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910A -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910A
KR20110072910A KR1020090130022A KR20090130022A KR20110072910A KR 20110072910 A KR20110072910 A KR 20110072910A KR 1020090130022 A KR1020090130022 A KR 1020090130022A KR 20090130022 A KR20090130022 A KR 20090130022A KR 20110072910 A KR20110072910 A KR 2011007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late
fixing band
battery module
battery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8190B1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190B1/ko
Priority to US12/835,556 priority patent/US9425479B2/en
Priority to JP2010177457A priority patent/JP5227376B2/ja
Priority to CN201010538808.7A priority patent/CN102110799B/zh
Priority to EP10191130.3A priority patent/EP2339665B1/en
Publication of KR2011007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터리모듈은 복수의 전지들이 연결된 전지유닛과, 전지유닛의 단부에 설치된 엔드플레이트와, 전지유닛과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를 둘러싸서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구비하며, 고정밴드가 열팽창 후 수축하면서 전지유닛과 엔드플레이트를 조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배터리모듈은 열팽창했던 밴드가 수축하면서 전지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엔드플레이트에 복원력을 가하는 구조이므로,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해야했던 기존의 구조에 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해지며, 볼트와 너트처럼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거의 없어서 부피를 줄이는 데에도 유리하다.

Description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Battery module providing improved fixing structure for end plate and the fix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전지를 연결한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모듈은 복수개의 전지를 연결하여 만든 대용량 전원공급유닛의 요소로서, 예컨대 전기자동차 등에 장착되어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모듈의 전지로는 리튬이온전지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리튬이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해도 성능이 잘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충전 시 리튬이온이 이동하면서 음극 쪽이 팽창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배터리모듈은 이 리튬이온전지 여러 개를 일렬 또는 복수열로 연결한 것이므로, 각 전지마다 조금씩만 팽창이 일어나도 전체적으로는 약 5~10% 까지 팽창이 생길 수 있다. 그러면 배터리모듈의 변형이 심해져서 그것을 제위치에 장착하고 탈착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전지의 전기저항도 증가할 수 있다. 더구나, 전기자동차에 사용 시에는 이러한 배터리모듈을 8개정도 적층하여 배터리팩으로 만들어 장착하게 되므로, 각 배터리모듈의 변형이 합해지면 변형량이 더 커져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모듈에는 이러한 이차전지의 팽창을 억제하기 위해 이차전지 열의 양단에 엔드플레이트를 대고 이 양측 엔드플레이트에 막대 형태의 연결 로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조가 채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조에서는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 로드와 엔드플레이트를 체결하기 때문에, 체결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볼트와 너트가 배터리모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지 모듈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터리모듈의 부피 증가는 그 배터리모듈이 채용되는 기기의 전체적인 부피 증가를 초래하여 설계상의 제약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배터리모듈이 전기자동차 등에 채용될 경우에는 설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배터리모듈의 부피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엔드플레이트의 고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의 전지들이 연결된 전지유닛과, 상기 전지유닛의 단부에 설치된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를 둘러싸서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밴드가 열팽창 후 수축하면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조이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에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도록 양단을 연결한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용접된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가진 나사부와. 그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형합되는 요철부와. 그 요철부를 관통하는 홀에 끼워지는 결합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중앙부가 볼록한 호형상일 수 있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상기 고정밴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의 길이는 열팽창 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 이상으로 길어지고, 냉각 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 보다 짧아질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의 재질은 알루미늄 도금 강판과 아연 도금 강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은, 열 팽창과 냉각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정밴드의 길이를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보다 커지게 열팽창시키는 단계; 열팽창된 상기 고정밴드를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밴드를 냉각 수축시켜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를 조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밴드의 열팽창은 고주파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의 냉각 수축은 자연 냉각 단계와 강제 송풍 냉각 단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밴드를 폐루프 형태로 만드는 폐루프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가진 나사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그 나사부에 턴버클을 나사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서로 형합되는 요철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그 요철부를 관통하는 홀에 결합핀을 끼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서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클립을 마련하는 단계와, 그 클립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열팽창했던 밴드가 수축하면서 전지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엔드플레이트에 복원력을 가하는 구조이므로,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해야했던 기존의 구조에 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해지며, 