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20B1 -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520B1
KR101771520B1 KR1020157033468A KR20157033468A KR101771520B1 KR 101771520 B1 KR101771520 B1 KR 101771520B1 KR 1020157033468 A KR1020157033468 A KR 1020157033468A KR 20157033468 A KR20157033468 A KR 20157033468A KR 101771520 B1 KR101771520 B1 KR 10177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frame
socket
lens frame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008A (ko
Inventor
비숍 요하임
Original Assignee
비숍 요하임
정 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숍 요하임, 정 무인 filed Critical 비숍 요하임
Publication of KR2016002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그중 렌즈 고정에 쓰이는 2개의 고정부을 가지는 렌즈테가 설치되고, 렌즈테의 각 고정부 부근에는 각기 안경다리와의 연결부가 설치되며, 안경다리는 렌즈테와 연결되는 쪽으로부터 렌즈테와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되고 안경다리는 연결부에 고정되어 접어질 수 있으며, 첫 번째 말단위치에서 렌즈테와 거의 평행되게 연장되며, 두 번째 렌즈테 위치에서 렌즈테의 뒤쪽으로 연장된다. 조립 절차를 간략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에는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지는 비원형, 우선적으로는 사각형 연결판(22)이 설치된다. 첫 번째 연결판(22)의 바깥쪽에는 원형 단면의 홈이 패어진 소켓(40)이 회전되지 않게끔 설치된다. 연결부와 연결되는 안경다리의 첫 번째 말단은 소켓(40)에 위치함과 동시에 연결부를 중심으로 180°이상 회전이 가능한 고정 헤드(30a)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EYEGLASSES FRAME, OPTICAL FRAME USED IN EYEGLASSES FRAME AND METHOD FOR MOUNTING EYEGLASSES FRAME}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경테, 청구항 11에 기재된 안경테에 설치되는 렌즈테, 청구항 12에 기재된 안경테에 포괄되는 안경알, 청구항 13에 기재된 안경테 조립방법과 청구항 14에 기재된 전기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판되고 있는 안경테는 폼목이 아주 많지만, 그 구조는 거의 같다. 안경테에 안경알을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부분이 설치되고, 안경다리는 접어지게끔 고정부에 고정되며, 안경다리의 접이방식은 각 안경다리가 첫 번째 말단 위치에서 안경테와 거의 평행되고, 두 번째 말단 위치에서 안경테와 거의 수직된다. 즉 수직되게 뒤쪽으로 연장된다. 고정부 외에도 안경테에는 연결부에 고정되는 안경다리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각 연결부에는 안경다리에 대해 지탱역할을 함과 동시에 접어지게 하는 힌지가 고정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안경테와 2개의 안경다리는 각기 단독적인 부품으로 제작되는바 주로 반자동 방법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 반자동방법은 비교적 번거러워 최종적으로는 수공 연결이 필요하기에 자동연결을 실현하기 어렵고, 힌지의 제조와 설치가 수요된다. 그리고 마지막 조립후 아주 작은 나사를 고정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며, 그 조립이 간단하고 나사고정이 전혀 필요없게 된다. 이 밖에도 사용되는 부품의 성형을 될수록 간단하게 함으로써, 원가가 저렴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경테로 상기문제를 해결하며, 우선적으로는 청구항 10에 소개된 조립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적어도 2개 연결부(일반적으로 2개) 중의 하나의 연결부에는 아래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비원형 우선적으로는 사각형 단면의 연결판이 설치되고, 연결판의 바깥측은 홈이 패어진 원형 단면의 소켓이 회전되지 않게끔 설치되며, 소켓에는 안경다리의 연결부가 고정된다.
기타 장점으로는 연결부의 홈의 오픈 부분은 위로 향하므로 고객이 조심하지 않아 분해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우선적으로 소개되는 조립방법은 아주 간단하게 안경다리를 연결부에 조립할 수 있다. 우선 소켓을 안경다리의 연결부에 넣고 이 상태에서 소켓을 연결판에 끼워 넣는다. 소켓의 홈의 오픈부분이 위를 향하게 하고 안경다리의 고정측을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향해 첫 번째 고정부에 밀어 넣어, 안경다리(또는 적어도 연결부와 직접 연결되는 부품)의 방향이 앞으로 앞쪽을 향하게 한다. 그 후 다음 절차에서 안경다리를 뒤쪽으로 돌려놓고 우선적으로는 고정부 주위의 안경알 고정테 부위를 뚫고 지나가게 하며, 안경다리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한다.
