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563A -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563A
KR20110064563A KR1020090121231A KR20090121231A KR20110064563A KR 20110064563 A KR20110064563 A KR 20110064563A KR 1020090121231 A KR1020090121231 A KR 1020090121231A KR 20090121231 A KR20090121231 A KR 20090121231A KR 20110064563 A KR20110064563 A KR 2011006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ductive film
anisotropic conductive
tray
p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956B1 (ko
Inventor
황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09012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9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97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5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specific variables not covered by groups B29C66/91 - B29C66/94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수대를 구비하며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회로기판(CB)이 수납된 트레이(TR)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트레이 공급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CB)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1가압부(20a)와; 제1가압부(20a)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CB)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2가압부(20b)와; 트레이 공급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TR)에 수납된 회로기판(CB)을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로 교대로 이송시키는 회로기판 공급부(30)와;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 사이에 설치되어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에 의해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가압착된 회로기판(CB)을 교대로 배출하는 회로기판 배출부(40)로 이루어져, 회로기판 이송작업의 생산성을 개선시키는데 있다.
평판, 표시, 모듈, 이방성, 도전필름, 트레이, 가압착, 픽커

Description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Anisotropic conductive film partial bond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수대를 구비하며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평판표시모듈은 표시패널, 가요성기판(TCP: Tape Carrier Package) 및 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회로기판은 평판표시패널을 소스(source)와 게이트(gate)를 구동하기 위한 소스 회로기판 및 게이트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은 소스 드라이브 IC나 게이트 드라이브 IC(gate drive Integrated Circuit)가 실장된 가요성기판으로 연결되며, 접착제는 도전성을 갖는 이방성 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이 사용된다.
이방성 도전필름을 사용하여 표시패널과 회로기판을 가요성기판으로 연결하기 위해 평판표시모듈의 조립시스템이 사용된다. 평판표시모듈의 조립시스템의 구 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평판표시모듈의 조립시스템은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 패널공급부(2), 본압부(3) 및 패널배출부(4)로 구성된다.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는 직선이송기구(1a), 회로기판수대(1b), 가압 본더(1c) 및 본더이송기구(1d)로 이루어져,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 접착한 후 본압부(3)로 이송한다. 패널공급부(2)는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사용하여 가요성기판(TCP)이 접착된 표시패널(FP)을 본압부(3)로 이송하며, 본압부(3)는 회로기판(CB)과 표시패널(FP)이 공급되면 열압착기구(도시 않음)로 열압착하여 회로기판(CB)과 표시패널(FP)이 가요성기판(TCP)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패널배출부(4)는 가요성기판(TCP)으로 연결된 회로기판(CB)과 표시패널(FP)로 이루어지는 평면표시모듈(FM)을 본압부(3)로부터 공급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평판표시모듈의 조립시스템에서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의 회로기판수대(1a)는 직선이송기구(1a)에 의해 수납위치(P1), 가압위치(P2) 및 공급위치(P3)로 이송한다. 수납위치(P1)는 회로기판(CB)을 회로기판수대(1a)에 수납하기 위한 위치이며, 가압위치(P2)는 가압 본더(1c)가 본더이송기구(1d)에 의해 이동하면서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회로기판(CB)에 분할하여 가압착하기 위한 위치를 나타낸다. 공급위치(P3)는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분할되어 가압착된 회로기판(CB)을 본압부(3)로 이송하기 위한 위치를 나타낸다.
회로기판수대(1a)는 이와 같이 직선이송기구(1a)에 의해 수납위치(P1), 가압 위치(P2) 및 공급위치(P3)로 이송되어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분할 가압착된 회로기판(CB)이 본압부(3)로 이송되도록 한다. 공급위치(P3)에서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분할 가압착된 회로기판(CB)이 본압부(3)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수대(1a)는 다시 수납위치(P1)로 이송되어 새로운 회로기판(CB)을 수납받게 된다.
