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245A -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245A
KR20110062245A KR1020090118907A KR20090118907A KR20110062245A KR 20110062245 A KR20110062245 A KR 20110062245A KR 1020090118907 A KR1020090118907 A KR 1020090118907A KR 20090118907 A KR20090118907 A KR 20090118907A KR 20110062245 A KR20110062245 A KR 20110062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ongs
disconnection
inform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617B1 (ko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전기
Priority to KR102009011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구동부재로 전원을 공급하고 각 구동부재의 입력전원레벨을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 수신함과 더불어 무선으로 각 구동부재의 전원레벨을 수신하여 이를 비교함으로써, 통스케이블의 단선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은 물건을 집어들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통스와 이 통스의 각 조작부재와 일대일로 결합되는 다수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와 결합되는 단선진단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크레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스 각 조작부재 전단에 위치한 통스케이블의 전원 레벨을 측정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 및, 상기 각 조작부재를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전압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된 각 케이블별 전원 레벨정보를 제1 전원정보로서 상기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송출함과 더불어 제2 전원정보로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조작부재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통스의 무선송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수단, 케이블 단선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수신되는 각 케이블의 제1 전원정보와 상기 무선 수신수단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각 케이블의 제2 전원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케이블이 단선상태라고 진단함과 더불어 해당 진단결과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Description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Cable short confirming system for tongs cable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구동부재로 전원을 공급하고 각 구동부재의 입력전원레벨을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 수신함과 더불어 무선으로 각 구동부재의 전원레벨을 수신하여 이를 비교함으로써, 통스케이블의 단선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물건을 들어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본체에 통스(Tongs)케이블을 통해 결합된 통스를 이용하여 물건을 들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통스케이블이란, 철강산업에 쓰이는 있는 크레인으로부터 각종 통스에 공급되는 케이블을 말한다.
도1은 일반적인 크레인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시스템은 전기실(1)로부터 일정 전원이 본체(2) 및 통스케이블(3)을 통해 물건을 집어들기 위한 통스(4)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에는 제1 터미널박스(5)가 구비되어 전기실(1)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통스(4)를 상하·전후·좌우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통스(4)에는 제2 터미널박스(6)가 구비되어 상기 전기실(1)로부터 본체(2)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물건을 집어고정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전기실(1)과 본체(2), 본체(2)와 통스(4) 사이에 결합되는 통스케이블(3)은 상하·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여야 하므로, 도1의 A와 같이 페스툰형태로 접혀있다가 펴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스케이블(3)이 상하·전후·좌우운동을 반복함에 따라 통스케이블(3) 자체에 소손이 발생하여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스케이블(3)은 일반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피복의 경화 등으로 인해서도 케이블이 소손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크레인시스템에서 통스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에는 조업이 중단되어 자재준비가 지연되거나 생산계획에 차질이 발생하는 등의 중단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관리자가 항상 통스케이블을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관리자의 업무부하가 가중됨은 물론, 통스케이블의 상태를 관리자의 육안만으로 확인하여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관리자가 직접 통스케이블의 단선상태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크레인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구동부재로 전원을 공급하고 각 구동부재의 입력전원레벨을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 수신함과 더불어 무선으로 각 구동부재의 전원레벨을 수신하여 이를 비교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통스케이블의 케이블 단선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장치는 물건을 집어들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통스와 이 통스의 각 조작부재와 일대일로 결합되는 다수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와 결합되는 단선진단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크레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스 각 조작부재 전단에 위치한 통스케이블의 전원 레벨을 측정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 및, 상기 각 조작부재를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전압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된 각 케이블별 전원 레벨정보를 제1 전원정보로서 상기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송출함과 더불어 제2 전원정보로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조작부재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통스의 