안경다리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기 위하여(현재 시판의 안경테와 흡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회전각도를 기본적으로 90°로 함), 청구항 5에 기재된 첫 번째 연결판의 인근 부위에 외측 연결판을 설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선적인 실시예 안경테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첫 번째 조립절차중의 일부분의 안경테로서, 소켓과 안경다리의 고정부이다.
도 3은 도 2의 두 번째 조립절차이다.
도 4는 도 3의 세 번째 조립절차로서, 안경테부분은 생략했음.
도 5는 도 4의 네 번째 조립절차이다(안경테 전체도)
도 6은 도 4의 다섯 번째 조립절차이다.
도 7은 조립이 완성된 안경테(도 1과 같음)로서, 도 5와 같은 부분의 안경테는 표시되지 않았음.
도 8은 도 7중 D의 세부도이다.
아래에 사용되는 정의: 안경테의 지탱각도로 보는 “앞”, “뒤”, “좌”, “우”, “상”, “하”를 확정 짓는다. 특히 “앞”이란 머리와 먼 위치를 말하고, “뒤”란 머리와 가까운 위치를 말한다. 이러한 정의는 도면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도면들은 모두 같은 시각, 즉 앞으로부터 뒤로의 경사진 각도로 안경테를 표시하였다.
도 1의 안경테 구조에 표시된 바에 의하면, 기타 안경테와 같이 안경테(10)는 렌즈테(12)와, 이 렌즈테(12)의 바깥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안경다리(30, 32)가 포함된다. 안경다리(30, 32)는 각기 렌즈테(12)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렌즈테(12)와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된다.
우선적으로는 NXT구조형식을 사용한 렌즈테(12)는 좌측과 우측에 2개의 고정부(14, 16)가 각각 설치된다. 좌측 고정부(14)는 좌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4a)를 형성하고, 우측 고정부(16)는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를 형성한다. 도면에 표시된 구조예에 있어,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는 그 둘레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바, 이는 기계적 강도의 각도로부터 출발하여 선택한 우선적인 구조이기는 하나, 꼭 폐쇄된 구조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는 아래를 향해 오픈식(반테 안경)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는 중간판(1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의 바깥쪽에는 연결부(20, 20’)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우선적으로는 전체적인 구조로 설계되어, 안경다리(30, 32)는 연결부(20, 20’)에 접어지게끔 고정시킨다.
기타 안경테와 같이, 본 발명의 안경테(10)도 중심면에 대해 대칭구조를 이루며, 즉 2개의 연결부(20, 20’)도 대칭을 이룬다. 이 구조는 우선적인 구조로서, 꼭 이런 구조를 취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렌즈테(12)와 안경다리(30, 32)의 연결구조로서, 연결부(20), 안경다리 고정부(30a)의 구조 및 연결부(20)와 안경다리 고정부(30a) 사이의 소켓(40)으로 구성된다.
우선, 연결부(20)에 있어, 연결부(20)에는 아래로부터 위로의 연결판이 하나씩 설치되고 특히 첫 번째 연결판(22)과 두 번째 연결판(24)이 설치된다. 2개 연결판(22, 24)의 말단은 프리로 설계된 것이 아니라, 렌즈테(12) 에어리어 내에 폐쇄 연결되며, 2개의 연결판(22, 24) 사이에는 완전히 폐쇄된 사각형 단면의 구멍(26)을 구성한다.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와 첫 번째 연결판(22) 사이에는 오픈구멍(28)이 설치되고, 안경다리(30)는 직접 이 오픈구멍(28)을 통해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에 들어갈 수 있으나, 오픈구멍(28)은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오픈구멍(28)은 안경다리(30)의 고정에 사용되지, 안경알 고정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첫 번째 연결판(22)의 단면은 원형을 사용하지 않고 우선적으로는 사각형을 사용한다. 구조예 중 우선적인 사각형 단면 길이는 I, 넓이는 b이다.(도 4 참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40)은 개방된 홈(42)을 갖는 원주형의 부품으로서, 홈(42)을 제외한 둘레의 단면은 원형이다. 홈(42)은 소켓(40)의 중심부를 향해 내부로 연장되며, 그 길이와 넓이는 첫 번째 연결판(22)의 단면길이 및 넓이와 일치한다. 이 밖에도 소켓(40)의 길이도 첫 번째 연결판(22)의 길이와 일치한다.
