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140A - 신규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140A
KR20110067140A KR1020117009785A KR20117009785A KR20110067140A KR 20110067140 A KR20110067140 A KR 20110067140A KR 1020117009785 A KR1020117009785 A KR 1020117009785A KR 20117009785 A KR20117009785 A KR 20117009785A KR 20110067140 A KR20110067140 A KR 20110067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group
mmol
tr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누아 르두쌀
마리-에디뜨 구델
에밀리 흐노드
까밀 피에르
아델 켑시
Original Assignee
노벡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301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671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벡셀 filed Critical 노벡셀
Publication of KR20110067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14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87/1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8Bridg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8Bridg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로서, 이들 화합물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이며, 유리 형태,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산이 부가된 염 형태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 이들 화합물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34

(일반식 (Ⅰ)에서 R1은 수소 원자, -(CH2)m-NH2 래디컬, -(CH2)m-NH(C1~C6)알킬 래디컬, -(CH2)m-N(C1~C6)디알킬 래디컬, -(CH2)m-NH-C(NH)NH2 래디컬 또는 -(CH2)m-NH-CH=NH 래디컬 (m은 1 또는 2)을 나타내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며 상기 질소 원자는 R4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원자, (C1~C6) 알킬 래디컬 또는 화학식
Figure pct00035
의 사슬을 나타내고(A는 C=O기, C=NH기 또는 SO2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며; R''은 수소 원자, NH2기, NH(C1~C6)알킬기, N(C1~C6)디알킬기, CONH2기, CONH(C1~C6)알킬기, CON(C1~C6)디알킬기, 또는 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 및 필요하다면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에서 선택되는 다른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가 상기 사슬에 고정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C1~C6)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 n, o 및 q는 0 또는 1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R5는 OSO3H기, OCHFCO2H기 또는 OCF2CO2H기를 나타내고;
R4가 수소 원자, -(C1~C6) 알킬 래디컬, -(C=O)n-(CH2)(0~5)-NH2기, -(C=O)n-(CH2)(0~5)-NH(C1~C6)알킬기 또는 -(C=O)n-(CH2)(0~5)-N(C1~C6)디알킬이고, R5가 OSO3H기인 경우에, 또는 R4가 R''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된 헤테로사이클을 제외한 상기 R''의 모든 값을 가지는 경우에, R1은 수소 원자, -(CH2)m-NH2 래디컬, -(CH2)m-NH(C1~C6)알킬 래디컬 또는 -(CH2)m-N(C1~C6)디알킬 래디컬이 아니며;
R''이 수소 원자, CONH2기, CONH(C1~C6)알킬기, CON(C1~C6)디알킬기, 또는 헤테로사이클인 경우를 제외할 때, n, o, p 및 q는 모두 0일 수 없음)

