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080A - 안경테용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용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080A
KR20110062080A KR1020090118667A KR20090118667A KR20110062080A KR 20110062080 A KR20110062080 A KR 20110062080A KR 1020090118667 A KR1020090118667 A KR 1020090118667A KR 20090118667 A KR20090118667 A KR 20090118667A KR 20110062080 A KR20110062080 A KR 2011006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member
press
hook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917B1 (ko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진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욱 filed Critical 진정욱
Priority to KR1020090118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917B1/ko
Priority to PCT/KR2010/002414 priority patent/WO2011068289A1/ko
Publication of KR2011006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고정기능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안경 프레임의 견착기능을 갖는 다리 사이에 힌지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이 조립구조에 의해 안경 프레임과 다리부가 간편하게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한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테, 프레임, 다리, 후크부, 힌지부, 축부재, 조립

Description

안경테용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the glass frame}
본 발명은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고정기능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안경 프레임의 견착기능을 갖는 다리 사이에 힌지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이 조립구조에 의해 안경 프레임과 다리부가 간편하게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한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안경은, 렌즈의 거치기능을 갖는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가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통상 상기 프레임의 양단과 다리 사이에는 힌지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이들의 다리의 절첩 및 전개작용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 힌지 어셈블리는 안경의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 1 힌지부재와, 다리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 2 힌지부재가 체결볼트를 통해 체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분해 및 조립과정에서 반드시 드라이버 등의 취구가 요구되고, 또 금속재로 이루어져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 0174219호에서는 프레임의 양단에 후크부를 형성하여 선단에 힌지축이 형성된 다리를 압입하도록 한 안경을 제안하여, 다리의 조립 및 분해에 따른 편리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안경은, 축부재가 다리에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된 관계로, 축부재를 탈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요하기 때문에 성형금형이 복잡해지고, 특히 다리와 축부재를 동일 재질로 구성하여야 하므로, 사출이 불가능한 재질로 힌지축을 구성할 수 없는 한계성을 갖는다.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축부재를 이형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안경테용 조립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의 고정기능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안경 프레임의 견착기능을 갖는 다리 사이에 힌지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진 조립구조를 형성하여, 이 조립구조에 의해 안경 프레임과 다리부가 간편하게 힌지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별도 제작되어 힌지부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이 후크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제작에 따른 편리성과 구조의 간소화 및 작동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구성한 안경테용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조립구조는,
축부재가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축부재를 압입홈에 탄성 압입시켜 힌지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후크부가 안경테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단부와 다리 사이에 택일하여 형성되어, 힌지부와 후크부의 조립을 통해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를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부는, 몸체에 힌지공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 사이에는 축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된 압입구간과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이격공간에 형성된 축부재의 압입구간 은, 이격공간을 통해 수평으로 진입되는 후크부의 압입홈에 탄성 진입되어 다리를 프레임의 양단에 힌지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재는 후크부의 압입홈에 탄성 진입되는 압입구간의 양단부에 압입구간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견착단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이격된 힌지부재의 힌지공에 축부재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이격공간에 위치된 축부재의 압입구간에 후크부를 압입하면, 압입구간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견착단은 축부재의 압입구간에 압입되어진 후크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견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힌지부재의 힌지공에 관통되게 설치된 축부재는 후크부와의 견착에 의해 이탈이 예방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재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부재와, 이 축부재의 압입구간에 탄성 압입되는 후크부는 상호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소음 저감과 내구성과 향상된 작동감을 갖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과 