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294A - 보석함 - Google Patents

보석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294A
KR20110068294A KR1020090125175A KR20090125175A KR20110068294A KR 20110068294 A KR20110068294 A KR 20110068294A KR 1020090125175 A KR1020090125175 A KR 1020090125175A KR 20090125175 A KR20090125175 A KR 20090125175A KR 20110068294 A KR20110068294 A KR 2011006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ain body
light
jewel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774B1 (ko
Inventor
정병훈
유중기
Original Assignee
정병훈
유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훈, 유중기 filed Critical 정병훈
Priority to KR102009012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7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11')를 가지는 개방부(11)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11)의 안쪽에 외측으로부터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을 순차 삽입하되, 각 개방부(11)의 내측 벽면에 고정구(1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13)에 의해 배면투광판(40b)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10)의 전면 및 배면 내측벽에 지지대(12)을 부착하여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석함, 사진, 등박스, 투광

Description

보석함{Jewel box}
본 발명은 각종 귀중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보석함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의 사방 측면에 사진을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의 저부에 등박스를 설치하여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보석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함은 보석이나 목걸이, 귀걸이, 반지, 액세서리와 같은 장신구 따위를 넣어 두는 조그마한 함을 말한다.
보석함은 통상 귀중품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을 밀폐시켜 주기 위한 덮개가 본체의 일측에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한 구조로 제공되는 보석함은 귀중품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기 때문에 장식적인 면을 적극 고려하여 제작하더라도 사용빈도가 떨어지게 되면 쉽게 싫증을 내고 가정에 방치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의 안쪽에 사진을 끼워 놓을 수 있도록 한 보석함이 알려진 바 있으나 이러한 보석함의 경우 사진을 덮개의 크기에 알맞게 재단해야만 하고 또한 사진이 덮개 안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진을 보려면 덮개를 개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발명은 각종 귀중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보석함 본연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의 사방 측면에 사진을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의 저부에 등박스를 설치하여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힌지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를 가지는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의 안쪽에 외측으로부터 전면투광판 및 사진, 그리고 배면투광판을 순차 삽입하되, 각 개방부의 내측 벽면에 고정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에 의해 배면투광판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의 전면 및 배면 내측벽에 지지대를 부착하여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품박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를 가지는 개방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의 안쪽에 외측으로부터 전면투광판 및 사진, 그리고 배면투광판을 순차 삽입하여 이를 고정구로 고정함으로써 액자와 같이 사진의 감상이 용이하며 사진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등박스의 설치로 인해 야간의 실내등 또는 취침등 기능을 겸하게 되어 쉽게 싫증을 내지 아니하고 보석함에 대하여 애착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정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평단면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11')를 가지는 개방부(11)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11)의 안쪽에 외측으로부터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을 순차 삽입하되, 각 개방부(11)의 내측 벽면에 고정구(1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13)에 의해 배면투광판(40b)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10)의 전면 및 배면 내측벽에 지지대(12)을 부착하여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의 바닥면에 개구부(14)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보석함의 내부에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빛이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보석함의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박스(30)를 부설하고 있다.
상기 등박스(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써 개구부(14)에 안착 가능하게 상단부 둘레에 걸림턱(31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 내측에 투명아크릴판(36)의 안착을 위한 지지턱(31b)을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등박스(30)의 내측에 소켓(35), 램프(33), 반사갓(32) 및 안정기(34) 그리고 스위치(SW)를 포함하는 공지의 조명기구를 내설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11')를 가지는 개방부(11)를 형성하여 여기에 사진(P)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사진(P)은 종이재로써 두께가 얇기 때문에 사진(P)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은 투명한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로 제작하여 보석함의 외부에서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 사이에 개재된 사진(P)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등박스(30)의 조명이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진(P)이 개재된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1)에 삽입됨과 동시에 단턱부(11')에 지지된 상태로 각 개방부(11)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 고정구(1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에 따라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13)는 본체(10)의 지지대(12)에 안착되는 소품박스(5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배면투광판(40b)의 상부를 제외한 양측과 하부 중앙쪽 벽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석함의 내부에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빛이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보석함의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박스(30)를 부설하고 있다.
상기 등박스(30)는 보석함의 수용공간부(S)에 귀중품을 수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본체(10)의 바닥면에 개구부(14)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4)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등박스(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써 개구부(14)에 안착 가능하게 상단부 둘레에 걸림턱(31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 내측으로는 지지턱(31b)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에 투명아크릴판(36)이 안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박스(30)의 내측에는 소켓(35), 램프(33), 반사갓(32) 및 안 정기(34) 그리고 스위치(SW)를 포함하는 공지의 조명기구를 내설하고 있다.
또한 덮개(20)의 내측으로는 소품박스(50)에 놓인 귀중품이 반사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울(21)을 부설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공되는 보석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석함에 설치하고자 하는 사진(P)을 구비하여 상기 사진(P)을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를 본체(10)의 각 사방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11)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진(P)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체(10)의 내벽에 고정된 다수의 고정구(13)를 각각 회동시켜 배면투광판(40b)이 개방부(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10)의 내측에 부착된 지지대(12)에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안착시킨 다음 덮개(20)를 닫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석함을 취침등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박스(30)의 스위치(SW)를 ON시켜 주게 되면 전원코드를 통해 안정기(34)로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소켓(35)에 설치된 램프(33)가 점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33)가 점등되면 빛이 반사갓(32)을 통해 투명아크릴판(36)을 통과하여 보석함의 수용공간부(S) 내측을 환하게 비추게 되고 이와 함께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빛이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빛을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은은하게 투영시키게 되는 하는 이유는 보통의 실내등 또는 취침등의 경우 수면을 영향을 주게될 정도로 매우 밝기 때문에 갓 등을 씌우게 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빛을 간접적으로 투영하게 되면 보다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P)을 통해 빛이 투영됨으로 인하여 더욱 친숙함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11')를 가지는 개방부(11)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11)의 안쪽에 외측으로부터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을 순차 삽입하여 이를 고정구(13)로 고정함으로써 사진(P)의 감상이 용이하며 사진(P)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야간의 실내등 또는 취침등 기능을 겸하게 되어 쉽게 싫증을 내지 아니하고 보석함에 대하여 애착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의 평단면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에 대한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의 설명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구성요소가 실시예 2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부여된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개방부(11)를 형성하되, 본체(10)의 내측 사방 모서리부에 평면상 디귿자 형태로써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의 동시에 삽입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에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이탈방지턱(12')이 마련된 지지대(1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의 바닥면에 개구부(14)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보석함의 내부에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빛이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보석함의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박스(30)를 부설하고 있다.
