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200A -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200A
KR20110069200A KR1020090125825A KR20090125825A KR20110069200A KR 20110069200 A KR20110069200 A KR 20110069200A KR 1020090125825 A KR1020090125825 A KR 1020090125825A KR 20090125825 A KR20090125825 A KR 20090125825A KR 20110069200 A KR20110069200 A KR 20110069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nnection
address boo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호
김영학
장미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9200A/ko
Publication of KR2011006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 및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구비한다.
다중서비스, 서비스연결

Description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ulti-Ser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주소록들을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주소록을 유지하는 서버 중 사용자가 설정한 서버를 연동주소록 서버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을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주소록에 포함된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폰에 주소록을 저장하여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전화를 연결하는 휴대폰 주소록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상기 휴대폰 주소록은 필요에 따라 통신사에 구비된 백업서버로 백업되거나 또는 다시 휴대폰으로 복구될 수 있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폰은 더 이상 음성통화를 위한 휴대용 전화기의 영역을 벗어나 종합 개인 통신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고 있으며, 종래의 음성통화와 문자 송수신 기능은 물론 인터넷 기능과 메일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기능은 종래 WAP 기반의 무선 인터넷 기능에서 최근에는 유선 인터넷에 접근하는 풀브라우징 인터넷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한편 유무선 인터넷 상에는 수많은 주소록들이 존재한다. 일례로 포털 서버에도 주소록이 존재하고, 메신저 서버에도 주소록이 존재하고, 심지어 각 기업의 인트라넷 서버에도 주소록이 존재한다. 즉, 메일 서비스와 같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서버는 주소록을 구비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주소록들은 통합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주소록들을 한 곳에 모아 저장하면 상기 문제점을 일부 해소할 수는 있겠으나, 기술적으로는 각 주소록의 정보 구조가 상이하여 비즈니스적으로는 각 서버들의 주소록을 서로 공유/교환하는 것이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비즈니스적으로는 각 서버들의 주소록을 서로 공유/교환하는 것 자체가 사생활 침해의 문제를 발생할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주소록들을 휴대폰과 같이 개인화된 매체에 저장한다고 했을 때, 상기 휴대폰의 저장 공간이 한정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주소록들을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주소록을 유지하는 서버 중 사용자가 설정한 서버를 연동주소록 서버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을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주소록에 포함된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제공함으로써,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서비스 기능을 통해 이용 가능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의 주소록에 중복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연동주소록 서버의 주소록 데이트를 갱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연동주소 록 접근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 및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수신 시,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중복된 두개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수단과, 상기 확인된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항목 중 동일한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는 데이터 비교수단 및 상기 중복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주소록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여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된 각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이용하여 각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성수단은,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성수단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의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 또는 일반전화번호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팩스번호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메일주소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인터넷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메신저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메신저 계정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사진보기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사진 정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벨소리 정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는, 연결 대상자의 이름, 그룹, 생일, 주소, 직장, 부서, 기념일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연결 대상자에 대한 메모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모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 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저장매체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키는 메모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휴대폰과 통신 연결되는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다중 서비스 연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수신 시,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중복된 두개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항목 중 동일한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주소록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여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된 각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이용하여 각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은,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의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저장매체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주소록을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주소록을 유지하는 서버 중 사용자가 설정한 서버를 연동주소록 서버 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을 수집한 후, 상기 수집된 사용자 주소록에 포함된 데이터 중 상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통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제공함으로써,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사용자 주소록 중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 기능과 매칭되는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통해 즉시 이용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의 주소록에 중복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연동주소록 서버의 주소록 데이트를 갱신함으로써, 유무선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사용자 주소록을 직접 갱신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 휴대폰을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에 구비된 주소록들을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로 편리하게 갱신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 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여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에 도시된 수단들은 각각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단이 서버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150)와 통신채널이 연결된다.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으로 기 설정된 데이터 구조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의 총칭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주소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소록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휴대폰 주소록 데이터를 백업하여 저장하는 휴대폰 주소록 백업 서버 또는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 대상으로 인터 넷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주소록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사용자들의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회원정보 중 서로 연관되는 회원정보를 연결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일인 미디어 서버 또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운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미니홈피 서버 또는 블로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사용자들의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회원 간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신저 서버는 메신저 친구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커뮤니티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뮤니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커뮤니티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카페 서버 또는 동호회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임직원 정보로 저장하는 인트라넷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트라넷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주 소록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명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는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으로 기 설정된 데이터 구조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연동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연동 API는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구조에 포함시킬 각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는 주소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소록 정보를 상기 데이터 항목 별로 상기 설정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시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한 후,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주소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구조에 포함시킬 각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는 주소록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폰 주소록 정보, 인터넷 주소록 정보, 사용자 기준 연관 회원정보 (예컨대, 미니홈피의 1촌 회원정보), 카페회원정보, 동호회 회원정보, 인트라넷 개인 주소록 정보, 명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150)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 받기 위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160)를 구비한다.