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148B1 -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148B1
KR102356148B1 KR1020200056900A KR20200056900A KR102356148B1 KR 102356148 B1 KR102356148 B1 KR 102356148B1 KR 1020200056900 A KR1020200056900 A KR 1020200056900A KR 20200056900 A KR20200056900 A KR 20200056900A KR 102356148 B1 KR102356148 B1 KR 102356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vator
alarm
wireless power
ropeless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891A (ko
Inventor
이준민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시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투입에 대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을 고지하는 전원투입 경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시 작업자가 전원 투입을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계측기를 유선 접속하지 않고 전원 투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전원 투입 경보 및 전원의 크기를 계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NONCONTACTING POWER INPUT ALARM APPARATUS OF ROPELESS ELEVATOR}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시스템 유지 보수시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 여부를 사전에 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승객 또는 화물을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카와 와이어로프(wire rop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균형추(counterweight), 승강로의 상측에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되어 정역 회전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한 소위 로프식 엘리베이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에 따라, 종래의 로프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와 달리 다수의 승강로 내에서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가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기술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지 않고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송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승강로 내에는 다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가 이송하도록 설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권상기(1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로프(13)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엘리베이터 카(10)의 하중을 보상하는 균형추(15)와 함께 와이어로프(13)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10)가 승강로를 따라 상하 수직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부(20)에서 유선 전원공급 케이블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권상기(11)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개별적으로 전원 차단기를 직접 투입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2을 보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가 교차되게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카(30)가 수직 승강로 및 수평 승강로를 따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부(40)는 다중으로 구성하여 각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도 1의 전원 공급 구조와 달리 전원 구성이 분산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산적 전원 구성을 가지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경우 시스템 성능 시험, 유지 및 보수, 안전 점검 등의 작업시 작업자가 전원 투입 여부를 사전에 고지하기 힘든 구조이기에 전원부 접촉으로 인한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AC/DC 전원 투입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어반 또는 분전반의 파일럿 램프 같은 경보장치를 통해 전원 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경보장치를 통한 전원 투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선으로 접속되어야 하며, 전원부의 특성에 종속되어 AC 또는 DC 중 한가지 경우만을 지원 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경보 범위는 지극히 국소적인 부위에 국한되었고 원거리, 다중 버스 시스템 및 이동식 장치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원거리에 위치한 전원부의 전원 투입 여부는 직접적으로 확인이 불가하므로 작업자가 직접 테스터기 등의 계측장치를 이용해 유선으로 계측해야만 그 크기와 투입여부를 확인이 가능했고,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충전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52894 (1998.06.30)호는 수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층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이들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를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내에서 운행하도록 한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고,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양측벽에는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카의 양측벽에는 상기 승강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승강구동용 2차측 부재와 상기 수평구동용 1차측 부재에 대응하는 수평구동용 2차측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전용 엘리베이터 통로와 수평이동용 엘리베이터 통로의 교차점에는 승강구동용 코일과 수평구동용 코일이 감겨진 방향전환용 1차측 부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2302 (2020.01.23)호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평 이송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수직 승강로 및 수평 승강로를 따라 전력 전송 라인을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에 각각 픽업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및 수평 이동시 카 픽업 장치 및 캐리어 픽업 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력이 전달되어 항상 안정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이 가능하고, 캐리어에 수평 전력 전송 라인으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보조 수직 전력 전송 라인을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이동시 분기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중 픽업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항상 안정적인 무선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시스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어 설치 및 제어 작업 등이 용이함은 물론 유지 관리 또한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52894 (1998.06.3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72302 (2020.01.2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시스템 유지 보수시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 