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07U - 안경테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07U
KR20090008707U KR2020080006341U KR20080006341U KR20090008707U KR 20090008707 U KR20090008707 U KR 20090008707U KR 2020080006341 U KR2020080006341 U KR 2020080006341U KR 20080006341 U KR20080006341 U KR 20080006341U KR 20090008707 U KR20090008707 U KR 20090008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e
hinge
assembly structure
frame assembl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810Y1 (ko
Inventor
안혜종
Original Assignee
안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종 filed Critical 안혜종
Priority to KR2020080006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1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 림과, 상기 안경테 림의 양단에 유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템플 및 상기 템플을 상기 안경테 림에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림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일정 체결구를 갖는 센터 힌지암과, 상기 템플의 단부에 형성하되, 상기 센터 힌지암이 개재되기 위한 공간을 중앙에 가지며 소정의 관통구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과 사이드 힌지암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마그네슘 재질이 안경테 림을 사용하더라도, 용접이 필요치 않으며 간단한 방법으로 템플을 림에 고정시킬 수 있다.
Figure 112008034510320-UTM00001
안경테, 림, 체결판, 템플, 힌지, 렌즈, 고정, 조립

Description

안경테 조립 구조{STRUCTURE FOR FABRICATING SPECTACLE FRAME}
본 고안은 안경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접이 불가능한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의 림(rim)에 템플(temple)을 조립하기 위한 안경테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 회복을 위하거나,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더군다나, 최근에는 패션의 일방편을 매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안경테는 일반적으로,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렌즈 고정구를 갖는 림(rim)과, 상기 림의 양단에서 조립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하기 위한 템플(temple)(또는 '안경 다리'라 함)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합성 수지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림부분에 템플을 고정하기 위하여 템플 고정부를 납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시켜왔다.
그러나, 다양화되어가는 안경테 재질의 발달로 인해 용접 공정이 불가능한 안경테가 등장하게 되었다.
본원 출원인이 2007년 11월 6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7-112468호(안경테 제조 방법)는 안경테의 림 재질을 마그네슘으로 형성하였다. 이는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형상 변형성이 뛰어나 각 개인의 얼굴에 맞도록 자유로운 형상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마그네슘으로 제조된 안경테의 림은 종래 기술인 용접등의 방법으로는 템플을 림에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마그네슘으로 제작된 안경테 림에 원활히 템플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경테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그네슘 재질의 림에 고정되더라도 조립성이 우수하도록 구현되는 안경테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안경테 조립 구조에 있어서,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 림과, 상기 안경테 림의 양단에 유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템플 및 상기 템플을 상기 안경테 림에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림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일정 체결구를 갖는 센터 힌지암과, 상기 템플의 단부에 형성하되, 상기 센터 힌지암이 개재되기 위한 공간을 중앙에 가지며 소정의 관통구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과 사이드 힌지암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와 유사한 다른 조립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안경테 조립 구조에 있어서,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 림과, 상기 안경테 림의 양단에 유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템플 및 상기 템플을 상기 안경테 림에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림의 양단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고정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의 돌출된 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템플 고정용 힌지 및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에 고정되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템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마그네슘 재질이 안경테 림을 사용하더라도, 용접이 필요치 않으며 간단한 방법으로 템플을 림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경테 조립 구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안경테(1)는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설치구(21)를 갖는 림(2)과, 상기 림(2)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취부되는 템플(temple)(3)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림(2)의 템플 고정 부분에는 소정의 체결구(23)를 갖는 센터 힌지암(22)이 형성된다. 