Description

신규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NOVEL HETEROCYCLIC NITROGENOUS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 MEDICAMENTS}
본 발명은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국제특허 WO 02/010172, 02/100860, 04/022563 및 04/052891호 출원에서는 병원균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폴리-사이클릭 화합물을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획기적이고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항균 특성을 가지는 신규한 관련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 화합물은 낭포성 섬유증(mucoviscidosis)을 앓고 있는 환자와 병원성 감염(nosocomial infection)에서 빈번하게 접하게 되는 미생물 균주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뛰어난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화합물을 예를 들어 항균제와 같은 약품의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이러한 유용하고 예측하지 못했던 활성은 위에서 언급한 출원의 화합물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서 이러한 특성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에 통상 내성을 가지는 균주에 대한 활성을 포함하여, 동물 감염 모델에 대하여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β-락타마제(β-lactamases), 배출 펌프(efflux pump) 및 포린 돌연변이(porin mutation)와 같은 미생물의 주요한 내성 메커니즘을 방해(counteracting)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 (Ⅰ)에 상응하며, 이들 화합물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이며, 유리 형태,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산이 부가된 염 형태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이다.
Figure pct00001
(일반식 (Ⅰ)에서 R1은 수소 원자, -(CH2)m-NH2 래디컬, -(CH2)m-NH(C1~C6)알킬 래디컬, -(CH2)m-N(C1~C6)디알킬 래디컬, -(CH2)m-NH-C(NH)NH2 래디컬 또는 -(CH2)m-NH-CH=NH 래디컬 (m은 1 또는 2)을 나타내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며 상기 질소 원자는 R4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원자, (C1~C6) 알킬 래디컬 또는 화학식
Figure pct00002
의 사슬을 나타내고(A는 C=O기, C=NH기 또는 SO2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며; R''은 수소 원자, NH2기, NH(C1~C6)알킬기, N(C1~C6)디알킬기, CONH2기, CONH(C1~C6)알킬기, CON(C1~C6)디알킬기, 또는 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 및 필요하다면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에서 선택되는 다른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가 상기 사슬에 고정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C1~C6)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 n, o 및 q는 0 또는 1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R5는 OSO3H기, OCHFCO2H기 또는 OCF2CO2H기를 나타내고;
R4가 수소 원자, -(C1~C6) 알킬 래디컬, -(C=O)n-(CH2)(0~5)-NH2기, -(C=O)n-(CH2)(0~5)-NH(C1~C6)알킬기 또는 -(C=O)n-(CH2)(0~5)-N(C1~C6)디알킬이고, R5가 OSO3H기인 경우에, 또는 R4가 R''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된 헤테로사이클을 제외한 상기 R''의 모든 값을 가지는 경우에, R1은 수소 원자, -(CH2)m-NH2 래디컬, -(CH2)m-NH(C1~C6)알킬 래디컬 또는 -(CH2)m-N(C1~C6)디알킬 래디컬이 아니며;
R''이 수소 원자, CONH2기, CONH(C1~C6)알킬기, CON(C1~C6)디알킬기, 또는 헤테로사이클인 경우를 제외할 때, n, o, p 및 q는 모두 0일 수 없음)
(C1~C6) 알킬 래디컬이란, 특히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 래디컬은 물론 직쇄 또는 측쇄의 부틸, 펜틸 또는 헥실 래디컬을 의미한다.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이란, 후술하는 리스트에서 선택된 화합물로서, 여기서 2개의 결합 표시는 R3 및 R4에 의해 형성되는 질소-고리와의 연결점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3
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고, 필요하다면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이란, 특히 피롤리딘(pyrrolidine), 이미다졸리딘(imidazolidine) 또는 피라졸리딘(pyrazolidine) 형태의 5원자 고리, 또는 피페리딘(piperidine), 피페라진(piperazine), 모르폴린(morpholine) 또는 티오모르폴린(thiomorpholine) 형태의 6원자 고리로서, 헤테로사이클이 질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에 의해 사슬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의 산성 염 중에서, 다른 화합물 중에서도, 염산, 브롬산(hydrobromic), 요오드산(hydroiodic),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무기산(mineral acids)이 부가되어 형성된 염이나,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벤조산(benzoic), 말레산(maleic), 푸마르산(fumaric), 숙신산(succinic), 타르타르산(tartaric), 시트르산(citric), 옥살산(oxalic), 글리옥실산(glyoxylic), 아스파르트산(aspartic), 메탄-술폰산 및 에탄-술폰산과 같은 알칸-술폰산(alkane-sulfonic acid), 벤젠-술폰산 및 파라톨루엔-술폰산과 같은 아릴술폰산과 같은 유기산이 부가되어 형성된 염이 언급될 수 있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의 염기성 염 중에서, 다른 화합물 중에서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암모늄과 같은 무기 염기가 부가되어 형성된 염이나, 예를 들면, 메틸아민, 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에탄올아민, 피리딘, 피콜린(picoline), 디사이클로헥실아민(dicyclohexylamine), 모르폴린(morpholine), 벤질아민, 프로카인(procaine), 리신(lysine), 아르기닌, 히스티딘, N-메틸글루카민(N-methlyglucamine) 또는 알킬포스포늄, 아릴포스포늄, 알킬아릴-포스포늄, 알케닐아릴포스포늄과 같은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 또는 테트라-n-부틸-암모늄염과 같은 4급 암모늄과 같은 유기 염기가 부가되어 형성되는 염이 언급될 수 있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비대칭 탄소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R, S 또는 RS 배위(configuration)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순수한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형태로서 또는 특히 라세미체인 거울상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나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한 쪽의 R1 치환기와 다른 한 쪽의 -C(O)-NR5- 사슬은 그들이 부착되는 고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시스(cis) 및/또는 트랜스(trans) 위치를 가질 수 있어서,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시스 이성질체, 트랜스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위에서 정의된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R2 및 R3은 함께, 피라졸릴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위에서 정의된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R1이 (CH2)m-NH2 래디컬을 나타내는 화합물과, R1이 -(CH2)m-NH-C-(NH)-NH2 래디컬 (이 2가지 각각의 경우에 m은 1)인 화합물이다.
또한,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R4는 화학식 -(A)n-(NH)o-(CH2)p-(CHR')q-R''의 사슬(n, o, p, q, R' 및 R''은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를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4는 화학식 -C(O)-NH-(CH2)p-(CHR')q-R''의 사슬(R',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또한,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 래디컬을 나타내고, R1은 -(CH2)m-NH-C(NH)NH2 래디컬 또는 -(CH2)m-NH-CH=NH 래디컬 (m은 1)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아울러,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 기술되어 있는 화합물이고, 특히 하기 명시된 화합물로서, 유리 형태이거나,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산이 부가된 염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 명시된 화합물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인 화합물이다.
- 트랜스 8-(아미노메틸)-2-(2-아미노-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2-amino-ethyl-carbam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2-(4-피페라진-1-카르보닐)-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4-piperazine-1-carbon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4,8-dihydro-2-(2-dimethylamino-ethyl-carbamoyl)-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3-amino-propyl-carbam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carbamoyl-methyl-carbam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1-(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1-(carbanimid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carbanimid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페리딘-4-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4,8-dihydro-2-(piperidine-4-carbonyl)-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3-카르복시-프로필)-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3-amino-3-carboxy-prop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guanidino-meth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guanidino-methyl)-4,8-dihydro-1-methyl-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카바모일-4,8-디하이드로-(설푹시 )-4H-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guanidino-methyl)-2-carbamoyl-4,8-dihydro-(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 [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4,8-dihydro-1-methyl-5-(carboxy-difluoro-meth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트랜스 8-(아미노-메틸)-2-(아미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 [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amino-carbam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6(5H)-one).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디포스겐으로 처리한 뒤 일반식 (Ⅲ)의 아민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04
(일반식 (Ⅱ)에서, R'1은, 필요하다면, 존재하는 아미노기 또는 아미노기들이 보호되어 있는 R1 래디컬을 나타내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P는 히드록시 래디컬의 보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05
(일반식 (Ⅲ)에서 R'a와 R'''은 각각, 필요하다면, 반응성 카르복시기와 반응성 아미노기가 보호되어 있는 R' 및 R''을 나타내며;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06
(일반식 (Ⅳ)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O)-NH-(CH2)p-(CHR'a)qR'''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히드록시 래디컬을 탈보호한 뒤, 상기 얻어진 일반식 (Ⅳ)의 화합물을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SO3 착물의 작용에 의해 황산화 반응시키거나, 화학식 Hal-CHF-CO2alk 또는 화학식 Hal-CF2-CO2alk (Hal은 불소가 아닌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alk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콕시 래디컬을 나타냄)의 반응물과 반응시켜서 얻어진 알코올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
(c) 필요하다면, 얻어진 가수분해 된 화합물에 대하여, 적절한 순서로, 하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의 반응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다.
- 아민기 및, 필요하다면, 존재하는 카르복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들의 탈보호 반응,
- 염화(salification) 반응,
- 이온 교환 반응,
-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해리(resolution) 또는 분리(separation) 반응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위에서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염기로 처리한 뒤 일반식 (V)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a)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07
(일반식 (Ⅴ)에서 Hal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08
(일반식 (Ⅳa)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a 및 R''3a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SO2-NH-(CH2)p-(CHR'a)qR'''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특성의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상기 히드록시 래디컬을 탈보호하고 위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위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필요하다면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일반식 (Ⅵ)의 화합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b)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09
(일반식 (Ⅵ)에서, B는 OH 래디컬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a, R''', o,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10
(일반식 (Ⅳb)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b 및 R''3b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O)-(NH)o-(CH2)p-(CHR'a)qR''' (R'a, R''', o,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위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위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일반식 (Ⅶ)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c)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11
(일반식 (Ⅶ)에서, P'은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12
(일반식 (Ⅳc)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c 및 R''3c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NH)-NHP' (P'은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위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위에 정의되어 있는 (Ⅱ)의 화합물을 일반식 (Ⅷ)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d)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13
(일반식 (Ⅷ)에서,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14
(일반식 (Ⅳd)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d 및 R''3d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O)-NH-(CH2)p-(CHR'a)qR'''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위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로서, R4는 CO-NH2기 또는 CO-NH(C1~C6)알킬기를 나타내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또한, 위에서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트리메틸실릴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화학식 (C1~C6)알킬-N=C=O의 이소시아네이트로 처리하여 위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Ⅳ)의 상응하는 화합물을 얻은 뒤, 위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일반식 (Ⅸ)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Ⅹ)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15
(일반식 (Ⅱ')에서, R''2e 및 R''3e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선택적으로 (C1~C6)알킬 래디컬로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m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16
(일반식 (Ⅸ)에서, P'은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17
(일반식 (Ⅹ)에서, R''2e 및 R''3e, m, P 및 P'은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b) 위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R'1 위치 및 일반식 (Ⅲ), (Ⅴ), (Ⅵ), (Ⅶ), (Ⅷ) 및 (Ⅸ)의 반응물에서의 아민 작용기의 전-보호(prior protection)는 특히 벤질기가 도입되거나(benzylated) 또는 트리틸기가 도입된(tritylated) 유도체의 형태, 카르밤산(carbamate) 형태로 수행되고, 특히 알릴카르밤산, 벤질카르밤산, 페닐카르밤산 또는 터르-부틸카르밤산형태이거나, 터르(tert)-부틸 실릴 유도체, 디메틸 실릴 유도체, 트리메틸-실릴 유도체, 트리페닐-실릴 유도체 또는 디페닐-터르-부틸-실릴 유도체와 같은 실릴기가 도입된(silylated) 유도체, 또는 페닐술포닐알킬(phenylsulfonylalkyl) 유도체 또는 시아노알킬(cyanoalkyl) 유도체의 형태로 수행된다.
탈보호는, 보호기의 성질에 따라,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산의 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탈보호 화합물은 계속해서 이들 산성염의 형태로 얻어진다. 또한 탈보호는 수소화분해반응(hydrogenolysis)에 의하거나, 가용성 산소 가교 팔라듐(O) 착물(soluble complexes of palladium(O))을 사용하거나,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etrabutylammonium fluoride)의 작용을 통하거나 환원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서 예시가 제공되어 있다.
일반식 (Ⅲ), (Ⅴ), (Ⅵ) 및 (Ⅷ) 반응물의 R'a에서 카르복시기의 전-보호는 특히 에스테르형 유도체의 형태로 수행되는데, 특히 알킬에스테르, 알릴에스테르, 벤질에스테르, 벤즈하이드릴(benzhydryl)에스테르 또는 p-니트로 벤질에스테르이의 형태이다.
탈보호는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사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비누화(saponification), 산 가수분해, 수소화분해 또는 가용성 팔라듐(O) 착물을 사용한 분해(cleavage)이다.
일반식 (Ⅱ)의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의 전-보호는 표준화된 방법에 따라 에테르 형태, 에스테르 형태 또는 탄산염 형태로 수행된다. 상기 에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테르 또는 메톡시에톡시메틸에테르인 알킬에테르 또는 알콕시알킬 에테르는 물론, 예를 들면 벤질에테르인 아릴에테르 또는 바람직하게는 아랄킬에테르, 또는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실릴기가 도입된 유도체와 같은 실릴기가 도입된 에테르이다. 상기 에스테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분해성(cleavable) 에스테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벤조산에스테르 또는 p-니트로벤조산에스테르이다. 상기 탄산염은 예를 들면 메틸탄산염, 터르-부틸탄산염, 알릴(allyl)탄산염, 벤질탄산염 또는 p-니트로벤질탄산염이다.
탈보호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수단을 통해서 수행되는데, 특히 비누화, 수소화분해, 가용성 팔라듐(O) 착물을 사용한 분해, 산 용매 내에서의 가수분해 또는 실릴기가 도입된 유도체에 대해서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에 의한 처리를 들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서 전술한 보호 및 탈보호의 예시가 제공되어 있다.
그 존재 상태에서 일반식 (Ⅱ)의 화합물과 디포스겐이 반응하는 염기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아민일 수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반응을 위해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메틸렌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에서 작용할 수 있다.
황산화 반응은 SO3-피리딘 또는 SO3-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SO3 착물의 작용에 의해서 수행되는데, 피리딘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에서의 작용에 의해 염이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형성된 피리딘 염의 경우에는 다른 아민의 염, 4차 암모늄금속의 염 또는 다른 알칼리성 금속의 염과 교환될 수 있다. 실시에 부분에서 예시가 제시되어 있다.
산에 의한 염화 반응(salification)은 필요하다면 액상(soluble phase)에 용해된 산을 이들 화합물로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설푹시(sulfooxy) 치환기를 가지는 염기에 의한 염화는 아민 염에서부터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아민 염으로부터 특히 전술한 SO3-아민 착물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피리딘 염 및 다른 염들이 얻어진다. 특히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분리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특히 키랄 상(chiral phase) 또는 비키랄 상(non-chiral phase)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이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의 예시가 WO 04/052891호 또는 WO 02/10860호 출원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식 (Ⅴ)의 반응물이 작용하기 전에 그 존재 상태에서 일반식 (Ⅱ)의 화합물이 반응하는 염기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성 수산화물이지만, 이러한 형태의 반응에 대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반응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 존재 상태에서 일반식 (Ⅱ)의 화합물이 일반식 (Ⅵ)의 화합물(B는 할로겐을 나타냄)과 반응하는 염기로는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일 수 있다. 이때의 작용은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클로로메탄 용액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 (Ⅱ)의 화합물이 일반식 (Ⅵ)의 화합물(B는 OH를 타나냄)과 반응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펩타이드 커플링(peptide couplings)을 위한 표준 조건이다. 이러한 조건은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 예시되어 있다.
그 존재 상태에서 일반식 (Ⅱ)의 화합물과 일반식 (Ⅶ)의 화합물이 반응하는 염기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아민일 수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반응에 대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작용은 염화수은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에서 수행된다.
일반식 (Ⅱ)의 화합물과 일반식 (Ⅷ)의 반응물의 반응은 아세토니트릴 용액 또는 아세토니트릴/테트라하이드로퓨란 혼합 용액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식 (Ⅱ')의 화합물과 일반식 (Ⅸ)의 반응물의 반응은 트리메틸포스핀(trimethylphosphine)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수행되는데, 이 작용은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톨루엔 혼합 용액에서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위에서 정의된 일반식 (Ⅳ), (Ⅳa), (Ⅳb), (Ⅳc), (Ⅳd) 및 (Ⅹ)의 중간 화합물이다.
일반식 (Ⅱ) 및 일반식 (Ⅱ')의 화합물은 WO 02/100860호 또는 WO 04/052891호 출원에 기재되어 있는 공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물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에 의한 동물 감염 모델에 대하여 뛰어난 항생 활성을 갖는다. 이러한 현저하고 예상치 못한 항생 활성은 WO 04/052891호 출원에 기술되어 있는 화합물, 특히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에 대해서는 전혀 관찰되지 못한 것이었다. 이러한 특성은 하기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전술한 화합물들은, 유리 형태(in free form), 양쪽성이온(zwitterion) 형태 및 산과 염기가 부가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서, 슈도모나스(Pseudomonas)의 감염에 의한 심각한 질환의 치료, 특히 병원성 감염(nosocomial infection) 및 일반적으로 위험에 처한 환자들의 주요한 감염을 치료하는 약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게 만든다. 특히 이러한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급성 폐렴 또는 만성 하-기도(lower tract) 감염과 같은 기도(respiratory tract) 질환; 예를 들어 패혈증과 같은 혈액 감염; 요로(urinary tract)에 대한 급성 또는 만성 감염; 예를 들어 악성 외이도염(malignant external otitis) 또는 만성 화농성 이염(chronic suppurative otitis)과 같은 청각 시스템 감염; 예를 들어 피부염(dermatitis), 감염된 외상(infected wounds), 모낭염(folliculitis), 화농피부증(pyodermatis), 난치성 형태의 좌창(acne)과 같은 피부 또는 연조직(soft tissue) 감염; 예를 들어 각막 궤양(corneal ulcer)과 같은 눈의 감염; 특히 수막염(meningitis)이나 뇌농양(brain abscesses)인 신경계 감염; 심내막염(endocarditis)과 같은 심장 감염; 복장관절 농관절증(sternoarticular pyoarthrosis), 척추골수염(vertebral osteomyelitis) 및 골반관절염(pubic symphysitis)과 같은 뼈 및 관절 감염; 괴사성 장염(necrosing enterocolitis) 및 직장주위 감염(peri-rectal infection)과 같은 위장기관(gastrointestinal tract) 감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약품 및 특히 항생제로서, 위에서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로서, 유리 형태,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또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염의 형태인 화합물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은, 약품으로서, R2 및 R3은 함께, 치환된 피라졸릴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대상은, 약품으로서, 상기 R1은 -(CH2)m-NH2 래디컬을 나타내는 화합물과 상기 R1은 -(CH2)m-NH-C(NH)-NH2 래디컬 (2 경우에 각각 m은 1)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상은, 약품으로서, 상기 R4는 위에서 정의되어 있는 화학식 -(A)n-(NH)o-(CH2)p-(CHR')q-R''의 사슬을 나타내는 화합물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R4는 화학식 -C(O)-NH-(CH2)p-(CHR')q-R''의 사슬을 나타내는 화합물(R',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상은, 약품으로서, 상기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 래디컬을 나타내고, R1은 -(CH2)m-NH-C(NH)NH2 또는 -(CH2)m-NH-CH=NH 래디컬 (m은 1)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 중에서,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대상은, 약품으로서, 후술하는 실시예 부분에 기술되어 있는 화합물이고, 특히 하기 명시된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로서, 유리 형태이거나,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산이 부가된 염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 명시된 화합물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인 화합물이다.
