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196A -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 Google Patents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196A
KR20110070196A KR1020090126923A KR20090126923A KR20110070196A KR 20110070196 A KR20110070196 A KR 20110070196A KR 1020090126923 A KR1020090126923 A KR 1020090126923A KR 20090126923 A KR20090126923 A KR 20090126923A KR 20110070196 A KR20110070196 A KR 20110070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terminal
body portion
terminal
press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수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0196A/ko
Publication of KR2011007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크단자(20)는 몸체부(22)의 일단부에 기판(30)의 통공(32)에 삽입되는 삽입부(24)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2)의 타단부에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핑거부(26)가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핑거부(26)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촉면(27)의 사이는 삽입틈새(c)로서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작은 거리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22)의 표면에는 눌림단(23)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눌림단(23)은 핑거부(26)를 향하는 쪽에 평면인 눌림평면(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포크단자(20)를 기판(30)의 통공(32)에 삽입할 때 상기 눌림단(23)의 눌림평면(23')을 눌러주면 되므로 핑거부(26)가 변형되지 않게 되어 포크단자(20)의 형상 및 치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원활하고 기판(30)에 실장된 상태가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포크단자, 삽입, 변형, 눌림단

Description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Pork terminal and insert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단자의 몸체부에 눌림단을 형성하여 포크단자를 기판에 삽입할 때 포크단자의 핑거부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된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포크단자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포크단자(1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12), 삽입부(14) 및 핑거부(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는 포크단자(1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몸체부(12)는 상기 핑거부(16)와 그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상기 몸체부(12)는 포크단자(10)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 기판의 표면에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2)의 하단에는 삽입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는 상기 몸체부(12)의 폭보다는 폭이 좁게 만들어져 있는데, 기판의 통공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12)의 상단에는 핑거부(16)가 구비된다. 상기 핑거부(16)는 2개가 서로 마주보게 대칭으로 형성되어 길게 연장된다. 상기 핑거부(16)는 상대 터미널, 예를 들면 퓨즈나 릴레이 등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핑거부(16)는 선단 사이의 간격인 삽입틈새(c)가 정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삽입틈새(c)를 통해 상기 퓨즈나 릴레이 등의 터미널이 핑거부(16) 사이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상기 포크단자(10)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부(14)가 기판의 통공에 삽입되어야 한다. 상기 포크단자(10)의 삽입부(14)를 기판의 통공에 삽입하는 작업은 자동화된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데, 장비의 누름펀치(18)가 상기 핑거부(16)의 상단을 눌러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포크단자(10)의 핑거부(16) 상단을 누름펀치(18)가 눌러주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틈새(c)가 원래 설계된 것보다 좁아지게 된다. 상기 삽입틈새(c)가 좁아지게 되면 상기 핑거부(16)의 사이로 퓨즈나 릴레이의 터미널을 삽입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심한 경우 상기 핑거부(16) 사이로 터미널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핑거부(16)에 소성변형이 발생하거나 포크단자(10)가 기판에 설치된 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크단자에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판의 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한쌍의 핑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핑거부를 향해 눌림평면을 구비하는 눌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눌림단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 표면에 각각 하나씩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눌림단은 1/4구형상으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의 일단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핑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눌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포크단자를 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게 하는 포크단자의 삽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입구에 상기 포크단자의 삽입부가 일부 삽입되게 하는 일부삽입단계와, 상기 포크단자의 삽입부가 상기 통공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포크단자의 몸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눌림단에 누름펀치로 힘을 가하는 완전삽입단계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상기 눌림단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 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펀치가 상기 몸체부의 양측 표면을 따라 이동되어 힘을 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크단자의 몸체부에 눌림단을 형성하여 포크단자를 기판의 통공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눌림단에 힘을 가하므로 포크단자에서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핑거부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설계된 대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크단자를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핑거부의 형상과 치수가 설계된 대로 유지되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과정에서 포크단자가 기판에 설치된 상태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포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크단자(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판상의 모재를 프레스가공하여 포크단자(20)를 만들게 된다. 상기 포크단자(20)의 중심을 몸체부(22)가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부(22)에는 눌림단(23)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눌림단(23)의 형상은 1/4구 형상이다. 즉, 구를 4등분한 형상인데, 상기 포크단자(20)의 상단을 향하는 방향에 평면인 눌림평면(23')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눌림단(23)의 형상이 반드시 1/4구 형상일 필요는 없으나, 포크단자(20) 사이의 접촉 등을 고려할 때 되도록 돌출된 눌림단(23)이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눌림단(23)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22)의 양면에 각각 하나씩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눌림단(23)이 일측 표면 양단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포크단자(20)에 가해지는 힘이 일측 표면으로 치우치게 되어 정확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부(22)의 양면으로 각각 돌출되게 눌림단(2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몸체부(22)의 양면으로 각각 돌출된 눌림단(23) 사이의 간격은 되도록 가까운 것이 좋다.
상기 몸체부(22)의 하단에는 삽입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24)는 상기 몸체부(22)에 비해 그 폭이 좁게 형성되는데, 기판(30)(도 5참고)의 통공(3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24)는 선단에 경사면(25)이 사면을 둘러 형성되어 선단의 횡단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만들어진다. 상기 삽입부(24)의 길이방향 네 모서리를 따라서는 모따기면(25')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2)의 상단에는 핑거부(26)가 형성된다. 상기 핑거부(26)는 상기 몸체부(22)에서 두개가 나란히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핑거부(26)는 그 선단에 서로 마주보게 접촉면(27)을 구비한다. 상기 접촉면(27)은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면 상대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면(27)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면(27) 사이의 간격은 삽입틈새(c)로서 상대 터미널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포크단자를 기판의 통공에 삽입하여 실장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포크단자가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기판(30)에 형성된 통공(32)에는 상기 포크단자(20)의 삽입부(24)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24)가 상기 기판(30)의 통공(32)에 삽입되면, 상기 몸체부(22)의 하단이 상기 기판(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기판(30)의 통공(32)에 상기 포크단자(20)를 삽입하는 것을 설명한다. 포크단자(20)를 기판(30)에 삽입하여 실장하는 장비에서는 먼저 상기 포크단자(20)의 삽입부(24) 선단이 상기 통공(32)으로 약간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삽입부(24)의 선단에 경사면(25)이 있어 가능하다. 이를 가조립상태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가조립상태에서 상기 기판(30)의 통공(32)에 포크단자(20)의 삽입부(24)가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누름펀치(28)를 사용한다. 상기 누름펀치(28)는 상기 몸체부(22) 양면의 눌림단(23)을 눌러주게 된다. 즉, 누름펀치(28)가 상기 포크단자(20)의 양면을 따라 각각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22) 양면의 눌림단(23)을 각각 눌러주는 것이다.
상기 눌림단(23)의 눌림평면(23')이 눌러지게 되면 상기 포크단자(20)의 삽입부(24)는 상기 기판(30)의 통공(32) 내부로 삽입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후에는 솔더링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포크단자(20)의 삽입부(24)를 기판(30)의 통공(32) 내부로 삽입함에 있어서 포크단자(20)의 몸체부(22)에 돌출되어 형성된 눌림단(23)에 누름펀치(28)가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포크단자(20)의 핑거부(26)에는 전혀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포크단자(20)의 삽입과정에서 핑거부(26)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설계된 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이 후에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 등의 공정이 이루어질 때, 보다 정확하고 쉽게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포크단자(20)나 기판(30) 등에 손상이 발생될 확률 또한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눌림단(23)은 상기 몸체부(22)의 일측 표면에만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눌림단(23)이 없는 몸체부(22)의 표면에도 누름펀치(28)가 구비되어 몸체부(22)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포크단자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크단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포크단자가 기판에 삽입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포크단자 22: 몸체부
23: 눌림단 23': 눌림평면
24: 삽입부 25: 경사면
25': 모따기면 26: 핑거부
27: 접촉면 28: 누름펀치
30: 기판 32: 통공

