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803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803A
KR20110062803A KR1020090119638A KR20090119638A KR20110062803A KR 20110062803 A KR20110062803 A KR 20110062803A KR 1020090119638 A KR1020090119638 A KR 1020090119638A KR 20090119638 A KR20090119638 A KR 20090119638A KR 20110062803 A KR20110062803 A KR 2011006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ptc
vehicle
he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901B1 (ko
Inventor
김학규
주영복
최영호
정재경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0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 연결된 덕트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상호 용량이 상이한 복수개의 보조히터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토출구(112)와 차량 실내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공기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는 상호 용량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보조히터, PTC 히터, 용량, 핀밀도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 연결된 덕트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상호 용량이 상이한 복수개의 보조히터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 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는 앞좌석을 냉,난방하기 위한 프런트 공조장치와, 뒷좌석을 냉,난방하기 위한 리어 공조장치도 있다.
도 1 은 상기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로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의 공기토출구인 디프로스트벤트(12), 페이스벤트(13), 플로어벤트(14,15)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 및 히터코어(2)와, 상기 증발기(1)와 히터코어(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냉풍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온풍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혼합량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와, 상기 공기토출구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토출구측에는 덕트(40)가 연결 설치되어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난방모드시,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가 상기 히터코어(2)를 순환하게 하여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시동 초기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을 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시동 초기의 난방을 위한 보조히터로서 배터리의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PTC 히터(5)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상기 PTC 히터(5)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히터코어(2)의 후방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플로어벤트(14,15)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상기 냉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블로어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를 거치면서 증발기(1)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통로를 통해 믹싱챔버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15)로 토출된 후 덕트(40)를 따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상기 냉풍통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블로어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를 통하여 히터코어(2)를 거치면서 히터코어(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12~15)로 토출된 후 덕트(40)를 따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PTC 히터(5)가 설치되기 때문에 PTC 히터(5)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공조케이스(10)의 공기토출구로 토출된 후 덕트(40)를 따라 유동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PTC 히터(5)의 크기에 따른 공기유동손실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 연결된 덕트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상호 용량이 상이한 복수개의 보조히터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저항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토출구와 차량 실내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히터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는 상호 용량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 연결된 덕트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두 개의 PTC 히터(보조히터)를 설치하되, 두 개의 PTC 히터 중 상류측 PTC 히터의 방열핀 밀도를 하류측 PTC 히터의 방열핀 밀도 보다 낮게 구성함으로써, 덕트의 내부에 두 개의 PTC 히터를 장착하더라도 공기저항을 최소화 하면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열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두 개의 PTC 히터를 장착할 때, PTC소자의 용량이 더 큰 하류측 PTC 히터를 덕트의 출구와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덕트를 통해 차량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열효율도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장착된 두 개의 PTC 히터 중 하나만 작동시키는 상황에서는 덕트의 출구와 가까운 하류측 PTC 히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덕트와 보조히터의 히터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히터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두 개의 PTC 히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두 개의 PTC 히터가 분리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3의 A-A선으로서 히터하우징과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히터하우징과 덕트가 다른방법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프런트 공조장치나 리어 공조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이하, 편의상 리어 공조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 되고 출구측에는 복수의 공기토출구(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토출구(112)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공기토출구(112)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기로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증발기(101)나 히터코어(102)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토출구(112)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차량의 루프(roof)측을 송풍하기 위한 벤트(vent)출구(112a)와, 차량의 플로어(floor)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플로어출구(112b)로 분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구(111)측에는 블로어(120)가 설치되어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토출구(112)와 차량 실내를 연통시키도록 일정길이의 덕트(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덕트(140)는 공기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특정부분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는 상호 용량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는 차량 배터리(미도시)의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TC 히터(151,152)는 전원연결시 발열하는 PTC소자(155a)를 구비한 발열부(155)와, 상기 발열부(155)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발열부(155)로부터 전도된 열과 덕트(140)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방열핀(156)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발열부(155)는 +전극판과 -전극판의 사이에 PTC소자(155a)를 배치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방열핀(156)은 복수개의 얇은 금속판을 상기 발열부(155)에 끼움설치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복수개의 금속판은 일정간극을 두고 적층된다.