- 트랜스 8-(아미노메틸)-2-(2-아미노-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4-피페라진-1-카르보닐)-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1-(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페리딘-4-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3-카르복시-프로필)-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 )-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트랜스 8-(아미노-메틸)-2-(아미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 [1,3]디아제핀-6(5H)-온.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이들 조성물은 구강(buccal), 직장(rectal), 비경구(parenteral), 특히 피부 또는 점막 상의 국소적 적용으로서 근육(intramuscular) 경로로 또는 국부적(local) 경로를 통해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형상 또는 액상일 수 있으며, 인간 약품으로서 현재 사용되는 약제학적 형태, 예를 들면 단순(plain) 형태 또는 당-코팅된(sugar-coated) 정제(tablets), 젤라틴 캡슐, 그래뉼(granules), 좌약(suppositories), 주입 가능한 조제(preparations), 연고, 크림, 젤(gel)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들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제된다. 활성 성분이나 활성 성분들은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excipient), 예를 들면 탈크(talc), 아라비아검, 락토오스, 녹말,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카카오 기름(cocoa butter),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담체(vehicle), 동물 또는 식물 기원의 지방, 파라핀 유도체, 글리콜류, 다양한 습윤제(wetting agents), 분산제, 에멀션화제, 보존제(preservatives)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절한 담체, 예를 들어 발열원이 제거된 증류수(apyrogenic sterile water)에서 임시로 용해시킬 목적으로 의도된 동결건조물(lyophilisate)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투여량은 치료되는 질병, 치료되어야 하는 환자, 투여 경로 및 고려되는 생성물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일례로, 실시예 1, 4 또는 5에 기술되어 있는 생성물을 성인 환자의 구강 경로로 하루에 0.250 g 내지 10 g 범위일 수 있고 또한 근육 또는 정맥 경로를 통하여 하루에 0.25 g 내지 10 g의 범위일 수 있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또한 수술 도구의 살균제(disinfectant)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은 항균제로서 효과가 있어서 예를 들어 슈도모나스속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하는 약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1 : 트랜스 8-(아미노메틸)-2-(2-아미노-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트랜스 4,8-디하이드로-8-(히드록시메틸)-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WO 2004/052891호 출원에 기술되어 있는 메틸 트랜스-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카르복시산 에스테르 (5 g, 15.2 mmol)를 질소 분위기에서 무수 메탄올/테트라하이드로퓨란 1/1 혼합 용액 (100 mL)에 넣었다. 이어서 NaBH4 (2.3 g, 60.9 mmol)를 일부분씩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NaH2PO4 10% 수용액 (100 mL)으로 처리하였다. 증발시켜 건조한 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용해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얼음에서 밤새 교반한 뒤, 여과시키고 P2O5의 존재 하에서 진공 상태에서 적어도 24시간 건조시켜, 백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화합물 (3.30 g, 11.0 mmol, 72%)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01
1H NMR (400MHz, DMSO-d6): δ(ppm) = 3.18-3.50 (ABX, 2H, N-CH 2-CH-N), 3.65-3.76 (ABX, 2H, N-CH-CH 2-OH), 4.34 (t, 1H, N-CH-CH2-OH), 4.46 (d, 1H, N-CH2-CH-N), 4.88 (s, 2H, CH 2-Ph), 7,29-7.43 (m, 5H, Ph), 7.66 (s, 1H, H pyrazole), 12.72 (broad, 1H, OH).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알코올 (1.73 g, 5.76 mmol)을 0 ℃에서 무수 피리딘 용액 (35 mL)에 넣었다. 이어서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1.78 mL, 23 mmol)를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2시간 3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포화 수용액 (100 mL)으로 처리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배합된 유기용매층을 염화암모늄 포화 수용액으로 5회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뒤, 진공 농축하여 황색 오일 형태의 예상되었던 디메실화(dimesylated)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질소 분위기에서, 이 디메실화 중간물을 아지드나트륨 (sodium azide, 1.12 g, 17.3 mmo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45 mL) 용액에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70 ℃에서 가열하였다. 필요하다면 1 당량의 아지드를 첨가하여 반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혼합물을 NaH2PO4 10% 수용액 (100 mL)으로 처리한 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배합된 유기용매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킨 뒤 진공 농축시켜 황색 오일 형태의 예상되었던 아지드를 합성하였다. 이 중간물을 질소 분위기에서 무수 에탄올(absolute ethanol)과 반응시켰다. 계속해서 디-터르-부틸디카보네이트 (di-tert-butyl dicarbonate, 1.38 g, 6.34 mmol), 트리에틸실란 (1.38 mL, 8.64 mmol), 탄소-담체 10% 수산화 팔라듐 (Degussa, 52 mg)을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밤새 방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농축하여 황색 원유(crude yellow oil)를 합성하였다. 이 원유를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씩 100/0에서 95/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화합물 (1.36 g, 3.40 mmol, 34%)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01
1H NMR (400MHz, MeOH-d4): δ(ppm) = 1.51 (s, 9H, C(CH 3)3), 3.21-3.59 (m, 4H, N-CH 2-CH-N 및 N-CH-CH 2-NHBoc), 4.36 (m, 1H, N-CH-CH2-OH), 4.46 (m, 1H, N-CH2-CH-N), 4.99 (AB, 2H, CH 2-Ph), 7,41-7.52 (m, 5H, Ph), 7.63 (s, 1H, H pyrazole).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70 mg, 0.426 mmol)를 디클로로메탄 용액 (22 mL)에 넣었다. 0 ℃에서 트리에틸아민 (119 μL, 0.851 mmol)을 첨가한 뒤 바로 디포스겐 (77 μL, 0.638 mmol)을 신속하게 적가하였다. 0 ℃에서 2시간 30분 동안 교반한 후, N-boc-에틸렌디아민 (236 μL, 1.49 mmol)을 신속하게 첨가하고 용매를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용매를 분액깔때기로 옮기고, 디클로로메탄 (5 mL)로 헹군 뒤, 인산나트륨 10% 수용액 (15 mL)으로 세척하였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 (15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수집하고, NaCl 포화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킨 뒤 진공 농축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에틸아세테이트, 구배: 90/10에서 80/2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에 예상되었던 유도체 (86 mg, 0.147 mmol, 35%)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86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3 (s, 9H, C(CH 3 )3), 1.47 (s, 9H, C(CH 3 )3), 3.09 (dd, 1H, N-CH 2 -CH-N), 3.29-3.40, 3.49-3.59 (m, 6H, CH-CH 2 -NHBoc, N-CH 2 -CH2-N, N-CH2-CH 2 -N), 3.79 (dd, 1H, N-CH 2 -CH-N), 3.98 (d, 1H, N-CH2-CH-N), 4.59 (m, 1H, CH-CH2-NHBoc), 4.92 (AB, 2H, CH 2 -Ph), 5.10 (broad, 1H, NH), 6.95 (broad, 1H, NH), 7.40-7.43 (m, 5H, Ph), 8.04 (s, 1H, H pyrazole).
단계 D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질소 분위기에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34 mg, 0.229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0.33 mL) 및 디클로로메탄 (0.98 mL) 용액에 넣었다. 50% 수분 함량의 탄소-담체 10% 팔라듐 (73 mg, 0.034 mmol)을 첨가하였다. 3회의 진공/질소 세정 후, HPLC에 따라 출발 물질이 사라질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에 방치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진공 농축하고, 무수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동시 증발시킨 뒤, P2O5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2시간 동안 진공 벨자(bell-jar)에서 최종 건조시켜,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을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73 mg, 0.458 mmo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무수 피리딘 (0.9 mL)으로 용해시켰다. HPLC에 따라 변환이 완료될 때까지, 이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교반하고, 물을 첨가하여 처리한 뒤 농축하여 건조시켰다. 조-반응 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5%씩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여 예상되었던 염 (79 mg, 0.121 mmol, 53%)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74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25 (s, 9H, C(CH 3 )3), 1.32 (s, 9H, C(CH 3 )3), 3.05-3.16, 3.22-3.32, 3.39-3.54 (m, 8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2-N, N-CH2-CH 2 -N), 4.40 (m, 1H, CH-CH2-NHBoc), 4.78 (d, 1H, N-CH2-CH-N), 7.39 (broad, 1H, NH), 7.84 (m, 2H, Py), 8.07 (s, 1H, H pyrazole), 8.20 (broad, 1H, NH), 8.48 (m, 1H, Py), 8.66 (m, 2H, Py), 9.02 (broad, 1H, NH).
단계 E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2 N 소다 용액 (50 mL)에 용해된 DOWEX 50 WX8 수지 10 g 현탁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한 뒤,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으로 부었다. 중성 pH에 도달할 때까지 이 칼럼을 탈염수(demineralized water)로 조정한 뒤, 물/THF 90/10 혼합 용액으로 조정하였다.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79 mg, 0.121 mmol)을 최소량의 메탄올로 용해하고, 칼럼에 침전(deposit)시킨 뒤, 물/THF 90/10 혼합 용액으로 용리하였다. 기질을 함유하는 분획을 배합하고 동결시켰다. 동결 용액을 동결 건조시켜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65 mg, 0.109 mmol, 9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74
1H NMR (400MHz, DMSO-d6): δ (ppm) = 1.36 (s, 9H, C(CH 3 )3), 1.41 (s, 9H, C(CH 3 )3), 3.05-3.13, 3.16-3.46 (m, 8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2-N, N-CH2-CH 2 -N), 4.38 (m, 1H, CH-CH2-NHBoc), 4.76 (d, 1H, N-CH2-CH-N), 6.93 (broad, 1H, NH), 7.13 (broad, 1H, NH), 8.17 (s, 1H, H pyrazole), 8.42 (broad, 1H, NH).
단계 F
트랜스 8-(아미노메틸)-2-(2-아미노-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질소 분위기에서, 디클로로메탄 (2.4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4 mL)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1.2 mL)에 용해되어 있는,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42 mg, 0.092 mmol) 용액에 적가하고, 0 ℃로 냉각하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하였다. 잔여물을 물 (3 mL)로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디에틸에테르 (3 mL)로 세척하였다. 수용액을 동결시킨 뒤 동결 건조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62 mg, 0.099 mmol, 94%)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74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2.98-3.70 (m, 8H, N-CH 2 -CH-N, CH-CH 2 -NH3 +, N-CH 2 -CH2-N, N-CH2-CH 2 -N), 4.72 (m, 1H, CH-CH2-NH3 +), 4.88 (d, 1H, N-CH2-CH-N), 7.76 (broad, 3H, NH 3 +), 8.16 (broad, 3H, NH 3 +), 8.32 (s, 1H, H pyrazole), 8.59 (broad, 1H, NH).
실시예 2 : 트랜스 8-(아미노메틸)-2-(4-피페라진-1-카르보닐)-4,8 -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4-터르-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카르보닐)-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 -피라졸로 [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150 mg, 0.376 mmol), 디클로로메탄 (20 mL), 트리에틸아민 (105 μL, 0.751 mmol), 디포스겐 (68 μL, 0.563 mmol) 및 N-boc-피페라진 (210 mg, 1.13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에틸아세테이트, 구배: 80/20에서 70/3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에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45 mg, 0.237 mmol, 63%)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1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5 (s, 9H, C(CH 3 )3), 1.48 (s, 9H, C(CH 3 )3), 3.07 (dd, 1H, N-CH 2 -CH-N), 3.33 (m, 2H, CH-CH 2 -NHBoc), 3.51 (m, 4H, N-CH 2 -CH2-N), 3.77 (m, 5H, N-CH2-CH 2 -N, N-CH 2 -CH-N), 4.00 (d, 1H, N-CH2-CH-N), 4.60 (m, 1H, CH-CH2-NHBoc), 4.92 (AB, 1H, CH 2 -Ph), 5.13 (broad, 1H, NH), 7.38-7.43 (m, 5H, Ph), 7.98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4-터르-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카르보닐)-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45 mg, 0.237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34 mL), 디클로로메탄 (1.0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75 mg, 0.036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5%씩 100/0에서 80/2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40 mg, 0.059 mmol, 21%)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00
1H NMR (400MHz, CDCl3): δ (ppm) = 1.42 (s, 9H, C(CH 3 )3), 1.47 (s, 9H, C(CH 3 )3), 3.02-3.28, 3.40-3.90 (m, 12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2-N, N-CH2-CH 2 -N), 4.58 (m, 1H, CH-CH2-NHBoc), 4.97 (d, 1H, N-CH2-CH-N), 7.28 (s, 1H, H pyrazole), 8.12 (broad, 1H, NH).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4-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페라진-1-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40 mg, 0.059 mmol), DOWEX 50WX8 수지 (5 g), 2 N 소다 용액 (25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32 mg, 0.051 mmol, 87%)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00
1H NMR (400MHz, DMSO-d6): δ (ppm) = 1.40 (s, 9H, C(CH 3 )3), 1.41 (s, 9H, C(CH 3 )3), 3.26-3.65 (m, 12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2-N, N-CH2-CH 2 -N), 4.42 (m, 1H, CH-CH2-NHBoc), 4.78 (d, 1H, N-CH2-CH-N), 7.06 (broad, 1H, NH), 8.13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 8-(아미노메틸)-2-(피페라진-1-카르보닐)-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126 mg, 0.203 mmol), 디클로로메탄 (3.6 mL), 디클로로메탄 (7.2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2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124 mg, 0.191 mmol, 95%)을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3.18-3.27, 3.37-3.43, 3.84-3.93 (m, 12H, N-CH 2 -CH-NH3 +, CH-CH 2 -N, N-CH 2 -CH2-N, N-CH2-CH 2 -N), 4.69 (m, 1H, CH-CH2-NH3 +), 4.88 (d, 1H, N-CH2-CH-N), 8.13 (broad, 3H, NH 3 +), 8.24 (s, 1H, H pyrazole), 9.00 (broad, 2H, NH 2 +).
실시예 3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228 mg, 0.571 mmol), 디클로로메탄 (30 mL), 트리에틸아민 (159 μL, 1.14 mmol), 디포스겐 (103 μL, 0.856 mmol),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317 μL, 2.85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씩 100/0에서 95/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황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93 mg, 0.375 mmol, 66%)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14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6 (s, 9H, C(CH 3 )3), 2.30 (s, 3H, CH 3 ), 2.31 (s, 3H, CH 3 ), 2.53 (m, 2H, N-CH2-CH 2 -NMe2), 3.08 (dd, 1H, N-CH 2 -CH-N), 3.38 (m, 2H, CH-CH 2 -NHBoc), 3.48 (m, 2H, N-CH 2 -CH2-NMe2), 3.80 (dd, 1H, N-CH 2 -CH-N), 3.98 (d, 1H, N-CH2-CH-N), 4.60 (m, 1H, CH-CH2-NHBoc), 4.92 (AB, 2H, CH 2 -Ph), 5.16 (broad, 1H, NH), 7.39-7.43 (m, 5H, Ph), 8.04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73 mg, 0.337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48 mL), 디클로로메탄 (1.44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108 mg, 0.051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1.1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107 mg, 0.673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5%씩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07 mg, 0.184 mmol, 55%)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74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52 (s, 9H, C(CH 3 )3), 3.04 (s, 6H, 2 x CH 3 ), 3.48 (m, 4H, CH-CH 2 -NHBoc, N-CH2-CH 2 -NMe2), 3.61 (d, 1H, N-CH 2 -CH-N), 3.72 (dd, 1H, N-CH 2 -CH-N), 4.82 (m, 2H, N-CH 2 -CH2-NMe2), 4.65 (m, 1H, CH-CH2-NHBoc), 4.95 (d, 1H, N-CH2-CH-N), 8.28 (s, 1H, H pyrazole).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107 mg, 0.184 mmol), DOWEX 50WX8 수지 (13 g), 2 N 소다 (65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87 mg, 0.166 mmol, 91%)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04
1H NMR (400MHz, DMSO-d6): δ (ppm) = 1.41 (s, 9H, C(CH 3 )3), 3.24-3.43 (m, 14H, 2 x CH 3 , CH-CH 2 -NHBoc, N-CH2-CH 2 -NMe2, N-CH 2 -CH-N, N-CH 2 -CH2-NMe2), 4.40 (m, 1H, CH-CH2-NHBoc), 4.78 (d, 1H, N-CH2-CH-N), 7.15 (broad, 1H, NH), 8.20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87 mg, 0.166 mmol), 디클로로메탄 (2.5 mL), 디클로로메탄 (5.0 mL)에 용해된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5.0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76 mg, 0.141 mmol, 85%)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0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2.17 (s, 6H, 2 x CH3), 3.12-3.72 (m, 8H, N-CH 2 -CH-N, CH-CH 2 -NH3 +, N-CH 2 -CH2-NMe2, N-CH2-CH 2 -NMe2), 4.73 (dd, 1H, CH-CH2-NH3 +), 4.88 (d, 1H, N-CH2-CH-N), 8.17 (broad, 3H, NH 3 +), 8.32 (s, 1H, H pyrazole), 8.63 (broad, 1H, NH).
실시예 4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롤리딘-1-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2-(피롤리딘-1-카르보닐)-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150 mg, 0.376 mmol), 디클로로메탄 (20 mL), 트리에틸아민 (105 μL, 0.751 mmol), 디포스겐 (68 μL, 0.563 mmol), 피롤리딘 (157 μL, 1.88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에틸아세테이트, 구배 85/15)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43 mg, 0.288 mmol, 76%)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97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7 (s, 9H, C(CH 3 )3), 1.89 (m, 4H, N-CH2-CH 2 -pyrrolidine), 3.08 (dd, 1H, N-CH 2 -CH-N), 3.36 (d d, 1H, N-CH 2 -CH-N), 3.45 (m, 1H, CH-CH 2 -NHBoc), 3.65 (m, 2H, N-CH 2 -CH2-N-pyrrolidine), 3.79 (m, 1H, CH-CH 2 -NHBoc), 3.92 (m, 2H, N-CH 2 -CH2-N-pyrrolidine), 3.99 (d, 1H, N-CH2-CH-N), 4.63 (m, 1H, CH-CH2-NHBoc), 4.94 (AB, 2H, CH 2 -Ph), 5.16 (broad, 1H, NH), 7.39-7.43 (m, 5H, Ph), 8.11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2-(피롤리딘-1-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43 mg, 0.288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41 mL), 디클로로메탄 (1.23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92 mg, 0.043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93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88 mg, 0.553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5%씩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76 mg, 0.134 mmol, 49%)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85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51 (s, 9H, C(CH 3 )3), 2.00(m, 4H, N-CH2-CH 2 -pyrrolidine), 3.49 (dd, 1H, N-CH 2 -CH-N), 3.57 (dd, 1H, N-CH 2 -CH-N), 3.65 (m, 4H, N-CH 2 -CH2-N-pyrrolidine), 3.96 (m, 2H, CH-CH 2 -NHBoc), 4.67 (m, 1H, CH-CH2-NHBoc), 4.98 (d, 1H, N-CH2-CH-N), 8.30 (s, 1H, H pyrazole).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2-(피롤리딘-1-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76 mg, 0.134 mmol), DOWEX 50WX8 수지 (9 g), 2 N 소다 (45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64 mg, 0.126 mmol, 93%)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86
1H NMR (400MHz, DMSO-d6): δ (ppm) = 1.39 (s, 9H, C(CH 3 )3), 1.84 (m, 4H, N-CH2-CH 2 -pyrrolidine), 3.25-3.40 (m, 4H, N-CH 2 -CH-N, N-CH 2 -CH2-N-pyrrolidine), 3.54 (m, 2H, N-CH 2 -CH2-N-pyrrolidine), 3.79 (m, 2H, CH-CH 2 -NHBoc), 4.41 (m, 1H, CH-CH2-NHBoc), 4.78 (d, 1H, N-CH2-CH-N), 7.05 (broad, 1H, NH), 8.16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롤리딘-1-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64 mg, 0.126 mmol), 디클로로메탄 (1.8 mL), 디클로로메탄 (3.7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7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57 mg, 0.109 mmol, 86%)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85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1.85 (m, 4H, N-CH2-CH 2 -pyrrolidine), 3.42-3.74 (m, 8H, N-CH 2 -CH-N, N-CH 2 -CH2-N-pyrrolidine, CH-CH 2 -NH3 +), 4.68 (m, 1H, CH-CH2-NH3 +), 4.86 (d, 1H, N-CH2-CH-N), 8.09 (broad, 3H, NH 3 +), 8.26 (s, 1H, H pyrazole)
실시예 5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3-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250 mg, 0.626 mmol), 디클로로메탄 (32.8 mL), 트리에틸아민 (174 μL), 디포스겐 (113 μL), N-Boc-1,3-프로판디아민 (382 μ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AcOEt, 구배: 100/0에서 70/3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예상되었던 유도체 (132 mg, 0.22 mmol, 35%)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600
