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469U - 플라스틱 안경테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469U
KR20130002469U KR2020110009198U KR20110009198U KR20130002469U KR 20130002469 U KR20130002469 U KR 20130002469U KR 2020110009198 U KR2020110009198 U KR 2020110009198U KR 20110009198 U KR20110009198 U KR 20110009198U KR 20130002469 U KR20130002469 U KR 201300024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pectacle frame
fastening
join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
Priority to KR2020110009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469U/ko
Publication of KR20130002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스틱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이 형성되는 좌우 측 링과, 상기 좌우 측 링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링의 내측에 형성되는 코받침부와, 상기 링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프론트와; 상기 프론트에 형성된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부을 통해 장착되어 접혀지는 안경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안경다리와 연결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는 체결면과, 상기 체결면의 양단에 돌출되어 서로 나란하게 대칭되도록 형성된 체결판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판에는 상기 체결부를 상기 조인트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안경테 {PLASTIC SPECTACLES}
본 고안은 플라스틱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다리를 별도로 형성되는 연결수단을 통해 안경테에 장착함으로써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강도를 높여주고, 안경테의 제조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로 많이 만들어진다. 플라스틱의 경우는 사출성형을 통해 안경테의 프론트를 완성하고 금속제의 경우는 사출성형이나 단조를 이용하여 프론트를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프론트에 안경다리를 장착하여 안경테를 완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론트에 안경다리를 장착할때 프론트의 양끝단에 힌지어셈블리를 형성시키고 힌지어셈블리에 안경다리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안경테를 완성시킨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안경테의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1-0062080호에는 안경테와 일체로서 형성된 힌지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고정장착시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결합에 따르면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힌지어셈블리부분의 강도가 약해 안경테가 잘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출성형을 통한 안경테의 제조시 금형을 제작할 때 힌지어셈블리부분의 제작이 어려워 사출성형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시 안경테와 일체로서 형성된 힌지어셈블리를 이용함이 없이 안경테의 외측에 별도의 연결수단을 직접연결하고 안경다리를 연결수단을 통해 안경테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강도를 높이고, 사출성형시 안경테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이 형성되는 좌우 측 링과, 상기 좌우 측 링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링의 내측에 형성되는 코받침부와, 상기 링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프론트와; 상기 프론트에 형성된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부을 통해 장착되어 접혀지는 안경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안경다리와 연결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는 체결면과, 상기 체결면의 양단에 돌출되어 서로 나란하게 대칭되도록 형성된 체결판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판에는 상기 체결부를 상기 조인트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체결부)을 별도로 둠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 안경테는 상기 조인트부에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관통홀의 개수는 결합강도와 안경테의 외부디자인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안경테는 상기 볼트가 수나사형 볼트와 암나사형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조인트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나사형볼트는 외측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형볼트는 내측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 수나사형볼트가 암나사형볼트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스크류결합하여 안경테와 체결부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 안경테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장착되기 위해 상기 체결판사이의 거리가 상기 조인트부의 두께에 맞취지고,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의 일측을 이루는 결합부가 상기 조인트부에 결합 고정될때 상기 체결부의 양끝단에 형성된 상기 체결판이 고정면으로서의 역할을 하게되므로 본 고안의 경우 상기 체결판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되고, 또한 체결판의 외부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안경테의 외부디자인을 유행에 맞추어 제작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플라스틱 안경테는 안경테의 외측에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 고정시키는 힌지어셈블리를 안경테와 일체로 형성함이 없이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별도로 형성되는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강도를 높여주고, 안경테의 제조가 용이해지도록 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의 프론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부와 체결부의 체결구조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안경테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10)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안경테 프론트(10)는 다양한 재료를 통해 가공할 수 있다. 안경테의 재료로는 플라스틱재료나 금속재료가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절삭가공이나 사출성형을 통해 안경테를 생산하게 된다.
