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443Y1 - 음료 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음료 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443Y1
KR200296443Y1 KR2020020027362U KR20020027362U KR200296443Y1 KR 200296443 Y1 KR200296443 Y1 KR 200296443Y1 KR 2020020027362 U KR2020020027362 U KR 2020020027362U KR 20020027362 U KR20020027362 U KR 20020027362U KR 200296443 Y1 KR200296443 Y1 KR 200296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pout
present
pac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조충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묵 filed Critical 조충묵
Priority to KR2020020027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44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포장용 파우치(Pouch)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음료를 비닐 팩 등에 포장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파우치 상단에 스파우터(Spouter : 분출구)를 구비시키되, 스파우터의 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료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스파우터가 구비된 파우치에 있어서, 스파우터가 설치되는 파우치 상단부에 스파우터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되, 절취하여 개봉 가능하도록 절취선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 포장용 파우치{Pouch}
본 고안은 음료 포장용 파우치(Pouch)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음료를 비닐 팩 등에 포장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파우치 상단에 스파우터(Spouter : 분출구)를 구비시키되, 스파우터의 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료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작은 주머니를 뜻하는 것으로, 음료 포장용 파우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팩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한 후, 장기간 또는 휴대를 목적으로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우치는 상기와 같이, 대부분 단순하게 합성수지로 된 팩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시켜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음용 시에는 일측 단을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하여 개방시킨 후 음용하거나, 개방된 부위에 빨대(스트로우)를 꽂아 음용하거나, 컵에 따라 음용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는 생산 및 유통 측면에서 볼 때, 내용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기에는 더할 수 없이 유용한 것이었으나, 사용자가 측면에서는 음용 시 개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팩의 개봉부위 일측면에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절취가 용이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절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튀겨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 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스파우터(분출구)를 팩의 일측 단에 열융착과 동시에 고정시킨 파우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스파우터가 팩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파우치의 제작 및 보관 등 취급상에서 오염될 수밖에 없으며, 심지어는 스파우터의 캡이 열려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기도 하는 등 위생적인 측면과 취급상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고가의 한약재를 포장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생적인 음용을 위해 생산자 또는 공급자 및 사용자 자신 또한 취급에 더욱 신경을 쓸 수밖에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열려진 스파우터를 통해 외부로 한약재가 유출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입게 되는 경제적 손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과 종래의 파우치 보다 고가인 점으로 인해, 스파우터가 구비된 파우치는 생산자 및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받아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은 액상의 음료를 비닐 팩 등에 포장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파우치 상단에 스파우터(Spouter : 분출구)를 구비시키되, 스파우터의 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료 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스파우터가 구비된 파우치에 있어서, 스파우터가 설치되는 파우치 상단부에 스파우터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되, 절취하여 개봉 가능하도록 절취선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커버를 절취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커버가 절취된 상태의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스파우터로부터 캡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파우치 11 : 팩
12 : 공간 13 : 스파우터
13': 흡착 방지막대 14 : 캡
15 : 밀폐커버 16 : 절취선
본 고안의 설명에 이해를 돕기 위한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커버를 절취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커버가 절취된 상태의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스파우터로부터 캡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이중 도면 부호 10은 본 고안인 파우치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파우터(13)가 구비된 파우치(10)에 있어서, 스파우터(13)가 설치되는 파우치(10) 상단부에 스파우터(13)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커버(15)를 일체로 형성하되, 절취하여 개봉 가능하도록 절취선(16)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두장의 합성수지 양측면이 열융착된 팩(11)의 양단을 열융착시켜 공간(12)을 형성하되, 일측 단에는 캡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스파우터(13)를 동시에 열융착시켜 고정함과 동시에 스파우터(13)가 위치하는 팩(11)의 단부에 절취선(16)에 의해 개봉 가능한 밀폐커버(15)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파우터(13)가 외부와 차단되어 보호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스파우터(13)는 음료 포장용 파우치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팩(11)의 공간(12) 내측 방향에는 흡착 방지막대(13')가 형성되어 음용 시 흡입 압력에 의해 팩(11)이 완전히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완전히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팩(12) 상단의 절취선(16)을 절취하여 팩(11)으로부터 커버(15)를 분리(개봉) 시키게 되면, 팩(11) 상단 중앙에 구비된 스파우터(13)가 첨부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며, 이후, 첨부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출된 스파우터(13)의 캡(14)을 열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팩(11)에 구비된 스파우터(13)를 평소(보관 시)에는 밀폐 커버(15)가 외부와 차단시켜 스파우터(13)의 오염과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파우터(13)의 캡(14)이 외력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음용 시에는 밀폐커버(15)를 절취선(16)을 따라 절취하여 개봉한 후, 스파우터(13)를 통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팩(11) 내부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파우터(13)를 통한 팩(11) 내부의 내용물을 위생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폐커버(15)와 스파우터(13)의 캡(14)을 열융착시켜 팩(11)으로부터 밀폐커버(15)를 절취할 경우 스파우터(13)로부터 캡(14)이 자연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일 것이다.