상기 등박스(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써 개구부(14)에 안착 가능하게 상단부 둘레에 걸림턱(31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 내측에 투명아크릴판(36)의 안착을 위한 지지턱(31b)을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등박스(30)의 내측에 소켓(35), 램프(33), 반사갓(32) 및 안정기(34) 그리고 스위치(SW)를 포함하는 공지의 조명기구를 내설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은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개방부(11)를 형성하되, 본체(10)의 내측 사방 모서리부에 평면상 디귿자 형태로써 양단부에 이탈방지턱(12')이 마련된 지지대(12)를 설치하여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의 동시에 삽입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에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이탈방지턱(12')이 마련된 지지대(12)를 부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사진(P)은 종이재로써 두께가 얇기 때문에 사진(P)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은 투명한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로 제작하여 보석함의 외부에서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 사이에 개재된 사진(P)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등박스(30)의 조명이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진(P)이 개재된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의 설치를 간편히 할 수 있도록 지지대(12)를 평면상 디귿자 형태로 형성하고 그 양단부에 상기 사진(P)이 개재된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이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진(P) 설치구조는 실시예 1에서 적용된 고정구(13)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P)의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며 개방부(11)에 단턱부(11')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석함의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석함의 내부에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빛이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보석함의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박스(30)를 부설하고 있다.
상기 등박스(30)는 보석함의 수용공간부(S)에 귀중품을 수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본체(10)의 바닥면에 개구부(14)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4)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등박스(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써 개구부(14)에 안착 가능하게 상단부 둘레에 걸림턱(31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 내측으로는 지지턱(31b)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에 투명아크릴판(36)이 안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박스(30)의 내측에는 소켓(35), 램프(33), 반사갓(32) 및 안정기(34) 그리고 스위치(SW)를 포함하는 공지의 조명기구를 내설하고 있다.
또한 덮개(20)의 내측으로는 소품박스(50)에 놓인 귀중품이 반사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울(21)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공되는 보석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보석함에 설치하고자 하는 사진(P)을 구비하여 상기 사진(P)을 전면투광판(40a)과 배면투광판(40b)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를 본체(10)의 내측 사방 모서리부에 형성된 지지대(12)의 이탈방지턱(12')에 끼워주게 되며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소품박스(50)를 안착시킨 다음 덮개(20)를 닫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석함을 실내등 또는 취침등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박스(30)의 스위치(SW)를 ON시켜 주게 되면 전원코드를 통해 안정기(34)로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소켓(35)의 램프(33)가 점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33)가 점등되면 빛이 반사갓(32)을 통해 투명아크릴판(36)을 통과하여 보석함의 수용공간부(S) 내측을 환하게 비추게 되고 이와 함께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빛이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빛을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은은하게 투영하는 이유는 보통의 실내등 또는 취침등의 경우 수면을 영향을 주게될 정도로 매우 밝기 때문에 갓 등을 씌우게 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빛을 간접적으로 투영하게 되면 보다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P)을 통해 빛이 투영됨으로 인하여 더욱 친숙함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개방부(11)를 형성하되, 본체(10)의 내측 사방 모서리부에 평면상 디귿자 형태로써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의 동시에 삽입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에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이탈방지턱(12')이 마련된 지지대(12)를 부착함으로써 사진(P)의 감상이 용이하며 사진(P)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야간의 실내등 또는 취침등 기능을 겸하게 되어 쉽게 싫증을 내지 아니하고 보석함에 대하여 애착 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정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함의 평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보석함의 평단면구성도
도 7은 도 6의 "B"부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종래 보석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개방부
11' : 단턱부 12 : 지지대
12' : 이탈방지턱 13 : 고정구
14 : 개구부 20 : 덮개
21 : 거울 30 : 등박스
31a : 걸림턱 31b : 지지턱
32 : 반사갓 33 : 램프
34 : 안정기 35 : 소켓
36 : 투명아크릴판 40a : 전면투광판
40b : 배면투광판 50 : 소품박스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외측으로 단턱부(11')를 가지는 개방부(11)를 형성하여 상기 개방부(11)의 안쪽에 외측으로부터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을 순차 삽입하되, 각 개방부(11)의 내측 벽면에 고정구(1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13)에 의해 배면투광판(40b)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체(10)의 전면 및 배면 내측벽에 지지대(12)을 부착하여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2. 내부에 수용공간부(S)가 마련되는 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가 힌지(H)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보석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사방 각 측면 중앙에 개방부(11)를 형성하되, 본체(10)의 내측 사방 모서리부에 평면상 디귿자 형태로써 전면투광판(40a) 및 사진(P), 그리고 배면투광판(40b)의 동시에 삽입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에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소품박스(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이탈방지턱(12')이 마련된 지지대(1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0)의 바닥면에 개구부(14)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보석함의 내부에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빛이 배면투광판(40b) 및 사진(P), 그리고 전면투광판(40a)을 통해 보석함의 외부로 은은하게 투영되어 보석함이 야간의 실내등 내지는 취침등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박스(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박스(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형태로써 개구부(14)에 안착 가능하게 상단부 둘레에 걸림턱(31a)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단부 내측에 투명아크릴판(36)의 안착을 위한 지지턱(31b)을 일체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등박스(30)의 내측에 소켓(35), 램프(33), 반사갓(32) 및 안정기(34) 그리고 스위치(SW)를 포함하는 공지의 조명기구를 내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함.
KR1020090125175A 2009-12-16 2009-12-16 보석함 KR10105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75A KR101059774B1 (ko) 2009-12-16 2009-12-16 보석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175A KR101059774B1 (ko) 2009-12-16 2009-12-16 보석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294A true KR20110068294A (ko) 2011-06-22
KR101059774B1 KR101059774B1 (ko) 2011-08-26

