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576A -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576A
KR20110066576A KR1020090123283A KR20090123283A KR20110066576A KR 20110066576 A KR20110066576 A KR 20110066576A KR 1020090123283 A KR1020090123283 A KR 1020090123283A KR 20090123283 A KR20090123283 A KR 20090123283A KR 20110066576 A KR20110066576 A KR 2011006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data
clinical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효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09012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6576A/ko
Publication of KR2011006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하는 데이터 획득부;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데이터를 정의하는 과제관리부;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전체 또는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영상조회부; 및 상기 영상조회부를 통해 조회된 진료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연구 담당자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는 분석결과 입력부;를 포함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임상연구, 정보관리, PACS, 영상, 의료정보

Description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Research or Clinical Trial}
본 발명은 임상연구 및 임상시험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진료용 PACS 시스템이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진료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연구과제 담당자가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에 자유롭게 접근하면서도 연구업무의 보안성을 유지가 가능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에서 의료영상을 이용하는 각종 진료업무에는 진료용 목적으로 도입된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 이하 PACS)를 사용한다.
이러한 기존의 진료용 PACS에는 의료영상장비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저장하고, 진료업무의 진행에 따라 영상확인, 녹음, 전사, 판독입력, 확인 및 수정, 조회 등의 업무절차를 지원하는 기능이 갖추어져 있으며, 의료기관에 등록된 진료업무 종사자만이 영상을 조회 및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의 의료기관 또는 의학연구 기관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진료업무와는 별도로 다양한 임상시험 또는 임상연구 업무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같은 임상시험 또는 임상연구 업무들에서는 기존의 진료업무 절차와는 다르게 연구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료, 환자의 등록과 제외, 영상데이터의 등록과 제외, 연구원의 등록과 취소, 연구평가 결과의 입력과 확인, 통계분석용 데이터의 출력 등 다양한 고유영역의 업무절차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진료용 PACS와는 다르게 환자의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 환자의 익명화가 요구되는데, 이는 주 사용자가 의료진이 아닌 연구업무 종사자들이며, 의료기관 지역 외에서도 접근이 자유로워야 하는 반면, 해당 연구과제에 소속된 연구자 외에는 연구자료의 열람과 변경이 엄격히 금지되어야 하는 독특한 보안기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업무처리 기능과 보안 요건은 진료용 PACS와는 확연하게 구별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진료용 PACS 시스템에서는 이를 지원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의료기관 또는 의학 연구기관 등에서 의료영상을 이용하는 임상시험 또는 임상연구를 하고자 할 경우 시스템화된 정보기술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과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매 단계의 연구과정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우며 연구업무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더욱이, 데이터 관리의 미흡으로 중요한 연구결과가 훼손 또는 망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의료기관 또는 의학 연구기관에서 의료영상을 이용하는 임상시험 또는 임상연구를 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진료용 PACS와 연동되는 별도로 정보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환자 개인정보를 보호함은 물론 연구정보의 노출을 사전에 방지하며, 다수의 연구자가 참여하여 공동역활 분담을 통하여 진행되는 연구과정에 관련된 업무절차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은 물론, 중요한 연구자료의 훼손 또는 망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하는 데이터 획득부;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정의하는 과제관리부;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 전체 또는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영상조회부; 및 상기 영상조회부를 통해 조회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연구 담당자의 분 석결과를 입력하는 분석결과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 및 상기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가 부여된 의료정보가 저장되는 의료정보 DB와,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가 저장되는 분석결과 DB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데이터 저장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선택된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분석 프로그램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결과 입력부는,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는, DICOM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는 의료정보 이외에, 과제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의료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HIS)으로부터 의료정보 전송 및 교환에 관한 표준규범을 이용한 질의(Query)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공개여부와 공개범위를 결정하며, 선택된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의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웹페이지로 전송함으로써, 웹 문서로 출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제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관리부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에 따라 구분되는 보안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하여 의료정보 DB에 저장하는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정의하는 과제관리 단계;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 전체 또는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영상조회 단계; 및 상기 영상조회부를 통해 조회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과제 담당자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며, 입력된 분석결과를 분석결과 DB에 저장하는 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 제어부를 통해 관리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선택된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분석 프로그램 연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는, 상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는, DICOM 통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는 의료정보 이외에, 과제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의료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HIS)으로부터 의료정보 전송 및 교환에 관한 표준규범을 이용한 질의(Query)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공개여부와 공개범위를 결정하며, 선택된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의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웹페이지로 전송함으로써, 웹 문서로 출판하는 과제 출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관리 단계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에 따라 구분되는 보안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첫째, 환자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환경 하에서, 기존의 진료용 PACS가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의료정보가 제공되므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진료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연구업무 종사자가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PACS에 자유롭게 접근하면서도 연구업무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둘째, 획득된 의료정보,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의 분석결과는 시스템의 DB 상에 저장되므로, 의료정보,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 데이터의 훼손 또는 망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운용하는 의료정보 전송시스템(PACS)에 오류 검출부를 설치할 필요 없이, 성능이 우수한 오류 검출부(오류 검출 프로그램)의 설치를 데이터 획득부에 집중시킴으로써 경제적 효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의료정보 전송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만든다. 즉, 의료정보 전송시 데이터 손실이나 전송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상시 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 획득부(111), 과제관리부(112), 영상조회부(113), 분석프로그램 연동부(114), 분석결과 입력부(115), 과제출판부(116), 데이터 저장관리부(117) 및 관리자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는, 환자(과제 피검자)의 개인 신상 정보 보호를 목적으로 상기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 과제에 한하여 적용하기 위해 환자 개개인을 구별하는 임의의 관리번호를 의미한다.
