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808B1 - 안경용 장석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경용 장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808B1
KR101447808B1 KR1020130026709A KR20130026709A KR101447808B1 KR 101447808 B1 KR101447808 B1 KR 101447808B1 KR 1020130026709 A KR1020130026709 A KR 1020130026709A KR 20130026709 A KR20130026709 A KR 20130026709A KR 101447808 B1 KR101447808 B1 KR 101447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yeglass
seating groove
fastening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237A (ko
Inventor
황순광
Original Assignee
황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광 filed Critical 황순광
Priority to KR102013002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80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1) 상에 안경다리(2)를 결합하기 위한 장석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 연통되는 체결공(11)을 구비하는 안착홈(10); 상기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대응되게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관통공(21) 상에 볼트(23)를 통해 체결 고정되며, 안착홈(10) 상에서의 고정력이 향상되게 상하면에 돌부(25)를 더 구비하는 고정편(20); 및 상기 고정편(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다리(2)를 체결하도록 통공(31)을 구비하는 지지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보다 원활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잦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도 안경으로부터 느슨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용 장석 구조체{A coupler for hoopless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용 장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보다 원활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잦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도 안경으로부터 느슨함을 방지하는 안경용 장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직접 혹은 간접적인 원인으로 인한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굴절이상을 교정하여 사물을 보다 선명하게 보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안경에 사용되는 안경테와 다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과 수지를 복합한 다양한 안경테와 다리를 공급한다. 이러한 안경은 장석을 통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고정됨과 동시에 안경다리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잦은 안경다리의 회동으로 인하여 장석이 헐거워져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3301호에 따르면, ‘박판의 금속 또는 비철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렌즈(30)가 선택적으로 장착이 용이하도록 2중으로 구성되는 전, 후면 안경테(10,20)와, 상기 전, 후면 안경테에 힌지(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외측표면부(42)와 내측표면부(43) 2중의 안경다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안경구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안경구조는 장석이 단순히 체결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안경테 상에 체결되어 회동가능한 안경다리가 헐거워져 수리를 하거나 안경 자체를 교체해야함으로 비용이 과도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9-0003301호 “2중 안경구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보다 원활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잦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도 안경으로부터 느슨함을 방지하는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안경테 상에 안경다리를 결합하기 위한 장석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 연통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체결공과 대응되게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의 체결공과 관통공 상에 볼트를 통해 체결 고정되며, 안착홈 상에서의 고정력이 향상되게 상하면에 돌부를 더 구비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다리를 체결하도록 통공을 구비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홈은 고정편이 외부에 노출되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보다 원활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잦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도 안경으로부터 느슨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고정편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장석 구조체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안경용 장석 구조체에 관련되며, 안착홈(10), 고정편(20), 지지편(3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홈(10)은 상기 안경테(1)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 연통되는 체결공(11)을 구비한다. 안착홈(10)은 상술한 안경테(1)의 양측 내부에 수평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10)에는 상부로 관통되는 체결공(11)을 구비하는 바, 체결공(11)은 개수를 한정하지 않지만, 지지력이 확보되어야 함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20)은 상기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대응되게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관통공(21) 상에 볼트(23)를 통해 체결 고정된다. 고정편(20)은 상술한 안착홈(10) 상에 수용되어 안경테(1)와 장석의 고정편(20)이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편(20)이 안착홈(10) 상에 수용된 상태로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고정편(20)의 관통공(21)이 일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볼트(23)를 통하여 체결공(11) 상에 삽입하여 고정편(20)의 관통공(21)을 체결하여 고정편(20)이 안착홈(1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면서 체결 고정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지편(30)은 상기 고정편(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다리(2)를 체결하도록 통공(31)을 구비한다. 지지편(30)은 상술한 고정편(20)의 후단부에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안경다리(2)와 체결하여 상기 안경다리(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통공(31)이 형성된다. 도면 상에는 지지편(30)이 고정편(2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통공을 형성하였지만, 안경다리(2)에 따라 체결이 가능하게 2단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착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안착홈(10)은 고정편(20)이 외부에 노출되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연장되는 절개부(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부(15)는 상술한 안착홈(10)이 안경테(1)의 내면 상에 형성되었던 것을 안경테(1)의 전면까지 절개되도록 하는 것으로 안경테(1)를 전면에서 바라본다면, 안경테(1)의 렌즈수용부(3)까지 절개되는 절개부(15)가 나타난다. 이러한, 절개부(15)는 렌즈수용부(3) 상에 렌즈의 삽입이 용이함과 동시에 고정편(20)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안경테(1)의 심미감이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고정편(20)의 측면 즉, 절개부(15)를 통하여 노출되는 고정편(20)의 측면 상에 장식물을 형성하거나 안경테(1)의 색상과 고정편(20)의 색상을 달리하게 됨으로 대조적인 형태를 통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고정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고정편(20)은 안착홈(10) 상에서의 고정력이 향상되게 상하면에 돌부(2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돌부(25)는 고정편(20)의 상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안착홈(10) 상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고정편(20)의 관통공(21)이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23)를 통해 체결하긴 하지만, 이러한 돌부(25)의 구성을 통하여 고정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돌부(25)가 형성되지 않을 시에는 안착홈(10)의 크기와 고정편(20)의 크기는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고, 돌부가(25)가 형성될 경우 고정편(20)은 안착홈(10)보다 작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물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도 돌부(25)의 높이가 도면 상에 도시된 것처럼 높게 형성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돌부(25)의 경우 고정편(2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고정력을 높이는데 가장 적합하지만,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하나만 형성하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보다 원활하게 체결하여 고정하고, 잦은 안경다리의 회전으로도 안경으로부터 느슨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테 2: 안경다리
10: 안착홈 11: 체걸공
15: 절개부 20: 고정편
21: 관통공 23: 볼트
25: 돌부 30: 지지편
31: 통공