안경다리(30)는 막대형으로서, 첫 번째 끝에 안경다리 고정부(30a)를 형성하되, 그 모양은 4분의 3이 중공인 원주형 구조를 이루고, 횡단면의 4분의 3원을 구성하며, 그 내경은 소켓(40)의 외경과 거의 일치한다. 안경다리 고정부(30a)의 4분의 3이 중공인 원주형의 길이(높이라 해도 됨)는 소켓(40)의 길이와 거의 일치한다.
구조예에 표시된 안경다리(30)는 부품 중의 하나로서, 우선적으로는 견고한 탄성자재,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작된다. 이와 동시에 도면에 표시된 안경다리(30)는 안경다리 고정부(30a)를 핵심부분으로 구성하며, 안경다리(30)의 뒷부분을 플라스틱 소켓 또는 흡사한 자재에 끼우고, 또는 후속 작업절차 중 안경다리(30)의 일부분에 플라스틱 코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안경다리(30) 에어리어는 상대적으로 짧은 고정부로 만들 수도 있고, 기타 작업절차를 통해 고정부에 뒷쪽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적인 목적은 부품수량이 적고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안경다리(30)는 안경다리 고정부(30a)와 일체식 구조를 사용한다.(도면을 참조)
도면에 표시된 3개의 부품은 조립이 아주 간단하다. 우선 소켓(40)을 축방향을 따라 안경다리 고정부(30a) 안에 끼워 넣는 동시에, 우선적으로 안경다리 고정부(30a) 안의 소켓(40)이 가볍게 로킹(도 3)되는 사이즈를 사용한다. 현재 뒤로부터 앞으로 소켓(40)과 안경다리 고정부(30a)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첫 번째 연결판(22) 안에 밀어넣고, 이 절차가 끝난 다음, 첫 번째 연결판(22)은 소켓(40)의 홈(42) 중에 위치된다. 조립 중 안경다리(30)는 오픈구멍(28) 또는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를 통과한다.(도 4 참조)
현재 도 5와 같이, 안경다리(30)는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를 통과하여 접어지게 하며, 도면에 표시된 구조예 중의 안경다리(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자재를 사용하여, 안경다리(30)가 렌즈테(12)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게 한다. 즉, 안경다리(30)는 렌즈테(12)의 외측 방향에서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를 통과하여 렌즈테(12)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도 5, 6, 7 참조)
이런 상태에서 안경알을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16a)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8에 표시된 상세와 같이, 현재 안경다리(30)를 연결부(20)의 첫 번째 연결판(22)에 고정시킨다. 왜냐하면, 소켓(40)의 홈(42)의 개방된 부위와 안경다리 고정부(30a)는 같은 에어리어에 속하지 않고, 안경다리(30)는 렌즈테(12)의 내측 방향으로 90°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도 7은 안경다리가 렌즈테의 외측 방향으로 90°회전). 소켓(40)의 외부 단면은 원형이고 안경다리 고정부(30a)의 내부단면도 원형이기 때문에 서로 간 회전이 가능하다. 소켓(40)은 첫 번째 연결판(22)에 고정되고 첫 번째 연결판(22)의 단면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는 회전이 불가능하다. 안경다리(30)는 연결부(20)에 연결된 후 렌즈테(12) 외측 방향으로의 회전각도는 두 번째 연결판(24)에 의해 제한된다.(도 8을 참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같은 방법으로 연결부(20’)와 안경다리(32)를 조립한다.
구조예 중의 렌즈테(12)는 단일체 구조로서, 특히 NXT구조를 사용한다. 첫 번째 연결판(22)은 따로 제작하여 렌즈테(12)의 연결부(20, 20’)에 고정시켜도 된다. 첫 번째 연결판(22)의 자재로는 우선적으로 스테인리스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전체가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 렌즈테(12)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타 구조형식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안경다리(30, 32)의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를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단면을 사용한다. 이 밖에도 첫 번째 연결판(22)의 횡단면의 장변은 각기 좌측과 우측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방식으로 소켓(40)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끼워 넣는다.(도 3, 4 참조)
기타 디자인의 구조도 사용할 수 있다.