무선송출수단으로부터 제 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수단, 케이블 단선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수신되는 각 케이블의 제1 전원정보와 상기 무선수신수단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각 케이블의 제2 전원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케이블이 단선상태라고 진단함과 더불어 해당 진단결과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진단장치와 통스간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알람발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단선이 진단되는 케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발생수단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접속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단선이 진단되는 케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망접속수단을 통해 관리자단말기로 단선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선결과정보는 케이블과 결합된 통스의 조작부재명칭과 단선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스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은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소선을 통해 제1 전원정보가 통스로부터 단선진단장치로 제공됨과 더불어, 케이블의 외심부분에 배치되는 소선을 통해 단선진단장치로부터 공급전원이 통스의 해당 조작부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레인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수신되는 통스 구동부재의 전원레벨과 무선으로 수신되는 통스 구동부재의 전원레벨을 비교하여 통스케이블의 단선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스케이블의 단선상태를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통스케이블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단선에 의한 조업중단이나 불의의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가동률을 향상시키고 정비 비용을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개요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은 단선진단장치(100)가 통스케이블(200)을 통해 물건을 집기 위한 통스(300)와 유선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단선진단장치(100)와 통스(300)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무선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선진단장치(100)와 통스(300)는 무선통신으로서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선진단장치(100)는 통스케이블(200)로 통스(300)의 각 조작부재(미도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이에 대해 통스(300)로부터 통스케이블(200) 및 무선을 통해 수신되는 전원정보를 근거로 통스케이블(200)의 단선여부를 진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선진단장치(100)는 통스케이블(200)의 단선 확인시 해당 단선정보를 표시출력하거나 관리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스(300)는 코일 리프터(Coil Lifter), 슬랩 통스(Slab Tongs), 롤 통스(Roll Tongs), 하이브리드 통스(Hyd' Tongs) 등이 될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단선진단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선진단장치(100)는 제1 케이블결합부(110)와, 무선 수신부(120), 키입력부(120), 표시부(140), 알람발생부(150), 케이블정보저장부(160), 제1 전원부(170) 및 제1 제어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케이블결합부(110)는 통스케이블(200)의 각 케이블로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통스케이블(200)로부터 제공되는 통스(300) 전원정보를 수신한다. 즉, 제1 케이블결합부(110)는 통스케이블(200)을 통해 통스(300)의 각 조작부재(도4의 310)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1 케이블결합부(110)는 통스(300)의 각 조작부재로부 터 제공되는 제1 전원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블결합부(110)에 결합되는 통스케이블(200)은 다수의 케이블로 구성되고, 각 케이블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의 내부에 다수의 소선, 예컨대 25개의 소선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선은 도4에서 1~9번의 내심과 10~25번의 외심으로 분류되고, 통상 케이블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시 1번 소선부터 순차적으로 단선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모터구동이나 전원용 소선은 10~25번의 외심으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케이블에서 내심 특히, 가장 단선이 빨리되는 중앙부분에 배치된 1번 소선은 제1 전원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케이블결합부(110)는 케이블의 내심 즉, 1번 소선을 통해 제공되는 제1 전원정보를 제1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무선수신부(120)는 상기 통스(300)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스(300)의 무선송출부(도4의 34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되는 각 조작부재(도4의 310)에 대한 제2 전원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수신부(120)는 예컨대 블루투스 수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130)는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숫자키와 문자키 및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관리자는 키입력부(130)를 통해 케이블 단선 진단관련 명령, 예컨대, 현재 케이블의 상태정보 요구, 진단주기 설정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표시부(140)는 통스케이블의 단선진단결과정보 등과 같은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관련 각종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단선진단결과정보는 각 케이블식별번호별 해당 케이블과 연결된 통스(300)의 조작부재(310) 명칭 및 단선상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알람발생부(150)는 단선 케이블 발생시 기설정된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및/또는 알람램프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정보저장부(160)는 통스케이블(200)의 케이블 식별번호별 통스의 조작부재명칭, 진단일자, 진단상태, 교체일자 등의 케이블정보와, 케이블 식별번호별 진단날짜, 진단시간, 공급전원레벨 및 무선수신데이터 등의 진단정보가 저장된다.
