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175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175A
KR20110068175A KR1020090125025A KR20090125025A KR20110068175A KR 20110068175 A KR20110068175 A KR 20110068175A KR 1020090125025 A KR1020090125025 A KR 1020090125025A KR 20090125025 A KR20090125025 A KR 20090125025A KR 20110068175 A KR20110068175 A KR 2011006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forming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389B1 (ko
Inventor
이동범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89B1/ko
Priority to US12/764,758 priority patent/US8518285B2/en
Priority to TW099134846A priority patent/TWI496123B/zh
Publication of KR2011006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9Complete cover or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조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베리어층과 기판 사이의 필오프(peel-off)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e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기판에 구현되어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는다. 현재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채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지지 기판 위에 플라스틱을 코팅하고 그 위에 배리어(barrier)를 증착한 후 백플레인(backplane) 형성 및 박막 인캡(Thin Film Encapsulation: TFE) 공정을 적용한다. 현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은 유 기 화소정의막을 사용하고, TFE 공정시 두꺼운 패시베이션막을 형성하여 패시베이션막의 유기층에 의해 평탄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후 플라스틱 패널을 지지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상하부에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베리어층과 제1 기판 사이의 필오프(peel-off)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접착을 강화시키는 보강층과,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보강부재의 측부를 둘러싸는 베리어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제2 기판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일측에 평활면을 가지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 상에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층 상에 플렉서블한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접착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상기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ITO를 증착함으로써 상기 보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층 상에 상기 보강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보강층 상의 영역에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형성 후, 상기 격벽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층 중 상기 제2 기판이 덮이지 않은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이 식각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습식 식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은 상기 제2 기판에 비해 상기 보강층의 식각률이 높은 에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상면,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보강층의 측부, 및 상기 제1 부분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제1 기판 상의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일측에 평활면을 가지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 상에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층 상에 플렉서블한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리어층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보강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층 상에 상기 보강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보강층 상의 영역에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형성 후, 상기 격벽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층 중 상기 제2 기판이 덮이지 않은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이 습식 식각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은 상기 제2 기판에 비해 상기 보강층의 식각률이 높은 에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기판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베리어층과 제1 기판 사이의 필오프(peel-off)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판(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100)은 제1 기판(101), 보강층(103), 제2 기판(102), 및 베리어층(10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기판(101)은 적어도 일측에 평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판(101)의 평활면 상에는 보강층(103), 제2 기판(102) 등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기판(101)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층(103)은 제1 기판(101)의 평활면 상에 형성되며,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 사이에 배치된다. 보강층(103)과 제2 기판(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1)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제1 기판(101)의 가장자리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제2 기판(102)이 연성을 가진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데, 유리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101) 상에 합성 수지재인 제2 기판(102)을 직접 형성하면 유기와 합성 수지재 사이의 접착 특성이 좋지 않아 이후 공정 중에 제2 기판(102)이 뜯겨 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보강층(103)은 유리재인 제1 기판(101)과 합성 수지재인 제2 기판(10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 사이의 접착 특성을 향상시켜서 이후 공정 후에 제2 기판(102)이 뜯겨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층(103)은 ITO로 이루어지며, 제1 기판(101) 상에 증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제2 기판(102) 상에 형성되며, 특히 베리어층(104)은 제2 기판(102)의 상부를 덮으면서 제2 기판(102)의 측부와 보강층(103)의 측부를 덮도록 제1 기판(101)에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층(104) 상에는 유기 발광부(도 8의 110)가 형성된다. 베리어층(104)은 산소, 수분 등 이물질이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을 통해 유기 발광부(11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베리어층(104)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다층의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산화 규소(SiOx)막과 질화 규소(SiNx)막이 교대로 적층된 다층막일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on)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기판을 제조 공정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적어도 일측에 평활면을 가지는 제1 기판(101)을 준비하고, 제1 기판(101)의 평활면 상 일부에 보강층(103)을 도포한다. 제1 기판(101)은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층(103)은 제1 기판(101) 상에 ITO를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보강층(10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격벽(105)을 형성한다. 격벽(105)은 보강층(103)의 중심부는 도포하지 않고 보강층(103)의 가장자리만을 도포한다. 격벽(105)에 의해 둘러싸인 보강층(103) 상에는 제2 기판(102)이 형성된다. 제2 기판(102)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102)은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에 의해 형성된다. 격벽(105)은 형성될 제2 기판(102)의 높이(t2) 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격벽(105)의 높이는 제2 기판(102)의 높이(t2)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 격벽(105)은 제2 기판(102)이 형성되는 동안에 합성수지재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격벽(105)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제2 기판(102) 형성 후 격벽(105)을 제거한다. 이후, 보강층(103)의 제1 부분(103a)을 제거한다. 제1 부분(103a)은 보강층(103) 중 제2 기판(102)이 덮이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제1 부분(103a)의 제거는 식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습식 식각에 의해 제1 부분(103a)가 제거될 수 있다. 제1 부분(103a)의 제거 단계에서는 제1 부분(103a)이 선택적으로 식각되며, 제2 기판(102)은 식각되지 않는다. 제1 부분(103a)의 선택적 식각은 식각액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부분(103a)에 대한 식각률이 제2 기판(102)의 식각률보다 큰 식각액을 사용함으로써 제1 부분(103a)의 선택적 식각이 가능하다.
