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631A - 내장 지방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 지방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631A
KR20110063631A KR1020117002530A KR20117002530A KR20110063631A KR 20110063631 A KR20110063631 A KR 20110063631A KR 1020117002530 A KR1020117002530 A KR 1020117002530A KR 20117002530 A KR20117002530 A KR 20117002530A KR 20110063631 A KR20110063631 A KR 20110063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visceral fat
fat
sectional area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386B1 (ko
Inventor
히로미치 가로
다케히로 하마구치
도모야 이지리
야스아키 무라카와
쇼지로 오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 지방량의 측정을 간이적 또한 안전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동체 측정 정보와,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와, 동체의 등측에서 동체의 체축 방향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내장 지방량을 산출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로서, 벨트는, 동체의 등측에 압박되며 그 압박면에 전극(E)이 설치되는 내부 중공의 압박 부재(310)를 갖고 있고, 압박 부재(310)는, 전극(E)에 접속되어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체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는 가요성을 가져 동체의 등측의 표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 가능하고, 만곡될 때에는,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312)이, 압박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신장하면서 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장 지방 측정 장치{VISCERAL FAT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X선 CT나 MRI를 이용하여 촬영된 단층 화상으로부터, 내장 지방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측정 방법에 따르면, 내장 지방량을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으나, 대형의 설비가 필요하며, X선 CT나 MRI가 설치된 의료 시설에서 밖에 측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측정 방법에 따라 일상적으로 내장 지방량을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특히 X선 CT는, MRI에 비하여 섬세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으나, 피폭(被曝)의 위험이 따르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내장 지방량을 간이적 또한 비침습적(非侵襲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9806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내장 지방량의 측정을 간이적이고 비침습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내장 지방 측정 장치는,
동체 중 복부를 통과하여 동체의 체축에 수직인 단면의 동체 단면적을 산출하는 기초가 되는 동체 측정 정보와,
손발로부터 동체를 통과하도록 전류를 흘려,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와,
복수의 전극을 갖는 벨트를 동체에 감음으로써, 동체의 표층 부근을 통과하도록 전류를 흘려,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
에 기초하여, 내장 지방량을 산출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로서,
상기 벨트는, 동체에 압박되며 그 압박면에 상기 복수의 전극이 설치되는 내부 중공의 압박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접속되어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체축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는 가요성을 가지고 동체의 표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 가능하며, 만곡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전극이 설치된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압박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신장하면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내장 지방량」에는, 내장 지방 단면적, 내장 지방 체적 및 복부 단면적에 대한 내장 지방 단면적의 비율 등, 내장 지방량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체 단면적을 산출하는 기초가 되는 동체 측정 정보와,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와,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로부터, 내장 지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체 단면적을 산출하는 기초가 되는 동체 측정 정보로서는, 허리 부분의 둘레 길이(허리 길이)나 동체의 가로 세로 폭을 들 수 있고, 이들은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인체(생체)에 전류를 흘린 상태에서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임피던스 정보가 얻어지기 때문에, 임피던스 정보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내장 지방량의 측정을 비교적 용이하게 비침습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체의 전위차를 측정하거나, 동체의 표층 부근을 통과하도록 동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전극을 갖는 벨트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 벨트는, 동체에 압박되는 내부 중공의 압박 부재를 갖고 있고, 그 압박면에 복수의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트를 허리에 감는 경우에는, 전극을 단단히 접촉시키기 위해, 압박 부재가 동체의 표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위차 측정의 측정 오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 기판과 전극을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압박 부재가 만곡될 때에,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압박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신장하면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가 내부의 수용 스페이스를 좁히지 않고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배선 부재가 만곡 시에 압박 부재의 내벽면과 간섭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 기판과 전극을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측정 결과의 변동을 저감시켜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등측의 전위차를 측정하면 좋다.
상기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벨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체축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을 갖는 신축부와, 신축성 및 가요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배선부와, 유연성이 없는 배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을 갖는 배선부는, 상기 신축부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연성이 없는 배선부는, 상기 비신축부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박 부재가 만곡될 때에, 내부에 배치된 배선 부재에 대한 물리적인 영향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동체의 체축 방향의 전위차를 측정하면 좋다.
상기 압박 부재는, 벨트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압박 부재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가지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박 부재 양단의 파지부를 가지고 압박 부재를 등에 압박함으로써, 압박 부재를 만곡시키면서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벨트 길이 방향을 따라 손가락을 펴고, 손바닥을 상기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단부(端部)에 댄 상태로, 상기 압박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손끝에서 압박 부재의 양단을 만곡시키면서 손바닥으로 등에 압박할 수 있어, 압박 부재의 압박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서있는 자세에서의 측정을 상정한 경우에, 측정자가 1명의 경우라도 벨트의 일부를 피험자에게 파지하게 함으로써, 원활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파지부는, 압박 부재에 대하여 벨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벨트를 부착한 사용자가 베드에 드러누울 때에, 파지부가 베드와 신체의 사이에 끼워져 작업의 방해가 되거나 파손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의 검사실 등 매우 좁은 장소에서도, 컴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벨트와 장치 본체를 접속하는 케이블이 벨트 길이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로킹시킬 수 있는 로킹 수단을 구비하면 좋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로킹시킴으로써 케이블이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로부터 지방을 제외한 제지방 단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로부터 피하 지방 단면적을 산출하며, 상기 동체 측정 정보로부터 산출된 동체 단면적으로부터 이들 제지방 단면적 및 피하 지방 단면적을 뺌으로써 내지방 단면적을 산출하면 좋다.