종래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회로기판수대(1a)가 수납위치(P1), 가압위치(P2) 및 공급위치(P3) 사이를 왕복 이송하여 회로기판(CB)을 본압부(3)로 이송하고, 가압 본더(1c)가 본더이송기구(1d)에 의해 이동하면서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가압착한다.
종래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는 하나의 회로기판수대를 이용하여 회로기판을 공급함으로써 공급위치에서 회로기판이 본압부로 이송되기 전에 회로기판에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 압착하는 작업이나 회로기판수대의 이송 등의 작업을 할 수 없어 회로기판의 이송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로기판수대가 정지한 상태에서 가압 본더가 이동하면서 분할 가압착함으로써 이방성 도전필름을 회로기판에 분할 가압착하는 동안 회로기판의 이송작업을 정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수대를 구비하며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할 수 있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 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수대를 구비하며,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함으로써 회로기판 이송작업의 생산성을 개선시켜 평판표시모듈 조립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이 수납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2가압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에 수납된 회로기판을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로 교대로 이송시키는 회로기판 공급부와;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에 의해 이방성 도전필름이 가압착된 회로기판을 교대로 배출하는 회로기판 배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은 회로기판을 수납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납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을 가압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에 가압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을 따라 스텝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스텝 이송되면 이방성 도전필름을 가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이 가압착되면 제어기는 가압착이 N번째 인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의 가압착이 N번째이면 회로기판을 공급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공급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을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배출되면 회로기판수대를 수납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은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로기판의 이송작업의 생산성을 개선시켜 평판표시모듈 조립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트레이 공급부(10), 제1가압부(20a), 제2가압부(20b), 회로기판 공급부(30) 및 회로기판 배출부(40)로 구성된다.
트레이 공급부(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a)에 설치되어 다수개의 회로기판(CB)이 수납된 트레이(TR)를 회로기판 공급부(30)가 흡착할 수 있도록 공급한다. 제1가압부(20a)는 트레이 공급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 공급부(30)에 의 해 이송된 회로기판(CB)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ACF: 도 8에 도시됨)을 분할하여 가압착한다. 제2가압부(20b)는 제1가압부(20a)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가압부(20a)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회로기판 공급부(30)에 의해 회로기판(CB)이 이송되면 회로기판(CB)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하여 가압착한다. 이와 같이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회로기판(CB)의 이송작업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회로기판 공급부(30)는 트레이 공급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TR)에 수납된 회로기판(CB)을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로 교대로 이송시킨다. 회로기판 배출부(40)는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 사이에 설치되어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에 의해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가압착된 회로기판(CB)을 교대로 본압부(3)로 배출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00)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레이 공급부(10)는 도 4에서와 같이 로딩스택커(11), 트레이 이송기구(12), 트레이 승강기구(13) 및 트레이 픽커(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 공급부(10)를 Y축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로딩스택커(11)는 다수개의 회로기판(CB)이 수납되는 트레이(TR)가 적층되며, 트레이 이송기구(12)는 베이스 플레이트(100a)에 설치되어 로딩스택커(11)를 화살표(a1) 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킨다. 트레이 승강기구(13)는 트레이 이송기구(12)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 공급부(30)가 회로기판(CB)을 흡착하도록 로딩 스택커(11)에 적층된 트레이(TR)를 화살표(a2)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트레이 픽커(14)는 트레이 이송기구(12)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 승강기구(13)에 의해 승강된 다수개의 트레이(TR) 중 빈 트레이(TR)를 화살표(a4) 방향 즉, 언로딩스택커(15)로 이송시켜 회로기판(CB)이 배출된 빈 트레이(TR)를 회수하게 된다.
트레이 공급부(10)의 구성 중 트레이 승강기구(13)와 트레이 픽커(14)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레이 승강기구(13)는 도 4에서와 같이 승강부재(13a) 및 직선이송기구(13b)로 구성된다.