볼트와 너트처럼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거의 없어서 부피를 줄이는 데에도 유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모듈은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1)을 포함한 전지유닛(10)과, 이 전지유닛(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0은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와 전지유닛(10)의 조립체를 둘러싸는 고정밴드를 나타내는데, 이 고정밴드(30)가 엔드플레이트(20)와 전지유닛(10)의 조립체를 단단히 묶어서 전지유닛(10)의 팽창에 대항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전지유닛(10)이 팽창되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밴드(30)가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를 밀려나지 않도록 조이고 있기 때문에 변형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30)는 고주파 가열 시 팽창되었다가 냉각 시 다시 수축 되는 특성을 가진 재질로서, 예컨대 브라운관의 방폭밴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나 아연 도금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성분으로는 예컨대, Fe를 베이스로 하고 C 0.005wt% 이하, N 0.005wt% 이하, Si 0.1~0.5wt%, P 0.1wt% 이하 , S 0.02wt% 이하, Mn 1.05~2.0wt%, Al 1.0wt% 이하를 함유한 조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고정밴드(30)는 상온에서 그 길이(LB: 도 1b 참조)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도 1b 참조) 보다 짧지만, 가열 시에는 열팽창으로 늘어난 길이(Lexpansion)가 더해지면서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이상으로 길어진다. 즉, LB + Lexpansion ≥ LM > LB 의 관계가 되며, 고정밴드(30)를 이 조건에 맞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31은 고정밴드(30)의 양단부를 연결한 결합부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결합부(31)가 용접으로 형성된다. 즉,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접으로 양단을 붙여서 폐루프형상을 만든 것이며, 용접은 맞대기 용접이 될 수도 있고, 겹치기 용접이 될 수도 있다. 그러니까 용접 방식에는 제한이 없고 전지유닛(10)의 팽창에 대항하여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유지할 수만 있으면 된다.
한편, 상기 엔드플레이트(20)는 중앙부가 볼록한 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고정밴드(30)가 엔드플레이트(20)를 감을 때 꺾이는 각도를 완화시켜서 고정밴드(3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21는 고정밴드(30)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나타내며 고정밴드(30)의 설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30)를 이용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고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열팽창과 냉각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30)를 준비한다. 고정밴드(30)는 LB + Lexpansion ≥ LM > LB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작되며 양단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폐루프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준비된 고정밴드(30)를 고주파 가열하여 그 길이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보다 길어지게 열팽창시킨다. 즉, LB -> LB + Lexpansion 로 늘어나게 한다.
그리고, 열팽창된 고정밴드(30)를 상기 수용홈(21)에 맞춰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의 조립체 둘레에 설치한다.
이후, 고정밴드(30)를 냉각시키면 수축이 일어나면서 그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간다. 즉, LB + Lexpansion -> LB 로 줄어들게 한다. 그러면, 고정밴드(30)의 원래 길이(LB)는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의 길이(LM) 보다 짧으므로, 강력한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지유닛(10)의 팽창 시에도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밴드(30)가 견고하게 지탱해주게 된다. 고정밴드(30)의 냉각 방법으로는 상온에서 방치하는 자연 냉각과 강 제 송풍에 의한 냉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열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30)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를 고정시키게 되면, 기존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는 방식에서처럼 체결부가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도 거의 없어지고, 여러 개의 볼트를 일일이 체결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구조도 간결해진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모듈도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1)을 포함한 전지유닛(10)과, 이 전지유닛(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와 전지유닛(10)의 조립체를 둘러싸서 조여주는 고정밴드(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30)는 고주파 가열 시 팽창되었다가 냉각 시 다시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 재질로서, 예컨대 브라운관의 방폭밴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나 아연 도금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고정밴드(40)는 상온에서 그 길이(LB)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보다 짧지만, 가열 시에는 열팽창으로 늘어난 길이(Lexpansion)가 더해지면서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이상으로 길어진다. 즉, LB + Lexpansion ≥ LM > LB 의 관계가 되며, 고정밴드(40)를 이 조건에 맞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41은 고정밴드(40)의 양단부를 연결한 결합부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결합부(41)가 턴버클(41c)과 나사부(41a,41b)로 형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고정밴드(40)의 양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가진 나사부(41a,41b)가 마련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일단측 나사부(41a)가 오른나사면, 타단측 나사부(41b)는 왼나사로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턴버클(41c)에는 두 나사부(41a,41b)의 나선에 각각 맞도록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턴버클(41c)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두 나사부(41a,41b)가 동시에 턴버클(41c)과 나사결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턴버클(41c)은 엔드플레이트(20)에 마련된 수용홈(21) 안에 위치되어 외측으로는 거의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40)를 이용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고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열팽창과 냉각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40)를 준비한다. 고정밴드(40)의 양단은 턴버클(41c)과 나사부(41a,41b)에 의해 결합되어 폐루프형상으로 만들어지며, 폐루프형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LB + Lexpansion ≥ LM > LB 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길이를 맞춰서 제작된다.
