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338A -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338A
KR20110066338A KR20090122952A KR20090122952A KR20110066338A KR 20110066338 A KR20110066338 A KR 20110066338A KR 20090122952 A KR20090122952 A KR 20090122952A KR 20090122952 A KR20090122952 A KR 20090122952A KR 20110066338 A KR20110066338 A KR 2011006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ontainer
container
contents
pouch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578B1 (ko
Inventor
박종득
Original Assignee
박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득 filed Critical 박종득
Priority to KR2009012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57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4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enclosed in a mouth se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파즙이나 배즙 식혜 음료 등이 밀봉 보관되는 파우치의 배출구 구조를 변형함으로서 음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밀봉 포장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부(11)가 형성되어진 파우치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용기(10)의 일측에는 돌출부(12)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12)에는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절취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우치, 배즙, 양파즙, 절단, 절개

Description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A POUCH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음료를 장기간 밀봉보관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파우치 용기의 음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우치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음식물 등의 포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간편한 즉석조리식품 등에서 파우치는 내용물이 장기간 변질됨이 없이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내용물의 섭취를 위한 인출 역시 파우치를 절개하는 것만으로 쉽게 달성될 수 있어 여러 음식물들의 포장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이 일회용으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파우치의 사용도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보약이나 건강 보조식품인 양파즙, 배즙, 식혜 음료 등의 보존 및 유지를 위해 파우치에 수용되어 포장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파우치의 경우, 단순히 하나의 절취선이 형성되고, 이 절취선을 통한 절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노치만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종래의 파우치를 개방하는 경우, 내용물이 쉽게 쏟아져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위로 한쪽 모서리부위를 잘라서 컵에 따라 마셔야 하는데 따를 때 흘리게 되며, 입으로 직접 마실 경우에도 음용하는데 불편이 많이 있으며, 스트로우 구멍에 스트로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스트로우를 별도로 챙겨야하고 운반시에 압력이 가해져서 파손될 우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파우치 사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내용물의 음용시 흘리거나 쏟아지지 않고 용이하게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밀봉 포장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부가 형성되어진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일측에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는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절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의 일측에 내용물 배출을 위한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내용물의 배출 및 음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내용물의 배출되는 배출구가 용이하게 확보되어질 수 있도록 대롱관 또는 지지링을 구비시킴으로서 내용물 음용 시 내용물을 흘리거나 하는 불편함이 방지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 구조도이고, 도 2는 상기 일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 배출구 절취시 상태도이며, 도 3은 상기 일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 음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 구조도이며, 도 5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 배출구 절취시 상태도이고,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용기 배출구 대롱관 노출시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용기 배출구의 지지링 구성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10)의 구조를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양파즙이나 배즙, 식혜 음료 등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내부 밀폐를 위해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부(11)가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파우치 용기(10)에 있어, 용기 일측에 돌출부(12)를 돌출 형성시킴과 함께 이러한 돌출부(12) 중간에는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취홈(13)을 형성한 것이다.
즉, 돌출부(12)는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출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파우치 용기(10)의 사용에 다른 작용효과 를 도 2 및 도 3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내용물의 음용을 위해 사용자가 돌출부(12)의 끝단을 잡고 힘을 가하게 되면 절취홈(13)에 의해 일부가 도 2에서와 같이 쉽게 절개되어지게 되면서 돌출부(12)가 배출구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절취가 이루어진 돌출부(12)에 입을 댄 상태에서 파우치 용기(10)를 서서히 기울이게 되면 내용물이 돌출부(12)를 통해 배출되어짐으로서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음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롱관(14)이 구비된 파우치 용기(10)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 내에 일정 길이를 이루는 대롱관(14)을 구비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상태에서 절취홈(13)을 이용하여 돌출부(12)의 끝단부를 절개시켜 분리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대롱관(14)의 단부가 노출되어짐과 함께 대롱관(14)에 의해 배출구가 확보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취홈(13)을 통해 절개시켜 배출구를 형성시킨 후 대롱관(14)을 통해 빨대와 같이 내용물을 보다 용이하게 빨아 먹을 수 있게 됨으로 내용물을 흘리는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지지링(15)을 돌출부(12)에 구성시킨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용기(10)의 돌출부(12) 내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일정 형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지지링(15)을 구비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지지링(15)은 배출구를 막아 배출이 이루어지는 내용물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열융착부(11)에 구비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링(15)은 밀봉상태에서는 타원형태를 이루고 있다가 절취홈(13)을 따라 절개가 이루어지면 자체 탄력성에 의해 원형의 형상으로 복귀되어지면서 배출구의 형상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링(15)의 지지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파우치 용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 구조도.
도 2는 상기 일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 배출구 절취시 상태도.
도 3은 상기 일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 음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 구조도.
도 5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파우치 용기 배출구 절취시 상태도.
도 6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용기 배출구 대롱관 노출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용기 배출구의 지지링 구성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우치 용기 11 : 열융착부
12 : 돌출부 13 : 절취홈
14 : 대롱관 15 : 지지링