즉,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는, 지방을 제외하는 제지방(내장과 근육과 골격)의 양의 영향이 크고, 이 임피던스로부터 제지방 단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는, 피하 지방의 양의 영향이 크고, 이 임피던스로부터 피하 지방 단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피하 지방은, 일반적으로 동체의 배측보다도 옆구리부터 등측에 많이 축적함으로써, 등측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편이, 보다 정확하게 피하 지방의 단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제지방 단면적과 피하 지방 단면적을 이용하여, 동체 단면적으로부터 이들 면적을 뺌으로써, 내장 지방 단면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 지방량의 측정을 간이적이고 비침습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를 압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가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바른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전극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2)가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3)의 압박 부재의 평면도로서, 케이블이 자유로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3)의 압박 부재의 평면도로서, 케이블이 한쪽의 로킹 수단에 로킹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3)의 압박 부재의 평면도로서, 케이블이 다른쪽의 로킹 수단에 로킹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는 로킹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로킹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b는 로킹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로킹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는 케이블의 인출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4b는 케이블의 인출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이 아니다.
(실시예)
도 1∼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내장 지방 측정 원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서의 내장 지방의 측정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내장 지방을 측정하는 사용자의 등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를 얻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 지방을 측정하는 사용자의 양손에 각각 전극(EILa10, EIRa10)이 부착된다. 또한, 사용자의 양발에도 각각 전극(EILb10, EIRb10)이 부착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동체의 등측의 위치에, 동체의 체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전극이, 동체의 가로 폭 방향으로 4부분 부착된다. 즉, 합계 8개의 전극(EVa11, EVb11, EVa12, EVb12, EVa13, EVb13, EVa14, EVb14)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양손 양발의 각각에 부착된 전극(EILa10, EIRa10, EILb10, EIRb10)을 이용하여 동체를 통과하는 전류(I10)를 흘린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EVa11, EVb11)을 이용하여 전위차(V11)를 측정하고, 한 쌍의 전극(EVa12, EVb12)을 이용하여 전위차(V12)를 측정하며, 한 쌍의 전극(EVa13, EVb13)을 이용하여 전위차(V13)를 측정하고, 한 쌍의 전극(EVa14, EVb14)을 이용하여 전위차(V14)를 측정한다. 즉, 등측의 4부위에서,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된 전위차로부터,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를 산출한다. 또한, 4부위에서 전위차(V11, V12, V13, V14)를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함으로써, 동체 내의 지방 분포의 변동 등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체로부터 떨어진 양손 양발로부터 전류(I10)를 흘린 경우에는, 전류(I10)의 대부분은, 전기 저항이 낮은 부분, 즉 지방 이외의 부분을 통과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I10)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위차(V11, V12, V13, V14)로부터 산출된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는, 지방을 제외한 제지방(내장과 근육과 골격)의 양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이 임피던스(Zt)로부터 제지방 단면적(Sa)(추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동체 중 등측의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를 얻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체 중 등측에, 동체의 체축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이, 동체의 가로 폭 방향으로 4부위에 부착된다. 즉, 합계 8개의 전극(EIa21, EIb21, EVa21, EVb21, EIa22, EIb22, EVa22, EVb22)이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전극(EIa21, EIb21)을 이용하여 전류(I21)를 흘리고, 한 쌍의 전극(EIa22, EIb22)을 이용하여 전류(I22)를 흘린다. 또한, 전류(I21)의 전류값과 전류(I22)의 전류값은 동일하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EVa21, EVb21)을 이용하여 전위차(V21)를 측정하고, 한 쌍의 전극(EVa22, EVb22)을 이용하여 전위차(V22)를 측정한다. 즉, 등측의 2부위에서,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된 전위차로부터, 동체 중 등측의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를 산출한다. 또한, 2부위에서 전위차(V21, V22)를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를 산출함으로써, 피하 지방의 변동 등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류를 흘리고 있던 전극을,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극으로 하고, 또한 전위차를 측정하고 있던 전극을,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극으로 하도록 회로를 전환함으로써, 4부위에서 전위차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하 지방의 변동 등의 영향을 보다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등 중 복부의 이면의 위치에 부착된 한 쌍의 전극에 의해 전류(I21, I22)를 흘린 경우에는, 전류(I21, I22)의 대부분은 동체의 표층부를 통과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I21, I22)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위차(V21, V22)로부터 산출된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는, 피하 지방량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이 임피던스(Zs)로부터 피하 지방 단면적(Sb)(추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체 단면적(동체 중 복부를 통과하여 동체의 체축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을 St라고 하면, 내장 지방 단면적(Sx)은,
