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67Y1 -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 Google Patents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67Y1
KR200249367Y1 KR2020010019354U KR20010019354U KR200249367Y1 KR 200249367 Y1 KR200249367 Y1 KR 200249367Y1 KR 2020010019354 U KR2020010019354 U KR 2020010019354U KR 20010019354 U KR20010019354 U KR 20010019354U KR 200249367 Y1 KR200249367 Y1 KR 200249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hoto
head member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환
Original Assignee
김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환 filed Critical 김상환
Priority to KR2020010019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67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침대 프레임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암체결구가 체결된 제 1헤드부재; 상기 제 1헤드부재의 암체결구에 체결되는 수체결구로써 상기 제 1헤드부재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부개방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하부와 양측으로 끼움홈을 갖는 전면개방부가 형성된 제 2헤드부재; 상기 제 2헤드부재의 상부개방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걸림돌부와 밀착돌부가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부재 및 상기 전면개방부의 끼움홈과 상기 마감부재의 밀착돌부에 의해 밀착 고정된 사진부재; 및 상기 제 2헤드부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진부재에 빛을 투과시키는 조명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침대의 헤드를 제 1,2헤드부재로 구분하여 제 1헤드부재 내부에는 사진 등을 보관하게 되고, 제 2헤드부재 내부에는 전면에서 볼 수 있도록 사진부재를 비치하게 됨으로써 기념이 되는 사진을 보관 및 비치하게 되어 가족의 화합은 물론 실내 장식미를 얻을 수 있고, 조명부재를 구비하여 사진부재를 투과하는 빛으로 실내조명을 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A BED LIGHT FRAME POSSIBLY EXCHANGE AND KEEPING OF PHOTOGRAPH}
본 고안은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의 헤드를 제 1,2헤드부재로 구분하여 제 1헤드부재 내부에는 사진 등을 보관하게 되고, 제 2헤드부재 내부에는 전면에서 볼 수 있도록 사진부재를 비치시키게 됨으로써 기념이 되는 사진을 침대에 선택적으로 교환하여 볼 수 있어 가족의 화합은 물론 실내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제 2헤드부재 내부에는 조명부재를 구비하여 사진부재를 투과하는 빛으로 스탠드 대용으로 사용하여 취침등 및 무드등의 침실 조명으로 사용하게 되는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寢臺)는 인간이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이는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조립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 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닿게 되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프레임 내부에 안착되어 인체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치게 되는 매트리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침대는 매트리스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데, 이 매트리스 내부에는 인체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특수하게 제작된 스프링 등이 내장되어 있고,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프레임의 일면에는 헤드가 수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침대는 많은 공간을 차지 하면서도 잠을 자는 한가지 기능만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침대 머리쪽에에 액자를 많이 진열하게 되는 데 진열할 곳이 마땅치 않아 침대 헤드나 협탁위에 올려 놓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침실에는 별도로 조명기구를 비치하게 되는 데, 주로 협탁위에 스탠드를 올려놓고 쓰게 된다. 이렇게 여러가지로 번거러움이 발생되게 되고, 올려 놓은 것들이 떨어지게 되면 위험한 일이 생길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침대와 대형 액자 기능을 하나로 묶은 침대의 헤드부에 기념하고자 하는 사진부재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비치하게 되고, 별도로 교환용 사진을 보관하게 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또한 침실용 조명 스탠드 기능을 겸비한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과 받침부재 및 매트리스로 이루어진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암체결구가 체결된 제 1헤드부재; 상기 제 1헤드부재의 암체결구에 체결되는 수체결구로써 상기 제 1헤드부재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부개방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하부와 양측으로 끼움홈을 갖는 전면개방부가 형성된 제 2헤드부재; 상기 제 2헤드부재의 상부개방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걸림돌부와 밀착돌부가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부재; 상기 전면개방부의 끼움홈과 상기 마감부재의 밀착돌부에 의해 밀착 고정된 사진부재; 및 상기 제 2헤드부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진부재에 빛을 투과시키는 조명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에 사진부재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40 : 헤드
50,70 : 제 1,2헤드부재 51 : 암체결구
52 : 보관함 54 : 자성체
60 : 커버 71 : 수체결구
72 : 상부개방부 74 : 전면개방부
75 : 끼움홈 80 : 마감부재
81 : 걸림돌부 83 : 밀착돌부
90 : 사진부재 91,92 : 제 1,2부재
93 : 사진 100 : 조명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에 사진부재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대(1)는 크게 프레임(10)과 받침부재(20) 및 매트리스(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직육면체로 조립 유지되고, 내부에는 매트리스(30)가 안착된다.
상기 받침부재(20)는 프레임(10)의 모서리에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적정 높이로 이격시키게 된다.
상기 매트리스(30)는 프레임(10) 내부에 상부가 돌출되도록 안착되고, 내부에는 스프링 등의 완충부재(미도시)가 내장되어 인체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게 된다.