1H NMR (400MHz, CDCl3): δ (ppm) = 1.48 (s, 9H, tBu), 1.61 (s, 9H, tBu), 1.79 (m, 2h, NHCH2-CH 2 -CH2-NHBOC), 3.05-3.75 (m + 2 ABX, 8H, N-CH 2-CH-N, N-CH-CH 2-NHBOC, NHCH 2 -CH2-CH2-NHBOC, NHCH2-CH2-CH 2 -NHBOC), 4.00 (d, 1H, N-CH-CH2-NHBOC), 4.62 (dd, 1H, N-CH2-CH-N), 4.97 (AB, 2H,CH 2-Ph), 7.42-7.45 (m, 5H, Ph), 8.05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3-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32 mg, 0.22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 1/3 혼합 용액 (2.5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53 mg)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86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70 mg, 0.44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에서 80/2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90 mg, 0.134 mmol, 61%)를 합성하였다.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90 mg, 0.134 mmol), DOWEX 50WX8 수지 (11 g), 2 N 소다 (55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물만을 사용하여 용리시키고 동결-건조한 후, 백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48 mg, 0.078 mmol, 58%)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88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49 (s, 9H, C(CH 3 )3), 1.52 (s, 9H, C(CH 3 )3), 1.81 (m, 2H, NCH2-CH 2 -CH2-NHBoc), 3.18 (m, 2H, NCH2-CH2-CH 2 -NHBoc), 3.36-3.45 (m, 6H, NCH 2 -CH2-CH2-NHBoc, N-CH 2 -CH-N, CH-CH 2 -NHBoc), 4.65 (dd, 1H, CH-CH2-NHBoc), 4.99 (d, 1H, N-CH2-CH-N), 8.29 (s, 1H, H pyrazole).
단계 C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48 mg, 0.078 mmol), 디클로로메탄 (1.34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혼합 용액 (5.36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45 mg, 0.070 mmol, 9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90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86 (m, 2H, NCH2-CH 2 -CH2-NH2), 2.91 (m, 2H, NCH2-CH2-CH 2 -NH2), 3.29-3.80 (m, 6H, NCH 2 -CH2-CH2-NH2, N-CH 2 -CH-N, CH-CH 2 -NH2), 4.65 (dd, 1H, CH-CH2-NH2), 4.86 (d, 1H, N-CH2-CH-N), 8.18 (s, 1H, H pyrazole).
실시예 6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부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3-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250 mg, 0.626 mmol), 디클로로메탄 (32. 8 mL), 트리에틸아민 (174 μL), 디포스겐 (113 μL), N-Boc-1,3-부탄디아민 (419 μ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3시간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 50% 변환),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AcOEt, 구배: 100/0에서 70/3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예상되었던 유도체 (91 mg, 0.148 mmol, 24%)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14
1H NMR (400MHz, CDCl3): δ (ppm) = 1.47 (s, 9H, tBu), 1.48 (s, 9H, tBu), 1.58-1.68 (m, 4H, NHCH2-CH2-CH 2 -CH2-NHBoc, NHCH2-CH 2 -CH2-CH2-NHBoc), 3.05-3.55 (m + 2 ABX, 8H, N-CH 2-CH-N, N-CH-CH 2-NHBoc, NHCH 2 ??CH2-CH2-CH2-NHBoc, NHCH2-CH2-CH2-CH 2 -NHBoc), 4.00 (d, 1H, N-CH-CH2-NHBoc), 4.60 (dd, 2H, N-CH2-CH-N), 4.97 (AB, 2H, CH 2-Ph), 5.05 (bs, 1H, NH), 7.05 (bs, 1H, NH), 7.42-7.45 (m, 5H, Ph), 8.05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3-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91 mg, 0.15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 1/3 혼합 용액 (1.7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36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86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47 mg)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95/5에서 90/1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예상되었던 유도체 (38 mg, 0.056 mmol, 37%)를 합성하였다.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38 mg, 0.056 mmol), DOWEX 50WX8 수지 (4.6 g), 2 N 소다 (23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물만을 사용하여 용리시키고 동결-건조한 후, 백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43 mg, 0.068 mmol, 10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02
1H NMR (400MHz, MeOD-d4): δ (ppm) = 1.50 (s, 9H, tBu), 1.53 (s, 9H,tBu), 1.59 (m, 2H, NHCH2-CH2-CH 2 -CH2-NHBoc), 1.68 (m, 2H, NHCH2-CH 2 -CH2-CH2-NHBoc), 3.11-3.82 (m + 2 ABX, 8H, N-CH 2-CH-N, N-CH-CH 2-NHBoc, NHCH 2 ??CH2-CH2-CH2-NHBoc, NHCH2-CH2-CH2-CH 2 -NHBoc), 4.45 (bs, 1H, NH), 4.62 (dd, 1H, N-CH-CH2-NHBoc), 5.00 (dd, 2H, N-CH2-CH-N), 5.45 (bs, 1H, NH), 8.05 (s, 1H, H pyrazole), 8.38 (bs, 1H, NH).
단계 C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부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43 mg, 0.068 mmol), 디클로로메탄 (1.17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혼합 용액 (4.68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04
1H NMR (400MHz, MeOD-d4): δ (ppm) = 1.20 (m, 2H, NHCH2-CH2-CH 2 -CH2-NH2), 1.60 (m, 2H, NHCH2-CH 2 -CH2-CH2-NH2), 2.70-3.72 (m + 2 ABX, 8H, N-CH 2-CH-N, N-CH-CH 2-NH2, NHCH 2 ??CH2-CH2-CH2-NH2, NHCH2-CH2-CH2-CH 2 -NH2), 4.80 (dd, 2H, N-CH2-CH-N), 8.20 (s, 1H, H pyrazole).
실시예 7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200 mg, 0.501 mmol), 디클로로메탄 (26 mL), 트리에틸아민 (0.489 mL, 3.507 mol), 디포스겐 (0.091 mL, 0.751 mmol), 글리신아미드 염산염 (glycinamide hydrochloride salt, 0.277 mg, 2.5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2시간 반응시켜서 조-생성물을 얻고, 출발 물질 (50 mg, 0.125 mmol)로부터 얻어진 다른 성분과 배합된 이 조-화합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 CH2Cl2/AcOEt, 구배: 100/0에서 00/10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뒤, 예상되었던 유도체 (115 mg, 0.23 mmol, 36.8%)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00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8 (s, 9H, C(CH3)3), 3.10-3.20 (AB, 1H, N-CH2-CH-N), 3.36-3.39 (m, 2H, N-CH2-CH-N, CH-CH2-NHBoc), 3.8 (broad, 1H, CH-CH2-NHBoc), 4.03 (d, 1H, N-CH2-CH-N), 4.90 (m, 2H, N-CH2-CO-N), 4.60-4.70 (broad, 1H, N- CH-CH2-NHBoc), 4.88-5.05 (AB, 2H, N-O-CH2-Ph), 5.20 (broad, 1H, NH), 5.65 (broad, 1H, CO-NH2), 6.15 (broad, 1H, CO-NH2), 7.42-7.45 (m, 5H, Ph), 7.65 (broad, 1H, NH), 8.07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10 mg, 0.22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32 mL), 디클로로메탄 (0.96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70.3 mg, 0.033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09)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69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70 mg, 0.440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에서 80/2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여전히 충분하지 않은 순도를 가지는 예상되었던 생성물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물로 용액 상태로 되돌렸다. 수용액을 디클로로메탄 (2 mL)으로 3회 추출한 뒤, 수용액층을 동결시키고 동결-건조시켜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화합물 (65 mg, 0.114 mmol, 52%)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88
1H NMR (400 MHz, DMSO-d 6 + 1 drop D2O): δ(ppm) = 1.38 (s, 9H, C(CH3)3), 3.30-3.44 (m, 4H, N-CH2-CH-N, CH-CH2-NHBoc), 3.67-4.00 (m, 2H, N-CH2-CO-N), 4.40 (m, 1H, N-CH2-CH-N), 4.79 (broad, 1H, N-CH-CH2-NHBoc), 7.83-7.84 (m, 2H, Pyridine), 8.20 (s, 1H, H pyrazole); 8.32-8.34 (m, 1H, Pyridine); 8.70-8.78 (m, 2H, pyridine).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55 mg, 0.097 mmol), DOWEX 50WX8 수지 (8 g), 2 N 소다 (30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수용액에서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동결-건조한 후, 백색 동결건조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38 mg, 0.074 mmol, 77%)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8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1.40 (s, 9H, C(CH3)3); 3.32-3.40 (m, 4H, N-CH2-CH-N, CH-CH2-NHBoc), 3.78 (m, 2H, N-CH2-CO-N), 4.40-4.50 (m, 1H, N-CH2-CH-N), 4.75 (m, 1H, N-CH-CH2-NHBoc), 7.10-7.20 (m, 2H, NH 및 NH), 8.19 (s, 1H, H pyrazole), 8.45 (m, 1H, NH).
단계 D
트랜스-8-(아미노메틸)-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35 mg, 0.068 mmol), 디클로로메탄 (3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백색 동결건조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34 mg, 0.054 mmol, 8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90
실시예 8 : 트랜스 8-(아미노메틸)-2-(디메틸아미노설파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trans 8-(aminomethyl)-2-(dimethylaminosulph amoyl)-4,8-dihydro-5-(sulphooxy)-4,7-methano-7H-pyrazole[3,4-e][1,3]diazepin-6(5H)-one)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디메틸아미노설파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200 mg, 0.500 mmol)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7 mL) 용액에 넣었다. -5 ℃에서, 오일에 용해된 60% 수소화나트륨 (30 mg, 0.751 mmol)을 일부분씩 첨가하였다. 15분 후, 디메틸설파모일 클로라이드 (160 μL, 1.502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온으로 회복시켰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용매(medium)를 가수분해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추출하였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추출하였다. 배합된 유기용매층을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뒤 감압 농축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부터 98/2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백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98 mg, 0.193 mmol, 39%)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07
1H NMR (300 MHz, CDCl3): δ (ppm) = 1.43 (s, 9H, C(CH 3 )3), 2.91 (s, 6H, N(CH 3 )2), 3.09 (dd, 1H,N-CH 2 -CH-N), 3.32-3.44, 3.49-3.59 (m, 2H, CH-CH 2 -NHBoc), 3.75(m, 1H, N-CH 2 -CH-N), 3.96 (d, 1H, N-CH2-CH-N), 4.63 (m, 1H, CH-CH2-NHBoc), 4.95 (AB, 2H, CH 2 -Ph), 5.12 (broad, 1H, NH), 7.36-7.55 (m, 5H, Ph), 7.78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디메틸아미노설파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90 mg, 0.178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26 mL), 디클로로메탄 (0.79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57 mg, 0.027 mmo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59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57 mg, 0.356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에서 80/2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예상되었던 유도체 (39 mg, 0.067 mmol, 38%)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95
1H NMR (300MHz, MeOH-d4): δ (ppm) = 1.46 (s, 9H, C(CH 3 )3), 2.91 (s, 6H, N(CH 3 )2), 3.30-3.59 (m, 5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N), 4.60 (m, 1H, CH-CH2-NHBoc), 4.92 (d, 1H, N-CH2-CH-N), 8.04 (m, 2H, Py), 8.14 (s, 1H, H pyrazole), 8.57(m, 1H, Py), 8.84 (m, 2H, Py).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디메틸아미노설파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최소량의 메탄올에 침전시킨,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35 mg, 0.061 mmol), DOWEX 50WX8 수지 (9 g), 2 N 소다 (19 mL)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물로 용리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홍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31 mg, 0.060 mmol, 10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95
1H NMR (300MHz, MeOH-d6): δ (ppm) = 1.46 (s, 9H, C(CH 3 )3), 2.90 (s, 6H, C(CH 3 )2), 3.30-3.53 (m, 5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N), 4.59 (m, 1H, CH-CH2-NHBoc), 4.92 (d, 1H, N-CH2-CH-N), 8.14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 [[8-(아미노메틸)-2-(디메틸아미노설파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30 mg, 0.058 mmol), 디클로로메탄 (0.8 mL), 디클로로메탄 (1.6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6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27 mg, 0.051 mmol, 88%)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96
1H NMR (300 MHz, DMSO-d6): δ (ppm) = 2.86 (s, 6H, C(CH 3 )2), 3.33-3.45 (m, 5H, N-CH 2 -CH-N, CH-CH 2 -NHBoc, N-CH 2 -CH-N), 4.71 (m, 1H, CH-CH2-NHBoc), 4.85 (d, 1H, N-CH2-CH-N), 8.10 (broad, 3H, NH 3 +), 8.34 (s, 1H, H pyrazole).
실시예 9 : 트랜스 [[8-(아미노메틸)-1-(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6-옥소-(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1-[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터르-부톡시카르보닐 이미노)-메틸]-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및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터르-부톡시카르보닐 이미노)-메틸]-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300 mg, 0.751 mmol)를 디클로로메탄 (1.25 mL) 용액에 넣었다. 트리에틸아민 (523 μL, 3.76 mmol), N,N'-디-(터르-부톡시카르보닐)티오우레아 (415 mg, 1.50 mmol)를 첨가한 뒤, 염화수은 (408 mg, 1.50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트리에틸아민 (261 μL, 1.88 mmol)과 N,N'-디-(터르-부톡시카르보닐)티오우레아 (208 mg, 0.751 mmol)를 첨가한 뒤, 염화수은 (204 mg, 0.751 mmol)을 첨가하였다. 총 44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한 뒤, 용매를 0.45 ㎛ 멤브레인으로 여과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 mL)로 헹구고 난 뒤, 여액을 진공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에틸아세테이트, 구배: 5%씩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N1-치환 유도체 (110 mg, 0.171 mg, 23%)와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N2-치환 유도체 (137 mg, 0.213 mg, 28%)를 합성하였다.
N1-치환 유도체:
MS (ES+) m/z [M+H]+ = 64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4 (s, 9H, C(CH 3 )3), 1.48 (s, 9H, C(CH 3 )3), 1.55 (s, 9H, C(CH 3 )3), 3.35 (m, 2H, N-CH 2 -CH-N), 3.68 (m, 1H, CH-CH 2 -NHBoc), 3.83 (m, 1H, CH-CH 2 -NHBoc), 3.93 (d, 1H, N-CH2-CH-N), 4.92 (AB, 2H, CH 2 -Ph), 5.02 (m, 1H, CH-CH2-NHBoc), 5.38 (broad, 1H, NH), 7.41-7.44 (multiplet, 5H, Ph), 7.48 (s, 1H, H pyrazole), 8.93 (broad, 1H, NH).
N2-치환 유도체:
MS (ES+) m/z [M+H]+ = 64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8 (s, 9H, C(CH 3 )3), 1.56 (s, 18H, 2 x C(CH 3 )3), 3.07 (d, 1H, N-CH 2 -CH-N), 3.28 (m, 1H, CH-CH 2 -NHBoc), 3.32 (dd, 1H, N-CH 2 -CH-N), 3.86 (m, 1H, CH-CH 2 -NHBoc), 3.90 (d, 1H, N-CH2-CH-N), 4.62 (m, 1H, CH-CH2-NBoc), 4.92 (AB, 2H, CH 2 -Ph), 5.19 (broad, 1H, NH), 7.41-7.44 (multiplet, 5H, Ph), 8.18 (s, 1H, H pyrazole), 8.70 (broad, 1H, NH).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1-(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터르-부톡시카르보닐이미노)-메틸]-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N1-치환 유도체 (110 mg, 0.171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49 mL), 디클로로메탄 (1.47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55 mg, 0.026 mmo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8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55 mg, 0.343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5%씩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9 mg, 0.026 mmol, 16%)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32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50, 1.59 (s, 27H, 3x C(CH 3 )3), 3.51-3.57 (m, 3H, N-CH 2 -CH-N, CH-CH 2 -NHBoc), 3.96 (dd, 1H, N-CH 2 -CH-N), 4.92 (signal H2O + N-CH2-CH-N), (dd, 1H, CH-CH2-NHBoc), 7.83(s, 1H, H pyrazole)
단계 C
트랜스 8-(아미노메틸)-1-(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19 mg, 0.027 mmol), DOWEX 50WX8 수지 (2.3 g), 2 N 소다 (12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17 mg, 0.027 mmol, 100%)을 합성하였다.
이 나트륨염 (17 mg, 0.027 mmol), 디클로로메탄 (0.5 mL), 디클로로메탄 (1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10 mg, 0.014 mmol, 53%)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35
1H NMR (400 MHz, D2O) 2개의 이형태체(conformer)의 형태: δ (ppm) = 3.40-3.50, 3.54-3.63 (m, 4H, N-CH 2 -CH-N, CH-CH 2 -NH3 +), 4.82 (m, 1H, CH(B)-CH2-NH3 +), 4.93 (d, 1H, N-CH2-CH(B)-N), 4.99 (d, 1H, N-CH2-CH(A)-N), 5.26 (m, 1H, CH(A)-CH2-NH3 +), 7.74 (s, 1H, H(B) pyrazole), 8.00 (s, 1H, H(A) pyrazole).
실시예 10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터르-부톡시카르보닐이미노)-메틸]-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실시예 9의 단계 A에서 얻어진 N2-치환 유도체 (137 mg, 0.231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61 mL), 디클로로메탄 (1.83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55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이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9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68 mg, 0.429 mmol)을 사용하여,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5%씩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33 mg, 0.045 mmol, 22%)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30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50, 1.58 (s, 27H, C(CH 3 )3), 3.40-3.83 (m, 4H, N-CH 2 -CH-N, CH-CH 2 -NHBoc), 4.68 (dd, 1H, CH-CH2-NHBoc), 5.00 (d, 1H, N-CH2-CH-N), 7.50 (m, 2H, Py), 7.92 (m, 1H, Py), 8.37 (s, 1H, H pyrazole), 8.59 (m, 2H, Py).
단계 B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33 mg, 0.046 mmol), DOWEX 50WX8 수지 (4 g), 2 N 소다 (20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30 mg, 0.046 mmol, 100%)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나트륨염 (30 mg, 0.046 mmol), 디클로로메탄 (0.9 mL), 디클로로메탄 (1.7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7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24 mg, 0.046 mmol, 75%)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35
1H NMR (400 MHz, D2O): δ (ppm) = 3.42-3.53, 3.69-3.76 (m, 4H, N-CH 2 -CH-N, CH-CH 2 -NH3 +), 4.90 (m, 1H, CH-CH2-NH3 +), 5.04 (d, 1H, N-CH2-CH-N), 8.39 (s, 1H, H pyrazole)
실시예 11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페리딘-4-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1-터르-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보닐)-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97 mL, 1.8 mmo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N-Boc-이소니페코트산 (N-Boc-isonipecotic acid, 0.137 g, 0.6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용액 (3 mL)에 넣고, O-(1H-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O-(1H-benzotriazol-1-yl)-N,N,N',N'-tetramethyluronium tetrafluoroborate, 0.211 g, 0.6 mmol)를 이 용액에 첨가한 뒤, 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용액에 용해된,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피라졸 (239 mg, 0.6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1 시간 교반을 지속하고, 반응 혼합물을 물 (15 mL)로 가수분해 한 뒤, 에틸아세테이트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물 (15 mL)로 5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조-반응 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0/20 다음에 70/3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예상되었던 오일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0.219 g, 0.36 mmol, 60%)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11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7 (s, 9H, C(CH 3 )3), 1.48 (s, 9H, C(CH 3 )3), 1.56-1.97 (m, 4H, C(O)CH-CH 2 -CH2-N), 2.81-2.97 (m, 2H, CH 2 -N(Boc)-CH 2 ), 3.09 (dd, 1H, N-CH 2 -CH-N), 3.25-3.40 (m, 2H, N-CH 2 -CH-N, C(O)CH(CH2)-CH2), 3.63 (m, 1H, CH 2 -NHBoc), 3.89 (m, 1H, CH 2 -NHBoc), 4.01 (d, 1H, N-CH2-CH-N), 4.09-4.23 (m, 2H, CH 2 -N(Boc)-CH 2 ), 4.63-4.72 (m, 1H, CH-CH2-NHBoc), 4.95 (AB, 2H, CH 2 -Ph), 5.11 (broad, 1H, NH), 7.32-7.50 (m, 5H, aromatic Hs), 7.44 (s, 1H, H pyrazole).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1-터르-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보닐)-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 A에서 얻어진 유도체 (0.214 g, 0.35 mmol),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CH2Cl2 1/3 혼합 용액 (2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111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1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0.111 mg, 0.70 mmol)을 사용하여,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에서 85/1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비결정(amorphous)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0.061 g, 0.090 mmol, 34%)를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 1.29 (s, 9H, C(CH 3 )3), 1.32 (s, 9H, C(CH 3 )3), 1.50 (m, 2H, C(O)CH-CH 2 -CH2), 1.80 (m, 2H, C(O)CH-CH 2 -CH2), 2.79 (m, 2H,CH 2 -N(Boc)-CH2), 3.20-3.46 (m, 4H, CH-CH 2 -NHBoc, N-CH 2 -CH-N), 3.62 (m, 1H, C(O)CH-CH2), 3.95 (m, 2H, CH 2 -N(Boc)-CH2), 4.46 (m, 1H, CH-CH2-NHBoc), 4.78 (d, 1H, N-CH2-CH-N), 8.17 (s, 1H, H pyrazole).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1-터르-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4-카르보닐)-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61 mg, 0.09 mmol), DOWEX 50MX7 수지 (9.4 g), 2 N 소다 (50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비결정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55 mg, 0.088 mmol, 100%)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99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1.45 (s, 9H, C(CH 3 )3), 1.48 (s, 9H, C(CH 3 )3), 1.53 (m, 2H, C(O)CH-CH 2 -CH2), 1.87 (m, 2H, C(O)CH-CH 2 -CH2), 2.91 (m, 2H, CH 2 -N(Boc)-CH2), 3.25-3.44 (m, 4H, CH-CH 2 -NHBoc, N-CH 2 -CH-N), 3.63 (m, 1H, C(O)CH-CH2), 3.92 (m, 2H, CH 2 -N(Boc)-CH2), 4.44 (m, 1H, CH-CH2-NHBoc), 4.81 (d, 1H, N-CH2-CH-N), 7.09 (broad, 1H, NH), 8.17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페리딘-4-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55 mg, 0.088 mmol), 디클로로메탄 (2.38 mL), 디클로로메탄 (1.14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14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황색 비결정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53 mg, 0.082 mmol, 93%)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9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 1.66 (m, 2H, CH 2 -NH-CH2), 1.95 (m, 2H, CH 2 -NH-CH2), 2.44-2.62, 2.85-3.00, 3.17-3.42 (m, 9H, CH-CH 2 -NH3 +, N-CH 2 -CH-N, C(O)CH(CH2)-CH2, CH 2 -NH-CH 2 ), 4.65 (dd, 1H, CH-CH2-NH3 +), 4.77 (d, 1H, N-CH2-CH-N), 7.78 (s, 1H, H pyrazole), 8.00 (broad, 5H, NH3 +, NH2 +).