절삭가공의 경우 MC(Maching Center)가공을 이용하여 평판을 가공하게 되는데 안경테의 재료가 되는 평판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의 안경프론트(10)를 그려넣으면 절삭가공기계에 의해 원하는 모양의 프론트(10)가 형성되게 된다. 만일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안경테를 생산하게 되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조인트부(200)에 관통홀(205)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통홀(205)은 상기 조인트부(200)의 전면과 배면에 형성되어있고 상기 관통홀(205)의 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체결부(500)는 일측이 결합부(501)로 되어 있고 타측이 힌지부(507)로 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501)와 상기 힌지부(507)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01)는 서로 동일한 모양이 대칭되도록 서로 마주보며 수평하게 체결판(503)이 형성되어 있고 마주보는 체결판(503)과 체결판(503)사이의 양끝 중 일측에 상기 체결면(505)이 상기 체결판(503)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체결면(505)에 반대방향으로 대응되는 면은 개방된 형태를 띠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부(500)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자 형태를 띠게 된다.
따라서 `ㄷ`자 형태를 띤 상기 체결부(500)의 체결판(503)과 체결판(503)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안경테의 상기 조인트부(200)가 삽입 되게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조인트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부(200)의 두께에 맞추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판(503)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체결판(503)이 상기 조인트부(200)를 감싸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판(503)은 안경테의 외부형상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체결판(503)의 모양을 다양하게 제조함으로써 안경테의 외부디자인을 유행에 따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판(503)의 면적을 보다 넓게 제작하여 상기 체결판(503)과 상기 조인트부(200)의 접착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513)의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안경테를 오랜기간 착용하는 경우 안경테와 안경다리(513)가 쉽게 절단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판(503)에는 다수개의 결합홀(50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50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안경테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제작자의 의도에 맞는 디자인을 창출하기 위해 단일의 결합홀(502)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복수의 결합홀(502)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부(200)와 체결부(500)의 체결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경테의 프론트(10)에 형성된 조인트부(200)에는 상기 체결판(503)과 고정되기 위해 상기 체결판(503)에 형성된 결합홀(502)의 위치와 개수에 맞게 관통홀(2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10)의 조인트부(200)에 상기 체결부(500)를 결합 고정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205)과 상기 결합홀(502)의 일측을 몸통의 외측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수나사(201)가 관통하고 타측에는 몸통의 내측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암나사(203)가 관통하여 수나사(201)가 암나사(203)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스크류결합함으로써 상기 체결부(500)가 안경테의 프론트(10)에 결합 고정되게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500)는 상기 체결면(505)의 중앙에 상기 힌지부(507)가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힌지부(507)에 안경다리(513)가 연결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힌지부(507)의 일측은 상기 체결면(505)과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끝단에 제1힌지부재(50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경다리(513)의 끝단에도 상기 제1힌지부재(508)에 결합 고정되도록 상기 제1힌지부재(508)의 모양에 대응되는 제2힌지부재(5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재(508)는 상하가 원통모양으로 관통되어 있고 외측면은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부재(508)의 중앙은 상기 안경다리(513)의 제2힌지부재(511)에 형성된 연결홀이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힌지부재(511)에는 제1힌지부재(508)의 중앙에 형성된 개방면에 삽입되어 볼트등의 연결부재(509)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안경다리(513)가 상기 힌지부(507)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홀은 상기 개방면의 상부와 하부의 거리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내부가 원형의 빈공간을 갖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은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부재(511)는 상기 제1힌지부재(508)의 외측면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형성되어있고 중앙에 연결홀이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힌지부(507)의 끝단에 형성된 제1힌지부재(508)와 상기 안경다리(513)의 끝단에 형성된 제2힌지부재(511)를 볼트를 이용하여 스크류결합함으로써 상기 체결부(500)에 상기 안경다리(513)가 결합되게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안경테는 상기 체결부(500)의 일측인 결합부(501)가 안경테의 외측면의 양끝단에 형성된 조인트부(200)와 결합 고정되고 또한 상기 체결부(500)의 타측인 힌지부(507)에 안경다리(513)가 결합 고정됨으로써 본 고안인 안경테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완성된다.
일반적으로 안경테와 안경다리(513)를 연결하는 경우 안경테의 프론트(10)의 외측에 안경테와 일체로서 형성된 힌지어셈블리를 형성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513)를 연결한다. 그러나 안경테의 제조를 위한 사출성형시 힌지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은 상당히 정밀한 작업을 요구하게 되어 안경테의 제조에 어려움이 많았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경테의 외측에 힌지어셈블리를 형성시키지 않고 안경테와 안경다리(513)를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수단인 체결부(500)를 두어 안경테와 안경다리(513)를 연결함으로써 전체 안경테의 제조가 상당히 용이해지도록 하였고 또한 체결부(500)와 안경테의 접착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안경테와 안경다리(513)의 결합강도가 높아지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 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프론트 100: 링
101: 렌즈 장착홈 200; 조인부트
201: 수나사 203: 암나사
300: 브릿지 400: 코받침부
500: 체결부 501: 결합부
502: 결합홀 503: 체결판
505: 체결면 507: 힌지부
508: 제1힌지부재 509: 연결부재
511: 제2힌지부재

