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534Y1 -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 Google Patents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534Y1
KR200326534Y1 KR20-2003-0011966U KR20030011966U KR200326534Y1 KR 200326534 Y1 KR200326534 Y1 KR 200326534Y1 KR 20030011966 U KR20030011966 U KR 20030011966U KR 200326534 Y1 KR200326534 Y1 KR 200326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ame
lens
magnesium alloy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원박
Original Assignee
태원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원박 filed Critical 태원박
Priority to KR20-2003-0011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5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5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02C1/08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the rims being tranversely split and provided with secu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인체에 무해한 특성 등으로 안경테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마그네슘함금의 용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미미와 양측 렌즈테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미의 끝단에는 힌지연결부가 형성되며, 브릿지에 인접한 양측 렌즈테에는 코기둥의 장착을 위한 제1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테는 미미의 연결부 하단이 절개되어 양측 절개부를 수직으로 관통 연결하여 장착될 렌즈를 고정하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는 안경테부와;
상기 힌지연결부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힌지장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경다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The spectacles frame made of a magnesium alloy}
본 고안은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인체에 무해한 특성 등으로 안경테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마그네슘함금의 용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영상기술의 발전과 그리고 산업의 발전은 인간의 시력을 감소하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안경을 쓰는 인구와 잠재 수요자의 수는 엄청나다고 하겠다.
이러한 안경은 크게 안경렌즈와 안경테의 두 가지 요소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중 안경테의 경우 몇 가지 중요한 소비성향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다양한 재료의 발전에 따라 여러 가지 안경테용 합금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성향은 경량화에 있으며 이에 다른 티탄이나 알루미늄합금이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티탄의 경우 원재료가 고가이며 용접성과 가공성이 좋지 않아 고급 안경테에서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알루미늄합금의 경우 용접성이 좋지 않고 강도가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안경테의 제작에 있어서 소재가 가늘고 얇기 때문에 용접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저항땜납법이 주 접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서 경량합금의 경우 용접성 특히 땜납에 의한 접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점은 경량 안경테의 제조에 큰 장애로 인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초경량의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효과적인 안경테를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안경테가 인체에 무해하도록 하는 안경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미미와 양측 렌즈테를 연결하는 브릿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미의 끝단에는 힌지연결부가 형성되며, 브릿지에 인접한 양측 렌즈테에는 코기둥의 장착을 위한 제1 나사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테는 미미의 연결부 하단이 절개되어 양측 절개부를 수직으로 관통 연결하여 장착될 렌즈를 고정하는 제2 나사홀이 형성되는 안경테부와;
상기 힌지연결부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힌지장착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경다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현을 위한 제작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경테부
11 : 렌즈테 12 : 미미
13 : 브릿지 14 : 힌지연결부
14a : 수평절개부 14b : 제3 나사홀
14c : 고정날개 15 : 코기둥
16 : 제1 나사홀 17 : 절개부
18 : 제2 나사홀
2 : 안경다리부
21 : 안경다리 22 : 힌지장착부
22a : 장착홀 22b : 고정나사홀
3 : 스프링힌지
31 : 스프링힌지 블록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현을 위한 재작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판재 형태의 마그네슘합금을 각 부품의 가공에 알맞은 크기로 각각 절단하는 재단공정과; 재단된 판재를 NC머신에 의하여 안경다리와, 브릿지와 렌즈테와 미미가 일체로 형성된 안경테로 각각 절삭하여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각 부속과의 결합부에 나사홀을 천공하는 나사홀천공공정과; 그라인딩 머신에 의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공정과; 연마된 부품의 표면에 도금을 하는 도금공정과; 코기둥 및 힌지를 결합하는 결합공정;의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을 나타내었다.
즉 상기 재단공정에서는 마그네슘합금의 판재를 가공에 적당한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하며, 성형공정에서는 미리 입력된 형상에 따라 자동공작기계에 의하여 절삭하고 성형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마그네슘합금은 고온의 일반적으로 용접성은 뛰어나나 이러한 용접방법은 안경테에 있어서는 소재의 변형 등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불가능한 상황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접합부위가 없이 브릿지와 렌즈테 및 미미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체로 형성이 곤란한 코기둥과 힌지의 결합은 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나사홀을 천공하는 나사홀 천공공정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도금 공정은 마그네슘합금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청도금단계와 도금면을 착색 또는 피부보호를 위한 코팅을 하는 코팅단계로 나누어 부식이 잘되는 마그네슘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청도금면이 인체와 직접 접촉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극성이 없는 물질로 표면을 코팅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부분 분해사시도로서, 렌즈테(11)와 안경다리(21)를 연결하는 미미(12)와 양측 렌즈테(11)를 연결하는 브릿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미(12)의 끝단에는 힌지연결부(14)가 형성되며, 브릿지(13)에 인접한 양측 렌즈테(11)에는 코기둥(15)의 장착을 위한 제1 나사홀(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테(11)는 미미(1)의 연결부 하단이 절개되어 양측 절개부(17)를 수직으로 관통 연결하여 장착될 렌즈를 고정하는 제2 나사홀(18)이 형성되는 안경테부(1)와;
상기 힌지연결부(14)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힌지장착부(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경다리부(2);로 구성되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를 나타내었다.
