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661A -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661A
KR20110067661A KR1020090124353A KR20090124353A KR20110067661A KR 20110067661 A KR20110067661 A KR 20110067661A KR 1020090124353 A KR1020090124353 A KR 1020090124353A KR 20090124353 A KR20090124353 A KR 20090124353A KR 20110067661 A KR20110067661 A KR 2011006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ence
layer
ton
t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09012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661A/ko
Publication of KR2011006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형태의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킨 후 엇물림 방식으로 상기 토낭을 일정 높이까지 쌓아 담장을 형성하되, 외측에 롤잔디, 뗏장, 줄 잔디, 코아냇, 식생매트 등을 선택하여 표면에 씌우고 식생하고자 하는 화혜, 소목을 식재한 후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고정시켜 담장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발명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은
담장을 축조하는데 필요한 자재들을 구비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담장을 형성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 고정수단(500)과 씨앗을 구비하는 제1단계(S10)와;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장을 축조할 범위를 정한 다음 담장의 기초가 되는 지반을 다짐롤러, 진동콤팩트 및 래머와 같은 장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다져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1단계(S10)에 의해 구비된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토낭의 개방된 개구부(110)를 통해 통상의 정량기(도시하지 않음), 즉 정량충진장치에 의하여 셋팅된 중량의 신호를 검출하여 이 신호에 의해 충진용 호퍼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흙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량의 흙을 상기 토낭에 충진시켜 상부를 봉합한 다음 이를 규격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 넣어 진동 및 압력을 가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강도가 우수한 식생토낭(100)을 다수 형성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 낭(100)을 설치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담장의 축조 후 흙을 채워넣고 화혜,식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배열한 후 식생토낭(10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의 고정수단(500)를 타격하여 단부가 상기 식생토낭(100)을 관통함은 물론 기초층의 소정 깊이까지 파고들어 식생토낭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제1열의 상부에 제2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층을 이루는 식생토낭(100) 양측면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 상부에 다른 식생토낭(100)의 중앙부분이 위치되게 적층시켜 엇물림 방식으로 연속되게 배열하여 형성하되 간격을 제1층보다 좁게 하여 담장의 축조 후 담장이 약 75°가 되도록 하여 담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층을 이루는 각각의 식생토낭(100)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500)를 2개 내지 4개를 타격하여 제2층의 식생토낭(100)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층에 위치한 식생토낭(100)의 중간 지점까지 고정수단(500)의 단부가 파고들도록 하여 제1층과 제2층의 식생토낭을 일체로 연결,고정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S50)에 의해 형성된 제2층의 상부에 제5단계(S50)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높이까지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적층하여 담장(100)을 축조하는 제6단계(S60)와; 적층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 있도록 녹화지(3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표면에 녹화지(300)를 씌우고 식생토낭(1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제7단계(S70)와; 담장에 녹화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7단계(S70)에 의해 적층된 식생토낭(100)에 고정 된 녹화지(300) 상에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담장의 표면을 더욱 녹지화되도록 하는 제8단계(S80)와; 담장에 식재하는 것으로, 담장의 최상부에 화혜, 소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키는 제9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생토낭, 담장, 녹화지, 녹화

Description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the enviro soilsack the fence building method which uses and the establish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형태의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킨 후 엇물림 방식으로 상기 토낭을 일정 높이까지 쌓아 담장을 형성하되, 외측에 롤잔디, 뗏장, 줄 잔디, 코아냇, 식생매트 등을 선택하여 표면에 씌우고 식생하고자 하는 화혜, 소목을 식재한 후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고정시켜 담장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영역의 표시를 위하여 주변에 담장을 설치한다.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 건축단지의 경우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영역의 표시를 위하여 건축단지의 둘레에 울타리를 설치한다.