이렇게 준비된 고정밴드(40)를 고주파 가열하여 그 길이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보다 길어지게 열팽창시킨다. 즉, LB -> LB + Lexpansion 로 늘어나게 한다.
그리고, 열팽창된 고정밴드(40)를 상기 수용홈(21)에 턴버클(41c)이 위치되도록 맞춰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의 조립체 둘레에 설치한다.
이후, 고정밴드(40)를 냉각시키면 수축이 일어나면서 그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간다. 즉, LB + Lexpansion -> LB 로 줄어들게 한다. 그러면, 고정밴드(40)의 원래 길이(LB)는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의 길이(LM) 보다 짧으므로, 강력한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지유닛(10)의 팽창 시에도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밴드(40)가 견고하게 지탱해주게 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모듈도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1)을 포함한 전지유닛(10)과, 이 전지유닛(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와 전지유닛(10)의 조립체를 둘러싸서 조여주는 고정밴드(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50)는 고주파 가열 시 팽창되었다가 냉각 시 다시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 재질로서, 예컨대 브라운관의 방폭밴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나 아연 도금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고정밴드(50)는 상온에서 그 길이(LB)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보다 짧지만, 가열 시에는 열팽창으로 늘 어난 길이(Lexpansion)가 더해지면서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이상으로 길어진다. 즉, LB + Lexpansion ≥ LM > LB 의 관계가 되며, 고정밴드(50)를 이 조건에 맞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51은 고정밴드(50)의 양단부를 연결한 결합부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결합부(51)가 요철부(51a,51b)와 결합핀(51c)으로 구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밴드(50)의 양단부에는 서로 형합되는 요철부(51a,51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철부(51a,51b)에는 관통되는 홀(51a',5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요철부(51a,51b)를 형합시키고 결합핀(51c)을 홀(51a',51b')에 끼우면 간단히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50)를 이용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고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열팽창과 냉각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50)를 준비한다. 고정밴드(50)의 양단은 요철부(51a)(51b)와 결합핀(51c)에 의해 결합되어 폐루프형상으로 만들어지며, 폐루프형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LB + Lexpansion ≥ LM > LB 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길이를 맞춰서 제작된다.
이렇게 준비된 고정밴드(50)를 고주파 가열하여 그 길이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보다 길어지게 열팽창시킨다. 즉, LB -> LB + Lexpansion 로 늘어나게 한다.
그리고, 열팽창된 고정밴드(50)를 상기 수용홈(21)에 위치되도록 맞춰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의 조립체 둘레에 설치한다.