Claims (4)

  1.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이 형성되는 좌우 측 링과, 상기 좌우 측 링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링의 내측에 형성되는 코받침부와, 상기 링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조인트부로 구성되는 프론트와; 상기 프론트에 형성된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부을 통해 장착되어 접혀지는 안경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에 상기 안경다리와 연결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힌지부에 고정되는 체결면과, 상기 체결면의 양단에 돌출되어 서로 나란하게 대칭되도록 형성된 체결판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판에는 상기 체결부를 상기 조인트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수나사형 볼트와 암나사형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조인트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인트부에 장착되기 위해 상기 체결판사이의 거리가 상기 조인트부의 두께에 맞취지고,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

KR2020110009198U 2011-10-17 2011-10-17 플라스틱 안경테 KR201300024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98U KR20130002469U (ko) 2011-10-17 2011-10-17 플라스틱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98U KR20130002469U (ko) 2011-10-17 2011-10-17 플라스틱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69U true KR20130002469U (ko) 2013-04-25

Family

ID=5242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98U KR20130002469U (ko) 2011-10-17 2011-10-17 플라스틱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46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02B1 (ko) * 2013-07-26 2014-09-12 주식회사 베니스엔터프라이즈 안경
EP3615991A4 (en) * 2017-09-15 2021-03-10 Thinoptics Inc. ULTRA-THIN GLASSES
US11579467B2 (en) 2017-09-15 2023-02-14 Thinoptics, Inc. Ultra thin folding glasses and storage device
US11899282B2 (en) 2018-06-21 2024-02-13 Thinoptics, Inc. Ultrathin eyeglass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02B1 (ko) * 2013-07-26 2014-09-12 주식회사 베니스엔터프라이즈 안경
EP3615991A4 (en) * 2017-09-15 2021-03-10 Thinoptics Inc. ULTRA-THIN GLASSES
US11579467B2 (en) 2017-09-15 2023-02-14 Thinoptics, Inc. Ultra thin folding glasses and storage device
US11899282B2 (en) 2018-06-21 2024-02-13 Thinoptics, Inc. Ultrathin eyegla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469U (ko) 플라스틱 안경테
KR101771520B1 (ko)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KR200454400Y1 (ko) 안경테의 조립식 경첩돌기 형성구조
KR200442282Y1 (ko) 안경용 조립식 힌지
KR20100089297A (ko)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KR101036432B1 (ko) 수지재 안경테의 조립구조
KR20110005468U (ko) 합성수지안경테의 안경코받침기둥 결합구조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EP2543500A1 (en) Spectacles frame using a celluloid plat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70005593A (ko) 안경테
KR200490521Y1 (ko) 무용접 경첩을 갖는 안경다리
ITVI20000132A1 (it) Occhiale con lenti del tipo senza montatura
KR20100012895U (ko) 목재 안경다리의 금속재 경첩부 결합구조
KR101580588B1 (ko) 안경 프론트
KR200425038Y1 (ko) 일체형 코 받침(통 코)을 결합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안경테.
KR20110117849A (ko) 금속안경의 힌지 제조방법 및 그 힌지
KR20180089713A (ko) 안경테 제조방법
KR200463356Y1 (ko) 힌지 기능과 탈부착 기능을 가지는 안경다리 연결장치
KR200466884Y1 (ko) 다리교환이 용이한 안경다리 연결장치
KR20140099632A (ko) 탄성연결부재가 일체 구성되는 금속안경테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테
KR101505784B1 (ko) 결속이 용이한 코 패드가 구비된 안경
CN203941351U (zh) 一种无框眼镜
KR102639369B1 (ko) 부피 절감 구조를 가지는 안경테
KR200467559Y1 (ko)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