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045A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045A
KR20110064045A KR1020090120464A KR20090120464A KR20110064045A KR 20110064045 A KR20110064045 A KR 20110064045A KR 1020090120464 A KR1020090120464 A KR 1020090120464A KR 20090120464 A KR20090120464 A KR 20090120464A KR 20110064045 A KR20110064045 A KR 2011006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transparent
display unit
area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267B1 (ko
Inventor
김형종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267B1/ko
Priority to US12/860,039 priority patent/US8305031B2/en
Priority to CN201010516381.0A priority patent/CN102088509B/zh
Priority to EP10190501.6A priority patent/EP2330806B1/en
Publication of KR2011006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용 기본 배터리 및 태양 전지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태양 전지는, 태양광을 수신 하여 상기 수신된 태양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태양 전지에 의한 태양광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태양 전지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할 수 없거나, 태양 전지의 전면에 일정 이상의 투명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을 태양 전지 전면에 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면서 태양 전지로 입사될 태양광의 투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태양 전지로 입사될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로 입사될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부; 상기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제 1 및 제 2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 레이부를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투명 영역 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태양 전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면서 투명 영역에서 태양 전지로 입사될 태양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둘째, 2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 1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 2 디스플레이 수단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로 입사될 태양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 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 드(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TO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가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부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90)는, 복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에는, 단말기용 기본 전원(191) 이외에 태양 전지(19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 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과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음향 출력 모듈(152, 도 2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 나(11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태양 전지(192)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TOLED)와 층상 구조를 형성하며, 그것의 전면에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태양 전지(192)는 태양광을 수신하기 위한 집광 수단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환된 전기 에너지(또는 전력)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환된 전 기 에너지는, 별도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용 기본 전원(191)에 의한 전력과 구별 저장되고, 별도 저장 수단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단말기용 기본 전원(191)에 의한 전력의 저장 공간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별도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경우, 태양 전지(192) 및 단말기용 기본 전원(191, 기본 배터리) 각각에 의한 충전량 또는 잔여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디스플레이부(15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51-1, 151-2)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투명 디스플레이부(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불투명 타입의 제 1 디스플레이부(151-1)(예를 들어, LCD) 및 투명 타입의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예를 들어, T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는, 각각 동일한 면(예를 들어, 앞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반대되는 면(예를 들어, 앞면/뒷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히,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그것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일정 기준 이상의 투명도(이하 투명 상태)에서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고, 일정 기준 미만의 투명도(이하 불투명 상태)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태양 전지(192)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투명 디스플레이부라고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3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패드(135), 그 아래에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 및 그 아래에 태양 전지(192)를 층상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물론, 터치 패드(135)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는 서로 그 위치를 바꿀 수도 있다.
이 경우, 태양 전지(192)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 상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상태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의 투명도가 일정 기준 이상인 상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를 통하여 투과되는 태양광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투명 타입의 집광 수단(192-1), 터치 패드(135), 그 아래에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 및 그 아래에 저장 수단(19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집광 수단(192-1)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의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저장 수단(192-2)은, 집광 수단(191-1)에 의해 수집된 태양광에 의한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환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3b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저장 수단(191-2)의 아래에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3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소자(31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의 백라이팅(backlighting)을 지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팅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발광 소자(310)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2) 아래에 바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는,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a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의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하고, 도 4b는 잔여 전력량을 기준으로 한 충전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51-1, 151-2)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이하에서 언급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그 자체로서 메인 디스플레이부으로서 동작하거나, 메인 디스플레이부으로서 동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부와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패드와 층상 구조를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T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태양 전지(192)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S410).
예를 들어,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이벤트(이하 '충전 이벤트')에는, 상기 충전 명령 신호의 입력을 위하여 구비된 키, 키 영역(터치 스크린인 경우) 또는 메뉴 항목의 선택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충전 이벤트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패드가 층상 구조를 이루며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충전 명령 신호의 입력에 해당하는 타입의 터치 동작(특정 터치 액션, 일정 터치 횟수, 일정 근접 거리의 근접 터치, 멀티 터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충전 이벤트에는, 움직임 감지 센서가 포함된 경우, 단말기 자체의 움직임 또는 기울 임 변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동작 대기 상태(또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410)에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410)에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또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한다(S420).