이후, 고정밴드(50)를 냉각시키면 수축이 일어나면서 그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간다. 즉, LB + Lexpansion -> LB 로 줄어들게 한다. 그러면, 고정밴드(50)의 원래 길이(LB)는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의 길이(LM) 보다 짧으므로, 강력한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지유닛(10)의 팽창 시에도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밴드(50)가 견고하게 지탱해주게 된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모듈도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1)을 포함한 전지유닛(10)과, 이 전지유닛(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와 전지유닛(10)의 조립체를 둘러싸서 조여주는 고정밴드(6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60)는 고주파 가열 시 팽창되었다가 냉각 시 다시 수축되는 특성을 가진 재질로서, 예컨대 브라운관의 방폭밴드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이나 아연 도금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의 고정밴드(60)는 상온에서 그 길이(LB)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보다 짧지만, 가열 시에는 열팽창으로 늘 어난 길이(Lexpansion)가 더해지면서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전체 둘레(LM) 이상으로 길어진다. 즉, LB + Lexpansion ≥ LM > LB 의 관계가 되며, 고정밴드(60)를 이 조건에 맞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61은 고정밴드(60)의 양단부를 연결한 결합부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결합부(61)가 클립(61a,61b)으로 구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밴드(60)의 양단부에는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클립(61a,61b)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양단의 클립(61a,61b)을 서로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슬라이딩방향(X방향)과 수직인 인장방향(Y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60)를 이용한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의 고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열팽창과 냉각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60)를 준비한다. 고정밴드(60)의 양단은 클립(61a,61b)에 의해 결합되어 폐루프형상으로 만들어지며, 폐루프형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LB + Lexpansion ≥ LM > LB 의 조건이 만족되도록 길이를 맞춰서 제작된다.
이렇게 준비된 고정밴드(60)를 고주파 가열하여 그 길이가 상기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보다 길어지게 열팽창시킨다. 즉, LB -> LB + Lexpansion 로 늘어나게 한다.
그리고, 열팽창된 고정밴드(60)를 상기 수용홈(21)에 위치되도록 맞춰서 전 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의 조립체 둘레에 설치한다.
이후, 고정밴드(60)를 냉각시키면 수축이 일어나면서 그 길이가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간다. 즉, LB + Lexpansion -> LB 로 줄어들게 한다. 그러면, 고정밴드(60)의 원래 길이(LB)는 전지유닛(10)과 엔드플레이트(20) 조립체 둘레의 길이(LM) 보다 짧으므로, 강력한 조임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지유닛(10)의 팽창 시에도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0)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밴드(60)가 견고하게 지탱해주게 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배터리모듈은 열팽창했던 밴드가 수축하면서 전지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엔드플레이트에 복원력을 가하는 구조이므로,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를 체결해야했던 기존의 구조에 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해지며, 볼트와 너트처럼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거의 없어서 부피를 줄이는 데에도 유리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a의 배터리모듈에 채용된 고정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배터리모듈에 채용된 고정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배터리모듈에 채용된 고정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의 배터리모듈에 채용된 고정밴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지유닛 20...엔드플레이트
21...수용홈 30,40,50,60...고정밴드
31,41,51,61...결합부

Claims (18)

  1. 복수의 전지들이 연결된 전지유닛과,
    상기 전지유닛의 단부에 설치된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를 둘러싸서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밴드가 열팽창 후 수축하면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조이도록 된 배터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에는 폐루프 형태를 이루도록 양단을 연결한 결합부가 구비된 배터리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용접된 접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며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가진 나사부와. 그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형합되는 요철부와. 그 요철부를 관통하는 홀에 끼워지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측면은 중앙부가 볼록한 호형상인 배터리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상기 고정밴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배터리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길이는 열팽창 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 이상으로 길어지고, 냉각 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 보다 짧아지는 배터리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재질은 알루미늄 도금 강판과 아연 도금 강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11. 전지유닛과 그 단부에 설치된 엔드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에 있어서,
    열팽창과 냉각 수축이 가능한 고정밴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고정밴드의 길이를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보다 커지게 열팽창시키는 단계;
    열팽창된 상기 고정밴드를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 둘레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밴드를 냉각 수축시켜서 상기 전지유닛과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조립체를 조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열팽창은 고주파 가열에 의해 수행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냉각 수축은 자연 냉각 단계와 강제 송풍 냉각 단계 중 어 느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를 폐루프 형태로 만드는 폐루프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가진 나사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그 나사부에 턴버클을 나사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서로 형합되는 요철부를 마련하는 단계와. 그 요 철부를 관통하는 홀에 결합핀을 끼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성단계는,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서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클립을 마련하는 단계와, 그 클립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엔드플레이트 고정방법.
