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952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952A
KR20110067952A KR1020090124751A KR20090124751A KR20110067952A KR 20110067952 A KR20110067952 A KR 20110067952A KR 1020090124751 A KR1020090124751 A KR 1020090124751A KR 20090124751 A KR20090124751 A KR 20090124751A KR 20110067952 A KR20110067952 A KR 20110067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age unit
temperature
refrigerat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518B1 (ko
Inventor
김은정
오상호
소재현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5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물의 신선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차폐되도록 하는 도어; 상기 본체 또는 도어에 제공되며, 복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저장 시간이 각각 카운트 되도록 하는 복수의 타이머; 상기 복수의 저장부 온도가 각각 감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 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가 제 1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정온 모드로부터 제 2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냉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시간 경과에 따라 특정한 저장물에 대하여 정온 및 냉동 보관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저장물의 신선한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체, 저장실, 홈바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A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물의 신선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저장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전방에는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고 도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실에는 저장물의 냉장 보관이 이루어지는 냉장실과, 저장물의 냉동 보관이 이루어지는 냉동실이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은 대략 2 ~ 3℃의 온도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은 대략 -18 ~ -2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에 저장되는 저장물에는 저장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육류와 같은 음식물이 포함될 수 있다. 육류는 냉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입 즉시 요리하여 먹는 것이 가장 맛이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육류를 즉시 요리하지 않 는 경우, 또는 육류 중 일부가 남은 경우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 육류를 냉장실에 보관할 경우에는 1~2일 정도밖에 보관할 수 없고 그 이상 보관하게 되면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육류를 냉동실에 보관할 경우에는 상하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는 있으나, 냉동 후 해동시켜 먹으면 맛이 많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육류와 같은 특정한 저장물에 대하여, 맛과 신선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적절한 온도 환경에 보관시킬 수 있는 저장실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물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특정한 조건의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차폐되도록 하는 도어; 상기 본체 또는 도어에 제공되며, 복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저장 시간이 각각 카운트 되도록 하는 복수의 타이머; 상기 복수의 저장부 온도가 각각 감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 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가 제 1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정온 모드로부터 제 2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냉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는, 저장물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저장부가 제 1 설정온도의 정온 모드로 유지되는 단계; 상기 저장물이 저장된 이후의 시간이 카운트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를 제 2 설정온도의 냉동 모드로 전환하도록 냉충격 운전이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실이 일정기간 정온 모드로 유지되고, 이후에는 냉동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저장물의 맛과 신선도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저장실에서 정온 모드 및 냉동 모드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동 보관을 위하여 저장물을 별도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조건의 저장실이 냉장고 도어 홈바에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장실에 자외선 발광부 또는 가시광선 발광부가 제공되어, 저장물의 미생물 번식을 방지하고,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바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냉장실(12) 및 냉동실(14)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회동 가능 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12) 및 냉동실(14)은 격벽(13)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에는, 상기 냉장실(1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2) 및 상기 냉동실(14)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4)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24)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도어(24a)와, 내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4b) 및 상기 아웃 도어(24a)와 도어 라이너(24b)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24c)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24)에는 소정의 개구부(26)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6)에는 저장물을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 홈바(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바(100)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120) 및 상기 개구부(26)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 도어(110)가 포함된다. 