실시예 12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3-카르복시-프로필)-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 트랜스 [[2-(3-터르-부톡시카르보닐-3-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 [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화합물 (200 mg, 0.50 mmol)을, Boc-L-글루탐산 1-터르-부틸 에스테르 (Boc-L-glutamic acid 1-tert-butyl ester, 159 mg, 0.525 mmol) 및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수화물(1-hydroxybenzotriazole hydrate, 85 mg, 0.63 mmo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3 mL) 용액에 넣고, 0 ℃로 냉각한 다음,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 염산화물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101 mg, 0.52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타르타르산 10% 수용액, NaHCO3 포화 수용액, H2O,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의 순서로 세척하였다. 유기용매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킨 뒤 진공 농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AcOEt, 구배: 90/1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예상되었던 생성물 (92 mg, 0.134, 27%)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85
단계 B
1,1-디메틸 트랜스 [[2-(3-터르-부톡시카르보닐-3-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필)-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92 mg, 0.13 mmol),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CH2Cl2 1/3 혼합 용액 (0.8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43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380 μ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43 mg, 0.27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90/1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후, 예상되었던 염 (28 mg, 0.037 mmol, 19%)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75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1.52 (m, 27H, 3 x C(CH 3 )3), 2.05 (m, 2H, C(O)CH 2 -CH2-CH-(N)CO2t-Bu), 2.25 (m, 2H, C(O)CH2-CH 2 -CH-(N)CO2t-Bu), 3.50 (m, 4H, N-CH 2 -CH-NandCH-CH 2 -NHBoc), 4.11 (m, 1H, C(O)CH2-CH2-CH-(N)CO2t-Bu), 4.62 (dd, 1H, CH-CH2-NHBoc), 5.05 (d, 1H, N-CH2-CH-N), 8.42 (s, 1H, H pyrazole).
단계 C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3-카르복시-프로필)-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28 mg, 0.04 mmol), DOWEX 50WX8 수지 (3.5 g), 2 N 소다 (17.5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나트륨염을 합성하였다.
이 나트륨염 (17 mg, 0.027 mmol), 디클로로메탄 (0.86 mL), 디클로로메탄 (0.86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86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황색 검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27 mg, 0.049 mmol, 10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17
1H NMR (400MHz, MeOH-d4): δ (ppm) = 2.21-2.44 (m, 5H, C(O)CH 2 -CH2-CH-(N)CO2t-Bu, C(O)CH2-CH 2 -CH-(N)CO2t-Bu), 3.36-3.54 (m, 4H, N-CH 2 -CH-N, CH-CH 2 -NHBoc), 4.11 (m, 1H, C(O)CH2-CH2-CH-(N)CO2t-Bu), 4.82 (dd, 1H, CH-CH2-NHBoc), 4.98 (d, 1H, N-CH2-CH-N), 7.79 (s, 1H, H pyrazole).
실시예 13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 (bis-bis(1,1-dimethyl) trans [[[4,5,6,8-tetrahydro-6-옥소-5-(phenylmethoxy)-4,7-methano-7H-pyrazolo[3,4-e][1,3]diazepin-8-yl]methyl]-carbonimidoyl]carbamate
질소 분위기에서,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아지드 중간물 (1.5 g, 4.6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 (29 mL)에 넣고 이 용액을 0 ℃로 냉각하였다. (1M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된) 트리메틸포스핀 (4.6 mL, 4.6 mmol)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3-비스(Boc)-2-메틸-2-티오슈도우레아 (1,3-bis-(Boc)-2-methyl-2-thiopseudourea, 1.34 g, 4.6 mmol)를 첨가하였다. 밤새 상온에서 교반한 후, 물 (0.83 mL, 46 mmol)을 첨가하고, 5 ℃에서 16시간 동안 혼합물을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하여 건조시킨 다음, 실리카 칼럼(용리액: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구배: 80/20에서 0/10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예상되었던 생성물 (560 mg, 1.03 mmol, 22%)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4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8 (s, 9H, C(CH 3 )3), 1.54 (s, 9H, C(CH 3 )3), 3.10 (d, 1H, N-CH 2 -CH-N), 3.36 (dd, 1H, N-CH 2 -CH-N, 3.70-3.80 (m, 1H, CH-CH 2 -NH-C=NBoc), 4.00 (d, 1H, N-CH2-CH-N), 4.13-4.25 (m, 1H, CH-CH 2 -NH-C=NBoc), 4.68 (dd, 1H, CH-CH2-NH-C=NBoc), 4.93 (AB, 2H, CH 2 -Ph), 7.28-7.44 (m, 6H, H pyrazole + Ph), 9.38 (broad, 1H, NH), 11.35 (broad, 1H, NH).
단계 B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1-터르-부톡시카르밤산-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6-(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 (130 mg, 0.24 mmol)을 디클로로메탄 (12 mL) 용액에 넣었다.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15 mg, 0.1 mmol)을 첨가한 다음에 디-터르-부틸 디카보네이트 (105 mg, 0.48 mmol)를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용매를 타르타르산 10% 수용액 (10 mL)으로 가수분해 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층(phase)을 분리하고,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킨 뒤 농축 건조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구배 80/20에서 0/10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하여, 예상되었던 생성물 (100 mg, 0.16 mmol, 65%)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 = 64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43 (s, 9H, C(CH 3 )3), 1.46 (s, 9H, C(CH 3 )3), 1.54 (s, 9H, C(CH 3 )3), 3.14-3.36 (m, 2H, N-CH 2 -CH-N), 3.87-3.93 (m, 2H, CH-CH 2 -NH-C=Nboc, N-CH2-CH-N), 4.16 (m, 1H, CH-CH 2 -NH-C=NBoc), 4.68 (dd, 1H, CH-CH2-NH-C=NBoc), 4.79 (d, 1H, CH 2 -Ph), 4.93 (d, 1H, CH 2 -Ph), 7.32-7.35 (m, 5H, Ph), 7.83 (s, 1H, H pyrazole), 8.90 (broad, 1H, NH), 11.38 (broad, 1H, NH).
단계 C
트랜스-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88 mg, 0.14 mmol),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CH2Cl2 1/3 혼합 용액 (0.8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44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4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43 mg, 0.272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에서 80/2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뒤, 예상되었던 화합물 (55 mg, 0.077 mmol, 56%)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32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50 mg, 0.07 mmol), DOWEX 50WX8 수지 (3.5 g), 2 N 소다 (17.5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백색 동결건조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42 mg, 0.064 mmol, 91%)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30
이 나트륨염 (42 mg, 0.064 mmol, 91%), 디클로로메탄 (3 mL), 디클로로메탄 (2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진행하여, 베이지색 파우더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40 mg, 0.058 mmol, 95%)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30
1H NMR (400 MHz, D2O): δ (ppm) = 3.43-3.70 (m, 5H, N-CH 2 -CH-N, CH-CH 2 -NH-C=Nboc, CH-CH2-NH-C=NBoc), 4.92 (d, 1H, N-CH2-CH-N), 7.73 (s, 1H, H pyrazole)
19F NMR (300 MHz, DMSO-d6): δ (ppm)= -74.17 (s, CF3).
실시예 14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6-(1,1-디메틸에틸)/7-메틸 4,7-디하이드로-1-메틸-4-((페닐메톡시)아미노)-1H-피라졸로[3,4-c]피리딘-6(5H),7-디카르복실레이트(dicarboxylate)
WO 02/100860호 (실시예 18, 단계 C)에 기술되어 있는 6-(1,1-디메틸에틸)/ 7-메틸 (4,7-디하이드로-4-히드록시-1-메틸-1H-피라졸로[3,4-c]피리딘-6(5H),7-디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 (10 g, 32.12 mmol)를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과 동시에 상온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현탁시켰다. 트리메틸아민 (14.30 mL, 10.28 mmol)을 첨가한 뒤에 현탁액을 용해시켰다. 디클로로메탄 (12 mL)에 용해된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11.4 mL, 96.36 mmol) 용액을 이 반응 용매에 적가하고 -78 ℃로 냉각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알코올은 메실레이트(mesylate)로 완전히 변환하였다.
O-벤질히드록실아민 염산화물 (O-benzylhydroxylamine hydrochloride, 25.4 g, 160.6 mmol)로부터 디클로로메탄에 용해된 O-벤질-히드록실아민(O-benzyl-hydroxylamine) 용액이 새로 제조하였다. O-벤질히드록실아민 염산화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mL)/물 (50 mL) 혼합 용액에 용해시켰다. 2 N 소다 용액 (85 mL, 176.66 mmol)을 0 ℃에서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접촉하여 침전(settling)시킨 뒤, 유기용매층을 45분 동안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부피가 절반이 되도록 농축하였다. 위에서 제조된 메실레이트로, -78 ℃에서 1 시간 이상 이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온으로 회복하였다. 물 (20 mL)을 첨가하여 용매를 처리하고 디클로로메탄 (100 mL)으로 희석시켰다. 교반하여 침전시킨 후,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포화 NaCl 용액 (20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농축 건조하여 백색 비결정 분말을 얻고, 이 분말을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예상되었던 유도체 (8.25 g, 21.2 mmol, 66%)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17
1H NMR (400MHz, CDCl3) : (2개의 회전 이성질체 형태인) 2개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중 1개 설명, δ (ppm) = 1.43 (s, 9H, C(CH 3 )3), 3.15 (dd, 1H, N-CH 2 -CH-N), 3.68/3.70 (s, 3H, CH3), 3.84 (s, 3H,CH3),3.98 (m, 2H, N-CH 2 -CH-N), 4.6-4.8 (multiplet, 3H, NH-O-CH 2 -Ph, N-CH2-CH-N), 5.40/5.8 (s, 1H, CH-CO2Me), 7.22-7.31 (multiplet, 5H, Ph), 7.40 (s, 1H, H pyrazole).
단계 B
메틸 트랜스 1-메틸-6-옥소-5-(페닐메톡시)-4,5,6,8-테트라하이드로-4,7-메타노-1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7H) 카르복시산
상온에서, 디옥산 (50 mL)에 용해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21 g, 50.42 mmol) 용액에 4 N HCl/디옥산 용액 (400 mL)을 넣었다. 반응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하면서 잔류물을 물 (100 mL)과 에틸아세테이트 (500 mL)의 혼합 용액으로 용해시켰다. 0 ℃에서 20% 농도의 암모니아 용액 (42 mL)을 첨가하였다. 교반을 30분 동안 지속하였다. 침전시킨 후, 수용액층을 에틸아세테이트 (2 x 300 mL)로 다시 추출하고, 마지막 추출은 이 수용액층을 NaCl로 포화시킨 뒤에 수행되었다. 유기용매층을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황색 오일 형태의 탈보호된 피페리딘 중간물 (15.7 g, 49.4 mmol, 98%)을 얻고, 이 중간물을 아세토니트릴 (400 mL)로 용해시켰다. 30분에 걸쳐 트리에틸아민 (21 mL, 151.2 mmol), 디포스겐 (3.04 mL, 25.2 mmol)을 이 혼합물에 적가하고 0 ℃로 냉각시켰다. 상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용매를 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0 mL)로 용해시킨 뒤 10% 타르타르산 용액 (200 mL)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상층액을 분리하였다(decanted). 유기용매층을 10% 타르타르산 용액 (2 x 200 mL),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뒤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백색 생성물 (15.3 g, 44.0 mmol, 89%)을 디클로로메탄 (150 mL)에 용해시켰다.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운데크-7-엔 (18-Diazabicyclo[5.4.0]undec-7-ene, 7.53 mL, 50.04 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0 mL)로 처리하고, 교반한 다음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물 (2 x 200 mL)로 세척한 뒤, 포화 NaCl 용액 (1 x 200 mL)으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 뒤, 농축 건조시켜,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4.72 g, 37.4 mmol, 85%)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43
1H NMR (400MHz, CDCl3): δ (ppm) = 3.25 (d, 1H, N-CH 2 -CH-N), 3.45 (d, 1H, N-CH 2 -CH-N), 3.80 (s, 3H, CH3), 3.88 (s, 3H, CH3), 3.9 (s, 1H, N-CH2-CH-N), 4 .7 (d, 1H, N-O-CH 2 -Ph), 5.02 (d, 1H, N-O-CH 2 -Ph), 5.22 (s, 1H, CH-CO2Me), 7.39-7.43 (multiplet, 6H, H pyrazole + Ph).
단계 C
트랜스 4,8-디하이드로-8-(히드록시메틸)-1-메틸-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질소 분위기 및 교반 상태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0 mL)/메탄올 (50 mL) 혼합 용액에 용해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우레아 용액 (5 g, 14.60 mmol)을 -10 ℃로 냉각시켰다. 리튬 붕소 수소화물 (lithium borohydride, 668 mg, 30.67 mmol)을 반응 용매에 첨가하였다. -10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적으로 1.2 당량의 LiBH4를 첨가하였다. 2 시간 냉각한 후 반응물을 10% NaH2PO4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감압 상태 (200 mbar, 4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잔류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00 mL)에 용해시키고, 교반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수용액층을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로 다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뒤 농축 건조하였다. 얻어진 옅은 황색 분말 (6.6 g)을 실리카(용리액-에틸아세테이트)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예상되었던 유도체 (3.2 g, 10.18 mmol, 64%)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 = 315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 3.16 (dd, 1H, N-CH 2 -CH-N), 3.48 (d, 1H, N-CH 2 -CH-N), 3.71 (s, 3H, CH3), 3.81-3.91 (multiplet, 2H, CH 2 OH), 4.44 (m, 1H, N-CH2-CH-N), 4.48 (m, 1H, CH-CH2OH), 4.88 (m, 2H, N-O-CH 2 -Ph), 5.20 (m, 1H, OH), 7.35-7.40 (multiplet, 6H, H pyrazole + Ph).
단계 D
트랜스 4,8-디하이드로-1-메틸-8-[(메틸술포닐)옥시메틸)]-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질소 분위기 및 교반 상태에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알코올 (2.76 g, 8.78 mmol)을 상온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용액에 넣었다. 0 ℃로 냉각한 후, 트리에틸아민 (1.83 mL, 13.17 mmol)을 적가하고 나서,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용해된 메탄술포닐클로라이드 (1.61 g, 14.05 mmol) 용액을 적가하였다. 첨가 마지막에 얼음 중탕 욕조(ice bath)를 제거하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뒤, 반응 용매를 교반하면서 10% NaH2PO4 용액 (80 mL)으로 처리하였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다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수집, 건조한 뒤 감압 농축하여, 예상되었던 유도체 (3.44 g, 8.78 mmol, 양적 수율)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93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 3.23 (dd, 1H, N-CH 2 -CH-N), 3.26 (s, 3H, CH3), 3.45 (d, 1H, N-CH 2 -CH-N), 3.76 (s, 3H, CH3), 4.52 (m, 1H, N-CH2-CH-N), 4.58 (dd, 1H, CH-CH 2 -OMs), 4.66 (dd, 1H, CH-CH 2 -OMs), 4.88 ( m, 3H, CH-CH2-OMs, N-O-CH 2 -Ph), 7.35-7.45 (multiplet, 6H, H pyrazole + Ph).
단계 E
트랜스 8-(아지도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질소 분위기 및 교반 상태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70 mL)에 용해된, 실시예 9의 단계 D에서 얻어진 메실기 치환된 유도체 (3.44 g, 8.78 mmol) 용액으로, 아지드나트륨 (1.71 g, 26.3 mmol)을 상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용매를 밤새 65 ℃로 가열한 다음, NaH2PO4 10% 수용액 (50 mL)으로 처리하였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 (2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건조시키고 감압 농축하여, 예상되었던 유도체 (3 g, 8.78 mmol, 100%)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 = 340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 3.20 (dd, 1H, N-CH 2 -CH-N), 3.48 (d, 1H, N-CH 2 -CH-N), 3.66 (dd, 1H, CH-CH 2 -N3), 3.72 (s, 3H, CH3), 3.92 (dd, 1H, CH-CH 2 -N3), 4.50 (d, 1H, N-CH2-CH-N), 4.76 (dd, 1H, CH-CH2-N3), 4.89 (m, 2H, N-O-CH 2 -Ph), 7.35-7.45 (multiplet, 6H, H pyrazole + Ph).
단계 F
비스-비스(1,1-디메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1-메틸-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mL)에 용해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150 mg, 0.44 mmol) 용액으로 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된) 1M 트리메틸포스핀 (0.46 mL, 0.46 mmol)을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1,3-비스(터르-부톡시카르보닐)-2-메틸-2-티오슈도우레아 (141 mg, 0.48 mmol)를 반응 용매에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물 (0.5 mL)을 첨가하고 용매를 감압 농축하여 옅은 황색 분말을 얻고, 이 분말을 실리카 칼럼 (용리액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5/5)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예상되었던 생성물 (152 mg, 0.273 mmol, 61%)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56, [[M-(BOC)]+] = 456, [[M-(2BOC)]+] = 356
1H NMR (400MHz, DMSO-d 6): δ (ppm) = 1.40 (s, 9H, C(CH 3 )3), 1.50 (s, 9H, C(CH 3 )3), 3.20 (dd, 1H, N-CH 2 -CH-N), 3.35 (d, 1H, N-CH 2 -CH-N), 3.68 (m, 1H, CH-CH 2 -NH), 3.79 (m, 1H, N-CH 2 -CH-N), 3.86 (s, 3H, CH 3 ), 4.50 (d, 1H, N-CH2-CH-N), 4.70 (m, 1H, CH-CH2-NH), 4.90 (m, 2H, CH 2 -Ph), 7.35-7.41 (m, 6H, Ph + H pyrazole), 8.68 (broad, 1H, NH).
단계 G
비스-비스(1,1-디메틸) 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1-메틸-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질소 분위기에서, 탄소-담체 10% 팔라듐 (100 mg)을 메탄올 (5 mL)에 용해된,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화합물 (142 mg, 0.255 mmol) 용액으로 첨가하였다. 3회 진공/질소 세정 뒤, 반응 용매를 3 시간 동안 대기압 하에서 수소화 반응시켰다. 이 메탄올을 진공 농축시켜,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탈-벤질 중간물을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82 mg, 0.511 mmol)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리딘 (1 mL)에 용해시켰다. 상온에서 밤새 교반한 뒤, 용매를 진공 농축하였다. 조-반응 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메탄올, 구배: 100/0에서 80/20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예상되었던 유도체 (62 mg, 0.11 mmol, 45%)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46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 1.42 (s, 9H, C(CH 3 )3), 1.51 (s, 9H, C(CH 3 )3), 3.28 (dd, 1H, N-CH 2 -CH-N), 3.36 (d, 1H, N-CH 2 -CH-N), 3.70 (m, 1H, CH-CH 2 -NH), 3.80 (m, 1H, CH-CH 2 -NH), 3.87 (s, 3H, CH 3 ), 4.68 (m, 2H, N-CH2-CH-N,CH-CH2-NH), 7.38 (s, 1H, H pyrazole), 8.90 (broad, 1H, NH).
단계 H
비스-비스(1,1-디메틸)트랜스 [[[4,5,6,8-테트라하이드로-1-메틸-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62 mg, 0.11 mmol), DOWEX 50WX8 수지 (62 g), 2 N 소다 (300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백색 비결정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57 mg, 0.11 mmol, 100%)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46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 1.42 (s, 9H, C(CH 3 )3), 1.51 (s, 9H, C(CH 3 )3), 3.27-3.34 (m, 2H, N-CH 2 -CH-N), 3.70 (m, 1H, CH-CH 2 -NH), 3.80 (m, 1H, CH-CH 2 -NH), 3.87 (s, 3H, CH 3 ), 4.68 (m, 2H, N-CH2-CH-N,CH-CH2-NH), 7.36 (s, 1H, H pyrazole), 8.78 (broad, 1H, NH), 11.42 (broad, 1H, NH).
단계 I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57 mg, 0.11 mmol), 디클로로메탄 (7 mL), 디클로로메탄 (3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56 mg, 0.11 mmol, 10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44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 3.28 (m, 1H, N-CH 2 -CH-N), 3.42 (m, 1H, N-CH 2 -CH-N), 3.55 (m, 1H, CH-CH 2 -NH), 3.69 (m, 1H, CH-CH 2 -NH), 3.78 (s, 3H, CH 3 ), 4,69-4.72 (m, 2H, N-CH2-CH-N, CH-CH2-NH), 7,0-7.35 (m, 3H, NH3 +), 7.40 (s, 1H, H pyrazole), 7.45 (broad, 1H, NH).
실시예 15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1-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1-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 및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실시예 13의 단계 A에서 얻어진 유도체 (0.3 g, 0.55 mmol)를 무수 아세토니트릴/테트라하이드로퓨란 8/2 혼합 용액 (10 mL)에 넣었다. 이 용액을 얼음-물중탕 욕조(ice-water bath)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에틸이소시아네이트 (0.050 mL, 0.609 mmol)를 적가하였다. 몇 분 동안 교반한 뒤, 얼음-물중탕 욕조를 제거하였다. 상온에서 밤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물 (0.3 mL, 0.017 mmol)을 첨가한 후에 에탄올 (0.3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농축하였다. 얻어진 두터운 혼합물을 물 (5 mL)로 용해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 mL)을 첨가하였다. 충분히 교반하고 침전시킨 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배합하고, 포화 NaCl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뒤 농축 건조하여 베이지색 고형체를 합성하였다. 이 조-고형체를 실리카 칼럼(15 g, 용리액: CH2Cl2/AcOEt, 구배: 100/0 다음에 97/3)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형체 형태의 N1-치환 화합물 (189 mg, 0.308 mmol, 55.7%)과 백색 고형체 형태의 N2-치환 화합물 (71 mg, 0.116 mg, 20.9%, N2)을 합성하였다.