KR1020090130022A 2009-12-23 2009-12-23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KR10110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22A KR101108190B1 (ko) 2009-12-23 2009-12-23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US12/835,556 US9425479B2 (en) 2009-12-23 2010-07-13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fixing end plate and method of fixing the same
JP2010177457A JP5227376B2 (ja) 2009-12-23 2010-08-06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エンドプレート固定方法
CN201010538808.7A CN102110799B (zh) 2009-12-23 2010-11-03 具有用于固定端板的改进结构的电池模块和组装其的方法
EP10191130.3A EP2339665B1 (en) 2009-12-23 2010-11-15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fixing end plate and method of fix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22A KR101108190B1 (ko) 2009-12-23 2009-12-23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10A true KR20110072910A (ko) 2011-06-29
KR101108190B1 KR101108190B1 (ko) 2012-01-31

Family

ID=4333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022A KR101108190B1 (ko) 2009-12-23 2009-12-23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5479B2 (ko)
EP (1) EP2339665B1 (ko)
JP (1) JP5227376B2 (ko)
KR (1) KR101108190B1 (ko)
CN (1) CN102110799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0A1 (ko) * 2013-07-25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6140434A1 (ko) * 2015-03-04 2016-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램핑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18043924A1 (ko) * 2016-09-02 2018-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용 스트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스트랩 압착용 지그
KR20190077215A (ko) * 2017-12-25 2019-07-03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모듈
CN111740054A (zh) * 2020-06-22 2020-10-02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定向控温的电力电子设备密封舱系统
CN111755644A (zh) * 2020-06-22 2020-10-09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适用于高海拔地区的电气设备密封舱系统
CN111755642A (zh) * 2020-06-22 2020-10-09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用于高海拔地区的相变换热电气设备密封舱系统
US11158901B2 (en) 2017-02-16 2021-10-26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rmal expansion tape fixing pouch type battery ce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316237B2 (en) 2017-05-24 2022-04-26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auxiliary case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WO2022149897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0793B1 (de) * 2010-11-17 2015-04-15 Avl List Gmbh Batterie
DE102011000693B4 (de) * 2011-02-14 2021-03-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eines Kraftfahrzeugs
GB201202239D0 (en) * 2012-02-09 2012-03-28 Airbus Operations Ltd Battery case
FR2993945B1 (fr) * 2012-07-24 2014-08-29 Dcns Systeme de fixation d'une pile thermique dans une section d'alimentation d'un engin sous marin
DE102012216475A1 (de) * 2012-09-14 2014-03-20 Robert Bosch Gmbh Überlappschweißung von Zellverbindern an Batteriezellen
WO2015056084A1 (en) * 2013-10-19 2015-04-23 Daimler Ag Fuel cell stacks with increased natural frequency
GB2520564B (en) * 2013-11-26 2016-01-13 Univ Cape Town A clamp assembly for a fuel cell stack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fuel cell stack
CN104701912B (zh) * 2013-12-09 2017-06-20 高达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电池模块
US9728755B2 (en) * 2014-07-30 2017-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ray frame design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arrays
US9666843B2 (en) 2014-07-30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ray frame design for electrified vehicle battery arrays
JP6244279B2 (ja) * 2014-08-27 2017-12-0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US9583747B2 (en) * 2015-01-08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ention assembly for traction battery cell array
US10910613B2 (en) * 2015-06-12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retention assembly and method
CN106654103B (zh) * 2017-01-20 2019-10-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端板及电池模组
CN106784510B (zh) * 2017-03-15 2019-04-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蓄电池固定机构、蓄电池模组总成及汽车
