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813A -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813A
KR20110072813A KR1020090129898A KR20090129898A KR20110072813A KR 20110072813 A KR20110072813 A KR 20110072813A KR 1020090129898 A KR1020090129898 A KR 1020090129898A KR 20090129898 A KR20090129898 A KR 20090129898A KR 20110072813 A KR20110072813 A KR 2011007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able resin
resin composition
acrylate
ultraviolet curable
buty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을룡
고세윤
권윤중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813A/ko
Publication of KR2011007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10Esters
    • C08F1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1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1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다관능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휨 발생 개선을 위해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첨가함으로써 응력을 분산시켜 기존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가지는 수축성을 해결하고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하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 그 장점이 현저하다.
자외선, 경화, 수지, 수축성, 전자제품, 키패드, 윈도우

Description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UV CURING RESIN COMPOSITION FOR IMPROVING BENDING PROBLEM}
본 발명은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품이나 휴대폰 등의 형태는 점차 슬림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에 평판 외관형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인쇄 공법 및 진공증착 등의 공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컬러와 터치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부가가치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란 자외선이 광개시제에 화학반응을 개시하도록 강한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순간적으로 결합하여 생성되는 폴리머를 말한다. 자외선 경화형 제품은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자외선에 의한 순간적인 경화로 생산효율이 높고 공정 또한 간단하다.
그러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환경적, 생산적, 미적 분야에서 다양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그 고유특성으로 인해 제조과정에서 자외선 경화에 따른 수축성이 반드시 수반되고, 이러한 수축성은 휨 발생을 초래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이러한 수축에 의한 휨 발생은 박막형 부품, 특히 슬라이드 타입의 전자 부품 및 휴대폰 부품에 치명적이다. 구체적으로 기재(PET, PC, PMMA 등)와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경화기를 통과할 때 두 재질의 수축률과 팽창률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수축률 감소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다.
먼저, 응력을 이완시키는 방법(Annealing)으로서, 일정 온도 이상에서 일정 시간 보관하여 응력을 제거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50 ~ 80°C의 챔버 안에서 30분 ~ 수 시간 동안 보관한다). 다음, 가교밀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다관능기(예를 들어 2관능기, 3관능기, 4관능기, 6관능기, 9관능기)를 다량 사용하여 가교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수축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화조건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킬 때 1차 경화와 2차 경화로 나누어 1차 경화에서는 약한 파장으로 자외선 조사를 하고 2차 경화에서는 강한 파장으로 자외선 조사를 하여 수축률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새로운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림 1> 자외선 경화에 의한 체적 수축
Figure 112009079783445-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가지는 수축에 의한 휨 발생을 해결하고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생산혁신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다 관능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휨 발생 개선을 위해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광개시제를 제외한 전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중 2 ~ 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에폭시, 우레탄, 및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2, 3, 4, 6 또는 9 관능 모노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아세토페논, 알파,알파-디메틸-알파-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아크릴레이티드 벤조페논, 및 벤질 케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부착증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80 ~ 90 ℃의 온도에서 150 ~ 210분 동안 합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평균분자량이 8,000 ~ 10,0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휨 발생 방지를 위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시킴으로써 추가적인 공정 없이도 수축에 의한 휨 발생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에 따른 수축성을 종래와는 다른 획기적인 방법으로 제거하여 휨 발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일체의 전처리 과정 없이 휨 발생을 개선하여 보다 슬림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가지는 수축률 저하를 위한 처리 공정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 키패드나 윈도우 등 전자제품 및 휴대폰 부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평판형 제품에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다관능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와 더불어 휨 발생 개선을 위해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주 수지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이러한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하여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휨 발생을 개선하게 된다.