Sx=St-Sa-Sb
가 되며, 내장 지방 단면적(Sx)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동체 단면적(St)은, 허리 부분의 둘레 길이(허리 길이)나, 동체(복부 부근)의 가로 세로 폭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동체의 가로 세로 폭으로부터 산출하는 경우, 동체의 가로 폭이 2a, 세로 폭이 2b이면, 동체의 단면은 대략 타원형이기 때문에, 동체 단면적은 대략 π×a×b가 된다. 단, 이 값은 오차가 크기 때문에,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계수를 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동체 단면적(St)을 얻을 수 있다. 이 계수로서는, 예컨대,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에 기초하여, X선 CT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동체 단면적(St')과 a와 b의 관계로부터, St'=α×π×a×b를 만족하는 것과 같은 α의 최적값을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체의 가로 폭(2a)과 세로 폭(2b)에 기초하여, 보다 오차가 적은 동체 단면적(St)(=α×π×a×b)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을 위해서 곱하는 α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층, 신장, 체중 등(이하, 이들을 사용자 정보라고 칭한다.)에 따라 적절하게 최적값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측정하는 사용자에 따라 α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동체 단면적(St)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지방 단면적(Sa)은,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단, 이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만으로는, 제지방 단면적(Sa)을 산출할 수 없다. 즉, 이 제지방 단면적(Sa)은 동체의 크기에 비례하며, 임피던스(Zt)로부터 얻어지는 값을 제지방 단면적(Sa)으로 환산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 제지방 단면적(Sa)은,
Sa=β×a×(1/Zt)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체의 가로 폭의 절반의 값이고, 동체의 크기에 관계하는 값이다. 이 값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동체의 가로 세로 폭의 값이 반영되도록 (a×b)를 이용해도 되고, 동체 단면적(St)을 이용해도 되며, 허리 부분의 둘레 길이(허리 길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β는 제지방 단면적(Sa)으로 환산하기 위한 계수이며, 상기 α를 구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로부터 최적값을 구할 수 있다. 즉,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에 기초하여, X선 CT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제지방 단면적(Sa')과, a와, 상기 X선 CT 화상의 촬영 대상이 된 인물의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와의 관계로부터, Sa'=β×a×(1/Zt)를 만족하는 β의 최적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피하 지방 단면적(Sb)은, 등 중 복부의 이면의 위치에서의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단, 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만으로는, 피하 지방 단면적(Sb)을 산출할 수 없다. 즉, 이 피하 지방 단면적(Sb)은 동체의 크기에 비례하고, 임피던스(Zs)로부터 얻어지는 값을 피하 지방 단면적(Sb)으로 환산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이 피하 지방 단면적(Sb)은,
Sb=γ×a×Zs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체의 가로 폭의 절반의 값이고, 동체의 크기에 관계하는 값이다. 이 값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동체의 가로 세로 폭의 값이 반영되도록 (a×b)를 이용해도 되고, 동체 단면적(St)을 이용해도 되며, 허리 부분의 둘레 길이(허리 길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γ는 피하 지방 단면적(Sb)으로 환산하기 위한 계수이며, 상기 α를 구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로부터 최적값을 구할 수 있다. 즉,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에 기초하여, X선 CT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피하 지방 단면적(Sb')과, a와, 상기 X선 CT 화상의 촬영 대상이 된 인물의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와의 관계로부터, Sb'=γ×a×Zs를 만족하는 γ의 최적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β 및 γ는, 복부의 단면적을 구하는 경우에 이용한 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최적값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는 사용자에 따라 β 및 γ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제지방 단면적(Sa) 및 피하 지방 단면적(Sb)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서는, 동체 단면적(St)과,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지방 단면적(Sa)과,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피하 지방 단면적(Sb)으로부터 내장 지방 단면적(Sx)이 산출된다.
즉,
Sx=St-Sa-Sb
로 나타낸다.
여기서, St=α×π×a×b이며, Sa=β×a×(1/Zt)이고, Sb=γ×a×Zs이다. 그리고, a는 동체의 가로 폭의 절반의 값이며, b는 동체의 세로 폭의 절반의 값이다. 또한, α, β, γ는,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에 기초하여 얻어진, St, Sa, Sb의 최적값을 구하기 위한 계수이다. 또한, 이들 계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측정(산출)되는 내장 지방량은, 내장 지방 단면적이다. 단, 측정 결과로서의 내장 지방량은, 내장 지방 단면적에 한정되지 않고, 동체 단면적에 대한 내장 지방 단면적의 비율이나, 내장 지방 단면적으로부터 환산되는 내장 지방 체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내장 지방 측정 원리에서는, 상기 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내장 지방 단면적(Sx)이, 동체 단면적(St)으로부터 제지방 단면적(Sa) 및 피하 지방 단면적(Sb)을 뺌으로써 얻어진다고 하는 사고 방식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는, 반드시, 상기 식 Sx=St-Sa-Sb를 그대로 적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것도 포함된다.