Claims (3)

  1. 안경테(1) 상에 안경다리(2)를 결합하기 위한 장석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부에 연통되는 체결공(11)을 구비하는 안착홈(10);
    상기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대응되게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10)의 체결공(11)과 관통공(21) 상에 볼트(23)를 통해 체결 고정되며, 안착홈(10) 상에서의 고정력이 향상되게 상하면에 돌부(25)를 더 구비하는 고정편(20); 및
    상기 고정편(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안경다리(2)를 체결하도록 통공(31)을 구비하는 지지편(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장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0)은 고정편(20)이 외부에 노출되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연장되는 절개부(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장석 구조체.
  3. 삭제
KR1020130026709A 2013-03-13 2013-03-13 안경용 장석 구조체 KR101447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09A KR101447808B1 (ko) 2013-03-13 2013-03-13 안경용 장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09A KR101447808B1 (ko) 2013-03-13 2013-03-13 안경용 장석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37A KR20140112237A (ko) 2014-09-23
KR101447808B1 true KR101447808B1 (ko) 2014-10-08

Family

ID=5175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709A KR101447808B1 (ko) 2013-03-13 2013-03-13 안경용 장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8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1921U (ko) * 1986-05-09 1987-11-18
KR200436985Y1 (ko) 2007-08-23 2007-10-25 박병수 탈부착 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20090008707U (ko) * 2008-02-25 2009-08-28 안혜종 안경테 조립 구조
KR20090010609U (ko) * 2008-04-15 2009-10-20 황호종 힌지구조가 개선된 안경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1921U (ko) * 1986-05-09 1987-11-18
KR200436985Y1 (ko) 2007-08-23 2007-10-25 박병수 탈부착 기능을 갖는 안경다리
KR20090008707U (ko) * 2008-02-25 2009-08-28 안혜종 안경테 조립 구조
KR20090010609U (ko) * 2008-04-15 2009-10-20 황호종 힌지구조가 개선된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37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309B2 (en) Eyeglass system
US20140340627A1 (en) Eyeglasses enabling quick exchange of lenses
KR101771520B1 (ko)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20120083493A (ko) 안경용 테 및 테를 구성하는 안경
KR10160945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N103777371B (zh) 一种翻转式前挂眼镜的连接件及前挂眼镜
KR101447808B1 (ko) 안경용 장석 구조체
WO2015196834A1 (zh) 眼镜架磁石铰链结构
KR2017002557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110016600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160109818A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의 연결구조
US8851667B1 (en) Eyeglasses with two connection members connected between front and temples
KR101348495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
KR20170140514A (ko) 일반안경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선글라스
KR101992268B1 (ko) 안경테 조립구조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CN210835475U (zh) 一种可拆卸眼镜腿的眼镜结构
US20140333889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060116788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9143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67559Y1 (ko)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