즉,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과제 담당자가 대상 환자들의 환자 식별정보를 대체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환자 식별번호-과제 피검자 관리번호 변환정보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환자 식별정보는, 환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거지, 가족관계 등과 같이, 환자의 질환을 진료하기 위해서는 필요로 하지만, 과제수행에는 직접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야 할 환자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가 수신되어 신규로 획득될 때마다 상기 환자 식별정보-과제 피검자 관리번호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환자의 개인정보를 익명화하고 이를 대신하여 임상연구 환자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의료정보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환자 식별정보-과제 피검자 관리번호 변환 테이블에 의해 환자 식별정보가 로킹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상기 환자를 섭외한 담당 의료진과 같이 환자 식별정보가 노출되어도 무방한 선택된 인원에 의해 수동적으로 과제 관리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의료정보는 컴퓨터단층 촬영장치(CT), 자기공명영상 촬영장치(MRI), 투시촬영장치, 혈관조영장치 및 유방암검진기 등 다양한 의료영상 장비들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외부로부터 의료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는, 먼저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과 네트워크(1) 연결되어 DICOM(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통신 표준의 방식으로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DICOM CD(Compact Disc)와 같이 DICOM 통신 표준의 형식으로 의료정보가 저장된 기록매체(300)로부터 데이터를 자동을 해석하여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정보를 수신함에 있어 상기 DICOM 통신 표준이 이용되는 것은 각 의료기관 간의 정보공유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상기 DICOM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는 의료정보 이외에, 과제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의료정보를 전자의무 시스템 (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 (HIS) 등으로부터 의료정보 전송 및 교환에 관한 표준규범(예, HL-7)등을 이용한 질의(Query)를 통하여 얻어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의료정보는,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체중, 비만도, 폐 기능검사, 혈액검사 수치, 영상검사 판독문, 수술기록, 병리검사 결과, 유전자 분석결과, 더 나아가서는 개인 유전체 정보 등 과제 수행에 관련된 다양한 기록들과 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상기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으로부터 의료정보를 네트워크로 수신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류 검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어떠한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과의 의료정보 전송에서도 전송 오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전송 오류 검출시에는 재전송을 함으로써 전송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으로 바람직하게는 의료영상저장 전송시스템((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 이하 진료용 PACS))을 사용하고, 기타 주문자처방 전달시스템(Ordering Communication System : OCS), 전자 의무기록 시스템(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로 수신된 최초의 의료정보와 과제 피검자 환자번호가 부여된 의료정보는 각각 의료정보 DB(118)에 저장되는데, 상기 환자 식별정보는 추후에 열람이 필요할 경우에는 로킹된 상태로 저장되어 상기 선택된 인원 외에는 정보열람이 불가하도록 암호화하며, 추후 열람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과제관리부(112)는,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 항목을 정의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과제 개설과 진행 및 종료를 지원한다.
여기서, 상기 과제관리부(112)에서 결과 데이터 항목을 정의한다는 것은, 연구과제 또는 임상시험과제 마다 고유한 결과 항목들을 입력할 필요가 있으므로, 과제 개설시에 필요한 항목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함으로써 필요한 항목들이 포함된 과제별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본정보 데이터는, 상기 과제의 책임자, 과제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각 의료기관별 담당자, 각 의료기관별 피검대상 환자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관련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상기 기본정보 데이터는 과제에 대한 서지사항을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과제관리부(112)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에 따라 구분되는 보안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대상을 제한한다.