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 정보는 상기 연동 API를 구비한 연동주소록 서버(150) 중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의 주소 정보, URL 정보, 서버명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는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연동 API와 연계하여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 접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는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사용자의 계정정보 또는 SSO(Single Sign On)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연도주소록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원격 쿼리(Remote Quer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폰을 식별할 수 있는 전화번호, 식별코드, USIM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다중 서비스 연결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신채널을 연결 및 유지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은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이 접속한 무선 통신망 상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 상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다중 서비스 연결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할당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150)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수신 시,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중복된 두개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데이터 확인수단(115)과, 상기 확인된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항목 중 동일한 데이터 항목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는 데이터 비교수단(120)과, 상기 중복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를 통해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주소록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여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수단(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으로 통신채널을 연결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수단(110)은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된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150)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거나 또는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연결 대상자 연락처 정보와 홈페이지 주소 정보와 메신저 계정 정보와 사진 정보 및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대상자 연락처 정보는 사용자가 연결 대상자와 연락할 수 있는 각 통신수단에 할당된 정보로서,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 일반전화번호, 팩스번호, 메일주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대상자 연락처 중 일부는 개인화된(또는 다른 연결 대상자와 공유/중복되지 않는)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연결 대상자와 공유/중복되는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번호와 메일주소 등은 개인화된 연락처 정보인 반면, 일반전화번호와 팩스번호 등은 다른 연결 대상자와 공유/중복되는 연락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홈페이지 주소 정보는 상기 연결 대상자의 미니홈피 주소 정보, 블로그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계정 정보는 상기 연결 대상자가 사용하는 메신저 식별정보와 해당 메신저에 등록된 계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진 정보는 상기 연결 대상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는 연결 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연결 대상자의 이름, 그룹, 생일, 주소, 직장, 부서, 기념일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확인수단(115)은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데이터 항목 중 동일한 연결 대상자에 대응하는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 식별 항목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항목은, 개인화된(또는 다른 연결 대상자와 공유/중복되지 않는) 연결 대상자 연락처 정보(예컨대,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 항목과 변경되지 않는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예컨대, 이름, 생일, 기념일 등)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은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 항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일한 연결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1)은 이름,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생일이 포함되지만,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2)는 이름,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기념일이 포함된다면,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은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1)와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2)에 모두 포함된 이름,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이 결정되면, 상기 데이터 확인수단(115)은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데이터 식별 항목 별로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 중 두개 이상의 항목이 일치하는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중복 주소록 데이터로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데이터 확인수단(115)은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 중 휴대폰번호와 이름이 동일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중복 주소록 데이터로 확인하거나, 또는 이름과 생일이 동일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중복 주소록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상기 데이터 비교수단(120)은 상기 확인된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항목 중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 이외의 데이터 항목을 제각기 비교하여 상호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데이터 식별 항목에 이름과 생일이 사용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비교수단(120)은 상기 이름과 생일을 제외하고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비교결과 동일한 연결 대상자에 대한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데이터 항목 중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데이터 갱신수단(125)은 상기 중복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를 통해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주소록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기준으로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다른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주소록 정보를 갱신시킨다.
예를들어, 동일한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1)의 휴대폰번호가 010-1234-5678인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2)의 휴대폰번호가 010-1357-5678이라면, 상기 데이터 갱신수단(125)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2)를 전송한 연동주소록 서버(15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010-1357-5678의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를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1)에 포함된 010-1234-5678로 갱신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갱신수단(125)은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을 통해 상기 변경 대상 데이터 항목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득한 후, 상기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통해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과,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140)을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된 각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통해 각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 또는 일반전화번호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팩스번호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메일주소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인터넷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메신저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메신저 계정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사진보기 서 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사진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만약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상기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한다.