이러한 울타리의 경우 건축단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지주를 지면에 매설하면서 각 지주를 상단판재 및 하단판재로 연결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담장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담장(1)을 구성하는 포스트(2)의 사이에는 수평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로바(3)가 고정되고, 상부와 하부의 가로바(3)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세로봉(4)이 용접등으로 고정되어 담장(1)의 형상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주변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담장은 외부에서의 침입을 방지하는 목적은 충족시킬지 몰라도 구조상 친환경적이지 못하여 주변 경관과 어울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의 건축단지는 대부분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군데 군데 조경을 하더라도 단지내의 조경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그리고 건축단지를 둘러싸고 있는 담장은 일반적으로 철구조물로 되어 단지 영역을 구분짓는 역할만 할 뿐 친환경적이지 못한 미관으로 아이들이 넘어다니는 담장으로 전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소정 형태의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킨 후 엇물림 방식으로 상기 토낭을 일정 높이까지 쌓아 담장을 형성하되, 외측에 롤잔디, 뗏장, 줄 잔디를 표면에 씌우고 식생하고자 하는 화혜, 소목을 식재한 후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고정시켜 담장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한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은
담장을 축조하는데 필요한 자재들을 구비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담장을 형성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 고정수단(500)과 씨앗을 구비하는 제1단계(S10)와;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장을 축조할 범위를 정한 다음 담장의 기초가 되는 지반을 다짐롤러, 진동콤팩트 및 래머와 같은 장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다져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1단계(S10)에 의해 구비된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토낭의 개방된 개구부(110)를 통해 통상의 정량기(도시하지 않음), 즉 정량충진장치에 의하여 셋팅된 중량의 신호를 검출하여 이 신호에 의해 충진용 호퍼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흙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량의 흙을 상기 토낭에 충진시켜 상부를 봉합한 다음 이를 규격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 넣어 진동 및 압력을 가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강도가 우수한 식생토낭(100)을 다수 형성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설치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담장의 축조 후 흙을 채워넣고 화혜,식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배열한 후 식생토낭(10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의 고정수단(500)를 타격하여 단부가 상기 식생토낭(100)을 관통함은 물론 기초층의 소정 깊이까지 파고들어 식생토낭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제1열의 상부에 제2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층을 이루는 식생토낭(100) 양측면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 상부에 다른 식생토낭(100)의 중앙부분이 위치되게 적층시켜 엇물림 방식으로 연속되게 배열하여 형성하되 간격을 제1층보다 좁게 하여 담장의 축조 후 담장이 약 75°가 되도록 하여 담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층을 이루는 각각의 식생토낭(100)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500)를 2개 내지 4개를 타격하여 제2층의 식생토낭(100)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층에 위치한 식생토낭(100)의 중간 지점까지 고정수단(500)의 단부가 파고들도록 하여 제1층과 제2층의 식생토낭을 일체로 연결,고정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S50)에 의해 형성된 제2층의 상부에 제5단계(S50)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높이까지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적층하여 담장(100)을 축조하는 제6단계(S60)와;
적층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 있도록 녹화지(3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표면에 녹화지(300)를 씌우고 식생토낭(1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제7단계(S70)와;
담장에 녹화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7단계(S70)에 의해 적층된 식생토낭(100)에 고정된 녹화지(300) 상에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담장의 표면을 더욱 녹지화되도록 하는 제8단계(S80)와;
담장에 식재하는 것으로, 담장의 최상부에 화혜, 소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키는 제9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구조는
상기 담장을 축조할 범위를 정한 다음 담장의 기초가 되는 지반을 다짐롤러, 진동콤팩트 및 래머와 같은 장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다져 평면이 되도록 형성한 기초층(10)과;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담장의 축조 후 흙을 채워넣고 화혜,식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배열한 후 식생토낭(10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의 고정수단(500)를 타격하여 단부가 상기 식생토낭(100)을 관통함은 물론 기초층의 소정 깊이까지 파고들어 식생토낭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여서 된 제1층(20)과;