N1-치환 유도체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29 (t,3H, N-CH2-CH3), 1.50 (s, 9H, C(CH3)3), 1.53 (s, 9H, C(CH3)3), 3.31-3.47 (m, 4H, N-CH2-CH-N, N-CH2-CH3), 3.80-3.90 (m, 1H, CH-CH2-NH-C=NBoc), 4.00 (d, 1H, N-CH2-CH-N), 4.30-4.40 (m, 1 H, CH-CH2-NH-C=NBoc), 4.87 (AB, 2H, N-O-CH2-Ph), 5.10-5.17 (dd, 1H, CH-CH2-NH-C=NBoc), 7.10 (broad, 1H, NH), 7.41-7.46 (m, 6H, H pyrazole + Ph), 8.8 (broads, 1H, NH), 11.40 (s, 1H, NH).
N2-치환 유도체
MS (ES(+): m/z [M+H]+ = 61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27 (t, 3H, N-CH2-CH3), 1.54 (s, 9H, C(CH3)3), 1.55 (s, 9H, C(CH3)3), 3.06 (AB, 1H, N-CH2-CH-N), 3.40 (AB, 1H, N-CH2-CH-N), 3.43-3.50 (m, 2H, N-CH2-CH3), 3.85-3.95 (m, 2H, CH-CH2-NH-C=NBoc), 3.98 (d, 1H, N-CH2-CH-N), 4.73 (dd, 1H, CH-CH2-NH-C=NBoc), 4.87-5.05 (AB, 2H, N-O-CH2-Ph), 7.20 (broad, 1H, NH), 7.42-7.45 (m, 5H, O-CH2-Ph), 8.07 (s, 1H, H pyrazole), 8.9 (broad s, 1H, NH), 11.50 (s, 1H, NH).
단계 B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1-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N1 유도체 (150 mg, 0.245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36 mL), 디클로로메탄 (1.1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78.2 mg, 0.037 mmol)을 사용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이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74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78 mg, 0.245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2 g, 용리액 구배 100/0, 95/5, 다음에 90/1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뒤,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78 mg, 0.114 mmol, 46.7%)를 합성하였다.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 1.29 (t, 3H, N-CH2-CH 3 ), 1.54 (s, 9H, C(CH 3 )3), 1.61 (s, 9H, C(CH 3 )3), 3.41-3.47 (m, 3H,N-CH 2 -CH-N, N-CH 2 -CH3), 3.60 (AB, 1H, N-CH 2 -CH-N), 3.71 (d, 1H, N-CH2-CH-N), 3.82-3.83 (dd, 1H, CH-CH 2-NH-C=NBoc), 4.40-4.44 (dd, 1H, CH-CH2-NH-C=NBoc), 5.01-5.04 (dd, 1H, CH-CH2-NH-C=NBoc), 7.75 (s, 1H, H pyrazole).
단계 C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1-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수용액에 침전시킨,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108 mg, 0.158 mmol), DOWEX 50WX8 수지 (23 g), 2 N 소다 (120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백색 동결건조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35 mg, 0.056 mmol, 35%)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01
1H NMR (400 MHz, D2O): δ (ppm) = 1.12 (t, 3H, N-CH2-CH 3 ), 1.37 (s, 9H, C(CH 3 )3), 1.43 (s, 9H, C(CH 3 )3), 3.30 (m, 2H, N-CH 2 -CH3), 3.52 (m, 1H, N-CH 2 -CH-N), 3.70-3.76 (m, 2H, N-CH 2 -CH-N, CH-CH2-NH-C=NBoc), 4.27-4.33 (dd, 1H, CH-CH 2-NH-C=NBoc), 4.89 (s, 1H, N-CH2-CH-N)), 4.96-5.10 (m, 1H, CH-CH2-NH-C=NBoc), 7.70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1-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35 mg, 0.055 mmol), 디클로로메탄 (4 mL),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2 m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브라운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생성물 (22 mg, 33 mmol, 61%)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01
1H NMR (400 MHz, DMSO-d6 + 1 drop D2O): δ (ppm) = 1.1-1.2 (m, 3H, N-CH2-CH 3 ), 3.2-3.4 (m, 2H, N-CH 2 -CH3), 3.5-4.00 (m, 4H, CH-CH2-NH-C=N, N-CH 2 -CH-N), 4.63-4.70 (m, 1H, N-CH2-CH-N), 4.8 (s, 1H, CH-CH2-NH-C=N), 7.75/8.05 (s, H Pyrazole).
실시예 16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실시예 15의 단계 A에서 얻어진 N2 유도체 (80 mg, 0.130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19 mL), 디클로로메탄 (0.76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42 mg, 0.019 mmo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이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0.39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41.4 mg, 0.260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2 g, 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 95/5, 90/10 다음에 85/15)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뒤,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생성물 (51 mg, 0.074 mmol, 57%)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03, m/z [M+H-(Boc)]+ = 50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1.26 (t, 3H, N-CH2-CH3), 1.54 (s, 9H, C(CH3)3), 1.61 (s, 9H, C(CH3)3), 3.43-3.47 (m, 2H, N-CH2-CH3), 3.52 (AB, 1H, N-CH2-CH-N), 3.66 (AB, 1H, N-CH2-CH-N), 3.82 (dd, 1H, CH-CH2-NH-C=NBoc), 4.09 (dd, 1H, CH-CH2-NH-C=NBoc), 4.77 (dd, 1H, N-CH2-CH-N), 5.00 (dd, 1H, CH-CH2-NH-C=NBoc), 8.31 (s, 1H, H pyrazole).
단계 B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에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수용액에 침전시킨,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49 mg, 0.072 mmol), DOWEX 50WX8 수지 (8 g), 2 N 소다 (50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백색 동결건조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18 mg, 0.029 mmol, 4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601, m/z [M-H-(Boc)]- = 501
1H NMR (400 MHz, D2O): δ (ppm) = 1.14 (t, 3H, N-CH2-CH 3 ), 1.34 (s, 9H, C(CH 3 )3), 1.44 (s, 9H, C(CH 3 )3), 3.29-3.34 (m, 2H, N-CH 2 -CH3), 3.52-3.62 (m, 2H, CH-CH2-NH-C=NBoc), 3.72-3.77 (m, 1H, N-CH 2 -CH-N), 3.87-3.92 (m, 1H, N-CH 2 -CH-N), 4.75 (s, 1H, N-CH2-CH-N), 5.00 (m, 1H, CH-CH2-NH-C=NBoc), 8.22 (s, 1H, H pyrazole).
단계 C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18 mg, 0.028 mmol), 디클로로메탄 (3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5 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F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생성물을 합성하였다. 이 생성물을 물로 용해시켜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시켜서 불용성 분획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동결시킨 뒤 동결 건조하여 옅은 브라운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생성물 (12 mg, 0.018 mmol, 64.5%)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01
1H NMR (400 MHz, DMSO-d6 + 1 drop D2O): δ (ppm) = 1.08-1.12 (m, 3H, N-CH2-CH 3 ), 3.24-3.29 (m, 2H, N-CH 2 -CH3), 3.40 (broad, 2H, CH-CH2-NH-C=N), 3.63 (s, large, DDMSO-d6의 H2O 및 N-CH 2 -CH-N의 2H 피크), 3.51-3.55 (t, 1H, N-CH2-CH-N), 4.84 (s, 1H, CH-CH2-NH-C=N), 8.23 (s, 1H, H pyrazole).
실시예 17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단계 A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 ]-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에서, 실시예 13의 단계 A에서 얻어진 생성물 (0.114 g, 0.21 mmo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60 혼합 용액 (3.5 mL)에 넣었다. 이 용액을 얼음-물중탕 욕조를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이어서 트리메틸실란 이소시아네이트 (0.030 mL, 0.21 mmol)를 적가하였다. 50 분 동안 교반한 뒤, 얼음-물중탕 욕조를 제거하였다. 상온에서 밤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한 뒤, HPLC 분석 결과는 출발 물질의 82%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다시 0 ℃로 냉각하고, 트리메틸실란 이소시아네이트 (0.030 mL, 0.21 mmol)를 첨가하였다. 30 분 뒤에 다시 트리메틸실란 이소시아네이트 (0.030 mL, 0.21 mmol)를 새로 첨가하고, 밤새 교반을 지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 mL)과 메탄올 (1 mL)을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증발 건조시켰다. 얻어진 고형체를 5 mL의 물에 용해시키고 30 분 동안 교반하여 백색 침전물을 관찰하였다. 백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 건조시켜 조-생성물 125 mg을 합성하였다.
(6일 동안 4개의 lot에서 첨가된) 트리메틸실란 이소시아네이트 0.279 mL (1.94 mmol)을 사용하여, 기질 150 mg (0.277 mmol)에 대하여 2번째 반응을 수행하여, 조-생성물 160 mg을 합성하였다.
2개의 조-생성물 뱃치(batch)를 배합하고, 실리카 칼럼(10 g, 용리액: CH2Cl2/AcOEt, 구배: 100/0, 95/5, 91/09 다음에 85/15)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N2-치환 화합물 (72 mg, 0.123 mmol, 25%)을 분리할 수 있다.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50 (s, 9H, C(CH 3 )3), 1.53 (s, 9H, C(CH 3 )3), 3.00 (AB, 1H, N-CH 2 -CH-N), 3.40 (AB, 1H, N-CH 2 -CH-N), 3.78-3.85 (m, 1H, CH-CH 2-NH-C=NBoc), 3.99 (d, 1H, N-CH2-CH-N), 4.00-4.08 (m, 1H, CH-CH 2-NH-C=NBoc), 4.74 (dd, 1H, CH-CH2-NH-C=NBoc), 4.87-5.05 (AB, 2H, N-O-CH 2-Ph), 5.25 (broad, 1H, NH), 7.30 (s, 1H, NH), 7.42-7.45(m, 5H, O-CH2- Ph), 8.07 (s, 1H, H pyrazole), 9.00 (broad s, 1H, NH), 11.60(s, 1H, NH).
단계 B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2-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피리딘 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86 mg, 0.147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0.21 mL), 디클로로메탄 (0.64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47 mg, 0.022 mmol)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이 탈-벤질 중간물, 무수 피리딘 (0.4 mL), (밤새 방치한 뒤 회수된)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47 mg, 0.294 mmol)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2 g, 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 95/5 다음에 90/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뒤,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생성물 (57 mg, 0.087 mmol, 59%)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573, m/z [M-H-(Boc)]- = 473
1H NMR (400 MHz, MeOH-d4): δ (ppm) = 1.50 (s, 9H, C(CH 3 )3), 1.62 (s, 9H, C(CH 3 )3), 3.49 (AB, 1H, N-CH 2 -CH-N), 3.69 (AB, 1H, N-CH 2 -CH-N), 3.98-4.02 (m, 2H, CH-CH 2-NH-C=NBoc), 4.79 (dd, 1H, N-CH2-CH-N), 5.02 (d, 1H, CH-CH2-NH-C=NBoc), 8.34 (s, 1H, H pyrazole).
단계 C
비스-비스(1,1-디메틸에틸) 트랜스 [[[2-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본이미도일]-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최소량의 수용액에 침전시킨,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염 (57 mg, 0.087 mmol), DOWEX 50WX8 수지 (10 g), 2 N 소다 (50 mL)를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E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백색 동결건조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24 mg, 0.04 mmol, 46%)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73
1H NMR (400 MHz, D2O): δ (ppm) = 1.36 (s, 9H, C(CH 3 )3), 1.43 (s, 9H, C(CH 3 )3), 3.56 (AB, 2H, N-CH 2 -CH-N), 3.85 (d, 2H, CH-CH 2-NH-C=NBoc), 4.75 (broad, 1H, CH-CH2-NH-C=NBoc), 4.95 (s, 1H, N-CH2-CH-N), 8.25 (s, 1H, H pyrazole).
단계 D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24 mg, 0.04 mmol), 디클로로메탄 (3 m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을 사용하여 예상되었던 생성물을 합성하였다. 진공 증발시킨 뒤, 이 생성물을 물에 용해시켰다. 얻어진 현탁액을 여과시켰다. 고형체를 회수하고 밤새 진공 건조시켜, 베이지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화합물 (4.9 mg, 0.013 mmol, 32.5 %)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473
1H NMR (400 MHz, DMSO-d6 + 1 drop D2O): δ (ppm) = 3.40 (m, 2H, N-CH 2 -CH-N), 3.60 (m, 2H, CH-CH 2-NH-C=N), 4.52 (broad, 1H, CH-CH2-NH-C=N), 4.84 (s, 1H, N-CH2-CH-N), 8.23 (s, 1H, H pyrazole).
실시예 18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6-옥소-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8-디하이드로-1-메틸-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질소 분위기의 교반 상태에서, 톨루엔 (5 m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 혼합 용액에 용해된, 실시예 14의 단계 E에서 얻어진 아지드 (1.15 g, 3.39 mmol) 용액에 트리메틸포스핀 1 M 용액 (3.4 mL, 3.4 mmol)을 상온에서 적가하였다.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mL)에 용해된 BOC-ON (0.92 g, 3.6 mmol) 용액을 반응 용매에 적가하고 0 ℃로 냉각하였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반응 용매를 NaHCO3 10% 수용액 (50 mL)으로 처리하였다. 수용액층을 에틸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건조시킨 뒤, 감압 농축하여 오일 (2.2 g)을 합성하였다. 이 조-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5/5)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예상되었던 생성물 (0.62 g, 1.49 mmol, 70%)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 = 414
1H NMR (400MHz, CDCl3): δ (ppm) = 1.39 (s, 9H, C(CH 3 )3), 3.05 (dd, 1H, N-CH 2 -CH-N), 3.19 (dd, 1H, CH-CH 2 -NHBoc), 3.27 (dd, 1H, N-CH 2 -CH-N), 3.72 (s, 3H, CH3), 3.78 (m, 1H, CH-CH 2 -NHBoc), 3.88 (d, 1H, N-CH2-CH-N), 4.48 (dd, 1H, CHCH2NHBoc), 4.79 (d, 1H, N-O-CH 2 -Ph), 4.92 (d, 1H, N-O-CH 2 -Ph), 5.18 (m, 1H, NH), 7.35 (s, 1H, H pyrazole), 7.37-7.48 (multiplet, 5H, Ph).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8-디하이드로-1-메틸-6-옥소-5-(에톡시카르보닐-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메탄 (5 mL)에 용해된, 실시예 10의 단계 A에서 얻어진 아민 (300 mg, 0.72 mmol) 용액에 탄소-담체 10% 팔라듐 (70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용매를 3 시간 동안 수소화 반응시켰다. 이어서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을 증발시켜,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 = 324
질소 분위기에서, 탄산칼륨 (0.25 g, 1.81 mmol)과 에틸 브로보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ethyl bromodifluoroacetate, 0.373 mL, 2.89 mmol)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 탈-벤질 중간물 (234 mg, 0.72 mmol)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1.6 mL)에 용해시켰다. 밤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을 유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헹구었다. 여액을 물로 3회 세척하고, 유기용매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 농축시켰다. 조-반응 생성물을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메탄올, 구배: 100/0에서 95/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하여, 오일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185 mg, 0.42 mmol, 57%)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 = 446
1H NMR (400 MHz, CDCl3): δ (ppm) = 1.37 (t, 3H, CH2-CH 3 ), 1.60 (s, 9H, C(CH 3 )3), 3.24 (m, 1H, CH-CH 2 -NHBoc), 3.33 (m, 1H, N-CH 2 -CH-N), 3.53 (dd, 1H, N-CH 2 -CH-N), 3.80-3.95 (m, 4H, CH3, CH-CH 2 -NHBoc), 4.37 (m, 2H, CH 2 -CH3), 4.60-4.72 (m, 2H, N-CH2-CH-N, CH-CH2-NHBoc), 5.16 (broad, 1H, NH), 7.48 (s, 1H, H pyrazole).
단계 C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8-디하이드로-1-메틸-6-옥소-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0 ℃에서, 수산화리튬 (0.017 g, 0.41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물 혼합 용액 (7.38/2.48 mL)에 용해된, 실시예 10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에스테르 용액으로 2개의 로트(lots)로 첨가하였다. 1 시간 30 분 동안 0 ℃에서 교반을 지속하였다. 반응 용매를 타르타르산 10%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 농축하여, 비결정 형태의 예상되었던 산 (110 mg, 0.32 mmol, 79%)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 = 418
1H NMR (400 MHz, MeOH-d 4 ): δ (ppm) = 1.53 (s, 9H, C(CH 3 )3), 3.42-3.58 (m, 3H, CH-CH 2 -NHBoc N-CH 2 -CH-N), 3.76 (dd, 1H, N-CH 2 -CH-N), 3.90 (s, 3H, CH 3 ), 4.70-4.80 (m, 2H, N-CH2-CH-N, CH-CH2-NHBoc), 7.54 (s, 1H, H pyrazole).
단계 D
1,1-디메틸에틸 트랜스 [[4,8-디하이드로-1-메틸-6-옥소-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0 ℃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mL)에 용해시킨, 단계 C에서 얻어진 산 (0.110 mg, 0.26 m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037 mL, 0.26 mmol)을 첨가하였다. 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 농축시켜 상응하는 트리에틸아민 염 (0.135 mg, 0.26 mmol)을 합성하였다. 2 N 소다 용액 (80 mL)에 용해시킨 DOWEX 50WX8 수지 16 g 현탁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넣었다. 중성 pH에 도달할 때까지 이 칼럼을 탈염수로 용리한 다음, 물/THF 90/10 혼합 용액으로 조정하였다. 이전에 얻어진 트리에틸아민 염 (0.135 mg, 0.26 mmol)을 최소한의 물로 용해시키고, 칼럼에 침전시킨 다음, 물/THF 90/10 혼합 용액으로 용리하였다. 기질을 함유한 분획을 조합하고, 동결한 다음 동결 건조시켜, 비결정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0.088 g, 0.20 mmol, 64%)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 = 415
1H NMR (400 MHz, MeOH-d 4 ): δ (ppm) = 1.53 (s, 9H, C(CH 3 )3), 3.44-3.58 (m, 3H, CH-CH 2 -NHBoc, N-CH 2 -CH-N), 3.74 (dd, 1H, N-CH 2 -CH-N), 3.90 (s, 3H, CH 3 ), 4.69-4.83 (m, 2H, N-CH2-CH-N, CH-CH2-NHBoc), 7.54 (s, 1H, H pyrazole).
단계 E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6-옥소-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질소 분위기에서, 디클로로메탄 (2.11 mL)에 용해된, 단계 D에서 얻어진 나트륨염 (66 mg, 0.15 mmol) 용액으로 디클로로메탄 (4.18 mL)에 용해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18 mL) 용액을 적가하고, 0 ℃로 냉각하였다. 0 ℃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을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증발하여 건조시키고, 아세톤에 용해시킨 뒤, 분말화(triturated)하여 밤새 냉장고에 방치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아세톤으로 헹군 다음 진공 건조시켜, 옅은 베이지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40 mg, 0.088 mmol, 59%)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 = 318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 3.27-3.60 (m, 4H, CH-CH 2 -NH3 +, N-CH 2 -CH-N), 3.75 (s, 3H, CH 3 ), 4.71 (d, 1H, N-CH2-CH-N), 4.82 (t, 1H, CH-CH2-NH3 +), 7.44 (s, 1H, H pyrazole), 8.17 (broad, 3H, NH3 +).
실시예 19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아미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단계 A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페닐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얻어진 유도체 (1 g, 2.5 mmol), 디클로로메탄 (131 mL), 트리에틸아민 (698 μL), 디포스겐 (453 μL), N-Boc-히드라진 (1.158 g)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100/0에서 95/5까지)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뒤, 예상되었던 유도체 (654 mg, 1.17 mg, 47%)를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58
1H NMR (400MHz, DMSO-d 6 ): δ (ppm) = 1.40 (s, 9H, (C(CH3)3)), 1.42 (s, 9H, (C(CH3)3)), 3.23-3.41 (m, 4H, N-CH 2 -CH-N, NCH-CH 2 -NHBOC), 4.39 (m, N-CH-CH2-NHBOC), 4.62 (s, 1H, N-CH2-CH-N), 4.91 (m, 2H, CH 2 Ph), 7.13 (m, 1H, NH), 7.35-7.43 (m, 5H, Ph), 8.30 (s, 1H, pyrazole), 9.10 (s, 1H, NH), 10.22 (s, 1H, NH).
단계 B
1,1-디메틸에틸 트랜스 [2-(2-터르-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카바모일-4,5,6,8-테트라하이드로-6-옥소-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8-일]메틸]-카르밤산의 나트륨염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도체 (654 mg, 1.17 mmol), 디메틸포름아미드 (3.3 mL), 디클로로메탄 (10 mL), 50% 수분 함유 탄소-담체 10% 팔라듐 (262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1의 단계 D에서 지시한 것과 같이 진행하여, 예상되었던 탈-벤질 중간물을 합성하였다.
이 탈-벤질 중간물, 피리딘 (4.5 mL), 피리딘/삼산화황 착물 (373 mg)을 사용하고, 실리카 칼럼(용리액 CH2Cl2/MeOH, 구배 80/20)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한 뒤, 백색 고형체 형태의 예상되었던 유도체 (43 mg)를 합성하였다.
2 N 소다 용액 (375 mL)에 용해된 DOWEX 50WX8 수지 75 g 현탁액을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부었다. 중성 pH에 도달할 때까지 이 칼럼을 탈염수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유도체 (431 mg)를 물에 용해시키고, 칼럼에 침전시킨 다음 H2O로 용리하였다. 기질을 함유하는 분획을 조합하고 동결한 뒤,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나트륨염 (362 mg, 0.63 mmol, 54%)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546
1H NMR (400MHz, DMSO-d 6 ): δ (ppm) = 1.42 (s, 18H, (C(CH3)3), 3.16-3.60 (m, 4H, N-CH 2 -CH-N, N-CH-CH 2 -NHBOC), 4.38 (t, 1H, N-CH-CH2-NHBOC), 4.79 (s, 1H, N-CH2-CH-N), 7.14 (m, 1H, NH), 8.23 (s, 1H, pyrazole), 9.17 (s, 1H, NH), 10.18 (s, 1H, NH).
단계 C
트랜스 8-(아미노메틸)-2-아미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나트륨염
질소 분위기에서, 단계 B에서 얻어진 화합물 (362 mg, 0.63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0.75 mL)에 현탁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1/1 혼합 용액 (0.944 mL)을 적가한 다음,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을 계속하였다. 증발 건조한 뒤, 생성물을 물로 용해시키고, 동결한 다음 동결 건조시켜, 백색 분말 형태의 예상되었던 생성물 (363 mg, 0.607 mmol, 96%)을 합성하였다.
MS (ES+) m/z [M-H]- = 346
1H NMR (400MHz, DMSO-d 6 ): δ (ppm) = 3.07-4.19 (m, 4H, N-CH 2 -CH-N, CH-CH 2 -NH2), 4.68 (dd, 1H, CH-CH2-NH3 +), 4.70 (m, 1H, N-CH2-CH-N), 8.15 (broads, 3H, NH), 8.30 (s, 1H, H pyrazole).
약제학적 조성물
다음을 함유하는 주사액에 대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의 화합물 : 500 mg
- 멸균 수용성 부형제 : q.s.p. (충분량) 5 ㎤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리학적 연구
생체외(in vitro) 활성, 액상 배지 내의 희석 방법:
일련의 튜브를 준비하여 이 튜브에 동일한 양의 멸균 영양 배지를 분산시키고, 시험될 생성물의 양을 증가시켜 각각의 튜브에 배분한 다음, 각각의 튜브를 미생물 균주로 접종하였다. 37 ℃의 오븐 내에서 24 시간 항온배양한 후, 투과조명(trans-illumination)에 의하여 미생물의 성장 억제를 분석하였다. 투과조명으로 인하여, ㎍/㎖로 표시되는,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9의 생성물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WO 04/052891호 출원의 실시예 11의 생성물과 WO 02/100860호 출원의 실시예 18의 생성물과 비교하였다. 본 출원의 생성물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매우 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비교된 생성물의 경우에는 전혀 활성이 없었다.
본 발명의 생성물과 선행 기술에서 가장 근접한 생성물 사이에서 녹농균에 대한 활성 차이는, 생성물에 따라 1000 배 이상의 활성이 될 수 있는 수준에 위치하였다.
Pseudomonas aeruginosa (1771 야생형 균주)에 대한 활성
물질 MIC (㎍/mL) 24 시간 (P, aerug, 1771)
실시예 1 0.12
실시예 2 0.5
실시예 3 1
실시예 4 8
실시예 5 0.5
실시예 6 4
실시예 7 1
실시예 9 0.5
실시예 10 0.5
실시예 11 0.25
실시예 12 0.5
실시예 13 1
실시예 14 1
실시예 15 > 32
실시예 16 16
실시예 17 1
실시예 18 0.5
실시예 19 0.5
특허출원 WO 04/052891호의 실시예11 > 160
특허출원 WO 02/100860호의 실시예 18 > 160