본 고안은 액상으로 된 어떠한 종류의 음료 보관에도 이용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는 본 고안은 액상의 음료를 비닐 팩 등에 포장하여 보관하도록 하는 스파우터가 구비된 파우치에 있어서, 스파우터가 설치되는 파우치 상단부에 스파우터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커버를 일체로 형성하되, 절취하여 개봉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파우터의 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스파우터(13)가 구비된 파우치(10)에 있어서, 스파우터(13)가 설치되는 파우치(10) 상단부에 스파우터(13)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커버(15)를 일체로 형성하되, 절취하여 개봉 가능하도록 절취선(16)을 형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포장용 파우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밀폐커버(15)와 스파우터(13)의 캡(14)을 열융착시켜 팩(11)으로부터 밀폐커버(15)를 절취할 경우 스파우터(13)로부터 캡(14)이 자연적으로 개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포장용 파우치.
KR2020020027362U 2002-09-12 2002-09-12 음료 포장용 파우치 KR200296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62U KR200296443Y1 (ko) 2002-09-12 2002-09-12 음료 포장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362U KR200296443Y1 (ko) 2002-09-12 2002-09-12 음료 포장용 파우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265A Division KR100468922B1 (ko) 2002-09-12 2002-09-12 음료 포장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443Y1 true KR200296443Y1 (ko) 2002-11-23

Family

ID=7312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362U KR200296443Y1 (ko) 2002-09-12 2002-09-12 음료 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4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4652T3 (es) Dispositivo de apertura para envases de productos alimenticios vertibles.
US20080199108A1 (en) Flexible Stand-Up Pouch with Integral Fitment and Internal Straw
BR112013016251A2 (pt) recipiente para fórmula para bebês
KR100468922B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JP2004168341A (ja) 把手付包装袋
US20100016824A1 (en) Vial for receiving a predefined dose of a liquid
EP1883586B1 (en) A single-dose container for liquids and/or solids
US7862841B1 (en) Multiple serving container
KR200296443Y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KR102005819B1 (ko) 음료 포장용 파우치
CA2158927A1 (en) Container for health care product
JP4482723B2 (ja) 密封容器
US8087571B2 (en) Pouring package and pouring member formed from a wall extending over an opening
ES2533073T3 (es) Gollete de vertido con evidencia de violación
ES2358394B1 (es) Envase con pajill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JP4282929B2 (ja) 液状物を収容した軟質容器を収納する外容器体
KR20070094691A (ko) 냉각기용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658926B1 (ko) 액체포켓이 내장된 포장 섬유시트
JP2019064712A (ja) 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パウチ
KR102309864B1 (ko) 다각형 개봉부를 가진 액상 수용 파우치
JP2000313435A (ja) パック容器
JP2018127267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
KR20150101218A (ko) 음료수 포장용기
RU2267451C2 (ru) Подвижное повторно-закрываемое от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аковок для текучи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3101997U (ja) 容器吊り下げ用充填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