상기 홈바 도어(110)는 힌지부(119)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저장실(120)에는, 구획부(130)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구획되는 복수의 저장부, 즉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120)에 2개의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는 달리 3,4개 또는 그 이상의 저장부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획부(130)에는 단열재가 포함되어, 상기 제 1 저장부(121)와 제 2 저장부(125)간에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저장부(121,125)와 냉동실(14)간의 단열을 위하여 상기 저장실(120)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단열 필름등이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실(120)에 저장되는 저장물이 육류일 경우, 상기 제 1 저장부(121)에 먼저 저장되며, 이후에 보관할 필요가 있는 추가적인 육류는 상기 제 2 저장부(125)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저장부(121)를 "최초 저장부", 상기 제 2 저장부(125)를 "추가 저장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획부(130)의 전면에는 상기 홈바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구획부(130)와 상기 홈바 도어(100)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는 실링 부재(132)가 제공된다. 상기 실링 부재(132)에 의하여, 상기 제 1 저장부(121)와 제 2 저장부 사이의 냉기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홈바 도어(110)에는, 상기 홈바 도어(110)의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홈바 아웃 도어(112)와, 상기 홈바 도어(110)의 내부 외관을 형성하는 형성하는 홈바 도어 라이너(114)가 포함된다. 상기 홈바 아웃 도어(112)와 홈바 도어 라이너(114)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홈바 도어 라이너(114)는 상기 개구부(26)의 내측 테두리부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바 도어(110)에는 걸쇠 부재(106)가 제공되며, 상기 개구부(26)의 일측에는 상기 걸쇠 부재(106)에 대응되는 래치 어셈블리(105)가 제공된다. 상기 홈바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쇠 부재(106)는 상기 래치 어셈블리(105)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26)의 좌우 상측에는, 상기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 장부(125)에 저장물이 보관되었을 경우 각각 조작될 수 있는 제 1 입력부(27) 및 제 2 입력부(28)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 1 저장부(121) 또는 제 2 저장부(125)에 저장물을 저장시킨 이후에, 상기 제 1 입력부(27) 또는 제 2 입력부(28)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0)에는, 상기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의 벽면을 형성하는 저장실 벽(128)이 제공된다.
상기 저장실 벽(128)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실(120)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도어 공급구(122) 및 도어 배출구(12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공급구(122) 및 도어 배출구(123)는 상기 제 1 저장부(121) 측에 형성되는 저장실 벽(128)에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14)의 일측 벽면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공급구(122) 및 도어 배출구(123)와 연통되는 본체 공급구(17) 및 본체 배출구(1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 공급구(17) 및 본체 배출구(18)는 냉기를 생성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본체 공급구(17)로 이동되는 냉기는 상기 도어 공급구(122)를 통하여 상기 제 1 저장부(121)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부(121)를 순환한 냉기는 상기 도어 배출구(123)를 통하여 상기 본체 배출구(18)로 배출되며, 상기 열교환기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 벽(128)의 타측에는, 상기 저장실(120)로 유입되는 냉기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로서 댐퍼(126)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댐퍼(126) 는 상기 제 2 저장부(125) 측에 형성되는 저장실 벽(128)에 구비된다. 상기 댐퍼(126)가 개방되면, 상기 냉동실(14)의 냉기는 상기 제 2 저장부(125)로 유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실(120)에는, 구획부(130)에 의하여 구획되는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의 내측 벽면에는 제 1 발광부(141) 및 제 2 발광부(14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발광부(141) 및 제 2 발광부(142)에는 각각, 살균 작용에 의하여 저장물의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자외선 발광부 및 육류등의 품질 저하 속도를 늦춰줄 수 있는 가시광선 발광부가 포함된다.
상기 발광부는 "LED" (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되며, 상기 가시광선 발광부에는 "Red LED" 및 "Blue LED"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의 내면(129)은, 상기 자외선 발광부에 의한 저장부의 재질 변형 또는 색상 변화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상기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에 저장물이 저장되었을 경우 선택되는 제 1 입력 부(27) 및 제 2 입력부(28)와, 열교환기의 일측에 제공되어 냉기를 상기 저장실(120)로 불어주는 송풍 팬(150)과, 상기 제 1 저장부(121) 및 제 2 저장부(125)의 내부 온도가 각각 감지되도록 하는 제 1 온도센서(161) 및 제 2 온도센서(162)와, 상기 제 1 입력부(27) 및 제 2 입력부(28)의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저장 시간이 카운트 되는 제 1 타이머(171) 및 제 2 타이머(172)와, 상기 제 2 저장부(125) 측으로 상기 냉동실(14)의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조절되는 댐퍼(126)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저장부(121) 또는 제 2 저장부(125)에 저장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 1 입력부(27) 또는 제 2 입력부(28)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타이머(171) 또는 제 2 타이머(172)에 의하여 경과된 시간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물이 저장된 이후 처음에는 저장물이 얼지 않는 온도 (이하에서는 "정온"이라 칭한다)에서 "정온 모드"를 유지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물을 냉동시켜 저장하는 "냉동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저장부에 대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저장부에 대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저장부(121)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저장부(121)는 저장물이 먼저 저장되는 "최초 저장부"이며, 상기 제 2 저장부(125)는 상기 제 1 저장부(121)가 채워진 이후에 추가적으로 저장되는 "추가 저장부"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부(121)에 육류와 같은 저장물이 저장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입력부(27)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타이머(171)가 작동되어 상기 저장물의 저장시간이 카운트 된다 (S11,S12).
