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376A -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376A
KR20110071376A KR1020090127930A KR20090127930A KR20110071376A KR 20110071376 A KR20110071376 A KR 20110071376A KR 1020090127930 A KR1020090127930 A KR 1020090127930A KR 20090127930 A KR20090127930 A KR 20090127930A KR 20110071376 A KR20110071376 A KR 20110071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arying
data
poi
vary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to KR102009012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376A/ko
Publication of KR2011007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Abstract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공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 1 통신망을 통해 차량 항법 시스템과 접속되고, 제 2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 서버와 접속되며, 가맹점 서버로부터 주요 지형지물 명칭 별로 시변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변정보 관리부,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시변정보 요청 쿼리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쿼리 분석부, 쿼리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시변 POI 데이터를 검색 결과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정보 조회부 및 정보 조회부에서 추출한 검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응답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127930
시변정보, 내비게이션

Description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ime Variable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목적지 또는 주변 지역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본 기능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재생이나 방송 수신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보급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에 맞추어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일 예로,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경로 안내를 수행할 때, 이동하는 경로 상의 주요 지형지물(Point Of Interest; POI)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POI에 대한 서비스 이용을 유도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기 등록되어 있는 POI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까지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POI 정보 제공 서비스는 단순히 해당 지형지물의 위치, 전화번호와 같은 단순 정보를 제공할 뿐, 해당 지형지물의 상세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다른 통신수단을 사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지하철 역사 주변에 위치한 영화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의 서비스로는 해당 영화관으로의 길안내 및 영화관의 전화번호를 제공할 뿐이다. 즉, 실제 영화관 이용 고객을 위한 서비스, 예를 들어 상영 중인 영화 종류, 영화별 시간표, 예매 현황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영화를 예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내비게이션 단말기와는 별도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관 서버에 접속하고, 상영 중인 영화를 검색한 다음,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영화를 예매하여야 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 목적지는 정해져 있으나 목적지 주변의 방문하고자 하는 업소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적절한 업소를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목적지 주변의 업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원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의 POI 정보 제공 서비스는 목적지 주변 업소의 단순 정보만을 제공할 뿐이어서, 목적지에 도착할 시간 등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업소를 선택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현재는 경로 안내 서비스와 POI의 실제 서비스 이용 정보가 연계되지 않아 POI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주요 지형지물의 시변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요 지형지물의 시변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두고, 이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 1 통신망을 통해 차량 항법 시스템과 접속되고, 제 2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 서버와 접속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주요 지형지물 명칭 별로 시변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변정보 관리부;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시변정보 요청 쿼리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쿼리 분석부; 상기 쿼리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시변 POI 데이터를 검색 결과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정보 조회부; 및 상기 정보 조회부에서 추출한 검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응답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변정보 제공 방법은 제 1 통신망을 통해 차량 항법 시스템과 접속되고, 제 2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 서버와 접속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시변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이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시변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시변정보 요청 쿼리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의 분석 결과에 따라 매칭되는 시변 POI 데이터를 검색 결과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추출한 검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적지 주변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요 지형지물의 시변 정보를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은 시변정보를 미리 수집하여 두고,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즉각적으로 시변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서비스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이용률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대한 재구매 의지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제 1 통신망(20)을 통해 차량 항법 시스템(30)과 접속된다. 차량 항법 시스템(30)은 GPS 위성(40)으로부터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제 2 통신망(5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서버(60)와 접속된다. 가맹점 서버(60)는 시간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에서 운영되는 서버이거나, 또는 이러한 가맹점이 회원으로 가입된 서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은 극장, 공연장, 영화관, 주차장, 숙박시설, 운동장, 행사장, 관광지, 부동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이 아닌 경우에도 영업시간 정보를 시변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통신망(20)은 이동통신망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 항법 시스템(30)을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통신망(50)은 유무선 인터넷망이 될 수 있다.