이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의 각 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정보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인데,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과제의 개설 전에는, 환자 식별정보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택된 인원 외에는 소정의 인증방법을 이용하여 의료정보 데이터에 접근을 제한하며, 과제가 개설되어 진행되는 중에는, 과제에 참여하는 인원들이 포함되도록 접근대상 범위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과제가 종결된 후에는,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와 같은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원 외에는 데이터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인증 방법이란, 시스템 운영자 등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는 기준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스템의 정밀성, 시스템의 복잡성 및 운용되는 해당 시스템의 중요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인정 방법으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공인인증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암호키나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에서는, 과제에 참여하는 환자들의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과제에 참여하는 인원들은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자유롭기 때문에, 환자의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효과와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유지되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과제가 종결된 후, 추가적으로 입력되어야할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마감된 데이터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항목에 참고사항으로 내용과 사유를 기재할 수 있게 하여 조회 시에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영상조회부(113)는,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 전체를 조회하는 기능 및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key 영상은, 영상수가 많을 경우 해당 검사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주로 함축하고 있는 대표적인 소수의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전체 조회기능에는 진료용 PACS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영상조회 기능들이 제공되며, 이 밖에 관리자 인터페이스(120)의 화면 내에 영상을 배치하거나, 복수 개의 영상을 나열하여 비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영상의 확대/축소 및 영상의 조도/음영을 조정하는 화질조절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조회부(113)의 전체 조회기능은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영상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거나, 시각적으로 화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분석프로그램과의 연동을 통하여 객관적, 정량적인 수치를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한다는 것은, 영상획득시 환자의 장기가 적절히 포함되었는지 여부 및 환자의 호흡상태나 움직임 상태, 조영제 주입상태 등 영상검사시 필요한 조건이 올바로 충족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검토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분석프로그램 연동부(114)는, 영상정보로부터 정량적인 수치를 추출하 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프로그램과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을 상호 연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의 진료용 PACS에서는 획득된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상정보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저장, 파일형식의 변환, 해당 프로그램 호출, 데이터 로딩 등의 번거로운 절차들을 거쳐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분석프로그램 연동부(114)가, 상기 진료 영상정보를 상기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기능을 통하여, 영상정보에 대한 수치화 및 정량화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 연동부(114)를 통해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기 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석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영상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석결과 입력부(115)는, 상기 영상조회부(113)를 통해 조회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과제 담당자의 분석결과와,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의 형식으로는 문자나 수치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분석프로그램에 의해 가공된 영상데이터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분석결과는 key 영상 단위 또는 검사단위로 입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공된 영상데이터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원래의 영상데이터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는 별도의 영상을 말하며, 화소당 혈류량을 영상에 매핑하거나 영상중에 병변일 가능성이 위치에 특수한 표식을 한 영상 등을 예로 들수 있다. 한 환자에 대한 검사영상을 분석할 경우, 검사당 영상수가 과도하게 되면 모든 개별 영상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는 것은 비효율 적이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입력하는 단위는 많은 영상중에 대표적인 소수의 key 영상들에 대해서만 수행하거나 해당 환자의 검사 영상전체에 대해 한번만 입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117)는, 의료정보 DB(118)와 분석결과 DB(119)를 포함하여 구비되는데, 상기 의료정보 DB(118)는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를 통해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 또는 DICOM 형식으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로부터 수신된 최초의 의료정보와, 과제관리부(112)를 통해 과제 관리번호가 부여된 의료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분석결과 DB(119)는, 과제담당자가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분석한 결과 또는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공된 영상정보의 분석결과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의료정보 DB(118) 및 분석결과 DB(119)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인가자에 의해 외부에 상기 데이터가 유출되었다 하더라도 암호를 해독하지 못하면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므로 과제의 기밀성 자료가 유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버제어부(110)는,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117)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자 인터페이스(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출판부(116)는,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공개여부와 공개범위를 결정하며, 공개하기로 선택된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웹페이지로 전송함으로써, 연구과제 데이터를 웹문서로 출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웹문서로 공개되는 의료정보에 대한 영상데이터는 상기 영상조회부(113)에 의해 영상의 해상도가 변경되거나 워터마크가 삽입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영상데이터의 저작권과 원본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과제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은,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S10), 과제관리 단계(S20), 영상조회 단계(S30), 분석프로그램 연동 단계(S40), 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S50) 및 과제출판부(116)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S10)는,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S10)에서는, 환자들의 