다리 사이에 힌지부와 후크부로 이루어져 이들의 결합에 의해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가 힌지구조로 연결되는 안경테 조립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힌지부의 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추후 조립과정에서 힌지부재에 축부재가 삽입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축부재에 의해 금형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축부재에 의해 금형에서 프레임, 또는 다리의 탈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해소되는 한편,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축부재의 형상이나 재질을 달리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힌지부재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축부재의 형상을 개량하여, 후크부와의 결합에 의해 힌지부재에 관통하여 설치된 축부재가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와의 결합에 의해 축부재가 견착하여 고정되면 힌지부재를 관통한 축부재의 이탈이 예방되므로, 축부재와 힌지부재의 결합을 위한 초음파 융착이나 본딩의 실시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안경테 제작에 따른 공정이 간소화되고 또 본딩에 의해 안경테의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고, 또 추후 후크부의 분리를 통해 힌지부재에 관통된 축부재의 분해 및 교체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를 형성하는 힌지부와 후크부의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에 있어, 후크부에 의해 축부재가 위치 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는, 기본적으로 렌즈의 고정기능을 도모하는 프레임(10)의 양단에, 다리(20)를 힌지구조로 조 립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용 조립구조는, 힌지부(30)와 상기 힌지부에 회동구조로 연결되는 후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후크부(40)와 힌지부(30)는 상호 간의 연결을 요하는 프레임(10)의 양단과 다리(20)의 선단 사이에 택일하여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양단에 다리(20)를 힌지구조로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프레임(10)의 양단에 힌지부(30)를 형성하고 다리(20)의 선단에 후크부(4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후크부(40)는 사출성형을 통해 프레임 또는 다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30)는 힌지공(31a)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재(30)와; 상기 힌지부재(31)의 힌지공(31a)을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는 축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힌지부재(31)들은 상하 이격하여 배설되어 이들(31) 사이에 축부재(32)의 중간부에 형성된 압입구간(32a)이 노출되는 이격공간(S)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힌지부재(31)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S)에는 후크부(40)가 수평으로 진입되어, 축부재(32)와의 압입을 통해 후크부(40)는 힌지부(30)에 힌지구조로 간편하게 연결되며, 이때 후크부(4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힌지부재(31)의 내벽에 각각 지지된 상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성형과정에서 힌지부재(31)에 축부재(32)를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추후 조립과정에서 힌지부재(31)의 힌지공(31a)에 별도 제작된 축부재(32)를 관통시켜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축부재(32)에 의해 성형금형의 형상이 복 잡해지고 또 축부재에 의해 성형금형에서 성형이 완료된 프레임, 또는 다리의 탈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축부재의 형상이나 재질을 달리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힌지부재(31)와 후크부(40)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축부재(32)를 금속재로 구성하면, 다리(20)의 회동과정에서 축부재(32)와 후크부(40) 사이의 소음이 대폭 저감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한편, 재질의 변경을 통해 축부재(32)와 후크부(40) 사이의 마찰력을 설정하면 향상된 작동감을 겸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축부재와 후크부를 상호 물성이 다른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안경테용 조립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31)의 힌지공(31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부재(32)와 후크부(40) 사이에 안정된 견착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견착구조에 의해 힌지부재(31)에 관통한 축부재(32)가 후크부(40)에 의해 물리적으로 견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재(31)에 관통한 축부재(32)가 후크부(40)에 의해 물리적으로 견착되면 축부재(32)가 힌지부재(31)에서 물리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힌지부재(31)의 힌지공(31a)에 축부재(32)를 삽입한 다음, 축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부재(31)의 힌지공(31a)과 축부재(32) 사이에 초음파 융착이나 본딩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후크부(40)를 통한 축부재(32)의 견착은 축부재(32)의 형상 개량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축부재(32)는 압입홈(41)을 통해 후크부(40)에 압입되는 압입구 간(32a)의 양단부에, 압입구간(32a)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견착단(32b)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후크부(40)의 압입홈(41)에, 이격공간(S)을 통해 외부 노출된 축부재(32)의 압입구간(32a)을 수평방향으로 탄성 압입시켜 다리(20)를 프레임(10)의 양단에 힌지구조로 연결하면, 압입구간(32a) 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견착단(32b)은 후크부(4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견착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용 조립구조는 힌지부재(31)의 힌지공(31a)을 관통한 상태의 축부재(32)가, 후크부(40)에 의해 견착 및 고정되어서 이탈이 안정되게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를 형성하는 힌지부와 후크부의 결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조립구조에 있어, 후크부에 의해 축부재가 위치 고정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안경테 10. 프레임
20. 다리 30. 힌지부
31. 힌지부재 31a. 힌지공
32. 축부재 32a. 압입구간
32b. 견착단
40. 후크부 41. 압입홈

Claims (3)