예컨대,
Sx=St-Sa-Sb+δ(δ는 보정량)
로부터 내장 지방 단면적(Sx)을 구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α, β, γ를 구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에 기초하여, 보정량(δ)을 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Sx=St-F(Zt, Zs, a, b)
로부터 내장 지방 단면적(Sx)을 구할 수도 있다. 또한, F(Zt, Zs, a, b)는, Zt, Zs, a, b를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이다.
즉, 제지방 단면적(Sa) 및 피하 지방 단면적(Sb)의 합계값은,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 및 동체의 크기(본 실시예에서는, 동체의 가로 세로 폭)와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제지방 단면적(Sa) 및 피하 지방 단면적(Sb)의 합계값을, Zt, Zs, a, b를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 F(Zt, Zs, a, b)로부터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함수 F(Zt, Zs, a, b)에 대해서도, 다수의 X선 CT 화상 샘플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는, 장치 본체(100)와, 손발에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4개의 클립(201, 202, 203, 204)과, 등에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벨트(300)와, 동체의 가로 세로 폭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400)과, 장치 본체(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500)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100)는, 각종 입력 정보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장치 본체(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하거나,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20)를 구비한다.
클립(201, 202, 203, 204)은, 각각 전극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들 클립(201, 202, 203, 204)을, 손발(적합하게는 손목과 발목)에 끼워 넣도록 부착함으로써, 손발에 전극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201, 202, 203, 204)에 각각 구비된 전극은, 도 1에 나타낸 전극(EILa10, EIRa10, EILb10, EIRb10)에 해당한다.
벨트(300)는 측정 대상자인 사용자의 등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310)와, 압박 부재(3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벨트부(320)와, 벨트부(320)를 고정하기 위한 버클(330)을 구비한다. 그리고, 압박 부재(310)에는, 합계 8개의 전극(E)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트(300)를, 압박 부재(310)가, 미저골의 약간 위 부근에 닿도록 허리에 휘감음으로써, 8개의 전극(E)을, 사용자의 등 중 복부의 이면의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8개의 전극(E)은, 도 1에 나타내는 8개의 전극(EVa11, EVb11, EVa12, EVb12, EVa13, EVb13, EVa14, EVb14), 및 도 2에 나타내는 8개의 전극(EIa21, EIb21, EVa21, EVb21, EIa22, EIb22, EVa22, EVb22)에 해당한다. 즉,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를 산출하는 경우와,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를 산출하는 경우에서, 장치 본체(100)에 있어서, 전기 회로를 전환함으로써, 8개의 전극(E)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
측정 유닛(400)은, 가로 폭 측정용 커서부(401a) 및 세로 폭 측정용 커서부(401b)를 구비한 커서 지지부(401)를 구비한다. 이 커서 지지부(401)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측정 유닛(400)을 이용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베드에 드러 누운 상태에서, 가로 폭 측정용 커서부(401a)와 세로 폭 측정용 커서부(401b)를, 각각 옆구리와 배꼽 부근에 접촉시키는 위치에 커서 지지부(401)를 이동시킴으로써, 동체의 가로 폭(2a)과 세로 폭(2b)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서 지지부(401)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장치 본체(100)에서, 동체의 가로 폭(2a)과 세로 폭(2b)이 전기적인 정보(데이터)로서 얻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동체의 가로 폭(2a)과 세로 폭(2b)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체 단면적이 산출되는 것에 대해서는, 내장 지방 측정 원리의 중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 측정 유닛(400)이 구비되어 있고, 이 측정 유닛(400)에 의해, 동체의 가로 세로 폭이나 동체 단면적이 자동적으로 측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 외의 측정 장치, 또는 사람의 손으로 측정하거나 계산하여 얻어진 값을, 장치 본체(100)에 입력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서는, 장치 본체(100B)에, 제어부(CPU)(130B)와, 표시부(110B)와, 조작부(120B)와, 전원부(140B)와, 메모리부(150B)와, 전위차 검출부(160B)와, 회로 전환부(170B)와, 정전류 생성부(180B)와, 사용자 정보 입력부(190B)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10B)는, 조작부(120B)나 사용자 정보 입력부(190B)로부터의 입력 정보나, 측정 결과 등을 표시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부(120B)는, 사용자 등이 각종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각종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0B)로부터의 사용자 정보의 입력 이외에도, 바코드 리더, 카드 리더 또는 USB 메모리 등으로부터도 사용자 정보 입력부(190B)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140B)는, 제어부(130B)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조작부(120B)에 의해, 전원이 온이 되면,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원이 오프가 되면, 전력 공급을 정지시킨다. 메모리부(150B)는, 내장 지방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클립(201, 202, 203, 204)에 각각 설치된 전극(E) 및 벨트에 설치된 전극(E)이, 장치 본체(100B)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 전환부(17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측정 유닛(400)에 구비된 체격 정보 계측부(400B)가, 장치 본체(100B)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13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30B)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전체의 제어를 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30B)에는, 연산 처리부(131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산 처리부(131B)에는, 제어부(130B)에 보내진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 산출부(131Ba)와, 산출된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각종의 지방량을 산출하는 각종 지방량 산출부(131Bb)가 구비되어 있다.