승강부재(13a)는 다수개의 트레이(TR)가 수납된다. 즉, 승강부재(13a)는 하강된 상태에서 로딩스택커(11)가 이송되면 직선이송기구(13b)에 의해 상승하여 트레이(TR)를 수납하게 된다. 직선이송기구(13b)는 베이스 플레이트(100a)에 설치되어 승강부재(13a)를 승/하강시켜 승강부재(13a)에 수납된 트레이(TR)를 회로기판 공급부(30)가 습착할 수 있도록 승강시킨다.
트레이 픽커(14)는 도 4에서와 같이 클램프(14a) 및 직선승강기구(14b)로 구성된다.
클램프(14a)는 트레이(TR)를 파지하며, 클램프(14a)는 트레이(TR)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직선이송기구(14d)는 클램프(14a)에 설치되어 클램프(14a)를 화살표(a3)방향으로 왕복 이송시켜 빈 트레이(TR)를 언로딩스택커(15)의 위치로 이송되도록 한다. 언로딩스택커(15)는 승강기구(16)에 의해 승/하강되어 빈 트레이(TR)를 수납받아 적재한다. 상기 구성 중 직선이송기구(13b), 직선이송기구(14b) 및 승강기구(16)는 각각 볼스크류 이송기구, 리니어모터 이송기구 및 벨트 이송기구 중 하나가 사용된다.
이방성 도전필름(ACF: 도 8에 도시됨)을 가압착하는 가압부들(20)은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로 이루어지며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짐으로 제1가압부(20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제1가압부(20a)를 X축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제1가압부(20a)는 회로기판수대(21), 가압 본더(22), 카메라(23) 및 직선이송기구(24)로 구성된다.
회로기판수대(21)는 회로기판 공급부(30)에 의해 이송되는 회로기판(CB)을 수납한다. 이러한 회로기판수대(21)는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에 각각 구비되는 직선이송기구(24)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가압 본더(22)는 회로기판수대(2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하여 가압착한다. 가압 본더(22)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 적용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카메라(23)는 가압 본더(22)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방성 도전필름(ACF)의 가압착 상태를 감지한다.
카메라(23)는 회로기판(CB)이 배출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분할되어 이방성 도전필름(ACF: 도 8에 도시됨)이 가압착되면 화살표(a5) 방향 즉, 경사진 방향 으로 촬영하여 이미지신호를 제어기(60)로 전송하고, 제어기(60)를 수신된 이미지신호를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하여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에 가압착 작업을 중지하게 된다.
직선이송기구(24)는 가압 본더(22)의 하측에 설치되어 가압 본더(22)가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가압착하도록 회로기판수대(21)를 화살표(a4)방향 즉, 회로기판(CB)의 배출방향으로 스텝 이송시킨다. 가압 본더(22)는 직선이송기구(24)에 의해 회로기판수대(21)에 수납된 회로기판(CB)이 배출방향으로 매 스텝 이송마다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하여 가압착한다. 여기서, 직선이송기구(24)는 볼스크류 이송기구, 리니어모터 이송기구 및 벨트 이송기구 중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구성 중 회로기판수대(21)는 도 5에서와 같이 이동부재(21a) 및 수납지그(21b)로 구성된다.
이동부재(21a)는 직선이송기구(24)에 설치되어 왕복 이송된다. 왕복 이송은 회로기판(CB)이 배출방향으로 이송되는 경우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가압착 하기 위해 스텝 이송되며, 회로기판(CB)이 회로기판 배출부(40)에 의해 배출되면 다시 회로기판 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되는 회로기판(CB)을 수납받을 위치로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수납지그(21b)는 이동부재(21a)에 설치되어 회로기판(CB)을 흡착하여 지지하며, 수납부재(211)와 공기밸브(212)로 이루어진다. 수납부재(211)는 이동부재(21a)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홀(211a)이 형성되어 회로기판(CB)을 수납하며, 공기밸브(212)는 수납부재(211)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211a)과 연결되어 수납부재(211)에 수납된 회로기판(CB)이 흡착되도록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개폐된다. 이러한 공기밸브(212)는 진공 펌프(도시 않음)와 연결되어 수납부재(211)에 형성된 홀(211a)을 통해 회로기판(CB)이 흡착되도록 한다.