  1. 축부재가 형성된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축부재를 압입홈에 탄성 압입시켜 힌지 연결구조를 형성하는 후크부가 안경테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단부와 다리 사이에 택일하여 형성되어, 힌지부와 후크부의 조립을 통해 프레임의 양단에 다리를 힌지 구조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부는, 몸체에 힌지공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 사이에는 축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된 압입구간과 수평방향으로 연통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이격공간에 형성된 축부재의 압입구간은, 이격공간을 통해 수평으로 진입되는 후크부의 압입홈에 탄성 진입되어 다리를 프레임의 양단에 힌지구조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는 후크부의 압입홈에 탄성 진입되는 압입구간의 양단부에 압입구간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견착단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이격된 힌지부재의 힌지공에 축부재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이격공간에 위치된 축부재의 압입구간에 후크부를 압입하면, 압입구간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견착단은 축부재의 압입구간에 압입되어진 후크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견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힌지부재의 힌지공에 관통되게 설치된 축부재는 후크부와의 견착에 의해 이탈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조립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축부재와, 이 축부재의 압입구간에 탄성 압입되는 후크부는 상호 다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조립구조.
KR1020090118667A 2009-12-02 2009-12-02 안경테용 조립구조 KR10115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67A KR101150917B1 (ko) 2009-12-02 2009-12-02 안경테용 조립구조
PCT/KR2010/002414 WO2011068289A1 (ko) 2009-12-02 2010-04-19 안경테용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67A KR101150917B1 (ko) 2009-12-02 2009-12-02 안경테용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080A true KR20110062080A (ko) 2011-06-10
KR101150917B1 KR101150917B1 (ko) 2012-05-29

Family

ID=4411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667A KR101150917B1 (ko) 2009-12-02 2009-12-02 안경테용 조립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0917B1 (ko)
WO (1) WO2011068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84061T3 (es) * 2017-02-17 2021-12-10 M Group S A R L Anteojos con bisagra sin tornillos
FR3085493A1 (fr) * 2018-08-28 2020-03-06 Special'eyes Distribution Charniere d'une monture de lunettes
CN109975993A (zh) * 2019-04-03 2019-07-05 厦门雅瑞实业有限公司 一种无螺丝眼镜铰链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1828B (de) * 1993-01-15 1996-12-27 Silhouette Int Gmbh Scharniergelenk zwischen einem bügel und einem bügelbacken eines brillengestells
JP3145349B2 (ja) * 1997-12-26 2001-03-12 株式会社小林 眼鏡部品の連結構造
KR200174219Y1 (ko) * 1999-09-14 2000-03-15 채인 안경
JP2003156717A (ja) * 2001-11-21 2003-05-30 Foo System Kk 眼鏡のネジ無し蝶番機構
JP2003279901A (ja) * 2002-03-22 2003-10-02 Mitamura Noriaki 眼鏡の丁番構造
KR20050087607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아이원프리시즌 안경테용 프런트 힌지 제조 방법
US7029115B2 (en) * 2004-03-19 2006-04-18 Michael Toulch Rimless eyeglasses
KR20080054516A (ko) * 2006-12-13 2008-06-18 강석원 조립식 힌지를 갖는 합성수지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917B1 (ko) 2012-05-29
WO2011068289A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917B1 (ko) 안경테용 조립구조
US11014502B2 (en) Insert-molding of lens into rear view mirror housing
EP3994518B1 (fr) Procédé d'habillage d'un élément primaire pour des lunettes optiques avec des organes primaires moulés à base de particules de liège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KR200453038Y1 (ko)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KR100616031B1 (ko)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힌지부 보강구조
KR20130002469U (ko) 플라스틱 안경테
KR200469057Y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KR200490521Y1 (ko) 무용접 경첩을 갖는 안경다리
KR20190016652A (ko)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CN114212037B (zh) 一种扰流板侧装饰件安装结构
KR102617134B1 (ko) 안경다리 힌지 조립체
KR101947183B1 (ko) 자동차의 글라스런 구조
JP3738348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樹脂製ツ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81367Y (zh) 一种易于装配的眼镜结构
KR101843071B1 (ko) 압입 조립형 경첩
KR101926870B1 (ko) 자동차의 글라스런 구조
KR2011002673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1520616B1 (ko) 프레임 안경테
CN101539670B (zh) 眼镜铰链的组装元件,眼镜铰链及相关的组装方法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KR20110117849A (ko) 금속안경의 힌지 제조방법 및 그 힌지
JP3093830U (ja) 雄コマ部の構造及びそれを使用した眼鏡用丁番
KR20110004203U (ko) 금속재 미미를 끼워서 조립하는 플라스틱 안경테
KR200315007Y1 (ko)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