도 6은 제1 부분(103a)가 제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식각에 의해 제1 부분(103a)이 제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은 제1 기판(101) 상에 보강층(103)과 제2 기판(102)이 적층되어 있으며, 제1 기판(101)의 가장자리에는 보강층(103)의 제1 부분(도5의 103a)가 제거되어 보강층(103) 및 제2 기판(102)이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에는 격벽(105)을 제거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행하여졌으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의 경우 포토 리지스트 도포, 노광, 현상등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였으며, 또한 보강층(103)의 제1 부분(103a)의 제거가 불완전하여 베리어층(104)과 제1 기판(101)이 분리되는 필오프(peel off)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이 아닌 식각에 의해 보강층(103)의 제1 부분(103a)을 제거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 절감되며, 필오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층(104)은 제2 기판(102)의 상면을 모두 덮으며, 또한, 제2 기판(102)의 측부와 보강층(103)의 측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1 기판(101)의 가장자리까지 도포된다. 베리어층(104)은 산소, 수분 등 이 물질이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을 통해 유기 발광부(11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베리어층(104)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다층의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산화 규소(SiOx)막과 질화 규소(SiNx)막이 교대로 적층된 다층막일 수 있다. 베리어층(104)은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on)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100)을 준비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층(104) 상에 유기 발광부(110)와 봉지부(120)을 형성한다.
유기 발광부(110)는 화소 회로부(130)와 유기 발광 소자(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부(110)는 베리어층(104) 상에 순차적으로 화소 회로부(130)와 유기 발광 소자(140)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회소 회로부(130)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00)의 베리어층(104) 상에 소정 패턴의 활성층(52)이 구비된다. 활성층(52)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53)이 구비되고, 게이트 절연막(53) 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5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54)은 박막 트랜지스터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54)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55)이 형성되고, 컨택 홀을 통해 소스/드레 인 전극(56)(57)이 각각 활성층(52)의 소스/드레인 영역(52b)(52c)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전극(56)(57) 상부에는 절연막(58)이 형성된다. 절연막(58)은 SiO2, SiNx 등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일 수 있다. 절연막인 패시베이션막(58)의 상부에는 아크릴(acryl), 폴리 이미드(polyimide), BCB(Benzocyclobutene) 등의 유기물질로 평탄화막(5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평탄화막(59)의 상부에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 전극이 되는 화소 전극(141)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유기물로 화소 정의막(Pixel Define Layer: 144)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144)에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 후, 화소 정의막(144)의 상부 및 개구가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화소 전극(141)의 상부에 중간층(142)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간층(142)은 발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140)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56)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공급받는 화소 전극(141)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되어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하는 대향 전극(143) 및 이들 화소 전극(141)과 대향 전극(143)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중간층(142)으로 구성된다.
화소 전극(141)과 대향 전극(143)은 중간층(14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중간층(14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중간층(142)에서 발광이 이뤄지 도록 한다.
여기서, 중간층(14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층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저분자 유기층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층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층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간층(142)은 스핀 코팅(spin coatin)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소 전극(141)과 화소 정의막(144)을 덮도록 유기 물질을 도포한다. 이후 기판(50)을 회전시킨다. 기판(50)의 회전량에 따라 화소 정의막(144) 상에 도포된 유기 물질은 제거되고, 화소 전극(141) 상에 도포된 유기 물질만이 남게 된다. 다음 으로, 화소 전극(141) 상에 도포된 유기 물질을 소성시켜서 중간층(142)을 형성할 수 있다.
화소 전극(14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 전극(143)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41)과 대향 전극(14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화소 전극(141)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대향 전극(143)은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 데,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대향 전극(143)이 캐소드 전극으로 사용되므로,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이 중간층(62)의 방향을 향하도록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전극 형성용 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위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을 전면 증착하여 형성한다.