예를들어, 동일한 연결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1)은 이름,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생일이 포함되지만,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2)는 이름,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기념일이 포함된다면,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1)과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2)의 조합으로부터 휴대폰번호와 메일주소를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이름과 생일 및 기념일을 포함하는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정보 확인수단(130)은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된 각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확인하고, 휴대폰으로 벨소리, 통화연결음과 같은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서비스 서버(155)로 상기 휴대폰번호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벨소리 정보,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다.
또는, 상기 정보 확인수단(130)은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휴대폰번호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벨소리 정보,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이 유지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데이터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항목 중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통해 추출되지 않는 데이터 항목은 블랭크(Blank)로 처리되거나 널(NULL) 값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입력(또는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의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의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 또는 일반전화번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상자 팩스번호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상자 메일주소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메일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브라우져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상자 메신저 계정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메신저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대상자 사진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사진보기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기능 식별자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된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와, 상기 홈페이지 주소 정보를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브라우져 서비스 기능과 매칭시키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가 첨부된 경우,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또는 사용 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통해 휴대폰 화면 상에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연결 메뉴를 활성화하여 포함시키되, 상기 홈페이지 연결 메뉴 선택 시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브라우져를 구동한 후 상기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가 구성되면,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140)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과 연결 및 유지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 구조에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대입시켜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전송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저장매체(160)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키는 메모 처리수단(1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 용자 휴대폰(100)으로부터 특정 연결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메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 처리수단(145)은 상기 저장매체(160)에 상기 수신된 사용자 메모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자에 대한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는, 개인화된(또는 다른 연결 대상자와 공유/중복되지 않는) 연결 대상자 연락처 정보 또는 변경되지 않는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거나, 또는 연결 대상자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저장매체(160)에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메모 처리수단(145)은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에 상기 수신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저장매체(160)에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메모 처리수단(145)은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에 해당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상기 메모 처리수단(145)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60)를 조회하여 상기 연결 대상자에 대한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저장매체(160)에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트 셋트에 포함되는 연결 대상자의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메모 처리수단(145)은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60)는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 이외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부터 입력 또는 갱신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대상자 관련 정보(또는 컨텐츠)를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대상자 관련 정보(또는 컨텐츠)는 특정 정보(또는 컨텐츠)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연결 대상자에 대한 사진/동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160)는 상기 사진/동영상을 상기 연결 대상자 관련 정보와 연결하여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트 셋트를 제공받은 사용자 휴대폰(100)은 서비스 연 결 데이트 셋트를 판독하여 각 연결 대상자 별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매칭되는 각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는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출력시키는 메뉴(또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연결 대상자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상에 출력시킨다.
만약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선택(또는 클릭)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상기 실행된 서비스 기능 프로그램으로 전달하여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서비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휴대폰번호 또는 일반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휴대폰번호 또는 일반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휴대폰 또는 일반전화로 음성통화를 연결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을 통해 팩스 데이터를 구성한 후 상기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팩스번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팩스번호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단말로 상기 팩스 데이터를 전송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을 통해 메일 데이터를 구성한 후 상기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메일주소를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메일주소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서버로 상기 메일 데이터를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인터넷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인터넷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를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연결 대상 서버 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메신저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메신저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메신저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연결 대상자 메신저 계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연결 대상자 메신저가 구동된 연결 대상 단말과 메신저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사진보기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사진보기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사진보기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연결 대상자 사진을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벨소리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벨소리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벨소리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연결 대상자 벨소리 컨텐츠를 벨소리 제공 서버(도시생략)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서비스 기능 메뉴(또는 아이콘) 중 통화 연결음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메뉴(또는 아이콘)가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통화 연결음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통화 연결음 서비스 기능과 연결된 통화 연결음 컨텐츠를 통화 연결음 제공 서버(도시생략)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 대상자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메뉴(또는 아이콘)이 선택(또는 클릭)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휴대폰 화면 상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160)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 또는 연결 대상자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 근처 일정 영역에 사용자 메모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메모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트 셋트에 특정 연결 대상자의 사용자 메모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연결 대상자 별 사용자 메모정보를 표시하는 메모 표시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 을 통해 사용자 메모정보를 입력하는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메모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메모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메모 처리수단(145)으로 전송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용자 휴대폰(100)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여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저장매체(160)에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150)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가 연결하여 저장된 후(200),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중 서비스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휴대폰(100)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205), 데이터 수신수단(110)은 상기 통신채널이 연결된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60)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150)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210),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거나 또는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는다(215).