즉 안경테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결합되어야 할 부분은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절개부(17)와 상기 양측 절개부(17)를 나사로 연결하여 조여주도록 형성되는 제2 나사홀(16)과, 안경다리부(2)와 연결되는 힌지와, 일체로 성형이 곤란한 코기둥(15)의 세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접합성이 좋지 않은 마그네슘합금의 경우 코기둥(15) 및 힌지를 나사로 결합 할 수 있는 구조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으며, 마그네슘합금은 안경테에 사용되는 다른 합금과 비교하면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일체로 성형하기가 용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 하겠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14)는 끝단이 수평으로 절개된 수평절개부(14a)와, 상기 수평절개부(14a)의 상하로 형성되는 상기 수평절개부(14a)를 관통 연결하는 제3 나사홀(14b)이 형성되는 고정날개(14c)로 구성되어 스프링힌지(3)의 일측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힌지장착부(22)는 끝단에 내부로 관통된 장착홀(22a)이 형성되어 스프링힌지 블록(31)이 삽입 장착되고, 일측에 고정나사홀(22b)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힌지 블록(31)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스프링힌지 블록(31)이 안경다리(21)에 내삽되므로 기존의 접합방식보다 외관이 보다 단순하면서 스프링 힌지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효과적인 안경테를 개발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용감이 좋고 가벼운 효과가 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할 때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발생하기 쉬운 각종 알레르기나 부작용을 방지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렌즈테(11)와 안경다리(21)를 연결하는 미미(12)와 양측 렌즈테(11)를 연결하는 브릿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미(12)의 끝단에는 힌지연결부(14)가 형성되며, 브릿지(13)에 인접한 양측 렌즈테(11)에는 코기둥(15)의 장착을 위한 제1 나사홀(16)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렌즈테(11)는 미미(1)의 연결부 하단이 절개되어 양측 절개부(17)를 수직으로 관통 연결하여 장착될 렌즈를 고정하는 제2 나사홀(18)이 형성되는 안경테부(1)와;
    상기 힌지연결부(14)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힌지장착부(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경다리부(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14)는 끝단이 수평으로 절개된 수평절개부(14a)와, 상기 수평절개부(14a)의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개부(14a)를 관통 연결하는 제3 나사홀(14b)이 형성되는 고정날개(14c)로 구성되어 스프링힌지(3)의 일측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힌지장착부(22)는 끝단에 내부로 관통된 장착홀(22a)이 형성되어 스프링힌지 블록(31)이 삽입 장착되고, 일측에 고정나사홀(22b)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힌지 블록(31)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KR20-2003-0011966U 2003-04-18 2003-04-18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KR200326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66U KR200326534Y1 (ko) 2003-04-18 2003-04-18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966U KR200326534Y1 (ko) 2003-04-18 2003-04-18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574A Division KR100505067B1 (ko) 2003-04-18 2003-04-18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되는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534Y1 true KR200326534Y1 (ko) 2003-09-19

Family

ID=4933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966U KR200326534Y1 (ko) 2003-04-18 2003-04-18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5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10Y1 (ko) * 2008-02-25 2010-05-24 안혜종 안경테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810Y1 (ko) * 2008-02-25 2010-05-24 안혜종 안경테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US6199981B1 (en) Method for securing spectacle members together
KR100505067B1 (ko)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되는 안경테
KR200326534Y1 (ko)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안경테
KR100877762B1 (ko)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US20030133071A1 (e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JP3058604U (ja) 薄型フロント枠を備えた眼鏡
KR200172548Y1 (ko) 안경렌즈테와 연결구의 용접구조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JP2003255275A (ja) ヒンジ無し眼鏡テンプル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CN217333009U (zh) 一种可换不同形状镜片的新型眼镜架
CN215678943U (zh) 一种无镜框且镜片一体化的眼镜
TWM550414U (zh) 眼鏡組裝結構
KR200252993Y1 (ko) 탄성 안경다리용 연결구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200441972Y1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KR200231370Y1 (ko) 무테안경 조립용 나사
KR20100010436U (ko) 마그네슘 안경의 조립구조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296585Y1 (ko) 안경의 골격 구조
KR200273935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JP3697604B2 (ja) メガネ装飾部品の取付け構造
KR200231378Y1 (ko) 안경조립용 나사
KR101422994B1 (ko)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