여부를 사전에 고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통해 비접촉 형태로 각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 투입 경보를 수행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시스템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원 투입 경보시 전원 투입값을 계측하여 외부 제어 시스템 측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시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투입에 대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을 고지하는 전원투입 경보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투입되는 전원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여 이상 전압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상기 전원 투입의 여부 및 상기 검출된 투입 전원의 전압 크기를 디지털 표시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상기 전원 투입의 여부, 투입된 전원의 전압 크기, 이상 전압 유무 및 보호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시스템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투입 경보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 투입 및 투입된 전원의 이상 전압 발생을 상기 LED 램프 점등을 통해 경보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상기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되고 전원 차단시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잔류 전압과 전하를 감지하여 경보하도록 제공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수직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시스템 성능 시험, 점검 및 유지 보수시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 여부를 사전에 고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통해 비접촉 형태로 각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전원 투입 경보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시스템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는 전원 투입 경보시 전원 투입값을 계측하여 외부 제어 시스템 측으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부족전압, 과전압, 단락 등 이상 전압 발생 시 전원 차단 및 개별 이송 동작 정지 등의 안전 동작이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전원 공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장치가 적용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가 적용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엘리베이터 카(110)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승강로(120)와 수평 승강로(130)가 교차되게 설치된다. 수직 승강로(120)와 수평 승강로(130)는 각각 다수개씩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에서, 엘리베이터 카(110)는 수직 이동시 수직 승강로(12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수평 이동시에는 수평 승강로(13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각 엘리베이터 카(110)에 대해 전원을 투입하는 전원 투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투입부(140)는 380V, 60㎐의 3상 전류를 공급받아 엘리베이터 카(11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투입하는 장치로, 3-상 부스트 컨버터 및 H-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은 전원 투입부(140)에서 전원 투입시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 여부를 경보할 수 있는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각 승강로들(120,130)에 설치되고 전원 투입부(140)로부터 전원 투입시 무선으로 전송하여 비접촉으로 전원 투입을 경보하고 전원 크기를 계측하여 외부 제어 시스템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수신을 통해 전원 투입을 경보하고 투입된 전원의 전압 크기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유선 접속하지 않더라도 비접촉으로 전원 투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별도의 계측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압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전원 투입 경보 여부와 전압의 크기를 외부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고 시스템의 이상 동작(과전압 혹은 부족전압 등) 여부를 메인 제어장치에 송신하여 주전원 차단, 개별 노드 수직/수평 안전장치의 안전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평상시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할 수 있고 주전원 차단시 배터리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잔류 전하를 계측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무선전력 송신부(210), 무선전력 수신부(220), 전원투입 경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무선 통신부(250), 배터리(260), 충전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부(210)는 전원 투입부(140)에서 전원 투입시 인가되는 전원을 기초로 무선전력 수신부(220)에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부(210)는 전원 투입부(140)의 출력단과 각 수직 승강로(120) 및 수평 승강로(130)에 설치된 전원 라인 사이에 배치되어 투입되는 전원을 무선 전력 신호로 전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전력 송신부(210)는 전원 투입부(140)로부터 각 수직 승강로(120) 및 수평 승강로(130)에 대해 분기되어 있는 전원 선로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전원 투입시 투입되는 선로 상에 설치되는 무선전력 송신부(210)에서 투입되는 전원을 기초로 해당 승강로에 대한 무선전력의 송신을 개시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승강로의 엘리베이터 카에 전원 투입을 경보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20)는 각 수직 승강로(120) 및 수평 승강로(130)의 일단에 배치되어 무선전력 송신부(210)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20)는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 투입 경보부(230)를 가동시키고 전력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전원투입 경보부(230)는 전원 투입시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투입 경보부(230)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투입 경보부(230)는 LED 램프를 발광시켜 전원투입을 작업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전원투입 경보부(230)는 전원투입 경보 뿐만 아니라 투입된 전원이 과전압이거나 저전압 등이 이상발생시에도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원투입 경보부(230)는 전원투입 경보와 이상발생 경보에 대해 LED 램프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발광시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전원 투입시 전원의 전압 크기를 디지털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무선전력 수신부(220) 또는 배터리(260)를 통해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원 투입시 전원투입 경보부(230)의 램프 발광과 함께 전원투입 경보를 화면 표시할 수 있고 투입된 전원의 계측된 전압 크기를 화면 표시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50)는 전원 투입 유무, 전원의 전압 크기, 이상여부, 보호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 