유기 발광부(110) 형성 후에는 봉지부(110)로 유기 발광부(110)를 밀봉한다. 봉지부(110)는 유기물 박막층과 무기물 박막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다른 변형예로서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102)과 제1 기판(101)을 분리하는 층간 분리(delamination) 공정이 수행된다. 보강층(103)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레이저빔의 조사 또는 화학적 용해 등의 방법을 통해 보강층(103)을 박리시킴으로써 제1 기판(101)을 제2 기판(10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기판을 제조 공정별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제1 기판 103: 보강층
102: 제2 기판 104: 베리어층
110: 유기 발광부 120: 봉지부
130: 화소 회로부 140: 유기 발광 소자

Claims (25)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접착을 강화시키는 보강층;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보강부재의 측부를 둘러싸는 베리어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IT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
  6. 적어도 일측에 평활면을 가지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상에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층 상에 플렉서블한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접착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ITO를 증착함으로써 상기 보강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층 상에 상기 보강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보강층 상의 영역에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형성 후,
    상기 격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층 중 상기 제2 기판이 덮이지 않은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이 식각을 통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습식 식각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은 상기 제2 기판에 비해 상기 보강층의 식각률이 높은 에천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판의 상면, 상기 제2 기판 및 상기 보강층의 측부, 및 상기 제1 부분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제1 기판 상의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판의 제조 방법.
  19. 적어도 일측에 평활면을 가지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상에 보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층 상에 플렉서블한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기판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보강층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부를 둘러싸는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리어층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부를 밀봉하는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보강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층 상에 상기 보강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 계; 및
    상기 격벽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보강층 상의 영역에 상기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형성 후,
    상기 격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층 중 상기 제2 기판이 덮이지 않은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이 습식 식각을 통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식각은 상기 제2 기판에 비해 상기 보강층의 식각률이 높은 에천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스핀 코팅(Spin Coating)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기판은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90125025A 2009-12-15 2009-12-1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3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25A KR101137389B1 (ko) 2009-12-15 2009-12-1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12/764,758 US8518285B2 (en) 2009-12-15 2010-04-21 Substrate section for flexible display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s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ubstrate
TW099134846A TWI496123B (zh) 2009-12-15 2010-10-13 用於可撓性顯示裝置之基板部分、製造該基板部分之方法及製造該顯示裝置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25A KR101137389B1 (ko) 2009-12-15 2009-12-1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086A Division KR101550709B1 (ko) 2011-07-18 2011-07-18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75A true KR20110068175A (ko) 2011-06-22
KR101137389B1 KR101137389B1 (ko) 2012-04-20

Family

ID=4414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025A KR101137389B1 (ko) 2009-12-15 2009-12-1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18285B2 (ko)
KR (1) KR101137389B1 (ko)
TW (1) TWI49612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289A (ko) * 2011-08-16 2013-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4797A (ko) * 2015-10-15 2017-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JP2021140174A (ja) * 2016-04-26 2021-09-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2804B2 (en) * 2010-02-09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barrier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327511A (zh) 2011-12-20 2013-07-01 Au Optronics Corp 可撓式顯示器
KR101887217B1 (ko) 2012-01-06 2018-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18548A (ko) * 2012-08-02 201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0776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0037B1 (ko) 2013-11-06 2020-1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0848A (ko) * 2014-03-20 2015-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06003B1 (ko) * 2014-04-22 2021-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7800B1 (ko) 2014-08-29 2016-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439431B1 (en) * 2016-03-28 2022-06-15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Substrate for flexible devi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50694B1 (ko) * 2016-07-12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768415B (zh) * 2017-10-30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件、显示装置以及制造方法
KR20200003328A (ko) 2018-06-29 2020-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01066B (zh) * 2018-10-24 2022-08-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基板、显示装置以及柔性基板的制造方法
KR20200054425A (ko) * 2018-11-09 2020-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0473964A (zh) * 2019-08-16 2019-11-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294A (ko) 2001-10-17 2003-04-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스핀코팅에 의한 박막 제조방법
US7404751B2 (en) * 2002-09-17 2008-07-29 Dai 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JP2004111158A (ja) * 2002-09-17 2004-04-08 Dainippon Printing Co Ltd 発光表示パネル
JP2007090803A (ja) 2005-09-30 2007-04-12 Fujifilm Corp ガスバリア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素子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31562B1 (ko) * 2006-03-23 2008-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연성 기판 반송용 점착제 조성물
KR101245217B1 (ko) * 2006-06-12 2013-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1744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점착반송기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500684B1 (ko) * 2008-04-17 2015-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리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9289A (ko) * 2011-08-16 2013-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44797A (ko) * 2015-10-15 2017-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JP2021140174A (ja) * 2016-04-26 2021-09-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6123B (zh) 2015-08-11
US20110139747A1 (en) 2011-06-16
TW201128597A (en) 2011-08-16
KR101137389B1 (ko) 2012-04-20
US8518285B2 (en)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38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1772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US969202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0235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328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796171B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906020B2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419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4615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9666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09733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 하는 방법
KR20140120510A (ko)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10049578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2013168242A (ja) 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2012025214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08419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70158648A1 (en)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287634A (ja) 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トランジスタ基板の製造方法
KR10155070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기판제조방법을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234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18007A (ko)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
US2014015482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267967B1 (ko) 유기발광소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0647629B1 (ko)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기판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기판, 평판 표시장치의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평판 표시장치
JP2012023064A (ja) 導電部形成方法、導電部及び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