역시 상기 센터 힌지암(22)의 일측으로 또 다른 체결구(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림(2)의 최외측으로부터 렌즈 설치구(21)까지 횡방향으로 관통되는 일정 폭을 갖는 관통 슬릿(2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관통 슬릿(24)은 상기 센터 힌지암(22)을 양분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렌즈 설치구(21)에 렌즈를 설치할 때, 상기 관통 슬릿(24)을 이용해 설치구(21)의 공간을 확보하고, 렌즈 설치후에는 볼트 등으로 상기 체결구(23)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렌즈가 상기 림(21)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템플(3)의 단부에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암(31, 32)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힌지암(31, 32) 사이에는 공간(33)이 형성되어 상기 림(2)의 센터 힌지암(22)이 상기 사이드 힌지암(31, 32) 사이에 개재되도록 가조립한다. 상기 사이드 힌지암(31, 32)에 역시 관통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통 슬릿(24)에는 플레이트 타입 체결편(4)이 삽입된다. 상기 체결편(4)에는 역시 볼트 관통구(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탬플(3) 의 사이드 힌지암(31, 32) 사이에 림(2)의 센터 힌지암(22)을 가조립한 후, 체결편(4)을 상기 관통 슬릿(24)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체결편(4)의 관통구(41)와 사이드 힌지암(31, 32)의 관통구 및 림(2)의 체결구(23)가 일치되며, 이때, 일정 길이 볼트(5)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편(4)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안경테 조립 구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테(5)의 안경테 림(6)의 양단에는 힌지 삽입홈(6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삽입홈(61)은 상기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 림(6)을 형성할 때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의 힌지 삽입홈(61)에는 소정의 힌지(7)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후 본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7)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7)는 상기 힌지 삽입홈(6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71)와, 템플 고정용 힌지(8)가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7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72)에는 체결구(73)가 형성된다.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8)는 중앙에 공간(83)이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부(81, 82)가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의 결합부(72)를 상기 공간(83)에 삽입 후 소정의 볼트(미도시 됨)에 의해 함께 체결하면 간단히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8)는 금속 재질로써, 차후, 합성 수지 재질의 템플에 인서트 몰 딩(inset molding)되거나, 금속 재질의 템플과 용접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6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구성은 체결편에 두 개의 볼트 관통구가 형성되어 하나의 볼트 관통구는 템플과 함께 안경테의 힌지암에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의 볼트 관통구는 체결편만이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잦은 템플의 유동에 따라 체결편이 흔들릴 수 있으며, 체결편이 단순히 볼트를 관통하여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에 체결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강도가 약한 마그네슘으로 인한 긴밀한 체결력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과 같은 다른 구성을 제안한다.
도 6은 역시 도 1의 구성과 같이,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10)에 데코 기능이 가미된 SUS재질의 체결편(16)이 고정된다. 역시, 상기 안경테(10)의 양단에는 일정 형상의 힌지암(1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암(12)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관통 슬릿 내부(121)에 데코 기능의 체결편(16)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편(16)에는 두 개의 볼트 체결구(164, 165)가 형성되며, 상기 템플 고정용 고정구(13)는 상기 안경테(10)의 힌지암(12)에 별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경테(10)의 힌지암(12)에는 두 개의 볼트 관통구(14, 15)가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의 볼트 관통구(14)는 볼트가 안경테(10)의 상방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볼트 관통구(15)는 볼트가 안경테(10)의 하 방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역시, 상기 볼트 관통구(14, 15)에는 단차를 두어 볼트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1에서와는 달리, 상기 볼트는 상기 마그네슘 안경테(10)의 볼트 관통구(14, 15)를 관통한 후, SUS 재질의 체결편(16)에 체결되어 체결력이 좀더 향상될 수 있다. 이는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10)보다 강도면에서 우수한 SUS 재질의 체결편(16)에 볼트를 체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편(16)을 안경테(10)의 관통 슬릿(121)에 삽입한 후, 볼트 또는 스크류를 상방향에서부터 안경테(10)의 제1볼트 관통구(14)에 관통시킨 후, 체결편(16)의 제1볼트 체결구(164)에 긴밀히 체결시키며, 다른 볼트 또는 스크류를 하방향에서부터 안경테(10)의 제2볼트 관통구(15)에 관통시킨 후, 체결편(16)의 제2볼트 체결구(165)에 긴밀히 체결시키면 오랜 사용 이후에도 데코(체결편)가 안경테(10)에서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안경테 조립 구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안경테 조립 구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6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9)