<그림 2> 부틸 아크릴레이트에 의한 응력 분산
Figure 112009079783445-PAT00002
수축률 감소를 위하여 기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다양한 아크릴레이트의 첨가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아크릴산(Acrylic acid),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 hexyl acrylat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가 가장 응력 분산에 효과적이고 미반응 단량체가 적으며 반응이 안정적이었다. 예를 들면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너무 연성이어서 부적합하였고, 아크릴산의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으며,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반응속도가 매우 빠른 단점이 있었다. 반응속도가 빠르면 균일한 제품의 생산이 어렵고 반응시에 여러 가지 위험이 있다.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광개시제를 제외한 전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중(즉,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와 다관능성 모노머의 중량 합을 100%로 보았을 때) 2 ~ 6 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휨 발생 방지 및 경도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또한,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 형태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올리고머 수준으로 합성한 수지를 첨가할 경우 수축률이 한층 더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Prepolymer로서 최종 목적물인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주제가 되는 것이다. 그 재료로는 당업계에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주 수지로서 사용되는 재료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아미노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및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Acrylic acrylate)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우수한 경도, 내용제성, 및 경화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놀 노볼 락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첨형 비스페놀형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유연한 물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에 수산기를 포함하고 있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트리 메탄 프로판올 어덕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산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는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이소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한다. 또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점도 영역이 25℃에서 1000 ∼ 150000 cP인 상용화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 SK-UCB 사의 Ebecryl 210, 230, 244, 264, 270, 284, 285, 294, 1259, 2000, 4830, 4858, 8402, 8800, 8804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는 우수한 내후성, 내수성 및 접착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구체적 재료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들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주 수지인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와 연결되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되는 물질로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부족한 특성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능기를 다수 개 가진 반응성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3, 4, 6 또는 9 관능 모노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3, 4 관능 모노머는 경도와 반응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데,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 프로판의 아크릴레이티드 에스터, 및 올리고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트리메틸로프로페인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프로페인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등도 사용 가능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모노머 대신 다관능성 올리고머의 형태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광을 받아 자신을 분해하며 올리고머와 모노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제조에 있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아세토페논, 알파,알파-디메틸-알파-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아크릴레이티드 벤조페논, 및 벤질 케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기타 포스핀 옥사이드(Phospine oxide)계, 프로파논(Propanone)계, 케톤(Ketone)계, 및 포르메이트(Formate)계의 광개시제가 단독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히드록시 케톤(Hydroxy ketone)류와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glyoxylate)류를 포함한 적절한 광개시제를 사용하면 황변현상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슬립제와 레벨링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슬립제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면 도막의 경도를 증가시키면서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도모하여 내스크래치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레벨링제로는 아크릴릭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면 젖음성과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된다.
기타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는 부착증진제, 칙소트로피 첨가제, 소포제, 항산화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증진제로는 산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 물로부터 80 ~ 90 ℃의 온도에서 150 ~ 210분 동안 합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제조하는 것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물성 측면에서 유리함이 실험결과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85 ℃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합성하면 이상적인 물성의 분자량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평균분자량이 2,000 ~ 2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분자량이 2,000 미만이면 가소화되어 부착성이 떨어지게 되고, 20,000을 초과하면 경도가 너무 높아져서 수축률 저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분자량이 8,000 ~ 10,000가 되도록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제조한다.
실시예
<실시예 1 (1-1 ~ 1-4)>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 SK-UCB사의 Ebecryl 264 59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다관능성 올리고머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광개시제로 벤조페논 2 중량부, 첨가제로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0.15 중량부를 배합하여 85°C에서 각각 1, 2, 3, 4시간으로 나누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합성하였다.
그 후, 가로 200mm, 세로 200mm, 두께 120㎛의 정사각형 모양 PET 필름에 300㎛의 두께로 합성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코팅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2-1 ~ 2-4)>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57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3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 1-4와 동일하다.
<실시예 3 (3-1 ~ 3-4)>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55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 1-4와 동일하다.
<실시예 4 (4-1 ~ 4-4)>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50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10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 1-4와 동일하다.
<실시예 5 (5-1 ~ 5-4)>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40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20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 1-4와 동일하다.
비교예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60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0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 ~ 1-4와 동일하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배합표(단위: 중량부)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59 57 55 50 40 60
부틸
아크릴레이트
1 3 5 10 20 x
다관능성
모노머
40 40 40 40 40 40
광개시제
2 2 2 2 2 2
첨가제
0.15 0.15 0.15 0.15 0.15 0.15
실험예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합성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예 1> 부착력 실험(크로스컷)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1mm × 1mm의 크로스 해칭을 100개 넣고 셀로판 접착테이프를 붙인 후 5회 떼어냈을 때 비교예의 경우 4회 만에 손상이 생긴 반면, 실시예 1 ~ 실시예 5의 경우는 아무런 손상도 일어나지 않았다.