그리고, 상기 제 1 입력부(27)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물의 정온 보관을 위하여 제 1 Quick Cooling (냉충격 운전)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저장물의 이전 보관상태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저장물은 실온 상태에서 냉장고에 저장될 것이므로 약 10-15℃의 온도 상태에서 냉장고에 저장될 것이다. 만약, 상기 저장물이 10-15℃인 상태로 장시간 경과한다면 상하거나 부패될 것임은 충분히 예상 가능하다.
따라서, 저장물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빠른 시간내에 상기 저장물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Quick Cooling이 실시되며, 상기 제 1 Quick Cooling은 상기 송풍팬(150)이 작동되어 상기 본체 공급구(17)로부터 상기 도어 공급구(122)로 냉기가 공급된다 (S13).
한편, 상기 제 1 Quick Cooling 과정에서, 상기 제 1 발광부(141) 중 자외선 LED가 ON 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LED가 ON 되면,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미생물 번식을 막는 살균 작용이 행해질 수 있다 (S15).
상기 제 1 저장부(121)에 냉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부(121) 내부의 온도는 빠르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내부 온도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161)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저장부(121) 온도가 "제 1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설정온도"는 저장물, 예를 들어 육류가 얼지 않은 "생고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온도"는 약 -2℃ ~ 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S16).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풍팬(150)의 구동은 정지되며,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내부는 상기 제 1 설정온도의 "정온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 (S17,S18). 반면에,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온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S14 단계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정온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발광부(141) 중 Red+Blue LED가 발광되어, 저장물의 품질 저하 속도를 늦춰줄 수 있다 (S19).
상기 정온 모드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된다 (S20).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저장물이 상기 정온 모드로 유지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상기 저장물이 육류일 경우 상기 육류의 품질 변화가 최소한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시간 한계값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시간 한계값은 대략 5~7일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물을 냉동시키기 위한 제 2 Quick Cooling이 실시될 수 있다 (S21). 상기 제 2 Quick Cooling 과정에서, 상기 송풍팬(150)은 작동되며 상기 본체 공급구(17)로부터 상기 도어 공급구(122)로 냉기가 공급된다 (S22). 반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S18 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도어 공급구(122)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온도가 "제 2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3).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온도가 상기 제 2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송풍팬(150)은 정지되어 제 2 Quick Cooling이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설정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21 단계로 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제 2 설정온도는 저장물을 냉동 보관하기 위한 온도로서 약 -18℃ ~ 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제 1 저장부(121)의 저장물은 냉동 모드 하에서 냉동 보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저장부(125)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 2 저장부(125)에 육류와 같은 저장물이 저장되고, 사용자에 의하여 제 2 입력부(28)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타이머(172)가 작동되어 상기 저장물의 저장시간이 카운트 된다 (S31,S32).
그리고, 상기 제 2 입력부(28)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물의 정온 보관을 위하여 제 1 Quick Cooling이 실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댐퍼(126)가 완전 개방되며, 상기 냉동실(14)의 냉기는 개방된 상기 댐퍼(126)를 통하여 상기 제 2 저장부(125)로 유입될 수 있다 (S33,S34).