회로 전환부(170B)는, 예컨대, 복수의 릴레이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이 회로 전환부(170B)는 제어부(130B)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전기 회로를 변경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를 얻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구성으로 하고, 등측의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를 얻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회로 구성으로 하도록 전기 회로를 변경한다.
정전류 생성부(180B)는, 제어부(130B)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고주파 전류(예컨대, 50 ㎑, 500 ㎂)를 흘린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의 경우에는, 전극(EILa10, EIRa10)과 전극(EILb10, EIRb10) 사이에 전류(I10)를 흘린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의 경우에는, 전극(EIa21)과 전극(EIb21)의 사이, 및 전극(EIa22)과 전극(EIb22) 사이에 각각 전류(I21, I22)를 흘린다.
전위차 검출부(160B)는, 정전류 생성부(180B)에 의해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동안의 미리 정해진 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의 경우에는, 전극(EVa11)과 전극(EVb11) 사이에서 전위차(V11)를 검출하고, 전극(EVa12)과 전극(EVb12) 사이에서 전위차(V12)를 검출하며, 전극(EVa13)과 전극(EVb13)의 사이에서 전위차(V13)를 검출하고, 전극(EVa14)과 전극(EVb14)의 사이에서 전위차(V14)를 검출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의 경우에는, 전극(EVa21)과 전극(EVb21) 사이에서 전위차(V21)를 검출하고, 전극(EVa22)과 전극(EVb22)의 사이에서 전위차(V22)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위차 검출부(160B)에서 검출된 전위차 정보는, 제어부(130B)에 보내진다.
또한, 측정 유닛(400)에 의해 측정되어 얻어진 체격 정보는, 체격 정보 계측부(400B)로부터 장치 본체(100B)의 제어부(130B)에 보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체격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체의 가로 폭(2a)의 치수와, 세로 폭(2b)의 치수에 관한 정보이다.
제어부(130B)에서의 연산 처리부(131B)에서는, 전위차 검출부(160B)로부터 보내진 전위차 정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산출부(131Ba)에서,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 및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를 산출한다. 또한, 연산 처리부(131B)에서는, 산출된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 및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와, 체격 정보 계측부(400B)로부터 보내지는 체격 정보와, 조작부(120B)나 사용자 정보 입력부(190B)로부터 보내지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지방량 산출부(131Bb)에서 각종 지방량(내장 지방 단면적을 포함함)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에서의 측정 순서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내장 지방 측정을 행하는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측정을 행하는 사람은, 장치 본체[100(100B)]의 전원을 온으로 하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측정 유닛(400)에 의해, 사용자의 동체의 가로 세로 폭의 측정을 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동체의 가로 폭(2a)과 세로 폭(2b)에 관한 정보가 장치 본체[100(100B)]에 보내진다. 또한, 장치 본체[100(100B)]에서는,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동체 단면적(St)(=α×π×a×b)을 산출한다. 또한, α는 메모리부(150B)로부터 판독된다.
다음에, 사용자의 손발에 클립(201, 202, 203, 204)을 부착하고, 사용자의 허리에 벨트(300)를 감는다. 그리고, 임피던스의 측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에, 회로 전환부(170B)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B)의 임피던스 산출부(131Ba)에 의해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Zt)가 산출된다. 그리고, 각종 지방량 산출부(131Bb)에 의해, 이 산출된 임피던스(Zt), 측정 유닛(400)에 의해 측정되어 얻어진 a, 및 메모리부(150B)에 기억되어 있는 β로부터 제지방 단면적(Sa)(=β×a×(1/Zt))이 산출된다.
다음에, 회로 전환부(170B)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전기 회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B)의 임피던스 산출부(131Ba)에 의해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Zs)가 산출된다. 그리고, 각종 지방량 산출부(131Bb)에 의해, 이 산출된 임피던스(Zs), 측정 유닛(400)에 의해 측정되어 얻어진 a, 및 메모리부(150B)에 기억되어 있는 γ로부터 피하 지방 단면적(Sb)(=γ×a×Zs)이 산출된다.
그리고, 제어부(130B)는, 연산 처리부(131B)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동체 단면적(St), 제지방 단면적(Sa) 및 피하 지방 단면적(Sb)으로부터 내장 지방 단면적(Sx)(=St-Sa-Sb)을 산출하고, 측정 결과로서 내장 지방 단면적(Sx) 등의 값을 표시부[110(110B)]에 표시시킨다. 또한, 이 측정 순서에서는, 각종 지방량 산출부에서, Sx=St-Sa-Sb를 이용하여 내장 지방 단면적(Sx)을 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내장 지방 측정 원리 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x=St-Sa-Sb+δ나 Sx=St-F(Zt, Zs, a, b) 등을 이용하여 내장 지방 단면적(Sx)을 구하도록 해도 된다.
<벨트>
도 5∼도 10b를 참조하여, 벨트에 대해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5∼도 10b를 참조하여, 벨트의 구체예 1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를 이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의 압박 부재를 압박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1)가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바른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전극의 위치가 어긋난 경우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300)는, 사용자의 등 중 복부의 이면의 위치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310)와, 압박 부재(31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벨트부(321)와, 벨트부(321)를 고정하기 위한 버클(322)을 구비한다.