회로기판 공급부(30)는 도 6에서와 같이 픽커(31), 회전운동기구(32), 승강기구(33) 및 직선이송기구(34)로 구성된다.
픽커(31)는 다수개의 흡착노즐(31a) 및 공기밸브(31b)로 이루어져 회로기판(CB)을 진공 흡착하며, 회전운동기구(32)는 픽커(31)와 연결되어 픽커(31)를 회전시킨다. 즉, 회전운동기구(32)는 픽커(31)에 흡착된 회로기판(CB)의 정렬 상태가 불량인 경우에 픽커(31)를 화살표(a6)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로기판(CB)을 정렬하게 된다. 승강기구(33)는 회전운동기구(32)와 연결되어 픽커(31)를 승/하강시켜 픽커(31)가 회로기판(CB)을 흡착하거나 해제하는 위치로 이송한다. 직선이송기구(34)는 승강기구(33)에 설치되어 픽커(31)를 왕복 이송시켜 픽커(31)가 트레이(TR), 제1가압부(20a), 제2가압부(20b) 및 한 쌍의 카메라(50)로 각각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직선이송기구(34)는 볼스크류 이송기구, 리니어모터 이송기구 및 벨트 이송기구 중 하나가 사용된다.
회로기판 배출부(40)는 도 7에서와 같이 픽커(41), 회전운동기구(42), 승강기구(43) 및 X-Y 갠트리 이송기구(44)로 구성된다.
픽커(41)는 다수개의 흡착노즐(41a) 및 공기밸브(41b)로 이루어져 회로기판(CB)을 진공 흡착하며, 회전운동기구(42)는 픽커(41)와 연결되어 픽커(41)를 회전시킨다. 즉, 회전운동기구(42)는 픽커(41)를 화살표(a7) 방향으로 90ㅀ회전시켜 본압부(3: 도 3에 도시됨)로 배출한다. 승강기구(43)는 회전운동기구(42)와 연결되어 픽커(41)를 승/하강시키며, X-Y 갠트리 이송기구(44)는 승강기구(43)에 설치되어 픽커(41)를 X축이나 Y축방향으로 이송시켜 회로기판(CB)을 도 2에 도시된 화살표(a8)방향으로 배출하여 본압부(3)의 임의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X-Y 갠트리 이송기구(44)는 볼스크류 이송기구나 리니어모터 이송기구가 사용된다.
회로기판 공급부(30)와 회로기판 배출부(40)의 구성 중 회전운동기구(32,42) 및 승강기구(33,43)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운동기구(32,42)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회전축(321,421), 모터(322,422), 가이드부재(323,423) 및 베어링(324,424)으로 구성된다.
회전축(321,421)은 픽커(31,41)와 연결되며, 모터(322,422)는 회전축(321,421)에 연결되어 픽커(31,41)를 회전시킨다. 가이드부재(323,423)는 승강기구(33,43)에 설치되어 회전축(321,421)의 회전을 가이드하며, 베어링(324,424)은 회전축(321,421)과 가이드부재(323,4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321,421)이 미끄럼 회전운동하도록 한다. 승강기구(33,43)는 연결부재(331,431) 및 공압실린더(332,432)로 구성된다. 연결부재(331,431)는 회전운동기구(32,42)가 설치되며, 공압실린더(332,432)는 연결부재(331,431)와 연결되어 픽커(31,41)를 승/하강시킨다.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 사이에는 한 쌍의 카메라(50)가 더 구비되어 설치된다.