10: 안경테 12: 렌즈테
14: 좌측 고정부 14a: 좌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
16: 우측 고정부 16a: 우측 안경알 고정 에어리어
18: 중간판 20,20’: 연결부
22: 첫 번째 연결판 24: 두 번째 연결판
26: 구멍 28: 오픈구멍
30, 32 : 안경다리 30a, 32a: 안경다리 고정부
40: 소켓 42: 홈
44: 외벽 b: 넓이
I: 길이

Claims (14)

  1. 2개의 안경알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좌측 고정부(14)와 우측 고정부(16)를 가지는 렌즈테(12)를 포함하되, 좌측 고정부(14) 및 우측 고정부(16)의 바깥쪽에는 각기 안경다리(30, 32)를 연결하는 연결부(20, 20’)가 설치되고, 안경다리(30, 32)는 연결부(20, 20’)에 연결되어 렌즈테(12)에 대해 일정각도로 벌어지거나 중첩되도록 절첩되는 구조를 가지며,
    연결부(20, 20’)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에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수직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첫 번째 연결판(22) 및 두 번째 연결판(24)이 설치되되, 첫 번째 연결판(22)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첫 번째 연결판(22) 및 두 번째 연결판(24) 사이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구멍(26)이 형성되며, 첫 번째 연결판(22)에는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 방향으로 개방되는 오픈구멍(28)이 형성되고,
    첫 번째 연결판(22)에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홈(42)을 갖는 원주형의 소켓(40)이 연결되되, 소켓(40)은 렌즈테(12)의 내측 방향에서 첫 번째 연결판(22)과 연결되어 회전 방지되며,
    안경다리(30, 32)는 그 일단부에 소켓(40)이 끼움 결합되도록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가 형성되되, 소켓(40)은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에 결합된 후 첫 번째 연결판(22)에 연결되고, 안경다리(30, 32)는 렌즈테(12)의 외측 방향에서 소켓(2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로 통과되어 렌즈테(12)의 내측에 배치된 후 연결부(20, 20’)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는 둘레의 일부가 개방되는 원주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켓(40)은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에 결합된 상태에서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의 개방부로 노출되는 홈(42)을 매개로 첫 번째 연결판(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안경다리(30, 3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9. 제 1항에 있어서,
    렌즈테(12)는 NXT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 제 2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한 안경테의 조립방법으로서,
    a) 소켓(40)을 안경다리(30, 32)의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b) 안경다리(30, 32)를 렌즈테(12)의 외측 방향에 위치시키고 소켓(40)을 렌즈테(12)의 내측 방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소켓(40)의 홈(42)을 안경다리 고정부(30a, 32a)의 개방부로 노출시켜 첫 번째 연결판(22)에 끼움 연결하는 단계; 및
    c) 안경다리(30, 32)를 렌즈테(12)의 외측 방향에서 소켓(2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좌측 및 우측 고정부(14, 16)로 통과시켜 렌즈테(12)의 내측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조립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안경다리(30, 32)가 렌즈테(12)의 내측에 배치된 후 좌측 고정부(14) 및 우측 고정부(16)에 안경알을 끼움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조립방법.