상기 제1층을 이루는 식생토낭(100) 양측면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 상부에 다른 식생토낭(100)의 중앙부분이 위치되게 적층시켜 엇물림 방식으로 연속되게 배열하여 형성하되 간격을 제1층보다 좁게 하여 담장의 축조 후 담장이 약 75°가 되도록 하여 담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층을 이루는 각각의 식생토낭(100)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500)를 2개 내지 4개를 타격하여 제2층의 식생토낭(100)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층에 위치한 식생토낭(100)의 중간 지점까지 고정수단(500)의 단부가 파고들도록 하여 된 제2층(30)과;
제2층의 상부에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높이까지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적층하여서 된 담장(40)과;
적층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 있도록 적층된 담장(40)의 표면에 씌워지고 식생토낭(1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을 통하여 고정된 녹화지층(50)과;
녹화지층(50) 상에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어서 된 녹화층(60)과;
담장 최상부에 화혜, 소목을 식재하여서 된 식재층(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의 축조시 사용되는 용품은
현장 주변에서 제공받는 흙과 모래를 수용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 또는 그와유산한 섬유지를 소정 형태로 재단하여 상부가 개방된 일정 규격의 포대형태로 재봉하여서 형성하되 개구부(110)의 일측에 흙을 수용한 후 개구부(110)를 묶어서 마감할 수 있도록 마감용 띠(130)가 구비된 식생토낭(100)과;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외측에 씌워서 녹화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키도록 하는 녹화지(300)와;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타격시 상기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양측에 일체로 돌출,성형되어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5111)가 형성된 지주(511)와, 상기 지주(511)의 상단부에 "T"자 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식생토 낭(100)과 녹화지(300)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5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고정뿔(513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513)을 갖는 고정봉(510)과;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체결고정할 때 고정수단(500) 사이에 위치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가 각각 고정수단(500)의 지주(511)에 각각 관통체결되는 고정띠(530)로 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의 축조시 사용되는 용품의
상기 식생토낭(100)은 다수가 엇물림 방식으로 기초층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축조되어 상기 담장을 이루는 실질적인 주체로서, 그 형성과정은 합성수지로 직조된 부직포를 상부가 개방된 포대형태가 되도록 가공하여 식생토낭(100)을 형성하고, 상기 식생토낭(100)에 흙과 모래를 정량으로 충진시킨 다음 흙과 모래가 충진된 상태의 식생토낭(100)을 소정의 형틀에 넣고 상부에서 진동프레스를 이용하여 진동 및 가압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 소정 형태의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킨 후 엇물림 방식으로 상기 토낭을 일정 높이까지 쌓아 담장을 형성하되, 외측에 롤잔디, 뗏장, 줄 잔디를 표 면에 씌우고 식생하고자 하는 화혜, 소목을 식재한 후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고정시켜 담장을 녹화하여 주위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담장을 녹화함으로써 산소가 가까운 주위에서 발생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장축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조된 담장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장축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담장의 축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품을 살펴보면 크게 흙을 수용하고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외측에 씌워서 담장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지(300)와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생토낭(100)은 현장 주변에서 제공받는 흙과 모래를 수용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 또는 그와유산한 섬유지를 소정 형태로 재단하여 상부가 개방된 일정 규격의 포대형태로 재봉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식생토낭의 개구부(110)에는 흙을 수용한 후 개구부(110)를 마감할 수 있도록 마감용 띠(130)가 구비되어 있다.
즉, 흙을 수용한 후 띠(130)를 이용하여 식생토낭(100)의 개구부(110)를 묶어 마무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식생토낭(100)은 다수의 층으로 적층된다.
상기 식생토낭(100)은 다수가 엇물림 방식으로 기초층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축조되어 상기 담장을 이루는 실질적인 주체로서, 그 형성과정은 합성수지로 직조된 부직포를 상부가 개방된 포대형태가 되도록 가공하여 식생토낭(100)을 형성하고, 상기 식생토낭(100)에 흙과 모래를 정량으로 충진시킨 다음 흙과 모래가 충진된 상태의 식생토낭(100)을 소정의 형틀에 넣고 상부에서 진동프레스를 이용하여 진동 및 가압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여 구비하면 된다.
상기 녹화지(300)는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외측에 씌워서 녹화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씨앗을 발아시킨 롤잔디, 뗏장, 줄잔디, 코아넷,식생매트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서 된 것이다.