한 쌍의 카메라(5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가압부(20a)와 제2가압부(20b) 사 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0a)에 설치된다. 한 쌍의 카메라(50)는 회로기판(CB)의 정렬마크(AM)를 촬영하여 정렬상태를 감지한다. 즉, 한 쌍의 카메라(50)는 회로기판 공급부(30)의 픽커(31)가 회로기판(CB)을 흡착하여 제1가압부(20a)나 제2가압부(20b)로 수납하기 전에 도 6에서와 같이 회로기판(CB)이 픽커(31)에 흡착된 상태에서 촬영하게 된다.
회로기판(CB)의 정렬마크(AM)를 촬영 시 한 쌍의 카메라(50)는 각각 회로기판(CB)의 하측의 양측에 형성된 정렬마크(AM)를 촬영하여 정렬마크 이미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60)로 출력한다. 제어기(60)는 정렬마크 이미지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정렬기판 이미지와 비교하여 정렬상태를 판별한다. 판별결과, 픽커(31)에 흡착된 회로기판(CB)이 정렬 오차가 발생되면 발생된 오차만큼 회전운동기구(32)로 픽커(31)를 회전시켜 회로기판(CB)을 정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서와 같이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00)를 2대 구비하여 각각을 대향되도록 설치한다.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00)는 트레이 공급부(10), 제1가압부(20a), 제2가압부(20b), 회로기판 공급부(30), 회로기판 배출부(40), 한 쌍의 카메라(50) 및 제어기(60)로 구성된다.
트레이 공급부(10), 제1가압부(20a), 제2가압부(20b), 회로기판 공급부(30), 회로기판 배출부(40) 및 한 쌍의 카메라(50)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어기(60)는 한 쌍의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정렬마크 이미지신호를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정렬마크 이미지와 비교하여 회로기판(CB)이 정렬 되지 않으면 회로기판 공급부(30)의 제어하여 회로기판(CB)을 정렬하게 된다.
회로기판(CB)의 정렬 시 제어기(60)는 회전운동기구(32)를 제어하여 픽커(31)를 회전시킴으로써 픽커(31)의 회전에 의해 회로기판(CB)이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00)를 이용한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트레이 공급부(10)에서 트레이(TR)이 승강되면 트레이(TR)에 수납된 회로기판(CB)을 수납위치(M1)로 이송한다(S10).
회로기판(CB)을 수납위치(M1)로 이송하기 위해 먼저, 회로기판(CB)을 흡착하여 한 쌍의 카메라(50)로 이송한다(S11). 즉, 트레이 공급부(10)에서 트레이(TR)가 승강되면 회로기판 공급부(30)의 픽커(31)가 이송되어 트레이(TR)에 수납된 하나의 회로기판(CB)을 흡착하여 회로기판(CB)을 한 쌍의 카메라(50)의 상측으로 이송한다. 회로기판(CB)이 한 쌍의 카메라(50)로 이송되면 회로기판(CB)의 정렬마크(AM)를 촬영한다(S12).
회로기판(CB)의 정렬마크가 촬영되면 촬영된 정렬마크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정렬마크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렬 오차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 정렬 오차의 발생여부는 먼저, 한 쌍의 카메라(50)가 회로기판(CB)의 양측에 형성된 정렬마크(AM)를 각각 촬영하여 정렬마크 이미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기(60)로 전송한다. 제어기(60)는 수신된 정렬마크 이미지신호에 따른 정렬마크 이미지신호와 미리 제어기(60)에 저장된 정렬마크 이미지를 비교하여 픽커(31: 도 6에 도시됨)에 흡착된 회로기판(CB)에 정렬 오차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기(60)의 확인 결과, 정렬 오차가 발생되면 발생된 오차만큼 회로기판(CB)을 회전시켜 정렬한다(S14). 회로기판(CB)의 정렬은 제어기(60)의 제어에 의해 정렬된다. 즉, 제어기(60)는 정렬 오차가 발생되면 발생된 오차만큼 회전기구(32)를 제어하여 픽커(31)를 회전시킴으로써 회로기판(CB)을 정렬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60)는 회로기판(CB)이 픽커(31)에 5ㅀ 정도 틀어져 흡착된 경우에 정렬 오차가 없는 상태를 촬영하여 미리 제어기(60)에 저장된 회로기판 이미지와 비교하여 틀어진 5ㅀ를 산출하고, 회전운동기구(32)를 제어하여 산출된 5ㅀ만큼 픽커(31)를 회전시켜 정렬한다. 회로기판(CB)이 정렬되면 회로기판(CB)을 제1가압부(20a)나 제2가압부(20a) 중 하나의 수납위치(M1)로 이송한다. 즉, 픽커(31)가 수납위치(M1)에 위치한 제1가압부(20a)나 제2가압부(20a)로 이송되어 회로기판(CB)을 수납하게 된다.