압박 부재(310)는, 벨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평한 띠판형의 부재이며, 내부가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압박 부재가 사용자의 등에 압박되는 면(압박면)(311)에는, 8개의 전극(E)이 벨트(300)의 폭 방향으로 쌍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압박면(311)은,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며, 폭 방향(체축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하여는 가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압박 부재(310)는, 등에 압박되어 만곡될 때에는, 체축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압박면(311)과는 반대측의 면(312)은, 탄성 중합체 등의 가요 부재로 구성되는 요철면부(312a)(신축부)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탄면부(비신축부)(312b)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철면부(312a)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연속하여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전체로서 길이 방향을 향하여 물결치는 것과 같은 면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요철면부(312a)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며,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압박 부재(310)가 만곡될 때에, 평탄면부(312b)는 신축하거나 휘어지거나 하지 않고, 요철면부(312a)가 허리 둘레로 신장하며 동체 배면의 형상에 맞추어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박 부재(3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벨트(300)를 허리에 장착할 때에 사용자 스스로 또는 보조자가 압박 부재(310)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31, 332, 333)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부(331, 332)는, 주로 보조자가 사용하는 것이며, 손잡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331, 332)는, 손잡이형부를 잡아 들어올릴 수도 있고, 손잡이형부의 구멍에 손가락끝을 늘리도록 하고 삽입하여 들어올릴 수도 있다. 손잡이형부의 구멍에 손가락을 삽입한 경우에는, 손바닥이 압박 부재(310)의 양단에 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331, 332)에 손을 삽입하여 압박 부재(310)를 파지하고, 손가락끝으로 압박 부재(310)를 만곡시키면서, 그 양단부를 손바닥으로 등에 압박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파지부(333)에는, 손으로 단단히 잡을 수 있도록 큰 구멍이 마련되고 있고, 주로 사용자 스스로가 벨트(300)를 허리에 장착할 때에 사용한다.
압박 부재(310)의 중공 형상 내부에는, 임피던스 측정을 하기 위한 회로 기판이나 케이블 등의 각종 배선 부재(340)가 수용되어 있다. 수용되는 배선 부재에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FPC)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의 유연성을 갖는 배선 부재(341)나, 리지드 기판 등의 유연성이 없는 배선 부재(342) 등이 포함된다. 유연성을 갖는 배선 부재(341)는, 압박 부재(310)의 만곡 시에 변형되는 요철면부(312a)의 내측이 되도록 배치되고, 유연성이 없는 배선 부재(342)는, 압박 부재(310)의 만곡 시에 변형되지 않는 평탄면부(312b)의 내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압박 부재(310)가 만곡되었을 때에, 각종 배선 부재(340)에 물리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전극 벨트의 외부에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체지방을 산출하는 방법에서는, 전기 회로에서의 측정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회로 기판을 전극의 근방에 배치하는, 즉, 전극 벨트에 회로 기판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 벨트 내부에 공간을 만들고, 전자 부품을 실장한 회로 기판을 전극 벨트에 내장하는 것을 생각하면, 사용자에게 감을 때에 동체의 R 형상에 의해 전극 벨트의 내주면(인체와 접촉하는 면)과 외주면(외관면)에서 원주차 만큼의 왜곡이 생겨 버리기 때문에, 전극 벨트 내부의 공간이 없어지거나, 전극 벨트의 탄성이 낮아져 취급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 시에 외측의 면(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신장함으로써, 회로 부품 등이 수용되는 내부 스페이스를 좁히지 않고 만곡될 수 있기 때문에, 압박 부재의 만곡 시에 내부의 회로 부품 등이 압박 부재의 내벽면과 간섭을 발생시키거나 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벨트 내부에 회로 부품 등을 내장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 기판과 전극을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측정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의 동체 복부의 상면에 얹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계(600)가 알려져 있지만, 이 임피던스계(600)는, 전극이 마련된 각 블록(601) 사이를 가요성 부재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컨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의 잘록한 부분이 큰 경우에는 장치 전체가 체축 방향으로 휘어져 버려, 전극과 인체의 접촉 위치나 접촉 상태가 균등하게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가 체축 방향에 대해서는 가요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허리 부분의 잘록한 부분이 큰 경우라도, 전극의 접촉 위치가 측정 기준이 되는 단면의 위치(배꼽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벨트의 구체예 2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2)가 감겨진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구체예 2에 따른 벨트(300a)는, 파지부(331a)가 압박 부재(310a)에 대하여 벨트(300a)의 길이 방향(허리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절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구체예에서는, 파지부(331a)의 가동부를, 지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파지부(331a)뿐만 아니라 파지부(332)도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벨트(300a)를 부착한 사용자가 베드(7)에 드러누울 때에, 파지부(331a)가 베드(7)와 신체의 사이에 끼워져 작업의 방해가 되거나 파손을 발생시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a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벨트의 