여기에서, 불투명 영역은, 그것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준 투명도 이하의 투명도가 설정된 영역을 의미하고, 투명 영역은, 상기한 기준 투명도를 초과한 투명 도가 설정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기 지정된 면적을 갖도록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지정 동작에 따라, 충전 명령 신호 입력시의 불투명 영역 또는 투명 영역 각각의 면적을 지정할 수 있다.
만약 투명 영역의 면적이 전체 면적의 30%로 지정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투명 영역 및 불투명 영역 각각의 면적을 전 체 면적의 30% 및 70%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태양 전지(192)의 전체 분할 영역 중 투명 영역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지정된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지정 동작에 따라, 투명 영역의 면적뿐만 아니라 투명 영역의 위치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영역의 위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어디라도 가능하다.
이에 관련하여,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투명 디스플레이부라고 가정한다.
도 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501)를 구비하고, 충전 이벤트로서 키(501) 선택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도 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이벤트로서 특정 패턴을 갖는 터치 액션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a), 충전 이벤트로서 멀티 터치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b).
또는, 도 5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감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 이벤트에 해당하는 단말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충전 이벤트를 입력받음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불투명 영역(151a) 및 투명 영역(151b)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도 5d).
도 5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태양 전지(192)의 제 1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이 투명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기 지정된 경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제 1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제 1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이라 함은,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제 1 분할 영역과 마주하면서 제 1 분할 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입력 단계(S410)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충전 명령 신호 및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다(S410).
이동 단말기(100)는, 상술한 방식으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후 순차적으로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이벤트를 입력받은 후,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이벤트(이하 충전 면적 이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면적 이벤트를 입력받음에 따라 충전 명령 신호 및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면적 이벤트에는, 충전 이벤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410)에서 충전 명령 신호 및 충전 면적 조 절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410)에서 충전 명령 신호 및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또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충전 면적 조절 신호에 상응하도록 조절된 면적을 갖도록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420).
이에 관련하여,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투명 디스플레이부라고 가정한다.
도 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면적 이벤트로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일정 방향으로 일정 거리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충전 이벤트는 터치 드래그 동작 입력 전의 터치 동작이고, 충전 면적 이벤트는 터치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또는, 도 6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면적 이벤트로서, 투명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멀티 터치 상태(포인터 2개)에서 2개의 포인터 간 거리를 변화시키는 터치 드래그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충전 이벤트는 멀티 터치 동작이고, 충전 면적 이벤트는 2개의 포인터 간 거리 변경을 위한 터치 드래그 동작일 수 있다.
또는, 도 6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면적 이벤트로서, 일정 횟수의 단말기 탭핑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일정 횟수의 단말기 탭핑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이벤트는 첫번째 단말기 태핑 동작이고, 충전 면적 이벤트는, 모든 단말기 태핑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의 거리에 상응하는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하거나, 멀티 터치 상태에서 2개의 포인터 간 거리에 상응하는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하거나, 단말기 탭핑 동작의 횟수에 상응하는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도 6d).
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의 거리가 클수록 투명 영역의 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터치 드래그의 방향이 윗 방향(또는 아래 방향)인 경우 아랫변(또는 윗변)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 드래그 방향이 오른 방향(또는 왼 방향)인 경우 오른변(또는 왼변)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거리별 태양 전지(192)의 분할 영역 개수를 기 지정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입력된 터치 드래그 거리에 해당하는 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 터치 상태에서 2개의 포인터 간 거리가 변경(증가 또는 감소)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거리에 상응하는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 간 이동 방향이 상하방향인 경우 아랫변(또는 윗변)에서 일정 높이의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포인터 간 이동 방향이 좌우방향인 경우 오른변(또는 왼변)에서 일정 높이의 면적을 투명 영역의 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멀티 터치 상태의 포인터들 간 거리별로 태양 전지(192)의 분할 영역 개수를 기 지정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상기 변경된 거리에 해당하는 수의 분할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태핑 동작의 횟수에 비례하여 투명 영역의 면적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태핑 동작의 횟수별로 태양 전지(192)의 분할 영역 개수를 기 지정할 수 있다. 만약 단말기 태핑 동작이 1회라면 태양 전지(192)의 제 1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투명 영역을 설정하고, 단말기 태핑 동작이 2회라면 태양 전지(192)의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투명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태핑 동작 1회 입력 시 투명 영역으로 설정 가능한 영역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6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전체 분할 영역(192-1 내지 -5) 중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192-1, -2)에 해당하는 투명 영역을 설정한 상태에서(a), 1개의 분할 영역에 해당하는 충전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충전 면적 이벤트를 입력받은 경우 제 3 분할 영역(192-3)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명 영역에 추가하여 제 1 내지 제 3 분할 영역(192-1,내지 -3)에 해당하는 투명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501)의 입력 횟수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 지점에 대한 터치 횟수에 상응하는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70).