DE102017206358A1 (de) * 2017-04-12 2018-10-18 VW-VM Forschungsgesellschaft mbH & Co. KG Modular aufgebaute Batterie mit verbesserten Sicherheitseigenschaften
CN110679002B (zh) * 2017-06-30 2022-04-0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池组
CN109713211B (zh) * 2017-10-26 2024-01-09 河北格力钛新能源有限公司 用于极片烘烤的固定夹具及其烘烤方法
CN108321320B (zh) * 2017-12-18 2021-02-26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软包电池模组结构
CN108455260B (zh) * 2017-12-28 2023-11-07 上海君屹工业自动化股份有限公司 电芯下钢带上料机构
JP6975385B2 (ja) 2018-01-12 2021-1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解体方法
CN110323372B (zh) 2018-03-29 2021-05-1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复合端板以及电池模组
CN110323371B (zh) 2018-03-29 2021-02-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10323376B (zh) * 2018-03-30 2020-09-0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端板及电池模组
CN110323379B (zh) * 2018-03-30 2022-09-2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池模块以及端板的制造方法
CN110323362B (zh) 2018-03-30 2020-09-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固定带及电池模组
DE102018217253B4 (de) * 2018-10-10 2023-07-06 Audi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tteriemoduls für eine Traktionsbatterie
JP7047733B2 (ja) * 2018-12-06 2022-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N111384336A (zh) * 2018-12-30 2020-07-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块、电池包及车辆
CN109755627B (zh) * 2019-01-28 2020-12-25 深圳市易为派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的捆扎设备及其捆扎方法
CN209401761U (zh) * 2019-04-18 2019-09-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
DE102019212588A1 (de) * 2019-08-22 2021-02-2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spannung einer Brennstoffzelle
JP7131514B2 (ja) * 2019-09-09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拘束部材
GB201913907D0 (en) * 2019-09-26 2019-11-13 Ceres Ip Co Ltd Fuel cell stack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JP7172947B2 (ja) * 2019-10-29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DE102020108136B3 (de) * 2020-03-25 2021-06-17 Daimler Ag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mit einstellbarem Druck auf Batteriezell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CN111762456B (zh) * 2020-06-22 2022-07-22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氮气定向控温的电气设备密封舱系统
GB2604115A (en) * 2021-02-24 2022-08-31 Balance Batteries Ltd Battery module
JP7385629B2 (ja) 2021-07-06 2023-11-2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パック
FR3129775B1 (fr) * 2021-11-30 2023-10-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et procédé de contention pour module d’accumulateur électrochimique prismatique à charriot de serrage et verrou
DE102022103288A1 (de) 2022-02-11 2023-08-17 Audi Aktiengesellschaft Spanneinrichtung für ein Batteriemodul,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m Verspannen eines Zellstapels
DE102022122784A1 (de) 2022-09-08 2024-03-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1195A (en) * 1935-03-06 1939-08-29 Sonesson August Erland Method of joining the edges of metal bands or the like
US4020244A (en) * 1975-02-18 1977-04-26 Motorola, Inc. Clamping structure for battery cells
JPH01104753A (ja) * 1987-10-19 1989-04-21 Taiyo Seiko Kk 溶融亜鉛、アルミ二層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H01205083A (ja) * 1988-02-12 1989-08-17 Nippon Steel Corp 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4118843U (ja) 1991-04-05 1992-10-23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ツテリ固定装置
JP2643667B2 (ja) * 1991-06-28 1997-08-20 日本鋼管株式会社 金属ストリップの接続方法及び位置決め固定装置
US5879831A (en) * 1993-10-25 1999-03-09 Ovonic Battery Company, Inc. Mechanical and thermal improvements in metal hydride batteries,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JPH07315057A (ja) 1994-05-24 1995-12-0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H08255600A (ja) 1995-03-16 1996-10-01 Toshiba Battery Co Ltd 二次電池の電池パック
JP3355958B2 (ja) 1996-09-30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の冷却方法
FR2780555B1 (fr) * 1998-06-29 2000-08-11 Alsthom Cge Alcatel Dispositif de maintien pour batterie monobloc
JP2000030612A (ja) * 1998-07-09 2000-01-28 Toshiba Corp 防爆形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0311717A (ja) 1999-02-25 2000-11-07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池要素及び電池