Claims (5)

  1. 음식물의 밀봉 포장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열융착부(11)가 형성되어진 파우치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용기(10)의 일측에는 돌출부(12)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12)에는 절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절취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 내부에는 일정 길이의 대롱관(14)이 구비됨으로서 절개홈(13)을 따라 절개시 상기 대롱관(14)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 내부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일정 형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링(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15)은 탄력성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15)은 돌출부(12)의 내부 배출구를 막지 않도록 열융착부(11)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KR20090122952A 2009-12-11 2009-12-11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KR10111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2952A KR101117578B1 (ko) 2009-12-11 2009-12-11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2952A KR101117578B1 (ko) 2009-12-11 2009-12-11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338A true KR20110066338A (ko) 2011-06-17
KR101117578B1 KR101117578B1 (ko) 2012-02-24

Family

ID=4439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22952A KR101117578B1 (ko) 2009-12-11 2009-12-11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45Y1 (ko) 2014-11-12 2019-05-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파우치형 팩
KR20210054307A (ko) 2019-11-05 2021-05-13 태웅식품 주식회사 음료 포장용 파우치
WO2023047989A1 (ja) * 2021-09-27 2023-03-30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パウ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737A (ja) * 1996-03-12 1997-09-16 Fujimori Kogyo Kk 詰替用液体収納容器
JPH1179195A (ja) 1997-09-04 1999-03-23 Dainippon Printing Co Ltd 詰め替え用パウチ
KR100271220B1 (ko) * 1998-04-25 2000-11-01 이준제 포장용 비닐 팩의 개폐구조
KR20020097120A (ko) 2002-11-20 2002-12-31 이정민 액체용기의 배출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578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200801126A1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с напитком или иной жидкостью
US10070708B2 (en) Combination beverage and storage container with movable closure
US10882668B2 (en) Reclosable lid
KR101117578B1 (ko)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KR20030093210A (ko) 스트로
KR102005819B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KR102099903B1 (ko) 이중 수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JP2010064781A (ja) ストロー兼用容器及びそれが付けられた容器入り飲料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US20160137362A1 (en)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CN205525685U (zh) 核桃乳包装盒
JP4780861B2 (ja) ストロー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CN205186751U (zh) 卫生易拉罐
CN202138695U (zh) 带叉匙的食品包装容器
CN111297141B (zh) 锥形饮料杯托碗
JP2003081346A (ja) ストロー包装体
JP2008062996A (ja) 飲料容器
KR200310483Y1 (ko) 캔음료수용기
JP2004115093A (ja) 添加物付き蓋
JP2002355161A (ja) ストロー
KR20100000608U (ko) 병목구간을 지닌 액상스프용 포장지
JP2008265784A (ja) 小型容器
KR20020086357A (ko) 탄산지연 음료수병
KR20020080308A (ko)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