Family

ID=4440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175A KR101059774B1 (ko) 2009-12-16 2009-12-16 보석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039B1 (ko) * 2018-12-26 2019-07-08 천정국 공간 가변형 캠핑카용 화장실
KR102643416B1 (ko) 2022-10-06 2024-03-05 오동진 물품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774B1 (ko) 201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293B2 (en) Lamp hav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panels
KR101059774B1 (ko) 보석함
US11867388B2 (en) Lamp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2002083501A (ja) 携帯型ライトと簡易ランタン
JP3142080U (ja) 携帯型簡易組立式撮影ボックス
KR200162924Y1 (ko) 사진 내장형 조명등
JPS61502147A (ja) ホログラムのディスプレイに関する改良
KR200173966Y1 (ko) 액자 조명장치
KR200447195Y1 (ko) 다용도 프레임
CN215982385U (zh) 一种照明装置
KR101561933B1 (ko) 다기능 센서등
KR200285385Y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액자
US20060243689A1 (en) Decorative shelf
JPH05135609A (ja) 照明器具
JP4102359B2 (ja) 鑑賞用水槽の照明器具
US10012364B2 (en) Light diffuser casing
JP2009066206A (ja) 照明付きの装飾装置
CN107314298B (zh) 多段式四自由度变形灯
KR200249367Y1 (ko)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JP3027473U (ja) 陳列用透明板、およびこれに用いる照明ユニット
RU6985U1 (ru) Декоративно-изобраз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для бытовых помещений
JP2012081205A (ja) 小型仏壇
KR200171733Y1 (ko) 장식용 거울 장치가 부착된 장
KR200242447Y1 (ko) 크리스탈 장식용 조명 받침대
JPH09403A (ja) 展示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