구체예 3을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3)의 압박 부재의 평면도로서, 케이블이 자유로운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3)의 압박 부재의 평면도로서, 케이블이 한쪽의 로킹 수단에 로킹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 지방 측정 장치의 벨트(구체예 3)의 압박 부재의 평면도로서, 케이블이 다른쪽의 로킹 수단에 로킹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는 로킹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로킹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b는 로킹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도로서, 로킹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케이블의 인출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각각 장치 본체의 배치가 다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체예 3에 따른 벨트(300b)는, 압박 부재(310b)에 수용된 각종 배선 부재와 장치 본체(100)를 접속하는 케이블(350)이, 벨트 길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도록 로킹 가능한 로킹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체예에서는, 로킹 수단으로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슬라이드식의 로킹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압박 부재(310b)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형 볼록부(313)가 설치되고, 케이블(350)에는, 레일형 볼록부(313)의 형상에 대응한 홈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홈부에 레일형 볼록부(313)가 끼워짐으로써 케이블(350)이 압박 부재(310b)에 로킹된다. 이러한 로킹 기구는, 압박 부재(310b)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드러누운 방향과 장치 본체(100)의 배치와의 관계는, 병원 시설의 상황 등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고, 또한, 케이블(350)이 자유로운 상태로 연장되고 있으면,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가 드러누운 방향과 장치 본체(100)의 배치 케이블의 배치와의 관계에 따라, 케이블을 로킹시킴으로써 케이블이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0, 100B : 장치 본체 110, 110B : 표시부
120, 120B : 조작부 130B : 제어부
131B : 연산 처리부 131Ba : 임피던스 산출부
131Bb : 각종 지방량 산출부 140B : 전원부
150B : 메모리부 160B : 전위차 검출부
170B : 회로 전환부 180B : 정전류 생성부
190B : 사용자 정보 입력부 201, 202, 203, 204 : 클립
300 : 벨트 310 : 압박 부재
311 : 압박면 312 :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
312a : 요철면부 312b : 평탄면부
321 : 벨트부 322 : 버클
331, 332, 333 :파지부 340 : 배선 부재
400 : 측정 유닛 400B : 체격 정보 계측부
401 : 커서 지지부 401a : 가로 폭 측정용 커서부
401b : 세로 폭 측정용 커서부 500 : 콘센트
E : 전극

Claims (9)

  1. 동체 중 복부를 통과하여 동체의 체축에 수직인 단면의 동체 단면적을 산출하는 기초가 되는 동체 측정 정보와,
    손발로부터 동체를 통과하도록 전류를 흘려,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와,
    복수의 전극을 갖는 벨트를 동체에 감음으로써, 동체의 표층 부근을 통과하도록 전류를 흘려,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
    에 기초하여, 내장 지방량을 산출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로서,
    상기 벨트는, 동체에 압박되며 그 압박면에 상기 복수의 전극이 설치되는 내부 중공의 압박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접속되어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선 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체축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는 가요성을 가지고 동체의 표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 가능하며, 만곡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전극이 설치된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상기 압박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신장하면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등측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벨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체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가요성을 갖는 신축부와, 신축성 및 가요성을 갖지 않는 비신축부를 가지며,
    상기 배선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배선부와, 유연성이 없는 배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을 갖는 배선부는, 상기 신축부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연성이 없는 배선부는, 상기 비신축부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표면의 일부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동체의 체축 방향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벨트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 상기 압박 부재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벨트 길이 방향을 따라 손가락을 펴고, 손바닥을 상기 압박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단부(端部)에 댄 상태로, 상기 압박 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압박 부재에 대하여 벨트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벨트와 장치 본체를 접속하는 케이블이 벨트 길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대략 따라 연장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로킹(locking)시킬 수 있는 로킹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전체의 임피던스 정보로부터 지방을 제외한 제지방 단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동체 표층부의 임피던스 정보로부터 피하 지방 단면적을 산출하며, 상기 동체 측정 정보로부터 산출된 동체 단면적으로부터 이들 제지방 단면적 및 피하 지방 단면적을 뺌으로써 내장 지방 단면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 지방 측정 장치.