차량 항법 시스템(30) 사용자는 제 1 통신망(20)을 통해 시변정보 획득을 위한 쿼리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수신된 쿼리를 분석하여, 특정 지역 주변 또는 특정 가맹점의 시변정보를 획득하고 가공하여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가맹점 서버(60)로부터 시변 POI 데이터를 미리 수집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변 POI 데이터는 POI 명칭 및 시변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POI 위치, 업종 카테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미리 수집하기 위해서는 폴링(polling) 방식 또는 인터럽트(interrupt)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이 지정된 주기로 가맹점 서버(60)에 접속하여 시변 POI 데이터를 수집하거나(폴링 방식), 가맹점 서버(60)의 시변정보가 변경된 경우 가맹점 서버(60)가 자발적으로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시변 POI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인터럽트 방식).
시변 POI 데이터를 미리 수집해 두는 경우 차량 항법 시스템(30)의 쿼리가 수신될 때, 가맹점 서버(60)를 조회하는 일 없이 즉각적으로 쿼리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차량 항법 시스템(30)을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쿼리는 목적지 좌표,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사용자 쿼리에는 가맹점(POI) 명칭, 가맹점(POI) 전화번호, 업종, 관심 날짜, 또는 시변정보를 조회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조회 영역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거나, 또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에서 기 설정된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이러한 쿼리를 분석하고, 기 구축된 시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응답 데이터에는 쿼리 사본 및 검색 결과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검색 결과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POI명 별로 시변 데이터, POI 위치 데이터, POI 업종 카테고리가 포함될 수 있다.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통신망 인터페이스(120),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130), 시변정보 관리부(140), 시변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50), 쿼리 분석부(160), 정보 조회부(170) 및 응답 데이터 생성부(180)를 포함한다.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서버(60)로부터 시변정보를 포함하는 시변 POI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폴링 방식 또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시변 POI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POI 명칭 별로 시변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50)로서 구축하며, 시변정보에는 시변 데이터뿐 아니라, POI 위치 데이터, POI 업종 카테고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쿼리 분석부(160)는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부터 제 1 통신망(20)을 통해 전송되는 쿼리를 수신하고, 쿼리에 포함된 내용을 파악한다.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부터 전송되는 쿼리는 목적지 좌표,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가맹점 명칭, 가맹점 전화번호, 업종, 관심 날짜, 또는 시변정보를 조회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정보 조회부(170)는 쿼리 분석부(160)의 분석 결과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변 POI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해 조회한다. 조회된 결과는 우선순위에 따라 배열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의 기준은 목적지로부터의 근접도, 시변 데이터를 기초로 한 시간 순서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응답 데이터 생성부(180)는 정보 조회부(170)에서 조회한 POI 정보에 대해 POI명 별로 시변 데이터, POI 위치 데이터, POI 업종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쿼리 사본과 함께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이때 검색 결과 데이터는 우선순위를 기초로 하여 지정된 개수만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 항법 시스템(30)을 통해 [목적지 위치(X, Y)]를 포함하는 쿼리를 전송하거나, [목적지 위치(X, Y) and 옵션 정보]을 포함하는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옵션 정보는 가맹점 명칭, 가맹점 전화번호, 업종, 관심 날짜, 또는 시변정보를 조회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옵션 정보는 논리 곱(and) 또는 논리 합(or) 연산식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쿼리를 수신한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쿼리 분석부(160)는 쿼리에 포함된 목적지 위치(X, Y)를 추출하고, 정보 조회부(170)는 추출된 목적지 위치(X, Y) 주변의 POI에 대한 시변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조회한다. 그리고, 응답 데이터 생성부(180)는 조회 결과로부터 쿼리 사본 및 검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검색 결과 데이터는 예를 들어 [POI[순번], 시변 데이터, POI 위치 데이터, POI 업종 카테고리]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생성된 응답 데이터는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응답 데이터를 조회하여 원하는 POI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하였듯이,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폴링 방 식 또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POI별 시변 데이터를 수집하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시변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로서, 폴링 방식으로 시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시변정보 관리부(10)는 대기 상태에 있으면서(S101), 시변 데이터를 수집할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확인한다(S103). 시변 데이터 수집 시기가 도래한 경우,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 서버(60)에 접속하고(S105), 시변 데이터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한다(S107).
