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380A -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380A
KR20110072380A KR1020090129286A KR20090129286A KR20110072380A KR 20110072380 A KR20110072380 A KR 20110072380A KR 1020090129286 A KR1020090129286 A KR 1020090129286A KR 20090129286 A KR20090129286 A KR 20090129286A KR 20110072380 A KR20110072380 A KR 2011007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ld
combination lamp
thickn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380A/ko
Publication of KR2011007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금형에 거치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및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부를 포함한 상기 제1렌즈의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를 제공한다.
차량, 자동차, 램프, 리어 램프, 렌즈

Description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LENS FOR COMBINATION LAMP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는 정지등, 방향 지시등과 같은 조명 기구가 결합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 조립체가 장착된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후방의 차량에게 각종 신호를 전달하거나 주행 중이던 차선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도로로 진입 시 현재 자동차의 위치와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과, 주행 시 제동 상태를 후방의 차량에게 알려주는 정지등(Stop lamp)과,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 후방의 차량에게 후진 상태를 알리는 후진등(Back up lamp)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외측에는 렌즈가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 방 향 지시등에는 노란색 렌즈, 정지등에는 붉은색 렌즈, 후진등에는 투명한 렌즈가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는 다른 색상의 렌즈가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부위가 두께가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두꺼우므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기 어려워 배광패턴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금형에 거치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및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부를 포함한 상기 제1렌즈의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결합홈부의 두께는 상기 제2렌즈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즈를 제1금형에 거치시키는 거치단계; 상기 제1렌즈를 상기 제1금형에 밀착시키는 밀착단계; 및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을 결합하고 제2렌즈의 재료를 주입하는 사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밀착단계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금형 외부로 연장되는 진공유로를 통해 상기 제1금형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들 사이의 연결부위가 다른 부분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차단되는 부위가 넓지 않아 배광패턴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들 사이의 연결부위에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두꺼운 연결부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즈를 금형에 밀착시킨 후에 제2렌즈의 재료를 주입하는 이중 사출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1렌즈를 거치하기 위한 걸림턱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하고 배광패턴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는 고정돌기(32)가 형성되고 제1금형(70)에 거치되는 걸림턱부(34)가 형성되는 제1렌즈(30)와, 고정돌기(32)가 삽입되는 결합홈부(52)를 구비하고, 걸림턱부(34)를 포함한 제1렌즈(30)의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제2렌즈(50)를 포함한다.
제1렌즈(30)와 제2렌즈(50)를 결합하는 이중 사출공정을 행하면 고정돌기(32)가 결합홈부(52)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므로 패널 모양의 제1렌즈(30) 및 제2렌즈(50)가 서로 연결된 모양을 이루게 된다.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경우 정지등은 붉은색으로 이루어지고, 후진등은 무색으로 이루어지는데, 1차 사출공정에 의해 후진등을 이루는 무색의 제1렌즈(30)를 제작하고, 제1렌즈(30)를 금형에 안착시켜 2차 사출공정을 행하여 정지등을 이루는 붉은색의 제2렌즈(50)가 제1렌즈(30)와 연결된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제1렌즈(30)와 제2렌즈(50)가 하나의 패널 모양으로 연결되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를 이루게 된다.
결합홈부(52)를 포함하는 제2렌즈(50)의 두께는 제2렌즈(50) 다른 부위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고정돌기(32)는 제2렌즈(50)의 두께와 비교하여 작게 이루어져 결합홈부(52)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렌즈(30)와 제2렌즈(50)의 연결부위는 제2렌즈(50)와 비교하여 두껍지 않게 형성된다.
여기서, 정지등을 이루는 제2렌즈(50)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제2렌즈(50)를 통과하여 규정된 밝기를 이루어야 하므로 충분히 얇게 형성되는데, 걸림턱부(34)를 포함하는 제1렌즈(30)의 두께가 제2렌즈(50)와 비교하여 두껍지 않게 형성되므로 제1렌즈(30) 및 걸림턱부(34)의 두께에 충분히 얇음을 알 수 있다.
제1렌즈(30)와 제2렌즈(5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2) 및 결합홈부(52)에 의해 제1렌즈(30)와 제2렌즈(50) 사이에 절곡 형상의 경계선이 생성되므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기 어려운 불투명부가 발생된다.
이중 사출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제1렌즈(30)를 제1금형(70)에 거치하는데, 이때 제1렌즈(30)를 정확한 위치에 거치하기 위해 고정돌기(32)로부터 인접한 제1렌즈(30) 배면에 걸림턱부(34)가 형성된다.
걸림턱부(34)가 두꺼울수록 제1렌즈(30)는 제1금형(70)에 정확하게 거치될 수 있어 이중 사출공정이 용이해지지만, 걸림턱부(34)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빛이 통과되기 어려우므로 렌즈를 통과한 빛의 배광패턴이 미려하지 않게 된다.
후술될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은 제1렌즈(30)를 제1금형(70)에 밀착시키는 밀착단계(S20 : 도 5 참조)를 포함하므로 제1렌즈(30)의 걸림턱부(34)의 두께가 소정치 이하로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제1렌즈(30)와 제2렌즈(50)의 연결부위에 나타나는 불투명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제1렌즈의 안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제2렌즈 사출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은 제1렌즈(30)를 제1금형(70)에 거치시키는 거치단계(S10)와, 제1렌즈(30)를 제1금형(70)에 밀착시키는 밀착단계(S20)와, 제1금형(70)과 제2금형(80)을 결합하고 제2렌즈(50)의 재료를 주입하는 사출단계(S30)를 포함한다.
1차 사출공정을 행하여 제1렌즈(30)를 제작하는데, 제1렌즈(30)의 단부에는 고정돌기(32)가 형성되며, 고정돌기(32)가 인접한 제1렌즈(30)의 배면에는 걸림턱부(34)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돌기(32)의 두께는 제1렌즈(30)의 두께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고, 걸림턱부(34)의 두께는 제1렌즈(30)의 두께와 비교하여 크게 형성된다.
걸림턱부(34)의 두께는 제2렌즈(50)의 두께와 비교하여 두껍지 않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렌즈(5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제1렌즈(30)의 제작이 완료되면 걸림턱부(34)가 제1금형(70)에 걸리도록 제1렌즈(30)를 안착시키고 밀착단계(S20)를 진행하게 된다.
밀착단계(S20)가 진행되면 진공펌프(74)가 구동되어 제1렌즈(30)와 제1금 형(70) 사이의 공기가 제1금형(70)의 외부로 연장되는 진공유로(72)를 따라 배출되면서 제1렌즈(30)와 제1금형(70) 사이에 진공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렌즈(30)가 제1금형(70)에 밀착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제1렌즈(30)가 제1금형(70)에 밀착되므로 걸림턱부(34)의 두께가 얇아도 제1렌즈(30)를 제1금형(7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고, 사출공정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제1렌즈(30)가 제1금형(70)의 정확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후에, 제2금형(80)이 제1금형(70)과 결합되고, 제1금형(70)과 제2금형(80) 사이의 공간으로 제2렌즈(50)의 재료가 주입되어 2차 사출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콤비네이션 램프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렌즈 및 그 제조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제1렌즈의 안착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제2렌즈 사출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 : 제1렌즈 32 : 고정돌기
34 : 걸림턱부 50 : 제2렌즈
52 : 결합홈부 70 : 제1금형
72 : 진공유로 74 : 진공펌프
80 : 제2금형