회로기판(CB)이 수납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CB)을 가압위치(M2)로 이송한다(S20). 회로기판수대(21)에 회로기판(CB)에 수납되면 직선이송기구(24)에 의해 회로기판수대(21)를 직선 이송시켜 회로기판(CB)을 가압위치(M2)로 이송한다. 회로기판(CB)에 가압위치(M2)로 이송되면 회로기판(CB)을 배출방향을 따라 스텝(step) 이송시킨다(S30). 스텝 이송은 도 8에서와 가압 본더(22)가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가압착하는 길이(N)만큼씩 이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로기판(CB)이 스텝 이송되면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가압착한다(S40).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가압착되면 가압착 상태가 정상인지를 감지한다(S50). 이방 성 도전필름(ACF)의 가압착 상태 감지는 카메라(23)가 이방성 도전필름(ACF)의 가압착 상태를 촬영하여 제어기(60)로 전송하고, 제어기(60)는 전송된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이미지와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불량으로 가압착되면 제어기(60)는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100)의 가동을 중지하여 가압착 작업을 정지하여 불량이 발생된 회로기판(CB)을 작업자가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가압착되면 제어기(60)는 가압착이 N번째 인가를 확인한다(S60). 즉,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N번 분할하여 가압착 하는 것을 제어기(60)에 미리 설정한 경우에 설정된 N번째 가압착인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가압착이 N번째가 아니면 회로기판을 스텝 이송시키는 단계(S30)로 리턴한다. 반면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의 가압착이 N번째이면 회로기판(CB)을 공급위치(M3)로 이송한다. 즉, 회로기판수대(21)에 수납된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가 N번째 분할 가압착되면 직선이송기구(24)는 회로기판수대(21)를 직선 이송시켜 회로기판(CB)을 공급위치(M3)로 이송한다(S70).
회로기판(CB)이 공급위치(M3)로 이송되면 회로기판(CB)을 배출한다(S80).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N개로 분할되어 가압착되어 공급위치(M3)로 이송되면 회로기판 배출부(40)의 픽커(41)는 회로기판(CB)을 흡착한 후 본압부(3)로 배출하게 된다. 본압부(3)로 배출된 회로기판(CB)는 열압착기구(3a)에 의해 열압착하여 이방성 도전필름(ACF)에 의해 표시패널(FP: 도 1에 도시됨)과 연결된다.