담장으로 축조된 후 잔디가 자라면서 담장을 녹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녹화지(300)에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봉(510)과 고정띠(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봉(510)은 타격시 상기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로 지주(511)가 하단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주(511)의 하부 양측에는 일체로 돌출,성형되어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로부터 상기 지주(511)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5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511)의 상단부에는 "T"자 형태가 되도록 고정편(51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편(513)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5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고정뿔(513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봉(510)은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띠(530)는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체결고정할 때 고정수단(500) 사이에 위치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가 각각 고정수단(500)의 지주(511)에 관통체결된다.
즉, 하나의 고정수단(500)에 일단이 관통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수단(500)에 타탄이 관통고정되어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고정수단(500)으로 체결,고정할 때 일층의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타층의 식생토낭(100)과 녹 화지(300)와 연결하여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식생토낭(10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같은 층으로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로 서로 연결시켜 식생토낭(1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품들을 이용하여 담장을 축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담장을 축조함에 있어서 제1단계(S10)는
상기 담장을 축조하는데 필요한 자재들을 완벽하게 구비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흙과 모래는 현장 주변에서 쉽게 제공받아 사용하면 되고, 상기 담장을 형성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 고정수단(500)과 씨앗을 구비하면 되는 것이다.
제2단계(S20)는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장을 축조할 범위를 정한 다음 담장의 기초가 되는 지반을 다짐롤러, 진동콤팩트 및 래머와 같은 장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다져 기초층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제3단계(S30)는 상기 1단계(S10)에 의해 구비된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토낭의 개방된 개구부(110)를 통해 통상의 정량기(도시하지 않음), 즉 정량충진장치에 의하여 셋팅된 중량의 신호를 검출하여 이 신호에 의해 충진용 호퍼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흙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량의 흙을 상기 토낭에 충진시켜 상부를 봉합한 다음 이를 규격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 넣어 진동 및 압력을 가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강 도가 우수한 식생토낭(100)을 다수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제4단계(S40)는 제1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중앙에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배열한다.
이후 식생토낭(10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의 고정수단(500)를 타격하여 단부가 상기 식생토낭(100)을 관통함은 물론 기초층의 소정 깊이까지 파고들어 식생토낭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500)의 타격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동해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토낭(100)을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1층을 형성하는 이유는 담장의 축조후 중공부에 흙을 채워넣고 화혜,식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5단계(S50)는 상기 제4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제1층의 상부에 제2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층을 이루는 식생토낭(100) 양측면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 상부에 다른 식생토낭(100)의 중앙부분이 위치되게 적층시켜 엇물림 방식으로 연속되게 배열하여 제2열을 형성한다.
이때 제2층의 간격은 제1층보다 좁게 하여 담장의 축조 후 담장이 약 75°가 되도록 한다.
이는 담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제2층을 이루는 각각의 식생토낭(100)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500) 를 2개 내지 4개를 타격하여 제2층의 식생토낭(100)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층에 위치한 식생토낭(100)의 중간 지점까지 고정수단(500)의 단부가 파고들도록 하여 제1층과 제2층의 식생토낭을 일체로 연결,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제6단계(S60)는 상기 제5단계(S50)에 의해 형성된 제2층의 상부에 제5단계(S50)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높이까지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적층하여 담장(100)을 축조하게 된다.