한편, 프레임(10) 일면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도록 수직을 유지하여 헤드(40)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40)는 받침부재(20)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프레임(10)의 일단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프레임(10)의 폭보다 다소 넓게 형성된 제 1헤드부재(50)와, 제 1헤드부재(5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 제 2헤드부재(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헤드부재(50)는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암체결구(51)가 체결되고, 내부에는 후술되는 사진부재(90)가 보관되는 보관함(52)이 형성되며, 그 양측으로는 커버(60)가 부착된다.
상기 보관함(52)의 양측과 하부에는 자성체(54)가 각각 구비되어 커버(60)가 부착된다. 이때, 커버(60)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커버(60) 상부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 자성체(54)의 자력이 해제되면서 커버(6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부가 보관함(52) 내부로 유입되어 보관함(52)이 개방된다.
상기 제 2헤드부재(70)는 제 1헤드부재(50)의 암체결구(51)에 체결되는 수체결구(71)로써 상기 제 1헤드부재(5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제 2헤드부재(70)는 상부에 마감부재(80)가 삽입되는 상부개방부(72)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사진부재(90)가 삽입되도록 하부와 양측으로끼움홈(75)을 갖는 전면개방부(74)가 형성되어 사진부재(90)를 선택적으로 비치할 수 있는 대형 액자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마감부재(80)는 제 2헤드부재(70)의 상부개방부(72)에 삽입되고, 상부개방부(72) 내측의 걸림구(72a) 전면에 밀착되는 걸림돌부(81)와 사진부재(90)의 상부 타면이 밀착되는 밀착돌부(83)가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사진부재(90)는 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1부재(91)와, 흰색의 반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2부재(92)와, 제 1,2부재(91)(92) 사이에 압착되는 와이드칼라로 제작된 사진(93)으로 이루어진다.
즉, 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1부재(91)가 전면으로 위치되고, 흰색의 반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2부재(92)가 후면으로 위치되며, 제 1,2부재(91)(92) 사이에 와이드칼라로 제작된 사진(93)이 압착되어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 2헤드부재(70) 내부에는 다수의 조명부재(100)를 구비하여 사진부재(90)를 투과하는 빛으로 사진(93)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그 빛으로 스탠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조명부재(100)의 조명 밝기를 조절하여 취침등 및 무드등의 침실 조명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조명부재(100)는 형광등 및 그 밖의 조명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직육면체로 조립 유지되는 프레임(10)의 하부에 동일 높이의 받침부재(20)를 설치한 다음, 프레임(10) 일면에 수직을 유지하여 헤드(40)의 제 1헤드부재(50)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헤드부재(50) 상부에 제 2헤드부재(70)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즉, 제 1헤드부재(50) 상부에 제 2헤드부재(70)를 안착시킨 다음, 제 1헤드부재(50)의 암체결구(51)에 제 2헤드부재(70)의 내부에서 드라이브 등의 공구로써 수체결구(71)를 체결시키게 됨으로써 제 1헤드부재(50) 상부에 액자 역할을 하는 제 2헤드부재(70)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다.
그 다음으로 제 2헤드부재(70)의 상부개방부(72)를 통하여 사진부재(90)를 삽입시킨 다음, 전방개방부(74)의 끼움홈(75)에 사진부재(90)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진부재(90)의 하부와 양측이 전방개방부(74)의 끼움홈(75)에 삽입된다. 이때, 제 1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1부재(91)가 전면으로 위치되고, 흰색의 반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2부재(92)가 후면으로 위치되고, 제 1,2부재(91)(92) 사이에 와이드칼라로 제작된 사진(93)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헤드부재(70)의 상부개방부(72)를 통하여 마감부재(80)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마감부재(80)가 상부개방부(72)를 통하여 삽입되고, 마감부재(80)의 하부의 걸림돌부(81)가 상부개방부(72) 내측의 걸림구(72a)에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밀착돌부(83)가 사진부재(90)의 상부 타면에 밀착되어 사진부재(9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프레임(10) 내부에 스프링 등의 완충부재(미도시)가 내장된 매트리스(30)를 상부가 돌출되도록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침대(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침대(1)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헤드(40)의 제 1헤드부재(50) 내부에 형성된 보관함(52) 내부에 사진부재(90)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제 1헤드부재(50)의 보관함(52) 양측과 하부의 자성체(54)에 부착된 커버(60) 상부를 내측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커버(60)의 상부가 내측으로 밀리면서 수평을 유지하여 보관함(52)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양측과 하부의 자성체(54)의 자력이 해제되면서 보관함(52)이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관함(52) 내부에 사진부재(90)를 보관하게 되고, 제 2헤드부재(70)의 사진부재(90)를 교체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역순으로 보관함(52)에 보관된 사진부재(90)를 꺼내어 교환하게 된다.(도 6참조)
즉, 제 2헤드부재(70)의 상부개방부(72)로부터 마감부재(80)를 상방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면, 마감부재(80)가 상부개방부(72)를 통하여 상방으로 분리되고, 마감부재(80)의 하부의 걸림돌부(81)가 상부개방부(72) 내측의 걸림구(72a)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와 동시에 밀착돌부(83)가 사진부재(90)의 상부 타면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헤드부재(70)의 상부개방부(72)를 통하여 사진부재(90)를 상방으로 취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진부재(90)의 하부와 양측이 전방개방부(74)의 끼움홈(7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제 2헤드부재(70) 내부로부터 취출된 사진부재(90)는 제 1헤드부재(50)의 보관함(52) 내부에 보관시키고, 보관함(52)으로부터 취출시킨 사진부재(90)는 제 2헤드부재(70) 내부에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비치하게 된다.