KR1020117002530A 2008-09-22 2009-09-18 내장 지방 측정 장치 KR101654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3168A JP5287079B2 (ja) 2008-09-22 2008-09-22 内臓脂肪測定装置
JPJP-P-2008-243168 2008-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631A true KR20110063631A (ko) 2011-06-13
KR101654386B1 KR101654386B1 (ko) 2016-09-05

Family

ID=4203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530A KR101654386B1 (ko) 2008-09-22 2009-09-18 내장 지방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37199A1 (ko)
JP (1) JP5287079B2 (ko)
KR (1) KR101654386B1 (ko)
CN (1) CN102131459B (ko)
DE (1) DE112009001828B4 (ko)
WO (1) WO20100328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48B1 (ko) * 2018-12-18 2020-06-05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체지방 측정이 가능한 허리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4164B2 (ja) * 2010-03-25 2015-04-2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JP5601065B2 (ja) * 2010-07-22 2014-10-0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JP5625576B2 (ja) * 2010-07-22 2014-11-1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脂肪量測定装置
JP5546007B2 (ja) * 2010-12-03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体組成測定装置
JP5756918B2 (ja) * 2011-10-14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体組成測定装置
PL398277A1 (pl) * 2012-02-29 2013-09-02 Bone Vitae Spólka Akcyjna Sposób sterowania elektrodami do pomiaru bioimpedancyjnych i urzadzenie do pomiarów bioimpedancyjnych
JP5368615B1 (ja) * 2012-08-09 2013-12-1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超音波診断システム
KR20180054351A (ko)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성분 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492A (en) * 1992-05-15 1996-12-03 Key Idea Development, L.L.C. Flexible wearable computer
JP2002369806A (ja) 2001-04-13 2002-12-24 Kao Corp 体脂肪測定装置
US20040077969A1 (en) * 2001-02-22 2004-04-22 Tomohiro Onda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JP2007117437A (ja) * 2005-10-28 2007-05-17 Tanita Corp 体幹部脂肪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7130072A (ja) * 2005-11-08 2007-05-31 Omron Healthcare Co Ltd 体脂肪測定装置および測定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739B2 (ja) 1990-05-15 2000-07-04 株式会社リコー 曲線描画機能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H11123182A (ja) * 1997-10-22 1999-05-11 Yamato Scale Co Ltd 体内脂肪計
JP3601668B2 (ja) * 1999-02-03 2004-12-15 横河電機株式会社 操作盤
FI115287B (fi) * 1999-10-04 2005-04-15 Polar Electro Oy Sykemittarin elektrodivyö
JP2001212111A (ja) * 1999-11-25 2001-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臓脂肪測定装置
US20040059242A1 (en) * 2000-11-29 2004-03-25 Yoshihisa Masuo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JP3396674B2 (ja) * 2001-02-22 2003-04-14 花王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JP4788147B2 (ja) * 2005-01-26 2011-10-0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JP4429948B2 (ja) * 2005-03-25 2010-03-10 古河樹脂加工株式会社 ケーブル支持部材及びケーブル支持方法
JP4645266B2 (ja) * 2005-03-30 2011-03-0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EP1712179B1 (en) * 2005-04-13 2010-12-15 Tanita Corporation Trunk visceral fat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DE602006003273D1 (de) * 2005-07-07 2008-12-04 Tanita Seisakusho Kk Viszerales/subkutanes Fettmessverfahren am Rumpf und Gerät dafür
JP4740667B2 (ja) * 2005-07-07 2011-08-03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内臓・皮下脂肪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4529862B2 (ja) * 2005-10-12 2010-08-2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測定ユニットおよび体脂肪測定プログラム
KR100829217B1 (ko) * 2006-03-2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작 방법
JP4229960B2 (ja) * 2006-09-19 2009-02-25 株式会社タニタ 腹部インピーダンス式体組成計
US8104654B2 (en) * 2007-02-13 2012-01-31 Overton Enterprises, Llc Belt with expandable pou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492A (en) * 1992-05-15 1996-12-03 Key Idea Development, L.L.C. Flexible wearable computer
US20040077969A1 (en) * 2001-02-22 2004-04-22 Tomohiro Onda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fat
JP2002369806A (ja) 2001-04-13 2002-12-24 Kao Corp 体脂肪測定装置
JP2007117437A (ja) * 2005-10-28 2007-05-17 Tanita Corp 体幹部脂肪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7130072A (ja) * 2005-11-08 2007-05-31 Omron Healthcare Co Ltd 体脂肪測定装置および測定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548B1 (ko) * 2018-12-18 2020-06-05 주식회사 지엔아이씨티 체지방 측정이 가능한 허리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31459A (zh) 2011-07-20
US20110137199A1 (en) 2011-06-09
CN102131459B (zh) 2013-05-01
JP2010069249A (ja) 2010-04-02
KR101654386B1 (ko) 2016-09-05
WO2010032835A1 (ja) 2010-03-25
JP5287079B2 (ja) 2013-09-11
DE112009001828T5 (de) 2011-07-28
DE112009001828B4 (de)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3631A (ko) 내장 지방 측정 장치
JP4905197B2 (ja) 内臓脂肪測定装置
US72035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body composition using bioelectric impedance measurements in a depth direction
KR101092030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용 몸통부 장착 유닛 및 체지방 측정 장치
JP4529862B2 (ja) 体脂肪測定装置、測定ユニットおよび体脂肪測定プログラム
KR20110063628A (ko) 동체 가로 세로 폭 측정 유닛 및 내장 지방 측정 장치
KR20110055490A (ko) 동체 가로 세로 폭 측정 유닛 및 내장 지방 측정 장치
US8670822B2 (en) Body fat measurement device
US8600474B2 (en) Body fat measurement device
KR20110063619A (ko) 내장 지방 측정 장치
JP2008228989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用装着ユニット
JP2007130072A (ja) 体脂肪測定装置および測定ユニット
JP5050595B2 (ja) 電極クリップ
JP2010069225A (ja) 内臓脂肪測定装置
JP2008228996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用装着ユニット
JP2008295882A (ja) 体脂肪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