Claims (19)

  1. 일반식 (Ⅰ)의 화합물로서, 이들 화합물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이며, 유리 형태,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산이 부가된 염 형태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
    Figure pct00018

    (일반식 (Ⅰ)에서 R1은 수소 원자, -(CH2)m-NH2 래디컬, -(CH2)m-NH(C1~C6)알킬 래디컬, -(CH2)m-N(C1~C6)디알킬 래디컬, -(CH2)m-NH-C(NH)NH2 래디컬 또는 -(CH2)m-NH-CH=NH 래디컬 (m은 1 또는 2)을 나타내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며 상기 질소 원자는 R4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원자, (C1~C6) 알킬 래디컬 또는 화학식
    Figure pct00019
    의 사슬을 나타내고(A는 C=O기, C=NH기 또는 SO2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며; R''은 수소 원자, NH2기, NH(C1~C6)알킬기, N(C1~C6)디알킬기, CONH2기, CONH(C1~C6)알킬기, CON(C1~C6)디알킬기, 또는 1개 또는 2개의 질소 원자 및 필요하다면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에서 선택되는 다른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가 상기 사슬에 고정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C1~C6)알킬기로 치환되어 있는 5원자 또는 6원자 포화 헤테로사이클; n, o 및 q는 0 또는 1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R5는 OSO3H기, OCHFCO2H기 또는 OCF2CO2H기를 나타내고;
    R4가 수소 원자, -(C1~C6) 알킬 래디컬, -(C=O)n-(CH2)(0~5)-NH2기, -(C=O)n-(CH2)(0~5)-NH(C1~C6)알킬기 또는 -(C=O)n-(CH2)(0~5)-N(C1~C6)디알킬이고, R5가 OSO3H기인 경우에, 또는 R4가 R''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된 헤테로사이클을 제외한 상기 R''의 모든 값을 가지는 경우에, R1은 수소 원자, -(CH2)m-NH2 래디컬, -(CH2)m-NH(C1~C6)알킬 래디컬 또는 -(CH2)m-N(C1~C6)디알킬 래디컬이 아니며;
    R''이 수소 원자, CONH2기, CONH(C1~C6)알킬기, CON(C1~C6)디알킬기, 또는 헤테로사이클인 경우를 제외할 때, n, o, p 및 q는 모두 0일 수 없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2 및 R3은 함께, 피라졸릴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CH2)m-NH2 래디컬 (m은 1)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CH2)m-NH-C(NH)-NH2 래디컬 (m은 1)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제 1항에서 정의되어 있는 화학식 -(A)n-(NH)o-(CH2)p-(CHR')q-R''의 사슬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화학식 -C(O)-NH-(CH2)p-(CHR')q-R''(R', R'', p 및 q는 제 1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 래디컬을 나타내고, 상기 R1은 -(CH2)m-NH-C(NH)NH2 래디컬 또는 -(CH2)m-NH-CH=NH 래디컬 (m은 1)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명시된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로서, 유리 형태이거나, 양쪽성이온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산이 부가된 염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 명시된 화합물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형태 또는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형태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
    - 트랜스 8-(아미노메틸)-2-(2-아미노-에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4-피페라진-1-카르보닐)-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2-디메틸아미노-에틸-카바모일)-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프로필-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바모일-메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1-(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카르반이미도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2-(피페리딘-4-카르보닐)-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아미노메틸)-2-(3-아미노-3-카르복시-프로필)-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 트랜스 8-(구아니디노-메틸)-2-카바모일-4,8-디하이드로-(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트랜스 8-(아미노-메틸)-4,8-디하이드로-1-메틸-5-(카르복시-디플루오로-메톡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트랜스 8-(아미노-메틸)-2-(아미노-카바모일)-4,8-디하이드로-5-(설푹시)-4,7-메타노-7H-피라졸로[3,4-e][1,3]디아제핀-6(5H)-온
  9.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디포스겐으로 처리한 뒤 일반식 (Ⅲ)의 아민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20