이때,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용 기본 전원(191) 및 태양 전지(192) 각각에 의해 충전된 전력을 하나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거나 개별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판단 결과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판단 결과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또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420).
투명 영역 또는 불투명 영역의 면적이 기 지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기 지정된 면적을 갖도록 투명 영역 및 불투명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잔여 전력량별 투명 영역(또는 불투명 영역)의 면적이 기 지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잔여 전력량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투명 영역 및 불투명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전력량이 작을수록 투명 영역의 면적이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일 수 있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 동작의 수행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팝업창(7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7a에서 태양 전지 충전('예')이 선택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영역 중 불투명 영역(151a) 및 투명 영역(151b)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선택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불투명 영역(151a) 및 투명 영역(151b)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로 복귀하여, 도 4a 및 도 4b의 설정 단계(S420)에서 설정된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을 각각 이용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 및 태양광 투과 동작의 수행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도 4a 및 도 4b의 S430 이하 단계들 참조).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S430).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동작에 관련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불투명 영역에서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투명 영역에서는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충전 명령 신호 또는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불투명 영역에서 제 1 화면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불투명 영역에서 제 1 화면의 크기를 그대로 유지한 채 스크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도 5a 참조) 충전 명령 신호(또는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불투명 영역(151a)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제 1 화면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축소된 제 1 화면을 불투명 영역(151a)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화면의 크기만 축소할 뿐 제 1 화면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축소하지는 않는다.
또는, 도 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불투명 영역(151a) 상에서 제 1 화면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제 1 화면을 스크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화면 중 일부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한 스크롤 바 조작 동작에 상응하여 제 1 화면 중 다른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을 설정한 상태에서 소정 정보의 디스플레이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불투명 영역의 크기에 맞도록 소정 정보의 표시 크기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거 나, 소정 정보의 표시 크기를 유지한 채 불투명 영역 내에서 소정 정보를 스크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 중 투명 영역에서 태양 전지(192)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한다(S44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양 전지(192)를 이용하여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한다(S450).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192)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아래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층상 구조를 이루도록 구비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태양 전지(192)는, 태양 전지(192)의 전체 면적 중 투명 영역과 마주하는 면적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수신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투명 영역의 면적이 넓을수록 태양광 충전 동작에 이용되는 태양 전지의 면적이 넓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를 이용한 태양광 충전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 정도에 따라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이 제 1 기준 이상인 경우 투명 영역의 면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고, 제 2 기준(제 1 기준보다 작음) 미만인 경우 투명 영역의 면적을 일정 비율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태양 전 지(192)의 충전량이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 사이인 경우, 불투명 영역 및 투명 영역의 면적은 설정 단계(S420)에서 설정된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기준 이상인 범위에서 그것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제 1-1 기준, 제 1-2 기준으로 세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 2 기준 미만인 범위에서 그것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제 2-1 기준, 제 2-2 기준으로 세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태양 전지(192)는 총 5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고, 분할 영역 각각의 면적은 각각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물론, 분할 영역의 면적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5개 분할 영역 중 아래에서부터 제 1 내지 제 3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투명 영역(151b)이 설정된 상태에서,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이 제 1-1 기준이상으로 된 경우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투명 영역(151b)을 축소 설정할 수 있다{도 9a(a)참조}.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이 제 1-1 기준이상에서 제 1-2 기준이상으로 확대된 경우, 제 1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투명 영역(151b)을 축소 설정할 수 있다{도 9a(b)참조}.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재 1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투명 영역(151b)이 설정된 상태에서{도 9a(b)참조}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이 제 2-1 기준 미만에서 제 2-2 기준 미만으로 축소된 경우(또는 제 2-1 기준 미만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분할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투명 영역(151b)을 확대 설정할 수 있다{도 9a(a)참조}. 이는, 태양 전지(192)에 의한 태양광 충전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투명 영역(151b)을 확대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더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이 일정량 이상이 된 경우(예를 들어, 만충전 상태 또는 만충전 상태의 90% 등), 투명 영역(151b)의 설정을 해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 전체(151)를 불투명 영역(15a)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를 이용한 태양광 충전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 정도를 나타내는 지시자(이하 '충전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192)의 충전량 정도를 알리기 위하여, 충전 지시자뿐만 아니라 진동, 알람음, 램프(색상, 밝기, 깜박임 정도 등), 알림 문구/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지시자(1010)를 디스플레이하되, 충전량 정도가 커질수록 충전 지시자(1010)의 개수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량 정도의 증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량이 만충전 상태의 40%, 60%, 80% 이상으로 각각 증가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여 충전 지시자(1010)의 개수를 각각 2개, 4개, 6개로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량이 만충전 상태가 된 경우, 충전 지시자(101)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부(151) 전체를 불투명 영역(15a)으로 설정할 수 있다(도 10b).