KR1020157033468A 2013-04-24 2014-04-24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KR101771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7173.9 2013-04-24
DE102013007173.9A DE102013007173B4 (de) 2013-04-24 2013-04-24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rillengestells
PCT/EP2014/001088 WO2014173540A1 (de) 2013-04-24 2014-04-24 Brillengestell, rahmen zur verwendung in einem solchen brillengestell, brill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rillengestells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br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008A KR20160029008A (ko) 2016-03-14
KR101771520B1 true KR101771520B1 (ko) 2017-09-05

Family

ID=5082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468A KR101771520B1 (ko) 2013-04-24 2014-04-24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077358A1 (ko)
EP (1) EP2989501B1 (ko)
KR (1) KR101771520B1 (ko)
CN (1) CN105518518B (ko)
AU (2) AU2014101567A4 (ko)
DE (1) DE102013007173B4 (ko)
SG (1) SG11201508794YA (ko)
WO (1) WO2014173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9970B (en) 2017-09-15 2022-12-21 Thinoptics Inc Ultra thin folding glasses and storage device
EP3615991A4 (en) * 2017-09-15 2021-03-10 Thinoptics Inc. ULTRA-THIN GLASSES
IT201800004951A1 (it) 2018-04-27 2019-10-27 Montatura per occhiali
JP2021534434A (ja) 2018-06-21 2021-12-09 シンオプティクス, インク.Thinoptics, Inc. 極薄眼鏡
US20230093500A1 (en) * 2020-02-25 2023-03-23 Thinoptics, Inc. Ultrathin eyeglasses and case
CA206669S (en) 2021-03-22 2023-09-22 Pair Eyewear Inc Glasses frame
USD1016126S1 (en) 2021-03-22 2024-02-27 Pair Eyewear, Inc. Glasses fram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154B2 (ja) * 1995-09-12 2000-08-07 株式会社寺岡精工 ラベル貼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1379A (en) * 1950-08-23 1954-03-09 Polaroid Corp Ophthalmic mounting
DE19725039C2 (de) * 1997-06-13 1999-06-17 Frank Doerflinger Wechselbügel für Brillengestell
JP3075154U (ja) * 2000-07-25 2001-02-09 伊佐男 兵井 メガネヒンジ
FR2853091B1 (fr) * 2003-03-28 2005-10-07 Claude Birnbaum Lunettes pour tres jeunes enfants
US7121663B1 (en) * 2006-04-19 2006-10-17 Paul Chen Eyeglasses assembly
FR2900477B3 (fr) * 2006-04-28 2008-04-18 Hung Ming Huang Lunettes
FR2923621B1 (fr) * 2007-11-14 2010-06-11 Oxibis Exalto Sas Lunettes du type a articulations sans vis
FR2972273B1 (fr) * 2011-03-01 2013-03-29 Magic Design Project Dispositif d'articulation d'une branche de lunette
CN202083842U (zh) * 2011-06-10 2011-12-21 唐绍昌 一种眼镜铰链及具有该铰链的眼镜
TWI409524B (zh) * 2011-06-30 201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3d眼鏡安全結構
US8414120B2 (en) * 2011-08-02 2013-04-09 Lak Cheong Eyeglass frame, an eyeglass hinge,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hinge for an eyeglass frame
TWM446910U (zh) * 2012-04-09 2013-02-11 Treasia Design Co Ltd 眼鏡及其絞鍊結構
CN202661736U (zh) * 2012-04-28 2013-01-09 李蓬乾 用于连接眼镜脚与眼镜圈的眼镜铰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154B2 (ja) * 1995-09-12 2000-08-07 株式会社寺岡精工 ラベル貼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7358A1 (en) 2016-03-17
SG11201508794YA (en) 2015-11-27
CN105518518A (zh) 2016-04-20
EP2989501B1 (de) 2017-04-26
CN105518518B (zh) 2019-04-30
DE102013007173A1 (de) 2014-10-30
AU2014256455A1 (en) 2015-12-10
KR20160029008A (ko) 2016-03-14
EP2989501A1 (de) 2016-03-02
WO2014173540A1 (de) 2014-10-30
AU2014101567A4 (en) 2016-02-04
DE102013007173B4 (de)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20B1 (ko)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US20170160561A1 (en) Rimless eyeglasses
US20150316784A1 (en) Rimless eyeglasses
KR10160945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9298018B2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7002557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004619B1 (ko) 탈,착식 안경경첩
US10739616B2 (en) Detachable spectacle frame
KR20130002469U (ko) 플라스틱 안경테
KR20170140514A (ko) 일반안경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선글라스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KR100888547B1 (ko) 안경
KR200471547Y1 (ko) 디자인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안경의 다리 결합구조
KR20190025220A (ko) 안경테 조립구조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CN109239941B (zh) 一种新型无框眼镜
KR101618193B1 (ko) 안경테
KR101447808B1 (ko) 안경용 장석 구조체
KR101432653B1 (ko) 원피스형 3d 안경테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170000089U (ko) 안전안경 사이드쉴드 결합구조
KR20150109895A (ko) 안경테의 결합구조체
KR10141757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70011742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