    (일반식 (Ⅱ)에서, R'1은, 필요하다면, 존재하는 아미노기 또는 아미노기들이 보호되어 있는 R1 래디컬을 나타내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P는 히드록시 래디컬의 보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21

    (일반식 (Ⅲ)에서 R'a와 R'''은 각각, 필요하다면, 반응성 카르복시기와 반응성 아민기가 보호되어 있는 R' 및 R''을 나타내며; p 및 q는 제 1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22

    (일반식 (Ⅳ)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며; R''2 및 R''3은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O)-NH-(CH2)p-(CHR'a)qR'''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상기 히드록시 래디컬을 탈보호한 뒤, 상기 얻어진 일반식 (Ⅳ)의 화합물을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SO3 착물의 작용에 의해 황산화 반응시키거나, 화학식 Hal-CHF-CO2alk 또는 화학식 Hal-CF2-CO2alk (Hal은 불소가 아닌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alk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콕시 래디컬을 나타냄)의 반응물과 반응시켜서 얻어진 알코올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 단계;
    (c) 필요하다면, 얻어진 가수분해 된 화합물에 대하여, 적절한 순서로, 하기 반응 중 하나 이상의 반응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 아민기 및, 필요하다면, 존재하는 카르복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들의 탈보호 반응,
    - 염화(salification) 반응,
    - 이온 교환 반응,
    -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해리(resolution) 또는 분리(separation) 반응
  10.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9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염기로 처리한 뒤 일반식 (V)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a)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23

    (일반식 (Ⅴ)에서 Hal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a, R''', p 및 q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24

    (일반식 (Ⅳa)에서, R'1 및 P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a 및 R''3a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SO2-NH-(CH2)p-(CHR'a)qR'''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상기 히드록시 래디컬을 탈보호하고 제 9항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9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필요하다면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일반식 (Ⅵ)의 화합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b)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25

    (일반식 (Ⅵ)에서, B는 OH 래디컬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a, R''', o, p 및 q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26

    (일반식 (Ⅳb)에서, R'1 및 P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b 및 R''3b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O)-(NH)o-(CH2)p-(CHR'a)qR''' (R'a, R''', o,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고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제 9항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9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염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일반식 (Ⅶ)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c)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27

    (일반식 (Ⅶ)에서, P'은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나타냄)
    Figure pct00028

    (일반식 (Ⅳc)에서, R'1 및 P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c 및 R''3c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NH)-NHP' (P'은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질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제 9항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9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일반식 (Ⅷ)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Ⅳd)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29

    (일반식 (Ⅷ)에서, R'a, R''', p 및 q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30

    (일반식 (Ⅳd)에서, R'1 및 P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R''2d 및 R''3d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질소 원자가 화학식 -(CO)-NH-(CH2)p-(CHR'a)qR''' (R'a, R''', p 및 q는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의 사슬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함)
    (b) 제 9항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일반식 (Ⅸ)의 반응물로 처리하여 일반식 (Ⅹ)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Figure pct00031

    (일반식 (Ⅱ')에서, R''2e 및 R''3e는 함께, 1, 2 또는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서, 선택적으로 (C1~C6)알킬 래디컬로 치환되어 있는 질소 함유 5원자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며; m은 제 1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하고; P는 제 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32

    (일반식 (Ⅸ)에서, P'은 청구항 제9항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Figure pct00033

    (일반식 (Ⅹ)에서, R''2e 및 R''3e, m, P 및 P'은 위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함)
    (b) 제 9항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로서, R4는 CO-NH2기 또는 CO-NH(C1~C6)알킬기를 나타내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 9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Ⅱ)의 화합물을 트리메틸실릴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화학식 (C1~C6)알킬-N=C=O의 이소시아네이트로 처리하여 제 9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Ⅳ)의 상응하는 화합물을 얻은 뒤, 제 9항에 기재되어 있는 합성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제 12항, 제13항 및 제14항에 정의되어 있는 일반식 (Ⅳ), (Ⅳa), (Ⅳb), (Ⅳc), (Ⅳd) 및 (Ⅹ)의 화합물.
  17. 약품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정의되어 있는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및 염기가 부가된 이들 화합물의 염.
  18. 약품으로서, 제 8항에 정의되어 있는 화합물.
  19. 제 17항 및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약품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17009785A 2008-10-10 2009-07-29 신규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KR20110067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5602A FR2937034B1 (fr) 2008-10-10 2008-10-10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azot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antibacteriens
FR0805602 2008-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140A true KR20110067140A (ko) 2011-06-21

Family

ID=4053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785A KR20110067140A (ko) 2008-10-10 2009-07-29 신규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8148366B2 (ko)
EP (2) EP2358722A1 (ko)
JP (1) JP2012505195A (ko)
KR (1) KR20110067140A (ko)
CN (1) CN102216307B (ko)
AU (1) AU2009302149A1 (ko)
BR (1) BRPI0919807A2 (ko)
CA (1) CA2739776A1 (ko)
CL (1) CL2011000784A1 (ko)
CO (1) CO6382121A2 (ko)
EA (1) EA201170546A1 (ko)
EC (1) ECSP11010962A (ko)
FR (1) FR2937034B1 (ko)
IL (1) IL212179A0 (ko)
MX (1) MX2011003811A (ko)
NZ (1) NZ592168A (ko)
PE (1) PE20120054A1 (ko)
WO (1) WO2010041108A1 (ko)
ZA (1) ZA201102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6798B1 (fr) * 2008-10-03 2012-09-28 Novexel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azot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antibacteriens.
JP5666743B2 (ja) 2011-08-27 2015-02-12 ウォックハート リミテッド 1,6−ジアザビシクロ[3,2,1]オクタン−7−オン誘導体および細菌感染の処置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AR090539A1 (es) 2012-04-02 2014-11-19 Astrazeneca Ab COMPUESTOS INHIBIDORES DE b LACTAMASA
WO2015052682A1 (en) * 2013-10-11 2015-04-16 Wockhardt Limite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and their use
RS58429B1 (sr) 2014-11-17 2019-04-30 Entasis Therapeutics Ltd Kombinovana terapija za lečenje rezistentnih bakterijskih infekcija
JP2018510198A (ja) * 2015-04-03 2018-04-12 ミュタビリスMutabilis 複素環式化合物及びそれらの細菌感染症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使用
CN114591223A (zh) 2016-09-16 2022-06-07 恩塔西斯治疗有限公司 β-内酰胺酶抑制剂化合物
EP3301094A1 (en) 2016-09-30 2018-04-04 Mutabilis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bacterial infections
TWI791018B (zh) 2017-05-08 2023-02-01 美商安特西醫療公司 治療細菌感染之化合物及方法
WO2019093450A1 (ja) * 2017-11-10 2019-05-16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ジアザビシクロオクタン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7928B1 (en) 1997-09-15 2002-05-14 The Procter & Gamble Co. Antimicrobial quinolones, their compositions and uses
SK286420B6 (sk) 1997-09-15 2008-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Zlúčenina so štruktúrou chinolónu, farmaceutický prostriedok s jej obsahom a jej použitie
FR2812635B1 (fr) 2000-08-01 2002-10-11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notamment comme anti- bacteriens
AU3089302A (en) 2000-12-14 2002-06-24 Procter & Gamble Antimicrobial 2-pyridones, their compositions and uses
JP2004515548A (ja) 2000-12-14 2004-05-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抗微生物キノロン
FR2825705B1 (fr) * 2001-06-08 2005-05-20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notamment comme anti-bacteriens
FR2833596B1 (fr) 2001-12-14 2005-02-18 Aventis Pharma Sa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chinocandine
FR2835186B1 (fr) * 2002-01-28 2006-10-20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actifs comme inhibiteurs de beta-lactamases
US6900224B2 (en) 2002-07-31 2005-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microbial quinolones, their compositions and uses
FR2844273B1 (fr) 2002-09-05 2008-04-04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procede et intermediaires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comme medicament, notamment comme inhibiteurs de beta-lactamases et anti-bacteriens.
FR2844270B1 (fr) 2002-09-11 2006-05-19 Aventis Pharma Sa Derives de la quinolyl propyl piperidine, leur procede et intermediaires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qui les contiennent
FR2844268B1 (fr) 2002-09-11 2004-10-22 Aventis Pharma Sa Derives de la quinolyl propyl piperidine, leurs procedes et intermediaires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qui les contiennent
US7439253B2 (en) 2002-12-06 2008-10-21 Novexel Heterocyclic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in particular as antibacterials and beta-lactamase inhibitors
FR2848210B1 (fr) * 2002-12-06 2007-10-19 Aventis Pharma Sa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notamment comme anti-bacteriens et inhibiteurs de beta-lactamases
US7232833B2 (en) 2003-03-28 2007-06-19 Novexel 4-substituted quinoline derivatives, method and intermediat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7449481B2 (en) 2004-04-13 2008-11-11 Cephalon, Inc. Thio-substituted biaryl-methanesulfinyl derivatives
FR2914923B1 (fr) * 2007-04-12 2013-06-14 Novexel Nouveaux composes heterocycliques azotes,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antibacteri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9807A2 (pt) 2015-12-22
EP2853534A1 (fr) 2015-04-01
EP2358722A1 (fr) 2011-08-24
IL212179A0 (en) 2011-06-30
MX2011003811A (es) 2011-07-29
US8148366B2 (en) 2012-04-03
WO2010041108A1 (fr) 2010-04-15
ECSP11010962A (es) 2011-05-31
AU2009302149A1 (en) 2010-04-15
NZ592168A (en) 2013-03-28
PE20120054A1 (es) 2012-01-26
CA2739776A1 (fr) 2010-04-15
CL2011000784A1 (es) 2011-10-07
CN102216307B (zh) 2015-02-25
JP2012505195A (ja) 2012-03-01
CO6382121A2 (es) 2012-02-15
US20100093784A1 (en) 2010-04-15
FR2937034A1 (fr) 2010-04-16
CN102216307A (zh) 2011-10-12
FR2937034B1 (fr) 2012-11-23
ZA201102497B (en) 2011-12-28
EA201170546A1 (ru)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7140A (ko) 신규 질소 함유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이들의 제조 및 항균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EP3893871B1 (en) Benzimidazolone derivatives, and analogues thereof, as il-17 modulators
US8067435B2 (en)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 drugs
CA2350905C (en) Imidazo[4,5-b]pyridiniummethyl-containing cephem compounds having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JP4448821B2 (ja) セフェム化合物
AU669064B2 (en) Urethanes and ureas that induce cytokine production
KR20080009681A (ko) 펩티도미메틱 화합물 및 생물학적 활성 유도체의 제조
TW200305422A (en) Broad spectrum cefem compounds
UA126000C2 (uk) Хроманмонобактамові сполуки для лікування бактеріальних інфекцій
CN102317289A (zh) 作为β分泌酶抑制剂的内酰胺
AU2023200369A1 (en) Macrocyclic broad spectrum antibiotics
AU716656B2 (en) Selected derivatives of K-252a
JP2010523630A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その製造及び抗菌剤としての使用
EP1671966A1 (en) Cephem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TW200530255A (en) 3-pyridiniummethylcefem compound
SG177323A1 (en) Flavin derivatives
CN115190882A (zh) 通过共同中间体有效制备多拉司他汀和奥里斯他汀类似物
US7405201B2 (en) Antibacterial macrocycles
WO2019186590A1 (en) Oxazolidinone antibiotic compounds and process of preparation
JPS62201887A (ja) 抗生物質tan―588誘導体
WO2024077650A1 (zh) 磺酰脲环取代的化合物的盐型及其晶型
BG65108B1 (bg) Стрептограминови производни, тяхното получаване исъстави, които ги съдържат
US7632946B2 (en) Naphthyridine-based antibacterial compositions
WO2021165927A1 (en) 2-cyanopyrroldines, -piperidines or -dazepines as hyperglycemic agents
WO2000015640A1 (fr) Composes de carbapen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