환자 식별정보를 대체하는 과제 관리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환자 식별번호-과제 피검자 관리번호 변환정보 입력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환자 식별정보는, 환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거지, 가족관계 등과 같이 환자의 질환을 진료하기 위해 필요로 하지만, 과제와는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으며, 노출되서는 안되는 환자의 신상에 관계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가 신규로 획득될 때마다 상기 환자 식별정보-과제 피검자 관리번호 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환자의 개인정보를 익명화하고 이를 대신하여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S10)에서는, 데이터 획득부(111)를 통해 의료정보가 수신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환자 식별정보-과제 피검자 관리번호 변환 테이블에 의해 환자 식별정보가 로킹되거나 삭제될 수 있으며, 상기 환자를 섭외한 담당 의료진과 같이 환자 식별정보가 노출되어도 무방한 선택된 인원에 의해 수동적으로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로 수신된 최초의 의료정보와 과제 피검자 관리 번호가 부여된 의료정보는 각각 의료정보 DB(118)에 저장되는데, 상기 환자 식별정보는 추후에 열람이 필요할 경우에는 로킹된 상태로 저장되어 상기 선택된 인원 외에는 정보열람이 불가하도록 암호화하며, 추후 열람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는 컴퓨터단층 촬영장치(CT), 자기공명영상 촬영장치(MRI), 투시촬영장치, 혈관조영장치 및 유방암검진기 등 다양한 의료영상 장비들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는, 먼저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과 네트워크(1) 연결되어 DICOM(Digital Imaging Communication in Medicine) 통신 표준의 방식으로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DICOM CD(Compact Disc)와 같이 DICOM 통신 표준의 형식으로 의료정보가 저장된 기록매체(300)로부터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판독하여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상기 의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정보를 수신함에 있어 상기 DICOM 통신 표준이 이용되는 것은 각 의료기관 간의 정보공유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상기 DICOM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는 의료정보 이외에, 과제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의료정보를 전자의무 시스템 (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 (HIS) 등으로부터 의료정보 전송 및 교환에 관한 표준규범(예, HL-7)등을 이용한 질의(Query)를 통하여 얻어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적인 의료정보는,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체중, 비만도, 폐 기능검사, 혈액검사 수치, 영상검사 판독문, 수술기록, 병리검사 결과, 유전자 분석결과, 더 나아가서는 개인 유전체 정보 등 과제 수행에 관련된 다양한 기록들과 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과제관리 단계(S20)는,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기본정보 데이터는, 상기 과제의 책임자, 과제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각 의료기관별 담당자, 각 의료기관별 연구대상 환자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에 관련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상기 기본정보 데이터는 과제에 대한 서지사항을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또한, 상기 과제관리 단계(S20)에서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에 따라 구분되는 보안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의 각 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정보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인데,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과제의 개설 전에는, 환자 식별정보가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택된 인원 외에 의료정보 데이터에 접근을 제한하며, 과제가 개설되어 진행되는 중에는, 과제에 참여하는 인원들로 접근대상 범위가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가 종결된 후에는,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와 같 은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원 외에는 데이터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에서는, 과제에 참여하는 환자들의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조건 하에서, 과제에 참여하는 인원들은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자유롭기 때문에, 환자의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효과와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대한 보안이 유지되는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과제가 종결된 후, 추가적으로 입력되어야할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마감된 데이터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항목에 참고사항으로 내용과 사유를 기재할 수 있게 하여 조회 시에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영상조회 단계(S30)는,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 전체 또는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전체 조회기능에는 진료용 PACS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영상조회 기능들이 제공되며, 이 밖에 관리자 인터페이스(120)의 화면 내에 영상을 배치하거나, 복수 개의 영상을 나열하여 비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영상의 확대/축소 및 영상의 조도/음영을 조정하는 화질조절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조회부(113)의 전체 조회기능은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영상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거나, 시각적으로 화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분석프로그램과의 연동을 통하여 객관적, 정량적인 수치를 추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분석프로그램 연동 단계(S40)는, 상기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과 연동 가능한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선택된 진료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 연동부(114)에서는 진료영상 정보로부터 정량적인 수치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프로그램과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을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진료용 PACS에서는 획득된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료영상 정보의 데이터를 분석하기위해서는 데이터의 다운로드 및 저장, 파일형식의 변환, 해당 프로그램 호출, 데이터 로딩 등의 번거로운 절차들을 거쳐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분석 프로그램 연동부(114)가, 상기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과 연동 가능한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선택된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기능을 통하여, 연구 담당자가 용이하게 영상정보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구 담당자가 영상정보를 수치화 및 정량화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 다.