제1 전원부(170)는 상기 각 장치로 공급전원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1 전원부(170)는 케이블결합부(110)를 통해 통스케이블(200)의 각 케이블로 일정 레벨의 전원, 예컨대 24V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1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케이블결합부(110)를 통해 각 케이블로 일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이에 대하여 제1 케이블결합부(110)를 통해 유선으로 수신되는 제1 전원정보와 무선 수신부(120)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되는 제2 전원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단선발생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출력하거나 또는 알람발생부(150)를 통해 알람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80)는 단선진단결과정보를 케이블정보저장부(160)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키입력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관리자의 요구명령을 근거로 단선진단결과정보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통스(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스(300)는 통스케이블(200)과 결합되는 제2 케이블결합부(310)와 물건을 집어들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320:3201~320n)와, 전압검출부(330), 데이터메모리(340), 무선송출부(350), 제2 제어부(360) 및 제2 전원부(3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케이블결합부(310)는 통스케이블(200)의 각 케이블의 외심, 즉 전원용 소선을 해당 조작부재(320)와 결합시킴과 더불어, 각 케이블의 전원용 소선을 분기시켜 상기 전원검출부(330)와 결합시키고, 각 케이블의 내심, 즉 데이터통신용 소선은 상기 제2 제어부(360)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케이블결합부(310)는 통스케이블(200)의 각 케이블 전원을 조작부재(320) 및 전원검출부(330)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제어부(36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정보를 통스케이블(200)의 데이터통신용 소선을 통해 단선진단장치(10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320)는 각 조작부재(3201~320n)가 단선진단장치(100)와 연결된 통스케이블(200)의 각 케이블에 대응되게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조작부재(320)로서는 리미트스위치나 포토센서, 근접스위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압검출부(330)는 상기 제2 케이블결합부(310)로부터 제공되는 각 케이블에 대한 전원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2 제어부(360)로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전압검출부(330)는 N개의 조작부재(320)와 결합되는 N개 케이블에 대하여 각각 결 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2 제어부(360)로 N개 케이블에 대한 전원레벨을 각각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메모리(340)는 무선송출을 위한 무선자원정보가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제2 제어부(36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메모리(340)에는 단선 검사 진단주기정보와 각 조작부재(320)에 대한 구동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출부(340)는 각 케이블별 전압레벨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송출부(340)는 블루투스 송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부(370)는 상기 각 장치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 제어부(360)는 상기 조작부재(3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전압검출부(330)로부터 인가되는 케이블별 전압레벨정보를 제1 전원정보로서 제2 케이블결합부(310)를 통해 해당 각 케이블로 유선 송출함과 더불어, 제2 전원정보로서 무선송출부(350)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단선진단장치(100)로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360)는 제2 케이블결합부(310)의 N개 케이블에 대하여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360)는 일정 주기 단위로 상기 전압검출부(330)를 통해 통스케이블(200)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요구하여 해당 정보를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단선진단장치(10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말기,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단말기와 결합하기 위한 통신망접속부(190)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부(180)는 통스케이블(200)의 진단결과정보를 통신망접속부(190)를 통해 외부단말기, 즉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80)는 단선이 발생된 케이블이 있는 경우 해당 진단정보를 통신망접속부(19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접속부(190)는 유선망 또는 무선망과 접속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180)는 관리자의 무선단말기 또는 컴퓨터나 유선전화 등과 같은 유선단말기로 단선진단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관리자는 단선진단장치(100)의 키입력부(130)를 통해 진단주기를 설정함과 더불어 각 케이블에 대한 조작부재명칭 등의 기본정보를 등록한다.
이후, 단선진단장치(100)와 통스(300)가 통스케이블(200)을 통해 유선결합됨과 더불어 무선통신,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결합된 상태에서, 단선진단장치(100)에서는 통스케이블(200)을 통해 통스(300)의 각 조작부재(32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통스(300)로 공급한다.