제7단계(S70)는 적층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 있도록 녹화지(3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표면에 녹화지(300)를 씌우고 식생토낭(1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제8단계(S80)는 담장에 녹화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7단계(S70)에 의해 적층된 식생토낭(100)에 고정된 녹화지(300) 상에 고운 흙과 녹화하고자 하는 식물의 씨앗과 식물추출보습제, 섬유질(Fiber), 착색제를 일정 비율로 투입하여 교반시킨 혼합물을 상기 녹화지(300)가 설치된 담장의 표면에 별도로 제공되는 펌핑장비를 이용하여 일정두께가 되도록 타설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씨앗은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섭씨 30 ~ 35℃에서 2 ~ 3일 동안 숙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제9단계는 단자에 식재하는 것으로, 담장의 최상부에 화혜, 소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담장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장의 축조시 사용되는 용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장축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조된 담장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장축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식생토낭 300 : 녹화지
500 : 고정수단

Claims (4)

  1. 담장을 축조하는데 필요한 자재들을 구비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담장을 형성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 고정수단(500)과 씨앗을 구비하는 제1단계(S10)와;
    기초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담장을 축조할 범위를 정한 다음 담장의 기초가 되는 지반을 다짐롤러, 진동콤팩트 및 래머와 같은 장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다져 기초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1단계(S10)에 의해 구비된 토낭에 흙과 모래를 충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토낭의 개방된 개구부(110)를 통해 통상의 정량기(도시하지 않음), 즉 정량충진장치에 의하여 셋팅된 중량의 신호를 검출하여 이 신호에 의해 충진용 호퍼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흙의 배출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량의 흙을 상기 토낭에 충진시켜 상부를 봉합한 다음 이를 규격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 넣어 진동 및 압력을 가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강도가 우수한 식생토낭(100)을 다수 형성하는 제3단계(S30)와;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설치하여 제1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담장의 축조 후 흙을 채워넣고 화혜,식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배열한 후 식생토낭(10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의 고정수단(500)를 타격하여 단부가 상기 식생토낭(100)을 관통함은 물론 기초층의 소정 깊이까지 파고들어 식생토낭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제4단계(S40)에 의해 형성된 제1열의 상부에 제2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층을 이루는 식생토낭(100) 양측면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 상부에 다른 식생토낭(100)의 중앙부분이 위치되게 적층시켜 엇물림 방식으로 연속되게 배열하여 형성하되 간격을 제1층보다 좁게 하여 담장의 축조 후 담장이 약 75°가 되도록 하여 담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층을 이루는 각각의 식생토낭(100)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500)를 2개 내지 4개를 타격하여 제2층의 식생토낭(100)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층에 위치한 식생토낭(100)의 중간 지점까지 고정수단(500)의 단부가 파고들도록 하여 제1층과 제2층의 식생토낭을 일체로 연결,고정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제5단계(S50)에 의해 형성된 제2층의 상부에 제5단계(S50)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높이까지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적층하여 담장(100)을 축조하는 제6단계(S60)와;
    적층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 있도록 녹화지(300)를 설치하는 것으로,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표면에 녹화지(300)를 씌우고 식생토낭(1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제7단계(S70)와;
    담장에 녹화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7단계(S70)에 의해 적층된 식생토낭(100)에 고정된 녹화지(300) 상에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담장의 표면을 더욱 녹지화되도록 하는 제8단 계(S80)와;
    담장에 식재하는 것으로, 담장의 최상부에 화혜, 소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키는 제9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2. 상기 담장을 축조할 범위를 정한 다음 담장의 기초가 되는 지반을 다짐롤러, 진동콤팩트 및 래머와 같은 장비(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다져 평면이 되도록 형성한 기초층(10)과;
    상기 기초층에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담장의 축조 후 흙을 채워넣고 화혜,식목을 식재하여 담장의 녹화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를 갖도록 2열로 배열한 후 식생토낭(10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의 고정수단(500)를 타격하여 단부가 상기 식생토낭(100)을 관통함은 물론 기초층의 소정 깊이까지 파고들어 식생토낭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여서 된 제1층(20)과;