도 11은, 2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라고 가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1110).
이때,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일한 면(예를 들어, 전면)에 배치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서로 다른 면(전면 및 배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는 투명도 조절이 불가능한 불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투명도에 따라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 및 태양광 투과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는, 각각 터치 패드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태양 전지(192)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S112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충전 명령 신호와 함께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충전 명령 신호 및 충전 면적 조절 신호의 입력 단계(S112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도 4a의 입력 단계(S41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충전 이벤트 또는 충전 면적 이벤트에 해당하는 터치 동작은,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1120)에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또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계(S1110)에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에서 각각 디스플레이되던 제 1 및 제 2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130).
디스플레이 단계(S1130)에 관련하여,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는, 각각 단말기 전면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는, 엘시디를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는, T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상에서 전 화번호 리스트를 제 2 디스플레이부(151-2) 상에서 가상 키 패드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전화번호 검색 상태)에서 태양 전지 충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a),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상에서 전화번호 리스트 및 가상 키 패드를 결합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는, 전화번호 리스트 또는 가상 키 패드를 축소 디스플레이하거나, 전화번호 리스트에 겹쳐지게 가상 키 패드를 디스플레이하거나(오버래이), 전화번호 리스트를 스크롤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화번호 검색 상태뿐만 아니라 데이터 입력을 요하는 모드(메시지 입력 모드, 메모 입력 모드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상에서 바탕화면 이미지를 제 2 디스플레이부(151-2) 상에서 단말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태양 전지 충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a),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상에서 바탕화면 이미지 및 단말기 상태 정보를 결합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는, 바탕화면 이미지에 대하여 단말기 상태 정보(인디케이터, 시간 정보, 핫 키 아이콘 등)를 오버래이 또는 팝업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상에서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 2 디스플레이부(151-2) 상에서 소정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태양 전지 충전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a), 제 1 디스플레이부(151-1) 상에서 영상 및 텍스트를 결합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는, 영상에 대하여 텍스트를 오버래이 또는 팝업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2b(b), 도 12c(b), 도 12d(b)에서,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는, 투명 영역으로 설정되어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추후 설명함).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b(b), 도 12c(b), 도 12d(b)의 상태에서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상이 된 경우(만충전 상태 또는 만충전 상태의 90% 등), 도 12b(a), 도 12c(a), 도 12d(a) 상태로 각각 복귀할 수 있다.
도 11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 단계(S1120)에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또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고(S1140),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이용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한다(S1150).
경우에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일부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정보 중 일부 정보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1)에 디스플레이되고, 제 2 정보 중 다른 정보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불투명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전원 공급부(190)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투명 영역으로 자동 설정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이용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양 전지(192)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한다(S1160).