만약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가 수신되면(220),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추출한다(225).
만약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로부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가 추출되면(230), 상기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이 유지하고 있는 통신 프 로토콜을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고(235),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된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각 서비스 기능을 식별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하고(240), 데이터 전송수단(140)은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전송한다(245).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150)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중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 확인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 버(150)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데이터 확인수단(115)은 상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300).
만약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한다면(305), 데이터 비교수단(120)은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동일 데이터 항목 중 하나 이상의 불일치 데이터를 확인한다(310).
만약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불일치 데이터가 확인되면(315), 데이터 갱신수단(125)은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150)의 주소록 데이터의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고(320), 상기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통해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시킨다(32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연결 대상 휴대폰의 서비스 기능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로부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 추출 시, 각 연결 대상 휴대폰정보를 확인하고, 무선 서비스 서버(155)를 통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벨소리 정보와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결 대상 휴대폰의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서비스 기능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로부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 추출 시, 정보 확인수단(130)은 상기 추출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로부터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확인하고(400),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를 통해 연결 대상 휴대폰의 무선 서비스 서버(155)에 연결한 후(405), 상기 무선 서비스 서버(155)로부터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벨소리 정보와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연결 대상 휴대폰의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한다(410).
만약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벨소리 정보와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가 확인되면(415),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135)은 상기 확인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킨 다(42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휴대폰(100)의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된 각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사용자 휴대폰(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고(50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05)과 통신채널이 연결되면(505),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수신한다(510).
만약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가 수신되면(515),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수신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판독하여 각 연결 대상자 별로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확인한다(520).
여기서, 상기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는,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이다.
예를들어,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는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이다.
또는,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연결 대상자 팩스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에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는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가 아니다.
또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 인터넷 서비스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는 유효한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가 아니다.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휴대폰 화면 상에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매칭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와 상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와 매칭되는 연결 대상자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525),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서비스 기능 연결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530).
만약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서비스 기능 연결 요청이 확인되지 않고(535), 상기 연결 대상자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대상자 정보 출력이 요청되면(540),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요청된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휴대폰 화면 상에 출력한다(545).
반면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서비스 기능 연결 요청이 확인되면(535),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요청된 서비스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서비스 기능 프로그램으로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파라미터 값으로 전달하며(55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기능 프로그램은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대상 휴대폰(또는 전화), 연결 대상 단말, 연결 대상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대상 매체와 연결하여 해당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55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메모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 휴대폰(100)에서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된 각 서비스 기능을 이용 중 사용자 메모정보를 저장매체(160)에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의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저장매체(160)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필드가 구비된 경우(600),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휴대폰 화면에 사용자 메모 인터페이스를 더 출력하고(605),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수신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610).
만약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615),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사용자 메모 인터페이스의 메모 표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확인된 각 연결 대상자 별 사용자 메모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620).
여기서, 상기 메모 표시 인터페이스는 상기 휴대폰 화면 상에 등록된 사용자 메모정보가 존재함을 표시하는 메뉴(또는 아이콘)을 출력시킨 후, 상기 메뉴(또는 아이콘) 출력 시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 메모 인터페이스의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메모정보가 입력되면(625),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은 상기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대상자 별 사용자 메모정보를 입력 처리하고(630), 상기 입력된 연결 대상자 별 사용자 메모정보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메모 처리수단(145)으로 전송한다(635).