Claims (5)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기판의 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한쌍의 핑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핑거부를 향해 눌림평면을 구비하는 눌림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포크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단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 표면에 각각 하나씩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단은 1/4구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단자.
  4. 몸체부의 일단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핑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눌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포크단자를 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상기 삽입부가 삽 입되게 하는 포크단자의 삽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공의 입구에 상기 포크단자의 삽입부가 일부 삽입되게 하는 일부삽입단계와,
    상기 포크단자의 삽입부가 상기 통공으로 들어가도록 상기 포크단자의 몸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눌림단에 누름펀치로 힘을 가하는 완전삽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단자의 삽입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단은 상기 몸체부의 양측 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펀치가 상기 몸체부의 양측 표면을 따라 이동되어 힘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단자의 삽입방법.
KR1020090126923A 2009-12-18 2009-12-18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KR20110070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923A KR20110070196A (ko) 2009-12-18 2009-12-18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923A KR20110070196A (ko) 2009-12-18 2009-12-18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196A true KR20110070196A (ko) 2011-06-24

Family

ID=4440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923A KR20110070196A (ko) 2009-12-18 2009-12-18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1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98B1 (ko) 커넥터
JP5517180B2 (ja) 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用のコンタクトスプリング
JP5737361B2 (ja) コネクタ端子
JP5457595B1 (ja) コネクタおよび端子
US9287654B2 (en) Electric connector
CN108390173B (zh) 基板用连接器
JP5947679B2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100041254A1 (en) Socket for burn-in tests
US7985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KR100539621B1 (ko) 평행하게 배열된 한 쌍의 회로 기판 접속 커넥터
US20200274270A1 (en) Chained terminals and board connector with terminals in chained terminals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EP2239818A1 (en) Hold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having the holding member mounted in electric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part having the holding member
US103553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configured for surface mount
KR20110070196A (ko) 포크단자 및 그 삽입방법
US9865947B2 (en) SIM connector
JP2020194637A (ja) コネクタ、及び、基板付きコネクタ
JPS6131490Y2 (ko)
JP2018022682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7338982B2 (ja) 回路基板と端子との接続構造
JP2010205494A (ja) 雌型の電気接続端子
JP200010050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03022851A (ja) コネクタ
KR10232192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JP201619506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