stabilizing system for a camera
CN110545962B (en) Cable-driven parallel manipulator
KR101126388B1 (en) Apparatus for mounting satellite component installation
KR20110074021A (en) Mounting and handling apparatus of satellite body panel
CN103851315B (en) A kind of have the virtual quick directing mechanism of parallel connection turning heart characteristic
US20240083019A1 (en) Cable robot
US20130145893A1 (en) Ceiling-mounted scara robot
EP0936955B1 (en) Device for hanging a manually controlled station for welding tongs in an assembly line
JP5403021B2 (en) Robot, robot installation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CN113809684B (en) Insulating operation platform for high-altitude live working
CN210166149U (en) Engine test support
KR101700852B1 (en) Hand crane for safety diagmosis of highness section
CN107900660A (en) A kind of erecting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electrical light socket of sending light
FR3102165A1 (en) Device for moving at least one tool relative to an aircraft surface
CN108680149B (en) A kind of Sopwith staff/prism bar is vertically from stead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70267499A1 (en) Lifting mechanism and lifting device comprising it
JP2007331866A (en) Sling tool
CN215701693U (en) High-precision modularized six-axis robot rotation angle retaining device
JPH10282356A (en) Connection working table of aerial optical cable
CN116750204B (en) Unmanned aerial vehicle overturning device and overturning method thereof
CN113027162B (en) Hole plugging equipment
CN220516824U (en) Fastening mechanism of wind power tower barrel bolt maintenance robot
WO2022049787A1 (en) Substrate holding hand and substrate transport robot
JP4881204B2 (en) Alignment device
WO2023069296A1 (en) Motorized pentagram arm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