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 연동부(114)를 통해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기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석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 영상정보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S50)는, 상기 영상조회부(113)를 통해 조회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과제 담당자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며, 입력된 분석결과를 분석결과 DB(119)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입력 데이터의 형식으로는 문자나 수치데이터 뿐만 아니라,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된 영상데이터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분석 결과는 key 영상 단위 또는 검사단위로 입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117)는, 의료정보 DB(118)와 분석결과 DB(119)를 포함하여 구비되는데, 상기 의료정보 DB(118)는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를 통해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전송시스템(200) 또는 DICOM 형식으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로부터 수신된 최초의 의료정보와, 과제관리부(112)를 통해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가 부여된 의료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분석결과 DB(119)는, 과제담당자가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분석한 결과 또는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공된 영상정보의 분석결과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의료정보 DB(118) 및 분석결과 DB(119)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인가자에 의해 외부에 상기 데이터가 유출되었다 하더라도 암호를 해독하지 못하면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하므로, 과제의 기밀성 자료가 유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직할 수 있다.
한편, 서버제어부(110)는,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117)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자 인터페이스(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과제 출판 단계(S60)는,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공개여부와 공개범위를 결정하며, 선택된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의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웹페이지로 전송함으로써, 웹 문서로 출판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100) 및 방법에 따르면, 환자 개인정보가 보호되는 환경 하에서, 기존의 진료용 PACS가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의료정보가 제공되므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진료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과제업무 종사자가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PACS에 자유롭게 접근하면서도 과제업무의 보안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더불어, 획득된 의료정보 및 임상과제의 분석결과는 시스템의 DB 상에 저장되므로, 의료정보 및 임상과제 데이터의 훼손 또는 망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110...서버제어부 111...데이터 획득부
112...과제관리부 113...영상조회부
114...분석 프로그램 연동부 115...분석결과 입력부
116...과제 출판부 117...데이터 저장관리부
S10...데이터 획득/저장 단계 S20...과제관리 단계
S30...영상조회 단계 S40...분석프로그램 연동 단계
S50...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 S60...과제 출판 단계

Claims (12)

  1.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하는 데이터 획득부(111);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정의하는 과제관리부(112);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 전체 또는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영상조회부(113); 및
    상기 영상조회부(113)를 통해 조회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연구 담당자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는 분석결과 입력부(115);를 포함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의료정보 및 상기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가 부여된 의료정보가 저장되는 의료정보 DB(118)와,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가 저장되는 분석결과 DB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데이터 저장관리부(1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117)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자 인터페이스(120)로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선택된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분석 프로그램 연동부(1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결과 입력부(115)는,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111)는,
    DICOM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는 의료정보 이외에, 과제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의료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HIS)으로부터 의료정보 전송 및 교환에 관한 표준규범을 이용한 질의(Query)를 통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공개여부와 공개범위를 결정하며, 선택된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의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웹페이지로 전송함으로써, 웹 문서로 출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제출판부(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관리부(112)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에 따라 구분되는 보안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대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7. 외부로부터 의료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의료정보 중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로킹(Locking) 또는 삭제하며,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과제 피검자 관리번호를 부여하여 의료정보 DB(118)에 저장하는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S10);
    과제 개설을 위해 상기 의료정보로부터 추출되어 표시되는 기본정보 데이터와, 개설된 과제가 진행되면서 획득되는 결과 데이터를 정의하는 과제관리 단계(S20);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며,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 전체 또는 key 영상을 선별하여 조회하는 영상조회 단 계(S30); 및
    상기 영상조회부(113)를 통해 조회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된 과제 담당자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며, 입력된 분석결과를 분석결과 DB(119)에 저장하는 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S50);를 포함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 제어부를 통해 관리자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분석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선택된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된 폴더에 저장하며, 상기 분석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폴더를 분석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분석 프로그램 연동 단계(S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결과 입력/저장 단계(S50)는, 상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저장 단계(S10)는,
    DICOM 통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하는 의료정보 이외에, 과제 피검대상 환자에 대한 추가적인 의료정보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또는 병원정보시스템(HIS)으로부터 의료정보 전송 및 교환에 관한 표준규범을 이용한 질의(Query)를 통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의 공개여부와 공개범위를 결정하며, 선택된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의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변환하여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웹페이지로 전송함으로써, 웹 문서로 출판하는 과제 출판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관리 단계(S20)는,
    상기 과제의 개설, 진행 및 종결에 따라 구분되는 보안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의료정보 및 분석결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대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방법.