한편, 상기 제 1 Quick Cooling 과정에서, 상기 제 2 발광부(142) 중 자외선 LED가 ON 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LED가 ON 되면,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미생 물 번식을 막는 살균 작용이 행해질 수 있다 (S35).
상기 제 2 저장부(125)에 냉기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 2 저장부(125) 내부의 온도는 빠르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내부 온도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162)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2 저장부(125) 온도가 "제 3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3 설정온도"는 저장물, 예를 들어 육류가 얼지 않은 "생고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설정온도"는 약 -2℃ ~ 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S36).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온도가 상기 제 3 설정온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댐퍼(126)는 폐쇄되며,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내부는 상기 제 3 설정온도의 "정온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 (S37,S38). 반면에,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온도가 상기 제 3 설정온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S34 단계로 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정온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발광부(142) 중 Red+Blue LED가 발광되어, 저장물의 품질 저하 속도를 늦춰줄 수 있다 (S39).
상기 정온 모드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된다 (S40).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저장물이 상기 정온 모드로 유지될 수 있는 시간으로서, 대략 5~7일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저장물을 냉동시키기 위한 제 2 Quick Cooling이 실시될 수 있다 (S41). 상기 제 2 Quick Cooling 과정에서, 상기 댐퍼(126)는 완전 개방되며, 상기 냉동실(14)의 냉기는 개방된 상기 댐퍼(126)를 통하여 상기 제 2 저장부(125)로 유입될 수 있다 (S42). 반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S38 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댐퍼(126)를 통하여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온도가 "제 4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3). 상기 제 2 저장부(121)의 온도가 상기 제 4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댐퍼(126)는 폐쇄되어(S44) 제 2 Quick Cooling이 종료된다.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41 단계로 돌아간다. 여기서, 상기 제 4 설정온도는 저장물을 냉동 보관하기 위한 온도로서 약 -18℃ ~ 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제 2 저장부(125)의 저장물은 냉동 모드 하에서 냉동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저장부의 위치 및 형태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본체(10)에는 냉장실(12) 및 냉동실(14)이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12)에는 "저장실"로서 저장 박스(300)가 제공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저장 박스(300)가 상기 냉ㄷ동(14)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저장 박스(300)는 냉장실(12)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저장 박스(300)에는,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저장부(310) 및 제 4 저장부(320)와, 상기 제 3,4 저장부(310,32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박스 커버(350) 및 상기 제 3 저장부(310)와 제 4 저장부(320)를 구획하는 구획벽(33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저장부(310) 및 제 4 저장부(320)는 상기 본체(10)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박스 커버(350)는 상기 제 3,4 저장부(310,320)를 동시에 차폐할 수도 있고, 상기 제 3 저장부(310) 및 제 4 저장부(320)를 각각 차폐하도록 별도의 커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3 저장부(310) 및 제 4 저장부(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 3,4 저장부(310,320)에 저장물이 저장되었음을 확인하는 제 3 입력부(312) 및 제 4 입력부(314)가 각각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3,4 저장부(310,320)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 3,4 저장부(310,320)의 내부 및 외부가 실링되도록 하는 실링부(340)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2)의 후방에는,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생성되는 냉기가 상기 제 3,4 저장부(310,320)로 각각 송풍되도록 하는 제 3 송풍기(316) 및 제 4 송풍기(32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3,4 송풍기(316,326)의 전방, 즉 상기 냉장실(12)의 후측벽에는 각각 제 3 댐퍼(314) 및 제 4 댐퍼(324)가 제공되며, 상기 제 3 저장부(310)에는 상기 제 3 댐퍼(31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댐퍼 대응부(318)가 형성된다. 도면 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4 저장부(320)에는, 상기 제 4 댐퍼(32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댐퍼 대응부가 형성된다.