    상기 제1층을 이루는 식생토낭(100) 양측면이 서로 맞물리는 부분 상부에 다른 식생토낭(100)의 중앙부분이 위치되게 적층시켜 엇물림 방식으로 연속되게 배열하여 형성하되 간격을 제1층보다 좁게 하여 담장의 축조 후 담장이 약 75°가 되도록 하여 담장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층을 이루는 각각의 식생토낭(100) 상부에 상기 고정수단(500)를 2개 내지 4개를 타격하여 제2층의 식생토 낭(100)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1층에 위치한 식생토낭(100)의 중간 지점까지 고정수단(500)의 단부가 파고들도록 하여 된 제2층(30)과;
    제2층의 상부에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높이까지 다수의 식생토낭(100)을 적층하여서 된 담장(40)과;
    적층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킬 수 있도록 적층된 담장(40)의 표면에 씌워지고 식생토낭(100)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수단(500)을 통하여 고정된 녹화지층(50)과;
    녹화지층(50) 상에 식생될 씨앗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어서 된 녹화층(60)과;
    담장 최상부에 화혜, 소목을 식재하여서 된 식재층(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구조
  3. 현장 주변에서 제공받는 흙과 모래를 수용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 또는 그와유산한 섬유지를 소정 형태로 재단하여 상부가 개방된 일정 규격의 포대형태로 재봉하여서 형성하되 개구부(110)의 일측에 흙을 수용한 후 개구부(110)를 묶어서 마감할 수 있도록 마감용 띠(130)가 구비된 식생토낭(100)과;
    적층된 식생토낭(100)의 외측에 씌워서 녹화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될 씨앗 과 흙과 보습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펌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되도록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담장의 표면을 녹지화시키도록 하는 녹화지(300)와;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타격시 상기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양측에 일체로 돌출,성형되어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5111)가 형성된 지주(511)와, 상기 지주(511)의 상단부에 "T"자 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5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원뿔형태의 고정뿔(513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513)을 갖는 고정봉(510)과;
    적층되는 식생토낭(100)과 녹화지(300)를 체결고정할 때 고정수단(500) 사이에 위치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가 각각 고정수단(500)의 지주(511)에 각각 관통체결되는 고정띠(530)로 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장의 축조시 사용되는 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100)은 다수가 엇물림 방식으로 기초층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축조되어 상기 담장을 이루는 실질적인 주체로서, 그 형성과정은 합성수지 로 직조된 부직포를 상부가 개방된 포대형태가 되도록 가공하여 식생토낭(100)을 형성하고, 상기 식생토낭(100)에 흙과 모래를 정량으로 충진시킨 다음 흙과 모래가 충진된 상태의 식생토낭(100)을 소정의 형틀에 넣고 상부에서 진동프레스를 이용하여 진동 및 가압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장의 축조시 사용되는 용품.
KR1020090124353A 2009-12-15 2009-12-15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20110067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53A KR20110067661A (ko) 2009-12-15 2009-12-15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53A KR20110067661A (ko) 2009-12-15 2009-12-15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661A true KR20110067661A (ko) 2011-06-22

Family

ID=4440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353A KR20110067661A (ko) 2009-12-15 2009-12-15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6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40B1 (ko) * 2011-11-22 2012-06-22 변중길 식생매트를 이용한 묘지의 녹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40B1 (ko) * 2011-11-22 2012-06-22 변중길 식생매트를 이용한 묘지의 녹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137323B1 (ko) 식생주머니가 형성된 식생포대를 이용한 옹벽 지지 구조물 및 식생포대 고정용 결속판.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Z2008145A3 (cs) Vegetacní strecha, zejména sklonitá a zpusob její výroby
CN206902740U (zh) 一种用于软土路堑加固的支挡结构
KR20110067661A (ko) 식생 토낭을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및 그 설치구조
KR20100092837A (ko) 식생블록 및 이 식생블록을 이용한 식생옹벽 시공방법
KR20110124431A (ko) 식생토낭과 고정구조물을 이용한 경성 옹벽의 녹화방법 및 녹화옹벽구조
CN106988338A (zh) 石笼网挡土墙及其施工方法
JP4220639B2 (ja) 舗装用枡枠盤
KR100733005B1 (ko) 이불형 망태를 이용한 친환경 제방 시공방법
JPS63284321A (ja) 盛土斜面の土留工法
KR102581619B1 (ko) 기능성 개비온 블록
JP3070562U (ja) 土のうバッグによる植栽緑化法面土留の構築
JP3558592B2 (ja) 複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20338B2 (ja) 法面安定工法
KR101188230B1 (ko) 토낭블록을 이용한 옹벽구조체 및 옹벽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180131918A (ko) 개비온을 이용한 사면 식생방법
CN217602661U (zh) 一种格宾隧道洞门墙
JPH07247550A (ja) 急勾配盛土の表面形成方法
KR102443511B1 (ko) 피스톤식 고정용 앵커를 이용한 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1288888B1 (ko) 지오그리드와 네일을 이용한 사면복구공법
CN210712433U (zh) 运动场透水结构
JP2005200953A (ja) 法面緑化用擁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