  1. 안경테 조립 구조에 있어서,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 림;
    상기 안경테 림의 양단에 유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템플; 및
    상기 템플을 상기 안경테 림에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림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일정 체결구를 갖는 센터 힌지암;
    상기 템플의 단부에 형성하되, 상기 센터 힌지암이 개재되기 위한 공간을 중앙에 가지며 소정의 관통구를 갖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암; 및
    상기 센터 힌지암과 사이드 힌지암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렌즈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림의 외측으로부터 렌즈 체결구까지 횡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관통 슬릿을 형성시키되, 상기 관통 슬릿은 상기 림의 체결구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릿에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플레이트 타입 체결판이 개재되며, 상기 체결판과 템플 및 안경테 림은 하나의 볼트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슬릿에는 SUS 재질의 플레이트 타입 체결판이 개재되며, 상기 템플과는 별도로, 한 쌍의 볼트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볼트 중 하나는 상기 안경테 힌지암의 상방향을 관통 슬릿까지 관통한 후, 체결편에 체결되며, 나머지 하나는 안경테 힌지암의 하방향을 관통 슬릿까지 관통한 후, 체결편에 체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6. 안경테 조립 구조에 있어서,
    마그네슘 재질의 안경테 림;
    상기 안경테 림의 양단에 유동 가능하도록 각각 고정되는 템플; 및
    상기 템플을 상기 안경테 림에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림의 양단에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에 일부가 고정되는 힌지;
    상기 힌지의 돌출된 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템플 고정용 힌지; 및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에 고정되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템플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 돌기에서 연장 형성되는 소정의 관통구를 갖는 결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가 개재되는 공간을 갖는 한 쌍의 힌지부를 포함하여, 소정의 볼트에 의해 상기 결합부와 힌지부가 동시에 체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가 금속 재질일 경우,
    금속 재질의 템플은 볼팅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합성 수지 재질의 템플은 상기 템플 고정용 힌지가 인서트 몰딩되는 방식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조립 구조.
KR2020080006341U 2008-02-25 2008-05-15 안경테 조립 구조 KR200448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41U KR200448810Y1 (ko) 2008-02-25 2008-05-15 안경테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82 2008-02-25
KR2020080006341U KR200448810Y1 (ko) 2008-02-25 2008-05-15 안경테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07U true KR20090008707U (ko) 2009-08-28
KR200448810Y1 KR200448810Y1 (ko) 2010-05-24

Family

ID=4130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41U KR200448810Y1 (ko) 2008-02-25 2008-05-15 안경테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1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0Y1 (ko) * 2009-08-21 2011-06-30 이상탁 안경테의 조립식 경첩돌기 형성구조
KR200459105Y1 (ko) * 2009-04-15 2012-03-21 변효석 안경의 조립구조
KR101447808B1 (ko) * 2013-03-13 2014-10-08 황순광 안경용 장석 구조체
KR101912217B1 (ko) * 2017-04-21 2018-10-26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
KR20220055165A (ko) * 2020-10-26 2022-05-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214A (ja) * 2001-07-19 2003-01-29 Fukui Megane Kogyo Kk ブロー智・丁番一体構造のメガネ部品
KR200326534Y1 (ko) * 2003-04-18 2003-09-19 태원박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KR200435133Y1 (ko) 2006-08-12 2007-01-09 함주홍 안경테의 렌즈 조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05Y1 (ko) * 2009-04-15 2012-03-21 변효석 안경의 조립구조
KR200454400Y1 (ko) * 2009-08-21 2011-06-30 이상탁 안경테의 조립식 경첩돌기 형성구조
KR101447808B1 (ko) * 2013-03-13 2014-10-08 황순광 안경용 장석 구조체
KR101912217B1 (ko) * 2017-04-21 2018-10-26 주식회사 이노 (Inno) 안경테
KR20220055165A (ko) * 2020-10-26 2022-05-03 박제상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810Y1 (ko) 2010-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KR200448810Y1 (ko) 안경테 조립 구조
US6199981B1 (en) Method for securing spectacle members together
CA2287760A1 (en) Sport eyeglasses having removable lenses
US7108372B2 (en) Eyeglasses assembly with elastic temples
KR200472408Y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 박판형 안경테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US20140185001A1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US20190243158A1 (en) Flexible bridge assembly for rimless eyewear
KR20100010777U (ko) 안경의 조립구조
KR200286687Y1 (ko) 안경용 사이드실드의 고정구조
US7175272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JP3089485U (ja)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
KR200474216Y1 (ko)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US20070052919A1 (en) Frame for glasses with add-on element
KR200459105Y1 (ko) 안경의 조립구조
KR20120033370A (ko) 접는 안경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0182148Y1 (ko) 안경테
KR200337979Y1 (ko) 반테 안경테와 렌즈의 조립구조
KR20100010436U (ko) 마그네슘 안경의 조립구조
KR200441972Y1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JP3099209U (ja) 前掛け式メガネ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