메모 처리수단(145)은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에 대한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640), 상기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160)에 저장하며(645), 이후 상기 저장매체(160)에 저장된 사용자 메모정보는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되어 상기 사용자 휴대폰(1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 확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연결 대상 휴대폰의 서비스 기능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휴대폰(100)의 다중 서비스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메모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사용자 휴대폰 105 :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110 : 데이터 수신수단 115 : 데이터 확인수단
120 : 데이터 비교수단 125 : 데이터 갱신수단
130 : 정보 확인수단 135 :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
140 : 데이터 전송수단 145 : 메모 처리수단
150 : 연동주소록 서버 155 : 무선 서비스 서버
160 : 저장매체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수단;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데이터 셋트 구성수단; 및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수신 시,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중복된 두개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수단;
    상기 확인된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항목 중 동일한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는 데이터 비교수단; 및
    상기 중복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주소록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여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된 각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이용하여 각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성수단은,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 우,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성수단은,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의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음성통화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 휴대폰번호 정보 또는 일반전화번호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팩스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팩스번호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메일교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메일주소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인터넷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홈페이지 주소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메신저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메신저 계정 정보,
    상기 사용자 휴대폰의 사진보기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사진 정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벨소리 정보,
    상기 연결 대상 휴대폰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연결 대상자 통화 연결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는,
    연결 대상자의 이름, 그룹, 생일, 주소, 직장, 부서, 기념일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는,
    사용자가 입력한 연결 대상자에 대한 메모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모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저장매체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키는 메모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시스템.
  10. 사용자 휴대폰과 통신 연결되는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다중 서비스 연결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사용자 휴대폰 정보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동주소록 서버 정보와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연동주소록 접근 정보를 통해 각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으로부터 사용자 휴대폰에 구비된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에 구비된 각종 서비스 기능을 확인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상기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 수신 시, 복수의 연동주소록 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하여 중복된 두개 이상의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항목 중 동일한 데이터 항목에 대하여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한 각 연동주소록 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의 주소록 저장(또는 갱신) 일시를 통해 최근 저장(또는 갱신)된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를 확인하여 다른 중복 주소록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소록 데이터에 포함된 각 연결 대상자의 휴대폰번호를 이용하여 각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기능과 연결되는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동일 연결 대상자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중복 주소록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복 주소록 데이터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와 연결 대상자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의 각 서비스 기능 연결 정보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 또는 연결 대상 휴대폰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기능에 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식별자를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사용자 메모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연결 대상자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메모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 구성 시, 저장매체에 사용자 메모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를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연결 대상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와 연결된 사용자 메모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연결 데이터 셋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16. 제 10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0125825A 2009-12-17 2009-12-17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10069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25A KR20110069200A (ko) 2009-12-17 2009-12-17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25A KR20110069200A (ko) 2009-12-17 2009-12-17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00A true KR20110069200A (ko) 2011-06-23

Family

ID=4440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825A KR20110069200A (ko) 2009-12-17 2009-12-17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92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4458A (zh) * 2017-12-29 2018-06-15 深圳真时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与可穿戴设备无线连接的方法、装置、移动终端和可穿戴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4458A (zh) * 2017-12-29 2018-06-15 深圳真时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与可穿戴设备无线连接的方法、装置、移动终端和可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4024B2 (en) Discovery of network members by personal attributes
KR20090080692A (ko)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7436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lephone number, and computer product
JP2003110684A (ja) 電子アドレス帳、通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447362B2 (en) Function updating system and function updating method
US20080219427A1 (en) Information terminal,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service
KR20000054371A (ko)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AU20103374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lobal directory service
CN101808086A (zh) 在通讯终端电话簿中对电话网址进行添加存储的方法
KR100438757B1 (ko) 휴대통신기구 및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JP2016516314A (ja) 電話番号連動基盤の電子名刺伝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7504287A (ja) 電話着信に対する返信方法、装置、端末、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0268178A (ja) 電話帳管理システム及び電話帳管理方法
JP2020507941A (ja) 統合識別子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ための端末、サービス方法及び統合識別子管理システム
JP3902574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個人情報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40132037A (ko) 스마트 아이디를 매개한 통합 식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69200A (ko) 다중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KR101608728B1 (ko) 명함정보의 등록 및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7700A (ko) 다수의 메신저를 통합한 통합 메신저
JP2005136925A (ja) アドレス変更通知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
KR101700301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028217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4442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to a call
KR20140085634A (ko) 다수의 메신저를 통합한 통합 메신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