KR100326711B1 (ko) 1999-06-22 2002-03-12 이계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KR100334716B1 (ko) * 2000-07-21 2002-05-04 구자홍 평면 브라운관 및 그 제조방법
JP4136328B2 (ja) 2001-05-14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拘束装置
JP4593057B2 (ja) 2002-05-07 2010-12-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板状電池の組付構造
JP4127060B2 (ja) 2003-01-20 2008-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リチウムイオン組電池
US20060093890A1 (en) * 2004-10-29 2006-05-04 Steinbroner Matthew P Fuel cell stack compression systems, and fuel cell stacks and fuel cell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961568B1 (ko) 2005-02-10 2010-06-04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알루미늄계 도금 강판 및 이것을 이용한 방폭 밴드
KR100696638B1 (ko) 2005-09-05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CN100347899C (zh) 2005-09-23 2007-11-07 清华大学 一种燃料电池堆紧固自适应方法
US7608155B2 (en) * 2006-09-27 2009-10-27 Nucor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dip coated, dual phas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257848B2 (en) * 2009-01-12 2012-09-04 A123 Systems, Inc. Safety venting mechanism with tearing tooth structure for batterie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6842B2 (en) 2013-07-25 2019-04-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movable pressurization member
WO2015012520A1 (ko) * 2013-07-25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동형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10804561B2 (en) 2015-03-04 2020-10-13 Lg Chem, Ltd. Clamping devic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WO2016140434A1 (ko) * 2015-03-04 2016-09-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램핑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WO2018043924A1 (ko) * 2016-09-02 2018-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용 스트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스트랩 압착용 지그
US11158901B2 (en) 2017-02-16 2021-10-26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rmal expansion tape fixing pouch type battery cel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316237B2 (en) 2017-05-24 2022-04-26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auxiliary case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10950832B2 (en) 2017-12-25 2021-03-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module
KR20190077215A (ko) * 2017-12-25 2019-07-03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모듈
CN111755642A (zh) * 2020-06-22 2020-10-09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用于高海拔地区的相变换热电气设备密封舱系统
CN111755644A (zh) * 2020-06-22 2020-10-09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适用于高海拔地区的电气设备密封舱系统
CN111740054A (zh) * 2020-06-22 2020-10-02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定向控温的电力电子设备密封舱系统
WO2022149897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1312A1 (en) 2011-06-23
JP2011134699A (ja) 2011-07-07
KR101108190B1 (ko) 2012-01-31
US9425479B2 (en) 2016-08-23
CN102110799A (zh) 2011-06-29
JP5227376B2 (ja) 2013-07-03
EP2339665A1 (en) 2011-06-29
EP2339665B1 (en) 2016-05-04
CN102110799B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190B1 (ko)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US10347881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spacer and insulation sheet
CN106663760B (zh) 电源装置
CN102484227B (zh) 用于储能器的固定装置
KR101084223B1 (ko)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US9666840B2 (en) Cell module
US10516192B2 (en) Battery pack thermal regulation device
KR101201747B1 (ko) 전지 모듈
KR101075681B1 (ko) 배터리 팩
US9553289B2 (en) Battery module
JP2013051048A (ja) 電源装置
KR20170042587A (ko) 배터리 모듈용 리셉터클, 및 상기 유형의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08282582A (ja) 組電池
KR20160069807A (ko) 전지 모듈
WO2021135955A1 (zh) 电池模块、电池组、装置及电池模块的装配方法
JP2014510381A (ja) 温度制御手段を備えたエネルギー貯蔵装置
KR101097223B1 (ko)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160240881A1 (en) Fuel cell stacks with increased natural frequency
JP6627291B2 (ja) 電池パック
CN219246864U (zh) 一种装配式电芯集成装置
CN219811525U (zh) 电化学电池堆组件及用电设备
KR20070014630A (ko) 이차 전지 모듈
CN220821804U (zh) 一种电池模组的装配结构、电池模组和电池组件
US11967724B2 (en) Battery module support beam
CN220585351U (zh) 一种电池模组及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