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308A -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308A
KR20020080308A KR1020020056278A KR20020056278A KR20020080308A KR 20020080308 A KR20020080308 A KR 20020080308A KR 1020020056278 A KR1020020056278 A KR 1020020056278A KR 20020056278 A KR20020056278 A KR 20020056278A KR 20020080308 A KR20020080308 A KR 2002008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assembly
sealed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2005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0308A/ko
Publication of KR2002008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308A/ko
Priority to PCT/KR2003/001573 priority patent/WO2004024579A1/en
Priority to AU2003253449A priority patent/AU2003253449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2575/52Details
    • B65D25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2575/583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the non-integral spout having an elongate cross-sectional shape, e.g. canoe or boat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2)발명의 목적
종래 스트로가 내입된 것의 경우, 음용후 남은 내용물의 재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하여는 절취선을 형성해야 되는데, 이럴 경우 밀폐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용기의 길이 방향중 봉합된 방향에는 배출대의 접착부가 위치되어 함께 봉합되고, 상기한 접착부의 상방으로 돌출된 배출대 일체형의 마개가 있는 구부는 절취선 등으로 구획된 절취편이 위생적으로 봉합처리된 것이며,그 하단부는 미봉합부로 되어 있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원터치방식의 배출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한 배출대의 구부 부위는 용기의 여유분에 의해 위생적으로 보호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용기 구조는 배출대의 하방부인 용기의 단부가 미봉합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 공장에서는 미봉합부 부위를 벌려 내용물을 충진하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omitted}
본 발명은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것으로서는 박막 음료 용기의 내부에 스트로가 장착된 것이 있었다.
상기 종래 스트로가 내입된 것의 경우,음용후 남은 내용물의 재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용이하게 개봉하기 위하여는 절취선을 형성해야 되는데, 이럴 경우 밀폐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그 간 다양한 형태의 제안을 하여 왔으며, 본 발명 또한 동일 선상의 제안중 그 하나이다.
동일 그룹으로 부터 파생된 본 발명은, 원터치방식의 배출대를 장착한 용기의 구성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의 상방 배출구 부위를 횡방향으로 절취선이 형성된 절취편을 두어 상기한 배출대가 위생적으로 보관 유통될 수 있는 특징을 부가 시킨 것이 다.
물론, 배출대가 투피스방식이고,구체적으로는 배출대의 구부(배출구) 부위에 별도의 마개가 씌워진 것의 경우는, 상기한 구조의 절취편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출대가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상태로 결합되고, 그 결합된 배출대의 상방 구부 부위를 여유분의 용기 필름부위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상기한 배출대의 구부를 보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배출대 어셈블리가 제공된 박막음료 용기의 정면도를 보이고 있으나,이중 도 1은 미봉합된 상태이고,도 2는 미봉합부가 봉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배출대의 마개부를 감싸고 있던 절취편이 제거된 상태이고,
도 4는 배출대를 완전히 열어 보인 상태이다.
도 5는 배출대의 마개를 다시 막아 놓은 상태이고,
도 6은 배출대의 일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6,8 : 봉합부
3 : 절취홈 4,14 : 절취선
5.5' : 절취편 7 : 미봉합부
10 : 배출대 11 : 접착부
12 : 구부 13 : 배출유도부
15,15' : 마개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양면이 결합되어 봉투형상을하는 내부 공간이 있는 통상의 용기(1) 형태이고, 상기한 용기(1)의 어느 한 단부는 배출대(10)의 접착부(11)가 상기한 용기(1)의 봉합부(2)와 함께 접착(봉합)되어 있되 봉합부(2)의 상방으로는 절취홈(3)과 절취선(4) 등으로 구획된 절취편(5)이 위생적으로 그 외단이 봉합부(6)로 처리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1)의 배출대(10)하방부인 용기(1)의 단부는 상기한 용기(1)에 내용물을 충진시키기 위하여 개봉된 상태의 미봉합부(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상태의 용기(1)에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하여는, 일련의 기계장치로 미봉합부(7)를 벌려 내용물을 충진한후는, 상기 미봉합부(7)를 봉합부(8)로 처리하여 밀폐시키는 데, 그 상태가 도 2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1)의 내용물을 음용하고자 할 때는, 도 3과 같이 절취편(5)을 제거한 후, 구부(12)의 상방에 형성된 마개(15)를 제거하고, 그 구부(12)에 입을 대고 빨게되면 용기(1) 내의 내용물이 흡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보인 배출유도부(13)는 용기(1)의 필름면이 달라 붙어 진공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차원이다.
도 5는 구부(12)에 마개(15)를 닫아 재밀봉된 상태의 용기(1)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배출대(10)의 일상태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중 일예인 미봉합부(7)는 봉합하는 방향이 다양할 수있 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2 참고),상기 절취편(5' )은 상품의 성격표현,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 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배출대(10)의 접착부(11) 상방에는 상품의 성격표현, 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 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5 참고),상기 특정형상은 배출대(1)의 마개(15' ) 부위에 형성한 것이다.