상기 댐퍼 대응부(318)는, 상기 제 3 저장부(3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댐퍼(314)의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댐퍼(314)가 개방되면, 냉기는 상기 댐퍼 대응부(318)를 통하여 상기 제 3 저장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댐퍼(314) 및 제 4 댐퍼(324)는, 위에서 설명한 "Quick Cooling" 과정에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과 유사한 바,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저장부가 본체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육류와 같은 특정의 저장물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정온 또는 냉동 모드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는 바, 저장물의 신선도가 좋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홈바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저장부에 대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저장부에 대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가 차폐되도록 하는 도어;
    상기 본체 또는 도어에 제공되며, 복수의 저장부를 가지는 저장실;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저장 시간이 각각 카운트 되도록 하는 복수의 타이머;
    상기 복수의 저장부 온도가 각각 감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 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가 제 1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정온 모드로부터 제 2 설정온도가 유지되는 냉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 모드 및 냉동 모드에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냉충격 운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복수의 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는,
    상기 본체의 공급구와 연통되어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도어 공급구를 가지는 제 1 저장부; 및
    상기 본체 내부의 냉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하는 댐퍼를 가지는 제 2 저장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본체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저장부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저장 박스인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부에 저장물이 각각 저장되었을 때, 입력 가능한 복수의 입력부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7. 저장물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입력부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저장부가 제 1 설정온도의 정온 모드로 유지되는 단계;
    상기 저장물이 저장된 이후의 시간이 카운트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를 제 2 설정온도의 냉동 모드로 전환하도록 냉충격 운전이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물이 저장된 이후, 상기 정온 모드 유지를 위하여 또 다른 냉충격 운전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저장부는 저장 시간이 별도로 카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온 모드 및 냉동 모드에서,
    상기 저장부에서 감지된 값과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냉충격 운전시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090124751A 2009-12-15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65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51A KR101652518B1 (ko) 2009-12-15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51A KR101652518B1 (ko) 2009-12-15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52A true KR20110067952A (ko) 2011-06-22
KR101652518B1 KR101652518B1 (ko) 2016-08-30

Family

ID=4440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51A KR101652518B1 (ko) 2009-12-15 2009-12-15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3497A (zh) * 2012-09-25 2014-03-26 张美沛 泡菜冰箱断电恢复控制方法
CN108507260A (zh) * 2018-04-03 2018-09-07 乔玉环 一种恒温控制生理学冰点温度的智能保鲜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569A (ja) * 1996-03-29 1997-10-07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冷却加熱制御装置
KR20080031069A (ko) * 2006-10-0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569A (ja) * 1996-03-29 1997-10-07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冷却加熱制御装置
KR20080031069A (ko) * 2006-10-02 2008-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3497A (zh) * 2012-09-25 2014-03-26 张美沛 泡菜冰箱断电恢复控制方法
CN108507260A (zh) * 2018-04-03 2018-09-07 乔玉环 一种恒温控制生理学冰点温度的智能保鲜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518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334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KR101570348B1 (ko) 바텀프리져타입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7059142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KR20200107390A (ko) 냉장고
JP2013242084A (ja) 冷蔵庫
EP3132214B1 (en) Refrigerator
KR100756512B1 (ko) 심온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JP2018004228A (ja) 冷蔵庫
KR2011006795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651307B1 (ko) 냉장고
KR101480458B1 (ko) 냉장고
JP2007187362A (ja) 冷蔵庫
JP7458803B2 (ja) 冷蔵庫
KR20230002907A (ko) 냉장고 내의 온도 제어 서랍
KR20100039559A (ko) 냉장고
KR100804607B1 (ko) 식품저장고의 구동 제어방법
JP7419782B2 (ja) 冷蔵庫
KR20140124115A (ko) 냉장고
JPH07305936A (ja) 冷蔵庫
KR20140019901A (ko) 밀폐식 야채케이스가 구비된 냉장고
KR100756364B1 (ko) 복합형 식품 저장고
JP5277760B2 (ja) 冷蔵庫
KR101187121B1 (ko) 보관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660100B1 (ko) 김치냉장고의 증발기 냉매파이프의 결합 구조
JP703803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