Claims (4)

  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금형에 거치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제1렌즈; 및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부를 포함한 상기 제1렌즈의 두께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의 두께는 상기 제2렌즈의 두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3. 제1렌즈를 제1금형에 거치시키는 거치단계;
    상기 제1렌즈를 상기 제1금형에 밀착시키는 밀착단계; 및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을 결합하고 제2렌즈의 재료를 주입하는 사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단계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금형 외부로 연장되는 진공유로를 통해 상기 제1금형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방법.
KR1020090129286A 2009-12-22 2009-12-22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2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86A KR20110072380A (ko) 2009-12-22 2009-12-22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286A KR20110072380A (ko) 2009-12-22 2009-12-22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380A true KR20110072380A (ko) 2011-06-29

Family

ID=4440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286A KR20110072380A (ko) 2009-12-22 2009-12-22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3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2384A (zh) * 2015-05-08 2015-07-29 中山市古镇诗怡灯饰厂 一种镶嵌式的灯罩生产工艺
KR20170080001A (ko) * 2015-12-31 2017-07-10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2384A (zh) * 2015-05-08 2015-07-29 中山市古镇诗怡灯饰厂 一种镶嵌式的灯罩生产工艺
KR20170080001A (ko) * 2015-12-31 2017-07-10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422B2 (en) Automotive rear light
EP2279844B1 (en) Vehicle lamp
US8870425B2 (en) Lamp body and vehicle lamp body unit
US9310044B2 (en) Motor vehicle taillight
US10493678B2 (en) Two-color molding method, two-color molding mold, and two-color molded article
US20150306838A1 (en) Two-color molding method and two-color molded article
KR20110072380A (ko) 콤비네이션 램프용 렌즈 및 그 제조방법
CN105351852A (zh) 车辆转向辅助用灯具
CN210319834U (zh) 车辆用灯具
KR20130081274A (ko) 차량용 컬러 라이트 가이드 적용 램프
KR20120029939A (ko) 이색사출렌즈를 구비하는 헤드램프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673B1 (ko) 차량의 리어램프용 아우터 렌즈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70787A1 (en) Light
KR20040001148A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포그램프 장착구조
US9663042B2 (en) Decorative structure for vehicle
KR20110056641A (ko) 하이 마운티드 스톱 램프 및 제조방법
WO2020213150A1 (ja) 車両用灯具
JP4373382B2 (ja) 車両用灯具のレンズ及びそのレンズの成形方法と成形装置
KR101743446B1 (ko) 일체형 램프장치
CN105365685A (zh) 具有提示功能的车辆后视镜装置
KR20170077400A (ko) 차량용 램프
CN118009273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KR20160012811A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479960Y1 (ko) 차량용 램프의 세척 장치
JP2000357408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