한편, 상기 방열핀(156)은 복수개의 금속판을 적층하는 구조 뿐만 아니라, 얇은 금속판을 지그재그(파형)로 절곡한 구조도 사용가능하며, 지그재그로 절곡된 방열핀(156)의 경우에는 상기 발열부(155)의 양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는 상기 덕트(140)내에 두 개 이상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덕트(140)내에 두 개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PTC 히터는 하나의 발열부(155)로 구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PTC 히터(151,152)가 설치되므로 두 개의 발열부(155)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호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즉, 도 6과 같이 상기 두 개의 발열부(155) 외측면에 설치되는 방열핀(156)을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7과 같이 방열핀(156)을 분리시킴으로써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를 분리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하류측 PTC 히터(152)를 덕트(140)의 출구(141)측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PTC 히터(151,152)의 용량을 상호 상이하게 구성하기 방법으로는,
첫번째,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상류측 PTC 히터(151)의 방열핀(156) 밀도를 하류측 PTC 히터(151,152)의 방열핀(156) 밀도 보다 낮게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방열핀(156) 밀도가 낮다는 것은 방열핀(156)을 구성하는 얇은 금속판간의 피치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 장착된 두 개의 PTC 히터(151,152)가 동일한 방열핀(156) 밀도를 갖게 되면 공기저항이 증가하여 풍량이 감소하고 소음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PTC 히터(151,152)가 동일한 방열핀(156) 밀도를 갖게 되면, 높은 난방이 필요없는 상황에서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하나만 작동시킬 때 다른 하나는 공기저항역할을 하게 되어 역시 풍량 감소 및 소음발생의 원인이 된 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상류측 PTC 히터(151)의 방열핀(156) 밀도를 하류측 PTC 히터(152)의 방열핀(156) 밀도 보다 낮게 구성함으로써, 덕트(14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두 개의 PTC 히터(151,152)를 장착하더라도 공기저항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이로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열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두번째는,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하류측 PTC 히터(152)의 PTC소자(155a) 용량을 상류측 PTC 히터(151)의 PTC소자(155a) 용량 보다 높게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PTC소자(155a) 용량을 높게 구성한다는 것은 높은 사양의 PTC소자(155a)를 사용하여 열용량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하류측 PTC 히터(152)는 상기 덕트(140)의 출구(141)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두 개의 PTC 히터(151,152)를 장착할 때, PTC소자(155a)의 용량이 더 큰 하류측 PTC 히터(152)를 덕트(140)의 출구(141)와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덕트(140)를 통해 차량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열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 장착되는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하류측 PTC 히터(152)의 방열핀(156) 밀도 및 PTC소자(155a)의 용량을 더 높게 함과 아울러 덕트(140)의 출구(141)와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높은 난방이 필요없는 상황에서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하나만 작동시킬 경우 하류측 PTC 히터(152)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여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상류측 PTC 히터(151)는 방열핀(156) 밀도가 낮으므로 풍량감소 및 소음이 발생할 정도로의 공기저항 역할은 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PTC 히터(151,152)의 제어는 릴레이 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발열량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PTC 히터(151,152)를 순차적으로 다단제어시에는 항상 상기 덕트(140)의 출구(141)와 가까운 하류측 PTC 히터(152) 부터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덕트(140)의 특정부분에는 상기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보조히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별도의 히터하우징(16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덕트(140)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덕트(140)의 특정부분을 생략하고 이 부분에 히터하우징(160)을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게 되며, 상호 결합된 덕트(140)와 히터하우징(160)이 하나의 덕트(14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히터하우징(160)의 양단부는 개방되며, 이때 히터하우징(160)의 양단부는 도 8과 같이 상기 덕트(140)의 내측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도 9와 같이 덕트(140)의 외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블로어(120)의 작동시 송풍되는 바람은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 구(111)로 유입되어 증발기(10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바람은 냉,난방모드에 따라 온도조절도어(130)에 의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거나 히터코어(102)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냉방모드시에는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냉풍으로 바뀐 바람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 하게 되고, 난방모드시에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바람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35)에 의해 개방되는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며,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덕트(140)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차량 실내를 냉,난방 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된 공기가 덕트(140)를 통과할 때,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설치된 두 개의 PTC 히터(151,152)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공기는 상류측 PTC 히터(151)를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을 수행하고, 계속해서 하류측 PTC 히터(152)를 통과하면서 2차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PTC 히터(151,152)가 덕트(140)의 