시스템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에서는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안전 동작 및 계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시스템에서는 전원의 전압 크기 및 이상여부를 토대로 부족전압, 과전압, 단락 발생 시 주전원 차단, 각 엘리베이터 카의 이송 동작 정지 등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260)는 주전원 차단시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260)는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260)는 충전부(27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이용해 전력을 충전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를 위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무선전력 송신부(210)를 통해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전원 투입 시 투입되는 전원을 이용해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단계 S51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부(220)를 통해 무선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전력을 이용해 투입된 전원을 측정하고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고 이상유무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2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전원투입 경보부(230)를 통해 전원투입을 경보하고,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전압의 크기를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알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53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전원투입 유무, 전원의 전압 크기, 이상 여부 및 보호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시스템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54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200)는 충전부(270)를 통해 무선전력의 송수신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이용해 내장된 배터리(260)를 충전할 수 있고, 배터리(260)의 충전 전원은 시스템의 전원 차단시 잔류 전압 측정 및 안전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110: 엘리베이터 카
120: 수직 승강로 130: 수평 승강로
140: 전원 투입부
200: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210: 무선전력 송신부 220: 무선전력 수신부
230: 전원투입 경보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무선 통신부 260: 배터리
270: 충전부 280: 제어부

Claims (6)

  1.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시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무선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수직 승강로와 수평 승강로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투입에 대해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 작업자에게 전원 투입을 고지하는 전원투입 경보부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수신되는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투입되는 전원의 전압 크기를 검출하여 이상 전압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투입의 여부 및 상기 검출된 투입 전원의 전압 크기를 디지털 표시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투입의 여부, 투입된 전원의 전압 크기, 이상 전압 유무 및 보호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시스템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투입 경보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 투입 및 투입된 전원의 이상 전압 발생을 상기 LED 램프 점등을 통해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되고 전원 차단시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잔류 전압과 전하를 감지하여 경보하도록 제공하는 내장형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KR1020200056900A 2020-05-13 2020-05-13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KR102356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00A KR102356148B1 (ko) 2020-05-13 2020-05-13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00A KR102356148B1 (ko) 2020-05-13 2020-05-13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91A KR20210138891A (ko) 2021-11-22
KR102356148B1 true KR102356148B1 (ko) 2022-01-28

Family

ID=7871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900A KR102356148B1 (ko) 2020-05-13 2020-05-13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2380A (ja) * 2011-02-09 2012-08-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警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894B1 (ko) 1996-01-31 1998-10-15 이종수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KR102072302B1 (ko) * 2017-09-14 2020-02-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2380A (ja) * 2011-02-09 2012-08-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警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91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155B2 (en) Elevator rescue system including communications over a rescue operation signal transmission path
CN108238517B (zh) 电梯
CN101704483B (zh) 一种起重机工况识别系统、起重机控制系统及起重机
KR10044059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2002001794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926613B2 (ja)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JP2009215023A (ja) 非常電源用バッテリーの寿命判定システム
KR102356148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비접촉 전원투입 경보 장치
JP2013060262A (ja) エレベータ
JP2017218264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システム
CN109353910B (zh) 一种轿厢无线式检测装置及电梯
JP2011020816A (ja) 天井クレーンによる金型搬送システム
JP2007070024A (ja) エレベータ表示器の点灯制御装置
CN115724313A (zh) 电梯异常位置的定位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08087896A (ja) 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機能可変型情報処理装置、機能可変型遠隔監視方法および機能可変型遠隔監視プログラム
CN113247717B (zh) 电梯控制系统
US20220169480A1 (en) Elevator system
KR20100000592U (ko) 변압기의 누설전류 통합 감시장치
KR102165103B1 (ko) 컨베이어 벨트 안전사고 방지시스템
JP2009132482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破断検出装置
JP2009062152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6430566B2 (ja)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0707682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60115181A (ko) 무대장치 사고예측 시스템
KR20190049660A (ko) 무전원형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