단계 S107의 확인 결과, 시변 데이터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대기 상태(S101)로 복귀하는 한편, 시변 데이터가 갱신된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고(S109), 수신된 시변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50)를 수정한다(S111).
폴링 방식의 데이터 수집 방법은 짧은 주기, 예를 들어 수분 주기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시변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로서, 인터럽트 방식으로 시변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경우,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 서버(60)를 조회하지 않으며, 가맹점 서버에서 시변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자발적으로 시변정보 관리부(140)에 접속하여 시변 데이터의 갱신이 이루어졌음을 알린다. 시변정보 관리부(140)는 가맹점 서버(60)의 접속을 이벤트로 인식하고, 이벤트가 발생하면(S201) 가맹점 서버(60)와 접속하여 갱신된 시변 데이터를 수신한다(S203).
그리고, 수신된 시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50)에 반영하여 시변정보가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럽트 방식의 데이터 수집 방법은 수 시간 내지 수 일 간격으로 데이터가 갱신되는 비교적 갱신 주기가 긴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갱신 주기가 긴 경우 폴링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자원이 낭비될 수 있으나, 인터럽트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시변 데이터를 최신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변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시변정보 관리 시스템(10)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301).
만약,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부터 제 1 통신망(20)을 통해 쿼리가 전송되면(S303), 쿼리 분석부(160)는 수신된 쿼리에 포함된 내용을 추출한다(S305). 쿼리는 [목적지 위치(X, Y)]의 형태 또는, [목적지 위치(X, Y) and 옵션 정보]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고, 옵션 정보는 가맹점 명칭, 가맹점 전화번호, 업종, 관심 날짜, 또는 시변정보를 조회할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옵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논리 곱(and) 또는 논리 합(or) 연산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정보 조회부(170)는 단계 S305에서 추출한 쿼리의 내용 중 목적지 위치(X, Y)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150)를 조회하여, 목적지 위치(X, Y) 주변에 위치한 POI 명칭별로, 시변 데이터, POI 위치 데이터, POI 업종 카테고리를 추출한 다(S307).
이후, 응답 데이터 생성부(180)는 단계 S307의 추출 결과를 검색 결과 데이터로 하여, 검색 결과 데이터 및 쿼리 사본을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S309),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 전송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S307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가 추출된 후, 이를 우선순위로 정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S309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지정된 개수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우선순위의 기준은 목적지로부터의 근접도, 시변 데이터를 기초로 한 시간 순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어 [광화문]이라는 쿼리를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시네큐브, 상영 시간표, 위치, 영화관], [정동 이벤트홀, 공연 시간표, 위치, 공연장], [**레스토랑, 11:00AM~12:00PM, 위치, 음식점] 등과 같은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고, 쿼리([광화문]) 사본과 함께 차량 항법 시스템(3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광화문 주변의 영화관과 공연장의 스케쥴은 물론, 인근 맛집의 영업 시간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시변정보가 쿼리를 수신하기 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쿼리가 수신된 후 즉각적인 데이터 조회 및 생성이 가능하여 빠른 응답이 가능하다.