회로기판(CB)이 배출되면 회로기판수대(21)를 수납위치(M1)로 이송시킨 다(S90). 즉, 공급위치(M3)로 이송된 회로기판수대(21)에 수납된 회로기판(CB)이 배출되면 직선이송기구(24)는 새로운 회로기판(CB)을 수납하기 위해 회로기판수대(21)를 수납위치(M1)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은 제어기(6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며, 제어기(60)는 회로기판(CB)을 이송하여 배출하고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압착하기 위한 트레이 공급부(10), 제1가압부(20a), 제2가압부(20b), 회로기판 공급부(30), 회로기판 배출부(40) 및 한 쌍의 카메라(5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수대(21)를 가압부(20) 즉, 제1가압부(20a) 및 제2가압부(20b)에 각각 구비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며, 가압 본더(22)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회로기판(CB)을 배출방향으로 스텝 이송시키면서 회로기판(CB)에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분할하여 가압착하고, 회로기판(CB)을 공급 시 제1가압부(20a) 및 제2가압부(20b)로 교대로 이송하여 공급함으로써 회로기판(CB)의 이송작업 시간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은 평판표시모듈의 제조 및 반도체소자의 제조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표시모듈의 조립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트레이 공급부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가압부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로기판 공급부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회로기판 배출부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가압부의 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트레이 공급부 11: 로딩스택커
12: 트레이 이송기구 13: 트레이 승강기구
14: 트레이 픽커 20: 가압부들
20a: 제1가압부 20b: 제2가압부
21: 회로기판수대 22: 가압 본더
23: 카메라 24,34: 직선이송기구
30: 회로기판 공급부 40: 회로기판 배출부
31,41: 픽커 32,42: 회전운동기구
33,43: 승강기구 44: X-Y 갠트리 이송기구

Claims (16)

  1. 다수개의 회로기판이 수납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2가압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에 수납된 회로기판을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로 교대로 이송시키는 회로기판 공급부와;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에 의해 이방성 도전필름이 가압착된 회로기판을 교대로 배출하는 회로기판 배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다수개의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트레이가 적층되는 로딩스택커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스택커를 왕복 이송시키는 트레이 이송기구와;
    상기 트레이 이송기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 공급부가 회로기판을 흡착하도록 로딩스택커에 적층된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트레이 승강기구와;
    상기 트레이 이송기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된 다 수개의 트레이 중 빈 트레이를 언로딩스택커로 이송시키는 트레이 픽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승강기구는 다수개의 트레이가 수납되는 승강부재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직선이송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픽커는 트레이를 파지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에 설치되어 클램프를 왕복 이송시키는 직선이송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는 각각 회로기판 공급부에 의해 이송되는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회로기판수대와;
    상기 회로기판수대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로기판에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가압 본더와;
    상기 가압 본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방성 도전필름의 가압착 상태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가압 본더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본더가 이방성 도전필름을 가압착하도록 회로기판수대를 스텝 이송시키는 직선이송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수대는 상기 직선이송기구에 설치되어 왕복 이송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수납지그로 구성되며,
    상기 수납지그는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회로기판을 수납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과 연결되어 수납부재에 수납된 회로기판이 흡착되도록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개폐되는 공기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는 한 쌍의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카메라는 상기 회로기판의 정렬마크를 촬영하여 정렬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공급부는 회로기판을 진공 흡착하는 픽커와;
    상기 픽커와 연결되어 픽커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기구와;
    상기 회전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픽커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픽커를 왕복 이송시키는 직선이송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배출부는 회로기판을 진공 흡착하는 픽커와;
    상기 픽커와 연결되어 픽커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기구와;
    상기 회전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픽커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픽커를 이송시키는 X-Y 갠트리 이송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기구는 상기 픽커와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픽커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미끄럼 회전운동하도록 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회전운동기구가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픽커를 승/하강시키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12. 다수개의 회로기판이 수납된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제1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방성 도전필름을 분할하여 가압착하는 제2가압부와;
    상기 트레이 공급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트레이에 수납된 회로기판을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로 교대로 이송시키는 회로기판 공급부와;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가압부와 제2가압부에 의해 이방성 도전필름이 가압착된 회로기판을 교대로 배출하는 회로기판 배출부와;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 사이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의 정렬마크를 촬영하여 정렬마크 이미지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한 쌍의 카메라와;
    상기 한 쌍의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정렬마크 이미지신호를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정렬마크 이미지와 비교하여 회로기판이 정렬되지 않으면 회로기판 공급부의 제어하여 회로기판을 정렬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기판 공급부는 회로기판을 진공 흡착하는 픽커와, 상기 픽커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픽커를 회전시켜 픽커에 흡착된 회로기판을 정렬하는 회전운동기구와, 상기 회전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픽커를 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픽커를 왕복 이송시키는 직선이송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13. 회로기판을 수납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수납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을 가압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에 가압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을 스텝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스텝 이송되면 이방성 도전필름을 가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이 가압착되면 제어기는 가압착이 N번째 인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의 가압착이 N번째이면 회로기판을 공급위치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공급위치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을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배출되면 회로기판수대를 수납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을 수납위치로 이송하는 단계는 회로기판을 흡착하여 한 쌍의 카메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한 쌍의 카메라로 이송되면 회로기판의 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의 정렬마크가 촬영되면 촬영된 정렬마크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정렬마크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렬 오차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정렬 오차가 발생되면 발생된 오차만큼 회로기판을 회전시켜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회로기판이 정렬되면 회로기판을 제1가압부나 제2가압부 중 하나의 수납위치로 이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이 스텝 이송되면 이방성 도전필름을 가압착하는 단계는 가압착 상태가 정상인지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이 가압착되면 제어기는 가압착이 N번째 인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가압착이 N번째가 아니면 상기 회로기판을 스텝 이송시키는 단계로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방법.