<실험예 2>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신뢰성 실험
80% 습도의 오븐에서 40, 60, 80, 100°C의 온도로 시편을 각각 6, 12, 18, 24시간 보관 후 꺼내어 휨의 변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비교예의 경우 시편의 휨 현상이 심하였으나, 실시예의 경우 휨 정도가 비교예의 경우보다 현저히 낮았고, 특히 실시예 2과 실시예 3의 휨 발생이 가장 적었다.
<실험예 3> GPC 측정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해 본 결과 1시간 동안 합성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약 2,000, 2시간 동안 합성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약 5,000, 3시간 동안 합성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약 10,000, 4시간 동안 합성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약 20,000의 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우 8,000 ~ 10,000의 평균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따라서, 약 3시간 동안 합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제조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경도 측정
Shore 경도계로 경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 측정결과 사용상의 편리성과 재질의 유연성을 함께 고려할 때 실시예 2과 실시예 3의 경우 가장 이상적인 물성의 경도를 나타내었다.
<표 2> 경도 측정결과
구분 부틸 아크릴레이트 함량(중량부) 경도
실시예 1 1 80
실시예 2 3 72
실시예 3 5 70
실시예 4 10 58
실시예 5 20 52
비교예 0 80
상기에서 보듯이,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경우가 포함하지 않은 경우보다 부착력, 휨 개선 효과가 훨씬 우수하였다.
또한, 그 중에서도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약 2 내지 6 중량부인 경우(실시예 2 및 3의 경우) 휨 개선 효과 및 경도가 가장 이상적이었고, 기타 반응의 안정성, 반응속도 이후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의 상용성, 저장 안정성, 물리적 특성 등의 물성도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다관능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휨 발생 개선을 위해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광개시제를 제외한 전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중 2 ~ 6 중량%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호모폴리머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에폭시, 우레탄, 및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2, 3, 4, 6 또는 9 관능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아세토페논, 알파,알파-디메틸-알파-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아크릴레이티드 벤조페논, 및 벤질 케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부착증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9. 제1항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부터 80 ~ 90 ℃의 온도에서 150 ~ 210분 동안 합성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평균분자량이 8,000 ~ 1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KR1020090129898A 2009-12-23 2009-12-23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10072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98A KR20110072813A (ko) 2009-12-23 2009-12-23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98A KR20110072813A (ko) 2009-12-23 2009-12-23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13A true KR20110072813A (ko) 2011-06-29

Family

ID=4440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98A KR20110072813A (ko) 2009-12-23 2009-12-23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8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8476B2 (en) 2014-01-24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US9911793B2 (en) 2015-09-23 2018-03-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49565A (ko) * 2016-11-03 2018-05-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연마패드 제조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연마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8476B2 (en) 2014-01-24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Photo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US9911793B2 (en) 2015-09-23 2018-03-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49565A (ko) * 2016-11-03 2018-05-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연마패드 제조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연마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2773B1 (en) Adhesive protective film, screen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EP1948748B1 (en) Low viscosity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oligomer-containing high solid uv curable coating compostion
KR101812238B1 (ko)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팅 필름
JP5950107B2 (ja) 自己修復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自己修復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組成物の製造方法
EP1951830B1 (en)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JP4936111B2 (ja) 接着剤用硬化型樹脂組成物
JP6103480B2 (ja) 多官能チオ(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こ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とこれを硬化して得られた硬化膜、硬化膜が積層され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射出成型品及び加工製品。
JP6071108B2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得られる光学用フィルム
KR20130140537A (ko) 라디칼 경화성 핫 멜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광학용 성형체
WO2006115085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物品及び成形体
KR102225825B1 (ko) 광경화성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JP2012036290A (ja) 硬化性組成物
KR20120002366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
JP2013213200A (ja) 多官能チオ(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これを含有する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ハードコート樹脂組成物とこれを硬化して得られた硬化膜、硬化膜が積層され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射出成型品及び加工製品。
WO2016126102A1 (ko)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팅 필름
KR101256456B1 (ko) 무용매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제
KR20110072813A (ko) 휨 발생을 개선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2155180B1 (ko) 이중 경화 접착제 조성물
JP5255962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被膜形成組成物
KR102147778B1 (ko) 광학용 점착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2470563B1 (ko) 경화성 조성물
KR101176281B1 (ko)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JP360626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被覆用組成物
KR101178641B1 (ko) 신규한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