태양 전지(192)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아래에서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와 층상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투과한 태양광이 태양 전지(19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가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 구조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의하면, 제 1 디스플레이부(151-1)는, 불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엘시디)으로서 단말기 전면에 배치되고,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는, 투명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TOLED)으로서 단말기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c에 의하면,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는, 충전 면적 이벤트 입력에 따라 점차로 투명 영역의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면적 이벤트에는, 일정 횟수 단말기 흔들기, 일정 회수 단말기 뒤집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흔들기 횟수가 많아질수록 또는 단말기 뒤집기 횟수가 많아질수록 투명 영역의 면적이 확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1-1, 151-2)가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부(151-2)를 통하여 소정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불투명 영역에서 태양 전지 충전 관련 정보(예를 들어, 태양광 세기, 현재 충전량 정도, 완충까지 잔여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불투명 영역에서 상기 수신된 호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호 수신 알림 메시지, 호 신호를 송신한 상대방 정보_이름, 전화번호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태양 전지 충전 모드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부(151-2)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불투명 영역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알림 문구, 메시지를 송신한 상대방 정보_이름, 전화번호, 메시지 내용 등)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1-2) 중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이용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태양 전지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충전 명령 신호의 입력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충전 면적 조절 신호의 입력 과정을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태양 전지 충전을 수행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불투명 영역에서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화면 구성도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태양 전지의 충전량 정도에 따라 불투명 영역 또는 투명 영역의 면적을 조절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태양 전지의 충전량 정 도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태양 전지 충전 시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정보를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 구조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 경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소정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구성도들.

Claims (19)

  1.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상기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태양 전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충전 면적 조절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불투명 영역 및 상기 투명 영역 각각의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충전 면적 조절 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투명 영역의 면적 비율을 기 지정받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상기 제 1 화면을 축소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상기 제 1 화면을 스크롤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이 제 1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투명 영역의 면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고,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이 제 2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투명 영역의 면적을 일정 비율로 확대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 전지의 충전량이 제 3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투명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전체를 상기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상기 불투명 영역의 일 부분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8.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된 투명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고, 상기 일정 기준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태양 전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제 1 및 제 2 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태양 전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 동작 수행 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일한 면에 배치되거나, 반대되는 면들에 각각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
  12.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 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충전 면적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충전 면적 조절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불투명 영역 및 상기 투명 영역 각각의 면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중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상기 제 1 화면의 축소 디스플레이 동작 및 상기 제 1 화면의 스크롤 디스플레이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이 제 1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투명 영역의 면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이 제 2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투명 영역의 면적을 일정 비율로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한 충전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태양 전지의 충전량이 제 3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투명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전체를 상기 불투명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7.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에 배치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잔여 전력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을 불투명 영역으로 다른 영역을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불투명 영역에서 정보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투명 영역에서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투명 영역을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8. 태양 전지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태양 전지에 대한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충전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영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한 충전을 위하여 태양광 투과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투과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계 수행 중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알림 정보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KR1020090120464A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61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64A KR101617267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US12/860,039 US8305031B2 (en) 2009-12-07 2010-08-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CN201010516381.0A CN102088509B (zh) 2009-12-07 2010-10-20 移动终端和用于控制其的充电的方法
EP10190501.6A EP2330806B1 (en) 2009-12-07 2010-11-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464A KR101617267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045A true KR20110064045A (ko) 2011-06-15
KR101617267B1 KR101617267B1 (ko) 2016-05-02

Family

ID=4382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464A KR101617267B1 (ko) 2009-12-07 2009-12-07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5031B2 (ko)