즉, 단선진단장치(100)로부터 통스케이블(200)로 제공되는 전원은 제2 케이블결합부(310)를 통해 통스(300)의 각 조작부재(3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통스(300)의 각 조작부재(320)로 일정 레벨의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제어부(360)는 각 조작부재(3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예컨대, 물건을 집기 위한 각각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360)는 일정 주기 단위로 전압검출부(330)를 제어하여 각 조작부재(320) 전단에 위치한 케이블의 전압레벨을 검출하도록 한다.
전압검출부(330)는 제2 제어부(36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제2 케이블결합부(310)를 통해 결합된 통스케이블(200)의 각 케이블 종단, 즉 통스(300)의 조작부재(320)와 결합된 부분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제2 제어부(360)로 제공한다.
제2 제어부(360)는 상기 전압검출부(330)로부터 전압검출정보를 근거로 각 케이블별 전압레벨데이터로 구성되는 전압검출정보를 제1 전압정보로서 제2 케이블결합부(310) 및 통스케이블(200)을 통해 단선진단장치(100)로 유선송출함과 더불어, 제2 전압정보로서 무선송출부(350)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환한 후 단선진단장치(100)로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즉, 통스케이블(200)을 통해 유선송출되는 제1 전원정보는 단선진단장치(100)의 제1 케이블결합부(110)로 수신되고, 통스(300)의 무선송출부(350)를 통해 무선송출되는 제2 전원정보는 단선진단장치(100)의 무선수신부(120)로 수신된다.
단선진단장치(100)는 상기 통스케이블(200)로부터 유선으로 인가되는 제1 전원정보와 통스(300)로부터 무선으로 인가되는 제2 전원정보를 케이블정보저장부(160)에 저장함과 더불어, 각 케이블에 대하여 제1 전원정보와 제2 전원정보를 비교하여 단선진단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제1 제어부(180)는 제1 전원정보, 예컨대 제1 전압레벨과 제2 전원정보, 예컨대 제2 전압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케이블이 단선상태라고 진단하게 된다. 예컨대, 단선진단장치(100)로부터 24V의 공급전압이 통스(200)로 제공된 상태에서, 임의 케이블에 대해 수신된 제1 전원정보가 0V로 수신되고 제2 전원정보가 24V로 수신되면 해당 케이블을 단선상태로 진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180)는 단선진단결과데이터를 케이블정보저장부(160)에 저장함과 더불어,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출력하게 된다. 이때,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출력되는 단선진단결과데이터는 각 케이블식별코드별 해당 케이블과 결합된 통스(300)의 조작부재(310)명칭과 단선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80)는 단선상태로 판단되는 케이블이 있는 경우, 알람발생부(150)를 통해 케이블 단선임을 알리는 알람음을 출력하거나 표시 알람램프를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80)는 단선상태라고 판단되는 케이블이 있는 경우, 해당 케이블과 연결된 통스(300)의 조작부재(320) 명칭과 함께 단선상태정보를 통신망접속부(190)를 통해 외부단말기,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자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통스케이블(200)의 단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다수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통스케이블(200)의 어느 케이블이 단선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크레인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구동부재로 전원을 공급하고 각 구동부재의 입력전원레벨을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 수신함과 더불어 무선으로 각 구동부재의 전원레벨을 수신하여 이를 비교함으로써, 통스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에 대한 단선여부를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선 진단상태를 표시창으로 표시함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용이하게 통스케이블의 단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선 진단시 단선 케이블이 있는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하거나 관리자의 단말기로 단선정보를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통스케이블의 단선상태에 따른 일정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크레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과 도6은 도2에 도시된 단선진단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통스케이블(200)의 케이블 단면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통스(3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단선진단장치, 110 : 제1 케이블결합부,
120 : 무선수신부, 130 : 키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알람발생부,
160 : 케이블정보저장부, 170 : 제1 전원부,
180 : 제1 제어부, 200 : 통스케이블,
300 : 통스, 310 : 제2 케이블결합부,
320 : 조작부재, 330 : 전압검출부,
340 : 데이터메모리, 350 : 무선송출부,
360 : 제2 제어부, 370 : 제2 전원부.