한편, 제 2헤드부재(70) 내부의 조명부재(100)에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조명부재(100)에서 빛이 발생되어 전면개방부(74)의 끼움홈(75)과 마감부재(80)에 고정된 사진부재(90), 즉 제 1,2부재(91)(92)와 사진(93)에 조명부재(100) 빛이 투과되어 사진(93)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진부재(90)의 사진(90)에 대한 밝고 어두운 농도에 따라 투과되는 조명부재(100) 빛의 밝기가 다르게 된다. 즉, 사진(93)의 배경이 밝게 되면 투과되는 조명부재(100) 빛이 밝게 되고, 반대로 사진(93)의 배경이 어둡게 되면 투과되는 조명부재(100) 빛이 어둡게 되어 실내의 밝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연출하고 싶은 대로 사진(93)을 선택적으로 교환하여 실내 분위기 연출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침대의 헤드를 제 1,2헤드부재로 구분하여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 1헤드부재 내부에는 사진부재가 보관되는 보관함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제 2헤드부재 내부에는 투명아크릴과 흰색의 반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1,2부재와, 제 1,2부재 사이에 압착되는 와이드칼라로 제작된 사진으로 이루어진 사진부재를 비치하게 됨으로써 침대의 고유의 기능과 가족의 화합은 물론 실내 장식미를 얻을 수 있게 되게 되었으며, 또한 제 2헤드부재 내부에는 조명부재를 구비하여 사진부재를 투과하는 빛으로 스탠드 대용으로 사용하여 취침등 및 무드등의 침실 조명으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프레임과 받침부재 및 매트리스로 이루어진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일단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암체결구(51)가 체결된 제 1헤드부재(50);
    상기 제 1헤드부재(50)의 암체결구(51)에 체결되는 수체결구(71)로써 상기 제 1헤드부재(5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부에는 상부개방부(72)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하부와 양측으로 끼움홈(75)을 갖는 전면개방부(74)가 형성된 제 2헤드부재(70);
    상기 제 2헤드부재(70)의 상부개방부(72)를 통하여 삽입되고, 걸림돌부(81)와 밀착돌부(83)가 하부에 각각 구비된 마감부재(80);
    상기 전면개방부(74)의 끼움홈(75)과 상기 마감부재(80)의 밀착돌부(83)에 의해 밀착 고정된 사진부재(90); 및
    상기 제 2헤드부재(7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사진부재(90)에 빛을 투과시키는 조명부재(1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헤드부재(50)는 내부에 상기 사진부재(90)가 보관되도록 보관함(52)이 형성되고,
    상기 보관함(52)의 양측과 하부에는 자성체(54)가 각각 구비되어 커버(6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부재(90)는
    투명아크릴과 흰색의 반투명아크릴로 이루어진 제 1부재(91) 및 제 2부재(92)와,
    상기 제 1,2부재(91)(92) 사이에 압착되는 와이드칼라로 제작된 사진(9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KR2020010019354U 2001-06-27 2001-06-27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KR200249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54U KR200249367Y1 (ko) 2001-06-27 2001-06-27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54U KR200249367Y1 (ko) 2001-06-27 2001-06-27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67Y1 true KR200249367Y1 (ko) 2001-11-16

Family

ID=7310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354U KR200249367Y1 (ko) 2001-06-27 2001-06-27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57Y1 (ko) * 2011-07-18 2013-03-19 서형식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57Y1 (ko) * 2011-07-18 2013-03-19 서형식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293B2 (en) Lamp hav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panels
US7146760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lluminated object
USD544981S1 (en) Four lamp capacity low profile light fixture
USD478974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D487528S1 (en) Light fixture
US20090019752A1 (en) Decorative night light device
USD487815S1 (en) Wall light
USD497217S1 (en) Light fixture
US20040130899A1 (en) Decorative illumination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US7080918B2 (en) LED illuminated frame
KR200249367Y1 (ko) 사진의 교환 및 보관이 가능한 조명 액자 침대
USD544130S1 (en) Four lamp capacity low profile light fixture
USD464161S1 (en) Luminaire
KR101059774B1 (ko) 보석함
KR101213536B1 (ko) 액자
USD473004S1 (en) Wall light
CN210688589U (zh) 新风装置及定位机构
USD492438S1 (en) Wall mounted light fixture
USD543306S1 (en) Outdoor luminaire
US20100088941A1 (en) Frame with illuminated picture
USD524434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up and down light
JP5329507B2 (ja) 小型仏壇
USD533653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USD465945S1 (en) Hanging display fixture
USD418928S (en) Base for LED light bul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