운전자는 도로를 배회하지 않고도 적합한 장소를 찾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 및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시변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
도 4는 시변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변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통신망 인터페이스 130 : 메모리
140 : 시변정보 관리부 150 : 데이터베이스
160 : 쿼리 분석부 170 : 정보 조회부
180 : 응답 데이터 생성부

Claims (20)

  1. 제 1 통신망을 통해 차량 항법 시스템과 접속되고, 제 2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 서버와 접속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주요 지형지물 명칭 별로 시변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변정보 관리부;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시변정보 요청 쿼리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쿼리 분석부;
    상기 쿼리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시변 POI 데이터를 검색 결과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정보 조회부; 및
    상기 정보 조회부에서 추출한 검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응답 데이터 생성부;
    를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관리부는, 폴링 방식으로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시변 POI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관리부는, 인터럽트 방식으로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시변 POI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POI 데이터는, POI 명칭 및 시변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POI 데이터는, POI 위치 데이터 및 POI 업종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는, 목적지 좌표 또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는, POI 명칭, POI 전화번호, 업종, 날짜, 조회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조회부는,
    상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의 기준은 상기 목적지로부터의 근접도, 시변 데이터를 기초로 한 시간 순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지정된 개수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선택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 1 통신망을 통해 차량 항법 시스템과 접속되고, 제 2 통신망을 통해 가맹점 서버와 접속되는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시변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시변 POI(Point Of Interest)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시변정보 요청 쿼리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의 분석 결과에 따라 매칭되는 시변 POI 데이터를 검색 결과 데이터로서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이 상기 추출한 검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차량 항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POI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가맹점 서버에 접속하여 갱신된 시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갱신된 시변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POI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상기 가맹점 서버에서 시변정보가 변경된 경우, 상기 가맹점 서버가 상기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변경된 시변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POI 데이터는, POI 명칭 및 시변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POI 데이터는, POI 위치 데이터 및 POI 업종 카테고리를 더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는, 목적지 좌표 또는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는, POI 명칭, POI 전화번호, 업종, 날짜, 조회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이후, 상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정보 요청 쿼리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는 과정은 상기 목적지로부터의 근접도, 시변 데이터를 기초로 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지정된 개수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선택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변정보 제공 방법.
KR1020090127930A 2009-12-21 2009-12-21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1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30A KR20110071376A (ko) 2009-12-21 2009-12-21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30A KR20110071376A (ko) 2009-12-21 2009-12-21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76A true KR20110071376A (ko) 2011-06-29

Family

ID=4440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930A KR20110071376A (ko) 2009-12-21 2009-12-21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1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9476A (zh) * 2019-03-15 2019-06-07 曾国进 一种基于交通工具的实体对象活动轨迹分析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9476A (zh) * 2019-03-15 2019-06-07 曾国进 一种基于交通工具的实体对象活动轨迹分析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0533B2 (en) Map display system, method of inputting conditions for searching for POI, method of displaying guidance to POI, and terminal device
US9151617B2 (en) Selected driver notification of transitory roadtrip events
US6834229B2 (en) Integrated journey planner
JP2018504661A (ja) 移動セルフ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038950A1 (en) Content delivery device and content reception device
KR20090001563A (ko) 내비게이션 동작 중에 실시간으로 위치 기반의 광고를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광고 제공 방법
KR20080048786A (ko) 목적지 주변의 관심지점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7304009A (ja) 位置情報から移動手段を求め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3227723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を用いたイベントファインダーとその表示方法
JP201028706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205900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中継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02312381A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20170141911A (ko) 카 쉐어링 시스템 및 카 쉐어링 방법
KR20060099782A (ko) 유무선인터넷 기반 다수단간 통합경로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0850967B1 (ko) 핫코드 또는 rfid를 이용한 고객참여형 주변정보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71376A (ko) 시변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210244A (ja) 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情報検索方法
JP2004294342A (ja) 待ち合わせ場所の推奨方法
KR20130082672A (ko) 이동 통신 장치의 교통 정보 검색 방법
KR102038093B1 (ko) 지점정보 제공방법, 이를 수행하는 검색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2185168A (ja) 広告情報提供装置及び広告情報提供方法
WO2012164333A1 (en) System and method to search, collect and present various geolocated information
JP2002092193A (ja) 情報案内システムおよび情報案内方法
JP20151529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12499A (ja) 列車経路案内方法および列車経路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