Claims (6)

  1. 물건을 집어들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통스와 이 통스의 각 조작부재와 일대일로 결합되는 다수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와 결합되는 단선진단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크레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스 각 조작부재 전단에 위치한 통스케이블의 전원 레벨을 측정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입력되는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무선송출수단 및, 상기 각 조작부재를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전압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된 각 케이블별 전원 레벨정보를 제1 전원정보로서 상기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송출함과 더불어 제2 전원정보로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통스케이블을 통해 통스의 각 조작부재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통스의 무선송출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수단, 케이블 단선 진단결과데이터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통스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수신되는 각 케이블의 제1 전원정보와 상기 무선수신수단을 통해 무선으로 수신된 각 케이블의 제2 전원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레벨 이상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케이블이 단선상태라고 진단함과 더불어 해당 진단결과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통스케이블의 단선 진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진단장치와 통스간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통스케이블의 단선 진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알람발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단선이 진단되는 케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알람발생수단을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통스케이블의 단선 진단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진단장치는 관리자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접속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수단은 단선이 진단되는 케이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망접속수단을 통해 관리자단말기로 단선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통스케이블의 단선 진단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결과정보는 케이블과 결합된 통스의 조작부재명칭과 단선상태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통스케이블의 단선 진단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스케이블을 구성하는 각 케이블은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소선을 통해 제1 전원정보가 통스로부터 단선진단장치로 제공됨과 더불어, 케이블의 외심부분에 배치되는 소선을 통해 단선진단장치로부터 공급전원이 통스의 해당 조작부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통스케이블의 단선 진단시스템.
KR1020090118907A 2009-12-03 2009-12-03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KR10110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07A KR101109617B1 (ko) 2009-12-03 2009-12-03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907A KR101109617B1 (ko) 2009-12-03 2009-12-03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245A true KR20110062245A (ko) 2011-06-10
KR101109617B1 KR101109617B1 (ko) 2012-03-13

Family

ID=4439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907A KR101109617B1 (ko) 2009-12-03 2009-12-03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958B1 (ko) 2012-07-27 2013-03-22 박진환 단선 진단 장치
KR101604860B1 (ko) * 2014-02-24 2016-03-28 (주)씨유니온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장치의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407A (ko) * 2008-03-11 2009-09-16 정명철 유선·무선 복합형 자동화재탐지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617B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3425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保守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US9615149B1 (en) Process interface including wireless multi-loop single hop device
KR102044328B1 (ko) 풀코드 스위치 모니터링 방법, 풀코드 스위치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콘베어 시스템
KR100880818B1 (ko) 프로브 일체형 전류 전압측정 및 무선 전송장치
KR101178059B1 (ko) 무선을 이용한 현장모터의 진단 및 제어장치
KR101109617B1 (ko)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US20080155241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logic control and interface communication
KR101021676B1 (ko) 케이블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0937224B1 (ko) 케이블의 번호 확인이 용이한 멀티 테스터
KR20090050172A (ko) 변압기의 감시진단 장치
KR100636708B1 (ko) 지그비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계량 시스템
KR101604860B1 (ko)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장치의 통합관리 시스템
KR100984147B1 (ko) 계측(계장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916021B1 (ko)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접속용 보조장치
CN110657950B (zh) 一种远程触发式光纤对纤设备
KR102178066B1 (ko) 배터리 단자 고정 구조의 외부전원이 필요 없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110129097A (ko) 크레인 상태 감시 시스템
JP2013205139A (ja) 測定装置、携帯端末装置、測定システムおよび測定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JP6936354B1 (ja) 昇降機監視装置
KR102356148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JP6587153B2 (ja) 昇降装置の点検システム
KR100504671B1 (ko) 배선 검사 방법, 배선 검사 시스템 및 배선 검사기
CN106560679B (zh) 测量装置
JP2010130711A (ja) 遠方監視制御装置の入出力試験システム
JP201819111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現場操作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