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713A -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713A
KR20110065713A KR1020090122334A KR20090122334A KR20110065713A KR 20110065713 A KR20110065713 A KR 20110065713A KR 1020090122334 A KR1020090122334 A KR 1020090122334A KR 20090122334 A KR20090122334 A KR 20090122334A KR 20110065713 A KR20110065713 A KR 20110065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 lens
lens array
electronic paper
micro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879B1 (ko
Inventor
조수현
장우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목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내에 존재하는 극성 잉크;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또는 금속 전극;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규칙 패턴된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하여 전저종이를 제조하면 Roll to Roll공정이 가능하여 간단한 제작 공정과 상용화를 위한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마이크로 렌즈를 규칙적으로 적용하여 매우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극성잉크, 투명전극

Description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ELECTRONIC PAPER USING MICRO LENSE ARRAY AND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이는 쓰기 쉽고 보는데 눈의 피로감이 적으면서도 가볍고, 얇으며, 유연성이 있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인류는 정보기록 및 전달의 매체로 2000년 이상 종이를 사용해 왔다. 최근에 와서는 정보의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환경보호를 우선으로 하는 순환형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종이 분야에서도 재생종이의 유효활용 등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종이 본래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정보의 디지털화 및 순환형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매체로서 전자종이(Electronic Paper)가 주목을 받고 있다. 전자종이는 종이의 장점과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모두 갖춘 이상적인 매체의 개념이다. 인터넷 등의 전자 통신기술에 의한 전자매체는 정보의 유통기능이라는 관점에서의 효율성 면에서 인쇄물의 유포 기능을 대체하여 담당해야 하는 전사 디스플레이 기술, 특시, 정지 화면에서의 가독성 등에서 종이보다 훨씬 떨어지는 실정이다. 디스플레이 관점에서 볼 때, 종이는 높은 반사율과 대조비를 가지고, 주위에 빛만 있으면 볼 수 있고, 이외에도 시야각, 무게, 내구성 등에서 우수하며 전력 소비가 없는 특징이 있는 반면, 담긴 내용을 자유로이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토대로 하여 약간의 보시전력이 들더라도 우수한 반사율, 대조비, 시야각, 유연성, 내구성 등의 특징을 그대로 유지한 채 정보를 받고, 받은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도록 전자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전자종이 연구자들의 바람이다. 전자종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접근 방식과 종이로부터의 접근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기본의 디스플레이인 LCD와 유기 EL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얇은 유리, 금속판 등에 이들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를 유연성 있는 디스플레이로 부르기도 한다. 한편으로는 종이로부터의 접근 방식으로서, 기존의 인쇄물이 매우 작은 잉크 방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직경이 0.1㎜ 이하의 크기를 갖는 볼이나 캡슐들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캡슐 방식을 들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볼이나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전자종이의 동작 원리로서 이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두 장의 얇은 전극 판 사이에 볼(10)이나 캡슐(20)이 끼워져 있는데,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볼(10)이나 캡슐(20)의 하전된 부분이 이동하여 명암을 표시하게 된다. 마이크로 볼(10)의 경우, 볼(10) 자체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2 등분되어 각각 양전하와 음전하를 띄고 있어 외부 전압에 의하여 볼 자체가 회전하는 형태이고 캡슐(20)의 경우에는 캡슐(20) 내부에 전자잉크(30, 40)라고 불리는 전하를 가진 다수의 미세 입자들이 담겨져 있 어 캡슐(20)은 고정되어 있고 전자 잉크(30, 40)들이 이동하여 명암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볼(10)이나 캡슐(20)을 이용한 전자종이는 이들을 표시 매개체로 하여 이를 상부 전극 판과 하부 전극 판 사이에 끼워 넣은 형태를 갖게 되며, 최종적으로 구동 회로가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윗 부분을 통하여 영상이 관찰되므로 상부 전극은 투명하여야 하며, 디스플레이 모드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의 화소가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 볼(10)과 캡슐(20)은 Roll TO Roll로 제작되기 어렵다. 즉, 시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생산성에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20)은 랜덤 형태로 제작되어 고 해상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칙적으로 패턴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Roll To Roll 공정을 가능하게 하여 패턴된 롤을 이용함으로써 전자종이에서 요구되어 지는 간단한 제작공정과 상용화를 위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랜덤형태로 제작되는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마이크로 렌즈를 규칙적으로 적용하여 매우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마이크로 렌즈는 상부의 면적이 넓어서 높은 광 효율을 가지는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구성은 오목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내에 존재하는 극성 잉크;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또는 금속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를 제공하여 상부의 면적이 넓은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높은 광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UV 경화성 수지, PMMA, PVA 또는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피라미드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마이크로 렌 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길이는 1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간의 간격은 2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렌즈높이/ 마이크로 렌즈의 길이는 