KR1020090123283A 2009-12-11 2009-12-11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6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83A KR20110066576A (ko) 2009-12-11 2009-12-11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283A KR20110066576A (ko) 2009-12-11 2009-12-11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576A true KR20110066576A (ko) 2011-06-17

Family

ID=4439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283A KR20110066576A (ko) 2009-12-11 2009-12-11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657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70B1 (ko) 2014-11-26 2016-03-08 주식회사 씨알에스큐브 전자 환자 결과 보고 내의 임상 시험 참여 가능 상태에 따른 식별 번호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66033B1 (ko) 2016-03-08 2016-10-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 시험 자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6574A (ko) * 2013-10-08 2018-03-12 코타 인코포레이티드 임상 결과 추적 및 분석
KR20180039036A (ko) * 2018-04-03 2018-04-1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임상 연구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506A (ko) * 2018-08-01 2020-02-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관 연구용 영상 분석 방법 및 이의 시스템
KR102252873B1 (ko) * 2020-08-26 2021-05-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7529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마크로젠 유전자 분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571141A (zh) * 2021-06-07 2021-10-29 四川大学华西医院 精神影像智能化管理系统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574A (ko) * 2013-10-08 2018-03-12 코타 인코포레이티드 임상 결과 추적 및 분석
KR101600970B1 (ko) 2014-11-26 2016-03-08 주식회사 씨알에스큐브 전자 환자 결과 보고 내의 임상 시험 참여 가능 상태에 따른 식별 번호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66033B1 (ko) 2016-03-08 2016-10-2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 시험 자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9036A (ko) * 2018-04-03 2018-04-1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임상 연구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506A (ko) * 2018-08-01 2020-02-1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관 연구용 영상 분석 방법 및 이의 시스템
US11574726B2 (en) 2018-08-01 2023-02-07 Wonkwang University Center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mage analysis method for multicenter study and system thereof
KR20210067529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마크로젠 유전자 분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52873B1 (ko) * 2020-08-26 2021-05-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0870A (ko) * 2020-08-26 2022-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571141A (zh) * 2021-06-07 2021-10-29 四川大学华西医院 精神影像智能化管理系统
CN113571141B (zh) * 2021-06-07 2024-03-19 四川大学华西医院 精神影像智能化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576A (ko)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용 의료 정보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185411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atient controlled access of medical records
US20190122753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ndering and displaying medical images
US20180268930A1 (en) Method for Building Cloud-Based Medical Image Database for Protection of Patient Information and Reading Medical Image Therefrom
US20040193901A1 (en) Dynamic configuration of patient tags and masking types while de-identifying patient data during image export from PACS diagnostic workstation
US20190043611A1 (en) Anonymizing data
US20180166162A1 (en) Medical system
JP5615880B2 (ja) 遠隔読影システム及び遠隔読影方法
JP2007148510A (ja) 医用情報管理システム
JP5640841B2 (ja) 医用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WO2007099816A1 (ja) 医用画像システム
Kim et al. A trusted sharing model for patient records based on permissioned Blockchain
Erickson et al. Multisite imag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using the RSNA image sharing network
JP2002063280A (ja) 医療情報システム
JP2010086355A (ja) レポート統合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74524B2 (ja) 医療連携システム
Rahmouni et al. Enhanced privacy governance in Health Information Systems throughbusiness process modelling and HL7
US20070058784A1 (en) Radiograph-interpretation supporting apparatus, data outputting method, data inputting method, and radiograph-interpretation supporting program product
Jefferson et al. The challenges of assembling, maintaining and making available large data sets of clinical data for research
JP4284986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管理方法
US20170206339A1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data collection for a clinical study
JP6300246B1 (ja) 診療情報共有システム
JP2015125515A (ja) 画像送信装置及び治験システム
US20020059300A1 (e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centralized management of medical images
JP2010267041A (ja) 医療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23

Effective date: 2013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