EP (1) EP2330806B1 (ko)
KR (1) KR101617267B1 (ko)
CN (1) CN102088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891A (ja) * 2010-12-10 2014-02-13 ヨタ デバイセズ アイピーアール リミ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携帯機器
US8665214B2 (en) * 2010-12-29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battery lif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743244B2 (en) 2011-03-21 2014-06-03 HJ Laboratories, LLC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ird party information
US9201559B2 (en) * 2011-11-14 2015-12-01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operating a multi-zone input device
JP5605386B2 (ja) * 2012-03-30 2014-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装置、充放電制御システム、充放電制御調整方法、充放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18716B2 (en) * 2012-05-23 2014-05-06 Steven Earl Kader Method of displaying images while charging a smartphone
KR101978218B1 (ko) * 2013-02-27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101978220B1 (ko) * 2013-03-21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CN103258841A (zh) * 2013-04-26 2013-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电子器件
CN103294400A (zh) * 2013-05-15 2013-09-11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键盘、手持移动终端及快速文本录入的方法
US9559545B2 (en) * 2013-08-06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ed charging
TWI609259B (zh) * 2014-01-08 2017-12-21 宏碁股份有限公司 充電指示裝置及其方法
US20160315582A1 (en) * 2014-01-10 2016-10-2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image to increase solar energy collection efficiency
FR3017974B1 (fr) * 2014-02-24 2017-07-21 Sunpartner Technologies Dispositif d'interconnexion et de gestion d'elements photovoltaiques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6873A (ko) * 2014-12-03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094451A (zh) * 2015-09-18 2015-11-2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透明显示设备
CN105259983A (zh) * 2015-10-15 2016-0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无线操作显示终端
FR3045945B1 (fr) * 2015-12-16 2017-12-15 Sunpartner Technologies Dispositif optique pour diminuer la visibilite des interconnexions electriques dans des modules photovoltaiques semi-transparents en couches minces
GB201609337D0 (en) * 2016-05-26 2016-07-13 Cello Electronics Uk Ltd Solor powered electrical applianc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6981204B2 (ja) * 2017-11-24 2021-1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PL241248B1 (pl) * 2019-07-17 2022-08-29 Krzysztof Zieliński Ramka rozszerzeń urządzeń mobilnych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8593Y2 (ko) * 1976-09-29 1981-09-09
US4236068A (en) * 1979-03-29 1980-11-25 Walton Charles A Personal identification and signaling system
JPS5938867A (ja) * 1982-08-30 1984-03-02 Canon Inc 電子機器
JPS60118712U (ja) * 1984-01-20 1985-08-10 株式会社 津山金属製作所 自転車用走行データ表示装置
JPH083821B2 (ja) * 1985-07-12 1996-0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Icカードシステム
US7864151B1 (en) * 1986-07-07 2011-0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S63198567U (ko) * 1987-06-12 1988-12-21
US5012220A (en) * 1989-10-04 1991-04-30 Moses Miller Solar powered paging device
JP2724008B2 (ja) * 1989-12-01 1998-03-0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本人確認処理システム及び本人確認処理方法
US5522540A (en) * 1994-04-21 1996-06-04 Surman; Robert L. Solar powered illuminated address number device and mailbox structure
US5686809A (en) * 1995-05-12 1997-11-11 Fuji Photo Film Co., Ltd. Combination solar and external battery powered camera battery charger
US5880796A (en) * 1996-07-12 1999-03-09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late having metal upper suface including narrow outgoing opening for emitting light from light emitting member
US6061304A (en) * 1996-08-01 2000-05-09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watch
US5861817A (en) * 1997-07-02 1999-01-19 Douglas A. Palmer System for, and method of, displaying prices on tags in supermarkets
JP4372260B2 (ja) * 1999-03-17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US6593520B2 (en) * 2000-02-29 2003-07-15 Canon Kabushiki Kaisha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2112459A (ja) * 2000-09-29 2002-04-12 Canon Inc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発電装置
US6636419B2 (en) * 2001-08-09 2003-10-21 Danger, Inc. Handheld display and keyboard
JP3873149B2 (ja) * 2002-12-11 2007-0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2008085797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に搭載した太陽電池の充電方法
US20080094025A1 (en) * 2006-10-20 2008-04-24 Rosenblatt Michael N Solar cells on portable devices
DE602008005865D1 (de) 2008-05-29 2011-05-12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KR101526970B1 (ko) * 2008-05-29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104203B2 (en) * 2008-07-02 2012-01-31 Solaire Generation, Inc. Solar power generation display assembly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US20100154887A1 (en) * 2008-12-19 2010-06-24 Bullen M James photovoltaic system
KR101556161B1 (ko) 2009-04-30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8509B (zh) 2014-09-17
US8305031B2 (en) 2012-11-06
CN102088509A (zh) 2011-06-08
US20110133687A1 (en) 2011-06-09
EP2330806B1 (en) 2015-03-18
KR101617267B1 (ko) 2016-05-02
EP2330806A1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2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1016046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7880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56161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9159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200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2009010785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KR2010013362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362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985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동작 제어 방법
KR2012000840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뉴 화면 구성 방법
KR201000390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725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충전 제어 방법
KR201101070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19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10080315A (ko) 이동 단말기
KR2011011483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11137A (ko) 이동 단말기 및 멀티 태스킹 제어 방법
KR2011006789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983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KR201100180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5813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300581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