0.2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마이크로 렌즈를 적용하여 매우 높은 해상도를 구현 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은 TiOx, SiOx, MgOx, ITO 또는 CrOx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전극은 ITO 또는 CN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영상이 관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부에 형성된 전극상에 PET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전극 사이에 PET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A) 금속 금형을 이용하여 오목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에 보호층을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마이크로 렌즈내에 극성잉크를 충진하는 단계; (E)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시트형식의 공정 뿐 아니라 Roll To Roll 공정도 가능하게 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하고 상용화를 위한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A)단계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UV 경화성 수지, PMMA, PVA 또는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B)단계는 TiOx, SiOx, MgOx, ITO 또는 CrOx 중 어느 하나를 보호층으로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마이크로 렌즈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시트형식의 공정 뿐 아니라 Roll To Roll 공정도 가능하게 되어 전자종이에서 요구되어 지는 공정의 단순화와 상용화를 위한 높은 생산성과 낮은 생산 단가를 갖춘 전자종이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작은 사이즈의 마이크로 렌즈를 적용하여 기존의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매우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마이크로 렌즈는 상부가 면으로 넓어서 원형에 꼭지점을 이루는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높은 광 효율을 가지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 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공정에 대한 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목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내에 존재하는 극성 잉크;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또는 금속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을 요지로 하는 것으로 생산성이 높고 해상도가 높은 전자종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공정을 살펴보면, (a) 단계에서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제조시 이용되는 금속의 금형(110)을 준비한다.
(b) 단계에서는 상기 금형(110)을 이용하여 UV 경화를 통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를 제작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는 UV 경화성 수지, PMMA(Poly-methyl methacylate), PVA(Polyvinyl acetate) 또는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원형, 타원형, 피라미드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길이(X)는 10 내지 8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마이크로 렌즈 사이의 간격(Y)은 2 내지 10 ㎛로 할 수 있으며, Sag(마이크로 렌즈의 높이(Z)/마이크로 렌즈의 길이(X))는 0.2 내지 0.7 인 것으로 하여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하여 작은 사이즈의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하여 매우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형에 꼭지점을 이루는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전자종이에 비해 마이크로 렌즈의 상부는 면으로 넓어서 높은 광 효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 렌즈의 보호층(130)으로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에 TiOx, SiOx, MgOx, ITO 또는 CrOx 중 어느 하나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의 하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CNT(Carbon NanoTube)로 이루어진 투명전극(140)을 형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영상을 관찰하는 상부와는 달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의 하부는 영상을 관찰하는 부위가 아니므로 금속전극(1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 (c) 단계에서는, 마이크로 렌즈 셀에 극성잉크(150)를 분포시키고 (d) 단계에서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의 상부에 ITO(Indium Tin Oxide) 또는 CNT(Carbon NanoTube)로 이루어진 투명전극(16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의 하부와는 달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의 상부는 영상을 관찰하는 부위이므로 투명전극(160)만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금속전극의 두께가 매우 얇아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라면 금속전극도 가능할 수 있다. 이렇게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종이는 도 3a와 같으며 이로써 전극(140, 160) 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극성잉크(150)가 이동하여 명암을 표시하게 된다.
도 3b 및 도 3c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170)필름을 이용한 Roll To Roll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전자종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 도 3b 및 도 3c와 같이 PET필름(170)에 투명전극(140, 160)으로서 ITO 나 CNT를 증착할 수 있는 데, 도 3b와 같이 전극(140, 160)은 PET(170)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3c와 같이 PET(170)의 최외각의 양쪽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정은 시트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패턴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20)를 베이스 필름으로 이용함으로써 Roll To Roll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어 간단한 제작공정과 상용화를 위한 높은 생산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마이크로 볼과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전자종이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금속 금형 12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130: 보호층 140: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
150: 극성잉크 160: 투명전극
170: PET X; 마이크로 렌즈의 길이
Y: 마이크로 렌즈 사이의 간격
Z: 마이크로 렌즈의 높이