출구(141)측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열손실을 줄여 열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두 개의 PTC 히터(151,152) 중 하나만 작동시키는 상황에서는 덕트(140)의 출구(141)와 가까운 하류측 PTC 히터(152)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으로 상호 용량이 상이한 두 개의 PTC 히터(151,152)를 설치한 구성을 차량 의 리어 공조장치(10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차량의 프런트 공조장치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덕트와 보조히터의 히터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히터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두 개의 PTC 히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두 개의 PTC 히터가 분리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A-A선으로서 히터하우징과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히터하우징과 덕트가 다른방법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공기토출구
112a: 벤트출구 112b: 플로어출구
120: 블로어 130: 온도조절도어
135: 모드도어 140: 덕트
141: 출구 150a,150b: 보조히터
151,152: PTC 히터 155: 발열부
155a: PTC소자 156: 방열핀
160: 히터하우징

Claims (6)

  1.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토출구(112)와 차량 실내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공기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14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가 설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는 상호 용량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는 전원연결시 발열하는 PTC소자(155a)를 구비한 발열부(155)와, 상기 발열부(155)의 외측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발열부(155)로부터 전도된 열과 덕트(140)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방열핀(156)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는 상류측 PTC 히터(151)의 방열핀(156) 밀도를 하류측 PTC 히터(152)의 방열핀(156) 밀도 보다 낮게 구성하여 상호 용량을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PTC 히터(151,152)는 하류측 PTC 히터(152)의 PTC소자(155a) 용량을 상류측 PTC 히터(151)의 PTC소자(155a) 용량 보다 높게 구성하여 상호 용량을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40)의 특정부분에는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를 수납할 수 있도록 히터하우징(16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덕트(1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조히터(150a,150b) 중 하류측 보조히터(150b)는 상기 덕트(140)의 출구(141)와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90119638A 2009-12-04 2009-12-04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8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638A KR101585901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638A KR101585901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03A true KR20110062803A (ko) 2011-06-10
KR101585901B1 KR101585901B1 (ko) 2016-01-15

Family

ID=4439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638A KR101585901B1 (ko) 2009-12-04 2009-12-0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9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13U (ja) * 1992-08-24 1994-03-15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4165158A (ja) * 2002-10-30 2004-06-10 Catem Gmbh & Co Kg 複数の加熱素子を有する電気加熱装置及びこれを制御する方法
JP2006035939A (ja) * 2004-07-23 2006-02-09 Denso Corp 電気ヒータ
KR20070082706A (ko) * 2006-02-17 2007-08-22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류 공조장치용 ptc 히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13U (ja) * 1992-08-24 1994-03-15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4165158A (ja) * 2002-10-30 2004-06-10 Catem Gmbh & Co Kg 複数の加熱素子を有する電気加熱装置及びこれを制御する方法
JP2006035939A (ja) * 2004-07-23 2006-02-09 Denso Corp 電気ヒータ
KR20070082706A (ko) * 2006-02-17 2007-08-22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류 공조장치용 ptc 히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901B1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08532A1 (zh) 车辆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车辆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512365B1 (ko) 차량용 피티씨 히터
KR1016598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1152907A (ja) 電気式加熱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232451B1 (ko)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KR1015448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904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03441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101458164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2636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422023B2 (ja) 車両空調装置用熱交換器配置および暖房/冷房回路、そして空調装置の暖房/冷房回路を制御および/または調節するための方法
KR2011009047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6280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089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65877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62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921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JP2012224112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0045194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941095B1 (ko) 열전소자 이용 공조기의 제어방법
JP6852496B2 (ja) 燃料電池搭載車両
WO2020045195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502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502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