도 다른 실시예로서, 필름의 일정 양면 외단부가 봉합되어 봉투 형상을 하는 내부 공간이 있는 통상의 용기(1)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1)의 임의 봉합된 방향에는 배출대(10)의 접착부(11)가 위치되어 함께 봉합되고, 상기한 접착부(11)의 상방으로 돌출된 배출대(10)일체형의 마개(15)가 있는 구부(12)는 절취선 등으로 구획된 절취편이 위생적으로 봉합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대(10) 접착부(11) 하방인 용기(1)의 하단부는 미봉합부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배출대(10) 접착부의 임의 측방부가 미봉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상기 절취편은 상품의 성격표현,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 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필름의 일정 양면 외단부가 봉합되어 봉투 형상을 하는 내부 공간이 있는 통상의 용기와,상기한 용기의 임의 봉합된 방향에는 배출대(1)의 접착부(11)가 위치되어 함께 봉합되고,상기한 접착부(11)의 상방으로 돌출된 마개(15' )를 일체로 하고 있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내용물 배출용 구부(12)가 형성되는 박막 음료 용기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10)에는 상품의 성격표현,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 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원터치방식의 배출대가 일체로 구성되고,상기한 배출대의 구부 부위는 용기의 여유분에 의해 위생적으로 보호되어 있으며,이러한 일련의 용기 구조는 배출대의 하방부인 용기의 단부가 미봉합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 공장에서는 미봉합부 부위를 벌려 내용물을 충진하기 때문에 생산속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미봉합부는 봉합하는 방향에 따라 삼각물주머니 형상(지로팩)등 다양한 형태의 용기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필름의 일정 양면 외단부가 봉합되어 봉투 형상을 하는 내부 공간이 있는 통상의 용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의 길이 방향중 봉합된 방향에는 배출대의 접착부가 위치되어 함께 봉합되고, 상기한 접착부의 상방으로 돌출된 배출대 일체형의 마개가 있는 구부는 절취선 등으로 구획된 절취편이 위생적으로 봉합처리된 것이며,
    상기한 배출대 접착부 하방인 용기의 하단부는 미봉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하방에는 상기 구부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용기내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데 용이한 형태의 배출유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것은, 미봉합부를 벌려 내용물을 충진하고, 그 미봉합부를 봉합처리한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봉합부를 봉합처리 할때는, 봉합되는 방향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편은 상품의 성격표현, 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지는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대의 접착부 상방에는 상품의 성격표현, 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지는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형상은 배출대의 마개 부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0. 필름의 일정 양면 외단부가 봉합되어 봉투 형상을 하는 내부 공간이 있는 통상의 용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의 임의 봉합된 방향에는 배출대의 접착부가 위치되어 함께 봉합되고, 상기한 접착부의 상방으로 돌출된 배출대 일체형의 마개가 있는 구부는 절취선 등으로 구획된 절취편이 위생적으로 봉합처리된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 접착부 하방인 용기의 하단부는 미봉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2. 제 11항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 접착부의 임의 측방부가 미봉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절취편은 상품의 성격표현,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지는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5. 필름의 일정 양면 외단부가 봉합되어 봉투 형상을 하는 내부 공간이 있는 통상의 용기와,상기한 용기의 임의 봉합된 방향에는 배출대의 접착부가 위치되어 함께 봉합되고,상기한 접착부의 상방으로 돌출된 마개를 일체로 하고 있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내용물 배출용 구부가 형성되는 박막 음료 용기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에는 상품의 성격표현,또는 정보전달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특정형상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형상은 문자,캐릭터,미니어쳐,로고중 선택되어지는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KR1020020056278A 2002-09-12 2002-09-12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KR20020080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278A KR20020080308A (ko) 2002-09-12 2002-09-12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PCT/KR2003/001573 WO2004024579A1 (en) 2002-09-12 2003-08-06 Cap-integrated spout assembly, pouch container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using the pouch container
AU2003253449A AU2003253449A1 (en) 2002-09-12 2003-08-06 Cap-integrated spout assembly, pouch container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using the pouch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278A KR20020080308A (ko) 2002-09-12 2002-09-12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308A true KR20020080308A (ko) 2002-10-23

Family

ID=2772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278A KR20020080308A (ko) 2002-09-12 2002-09-12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03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4976A (en) Liquid filled pouch with straw
ES2328174T3 (es) Bolsa de liquido cerrada hermeticamente con pitorro para beber o dispensador soldado.
CN101203440A (zh) 带有一体的附件和内部吸管的柔性直立袋
US5437389A (en) Beverage container
US5280844A (en) Beverage containers and filling thereof
US20160090221A1 (en) Improved Container With Opening
US20030189046A1 (en) Drink can
KR100468922B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JP4482723B2 (ja) 密封容器
KR20020080308A (ko)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KR101117578B1 (ko) 음용이 용이한 파우치 용기
ES2726991T3 (es) Sobretapa con medios que facilitan la apertura de un envase y el posterior consumo directo de su contenido
JP4699463B2 (ja) 注ぎ出しパッケージおよび注ぎ出し部材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CN205525685U (zh) 核桃乳包装盒
KR20020086839A (ko)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JP4594669B2 (ja) カップ型容器
KR200296443Y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JP3096659U (ja) 携帯用飲料パック容器
JPH11348979A (ja) 飲料用容器
JP2006096421A (ja) 密封容器
JP2000313435A (ja) パック容器
JP2007276827A (ja) カプセル容器、カプセル、及びカプセル付き液体容器包装体
JP2006213346A (ja) ストロー内蔵リシー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