Claims (13)

  1. 오목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각각의 마이크로 렌즈내에 존재하는 극성 잉크;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형성된 투명전극 또는 금속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UV 경화성 수지, PMMA(Poly-methyl methacylate), PVA(Polyvinyl acetate) 또는 PC(Polycarbonat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피라미드형,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길이는,
    1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간의 간격은,
    2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렌즈높이/ 마이크로 렌즈의 길이는,
    0.2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은,
    TiOx, SiOx, MgOx, ITO(Indium Tin Oxide) 또는 CrOx 중 어느 하나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CNT(Carbon NanoTub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부에 형성된 전극상에,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와 전극 사이에,
    PET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11. (A) 금속 금형을 이용하여 오목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에 보호층을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투명전극 또는 금속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마이크로 렌즈내에 극성잉크를 충진하는 단계;
    (E) 상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상부에 투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UV 경화성 수지, PMMA, PVA 또는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TiOx, SiOx, MgOx, ITO 또는 CrOx 중 어느 하나를 보호층으로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의 제조방법.
KR1020090122334A 2009-12-10 2009-12-1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68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34A KR101683879B1 (ko) 2009-12-10 2009-12-1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334A KR101683879B1 (ko) 2009-12-10 2009-12-1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713A true KR20110065713A (ko) 2011-06-16
KR101683879B1 KR101683879B1 (ko) 2016-12-08

Family

ID=4439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334A KR101683879B1 (ko) 2009-12-10 2009-12-10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289A (ja) * 2002-07-17 2005-11-04 シピックス・イメージ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泳動ディスプレーの性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新規な方法及び組成物
JP2007512569A (ja) * 2003-11-21 2007-05-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気泳動表示装置のエッジ画像残留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33532A (ko) * 2005-09-09 2008-04-1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미세 셀 어레이 구조체 및 이러한 미세 셀 어레이 구조체를이용한 미세 복합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JP2009271468A (ja) * 2008-05-12 2009-11-1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及び電気光学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289A (ja) * 2002-07-17 2005-11-04 シピックス・イメージ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泳動ディスプレーの性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新規な方法及び組成物
JP2007512569A (ja) * 2003-11-21 2007-05-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電気泳動表示装置のエッジ画像残留を低減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33532A (ko) * 2005-09-09 2008-04-1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미세 셀 어레이 구조체 및 이러한 미세 셀 어레이 구조체를이용한 미세 복합 구성요소의 제조 방법
JP2009271468A (ja) * 2008-05-12 2009-11-1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基板及び電気光学装置用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879B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042B2 (en) Multi-layer sheet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US7688497B2 (en) Multi-layer sheet for use in electro-optic displays
US7808696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thereof
US8432598B2 (en) Transparent conductor structure
US20110157683A1 (en) Electro-optic display
CN101971073A (zh) 用于反射型显示器的辉度增强结构
KR20090066534A (ko) 전기영동 표시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JP5198378B2 (ja) 電子ペーパー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5118121B2 (ja) 電子ペーパー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239124A1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20050134553A1 (en) Flexible and transparent ground plane for electric paper
CN103345329A (zh) 滤光片组件和触摸显示屏
US8154789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83879B1 (ko)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이용한 전자종이 및 그 제조방법
US20110317248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18189B1 (ko) 롤투롤 공정을 이용한 전자종이 제조방법
KR20230025017A (ko) 통합된 전도성 에지 시일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8179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US20120069426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063196A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75752B1 (ko)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16840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4812A (ko) 컬러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202328787A (zh) 電子紙顯示裝置
TW202407447A (zh) 包含囊封電泳介質的圖案區域之顯示器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