KR1020090121231A 2009-12-08 2009-12-08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KR10114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31A KR101144956B1 (ko) 2009-12-08 2009-12-08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231A KR101144956B1 (ko) 2009-12-08 2009-12-08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563A true KR20110064563A (ko) 2011-06-15
KR101144956B1 KR101144956B1 (ko) 2012-05-11

Family

ID=4439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231A KR101144956B1 (ko) 2009-12-08 2009-12-08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495B1 (ko) * 2012-12-24 2013-10-01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인쇄회로기판 자동 클램프 바스켓 로더 및 언로더용 회전장치
KR101354062B1 (ko) * 2012-07-20 2014-01-24 주식회사제4기한국 인쇄회로기판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윈도우프레임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15B1 (ko) * 2018-11-29 2019-04-25 우석기 롤 및 시트 타입 기판 가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2771B (en) * 1999-11-29 2003-03-01 Shibaura Mechatronic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tightly assembling compon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62B1 (ko) * 2012-07-20 2014-01-24 주식회사제4기한국 인쇄회로기판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윈도우프레임 공급장치
KR101312495B1 (ko) * 2012-12-24 2013-10-01 주식회사 디에스이엔티 인쇄회로기판 자동 클램프 바스켓 로더 및 언로더용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956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1925B2 (ja) 基板固定装置、基板作業装置および基板固定方法
US7021357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1144956B1 (ko) 이방성 도전필름의 분할접착장치 및 방법
KR20160135073A (ko) 테이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착방법
KR100828312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및 그 방법
KR101776859B1 (ko) 인라인 자동 fof/fog 공용 본딩장치
KR100828309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65285A (ko) 백라이트유니트 조립장치 및 방법
JPH0675199A (ja) 液晶パネル製造装置、位置決め装置および加工装置
JP4518257B2 (ja) 半導体装置実装装置
KR20170070349A (ko) 인라인 자동 olb/cog 공용 본딩장치
KR20010063412A (ko) 시에스피 다이 본더 장치
KR102159204B1 (ko) 기판 가압장치가 구비된 연성회로기판 자동 부착 로봇
JPH01317000A (ja) 電子部品装着機
KR102529668B1 (ko) 대상체 라미네이팅 장치
JP4655187B2 (ja) Tab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
KR102441533B1 (ko) 대상체 라미네이팅 장치
KR100565783B1 (ko) 반도체 패키지용 다중 정렬장치 및 방법
JP4326872B2 (ja) ローダおよびダイボンダ
KR10154286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용 가본딩장치
KR102441535B1 (ko) 대상체 라미네이팅 장치
JP4128009B2 (ja) テープ貼付装置
KR101968313B1 (ko) 연성회로기판 자동 부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자동 부착 방법
TWI806798B (zh) 晶粒接合設備
KR101619312B1 (ko) 부품실장기의 다이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