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890A -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1890A
KR20110061890A KR1020090118429A KR20090118429A KR20110061890A KR 20110061890 A KR20110061890 A KR 20110061890A KR 1020090118429 A KR1020090118429 A KR 1020090118429A KR 20090118429 A KR20090118429 A KR 20090118429A KR 20110061890 A KR20110061890 A KR 2011006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ehicle
car
inspection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자동차성능평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자동차성능평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자동차성능평가원
Priority to KR102009011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1890A/ko
Publication of KR2011006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스크린 화면이 포함된 전용 단말기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에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기본 항목 입력창에 자동차의 기본적인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전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점검항목 입력창에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을 순차적으로 점검한 후에 해당 항목의 점검에 따른 점수를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의 점검이 완료되면 해당 항목별 설정된 수학식이나 알고리즘에 의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점검 및 계산 수행이 완료된 자동차에 대한 현재 가치를 평가 및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평가가 완료된 정보와 더불어 점검자 정보 및 평가 결과 입력창에 하나 이상의 점검자 정보와 평가 결과 정보가 표시되고, 전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고 자동차에 대하여 자동차관리법을 기준으로 필수적인 항목과 더불어 보다 세부적인 항목의 점검과 해당 점검 항목에 대한 감점으로 보다 객관적인 자동차의 성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고 자동차의 평가에 따른 현재 가치의 표시로 신뢰성, 투명성,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매매상사나 매도자 및 매수자가 안전하고 믿을 수 있게 매매할 수 있다. 또한, 중고 자동차의 매매 활성화와 해외로 수출하는 중고 자동차에 대한 균일한 품질보증이 가능하며, 안전 한 중고 자동차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중고, 자동차, 성능, 평가, 감점

Description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Method for Evaluation Performanc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성능 검사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성능을 검사하여 검사한 결과를 기초로 중고 자동차의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고 자동차는 2000년 이후에 수출의 호전에 힘입어 아시아, 유럽, 남미 등으로 계속 수출되고 있다. 국내 중고 자동차 시장도 호황이 유지되고 있지만, 일부 중고 자동차 매매상사에서 중고 자동차의 상태나 성능 평가를 허위로 조작하여 매도함으로써 중고 자동차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구매 고객들의 외면으로 매매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사고 경력이 있는 자동차의 앞부분을 절단하여 연결한 후에 무사고 자동차로 평가하거나 실제 주행거리가 25만km인 자동차를 85,000km로 조작하거나 또는 동력발생장치나 동력전달장치 등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교체하는 등 비전문가인 고객들이 용이하게 식별하지 못한 상태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중고 자동차에 대한 성능이나 구조적인 문제는 매스컴을 통해 알려지면서 중고 자동차에 대한 신뢰성, 투명성, 객관성, 공정성 등의 불신으로 중고 자동차를 믿고 구매하는 고객은 감소하고 있다.
중고 자동차에 대한 성능을 점검하는 방법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47371호의 자동차 성능의 상태점검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인터넷 상에서 중고 자동차에 대하여 항목별로 점검하여 입력창 화면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점검내용은 점수로 계산되도록 하며, 입력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종래기술은 중고 자동차의 점검자가 해당하는 항목별로 자동차의 성능을 대부분 육안으로 점검한 후에 성능 상태점검 입력창에 정상이나 불량 판정 또는 유, 무 판정 등 주관적인 상태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고, 해당 항목의 점검상황을 촬영하여 저장되도록 하며, 입력된 상태점검은 화면에 보이지 않는 점수계산이 이루어진 후에 입력창의 종료나 색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점검내용이 양호하여 합격인 경우에는 각 장치별 명칭의 리스트 란에 양호라고 인쇄하고, 점검내용이 부적합한 경우에는 각 장치별 명칭의 리스트 란에 불량 또는 마이너스 점수가 인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중고 자동차의 성능을 점검한 후에 점검자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한 입력과 단순한 양불 판정이나 유무 판정 등 실제 자동차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의 입력이나 점수계산의 불명확함 등의 오류를 범하기 쉬우므로 중고 자동차의 성능을 정확하게 점검 및 평가하였다고 볼 수 없는 문제가 있 었다. 또한, 중고 자동차의 항목별 점검에 따른 단순한 판단에 의하여 현재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거나 산출하지 못하는 등 결국 점검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종래의 기본적인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자동차 관리법에 준하여 대략 33가지에 달하는 중고 자동차의 점검항목을 점검, 계측, 확인 및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점검항목별로 기준이 되는 수학식이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고 자동차의 점검항목에 대한 기준에 대하여 오차 범위를 넘어서는 범위에 대한 산술적인 수치를 가감하여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중고 자동차의 현재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고 자동차 매매상사와 구매고객 사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스크린 화면이 포함된 전용 단말기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에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기본 항목 입력창에 자동차의 기본적인 정보가 입 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전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점검항목 입력창에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을 순차적으로 점검한 후에 해당 항목의 점검에 따른 점수를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의 점검이 완료되면 해당 항목별 설정된 수학식이나 알고리즘에 의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점검 및 계산 수행이 완료된 자동차에 대한 현재 가치를 평가 및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평가가 완료된 정보와 더불어 점검자 정보 및 평가 결과 입력창에 하나 이상의 점검자 정보와 평가 결과 정보가 표시되고, 전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여, 중고 자동차에 대하여 자동차관리법을 기준으로 필수적인 항목과 더불어 보다 세부적인 항목의 점검과 해당 점검 항목에 대한 감점으로 보다 객관적인 자동차의 성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고 자동차의 평가에 따른 현재 가치의 표시로 신뢰성, 투명성,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매매상사나 매도자 및 매수자가 안전하고 믿을 수 있게 매매할 수 있다. 또한, 중고 자동차의 매매 활성화와 해외로 수출하는 중고 자동차에 대한 균일한 품질보증이 가능하며, 안전한 중고 자동차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 입력창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은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의 별지 제82호 서식의 중고자동차 성능상태점검기록부에 준하는 자동차 성능 점검표를 기준으로 자동차의 실제 성능을 객관적인 가치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하여 적용된 시스템은 전용 단말기(10), 메인서버(20), 데이터베이스(22), 프린터(24) 및 모니터(26) 등이 포함된다.
전용 단말기(10)는 공인된 전문평가사 또는 전문점검자가 자동차의 개별적인 점검항목을 점검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용 단말기(10)는 휴대용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이거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전용 단말기(10)는 자동차의 점검항목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 산출, 평가 및 표시와 저장이 가능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전용 단말기(10)는 항목별 점검에 따른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 및 산출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소프트웨어는 해당하는 점검항목별 계산식이나 알고리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메인서버(20)는 상기 전용 단말기(10)와 인터페이스(interface)되거나 유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메인서버(20)는 점검이 완료된 자동차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22)가 연결되고, 점검이 완료된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 화면으로 표시하는 모니터(26)가 연결되며, 점검이 완료된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프린터(24) 등의 출력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22)는 상기 메인서버(20)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메인서버(20)로 출력하는 것으로, 점검 자동차의 제반 이력과 점검 정보 등이 저장된다. 모니터(26)는 메인서버(20)에서 자동차의 이력 및 제반 정보를 가시적으로 스크린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프린터(24)는 해당 자동차의 성능 점검 완료 및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메인서버(20)에는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중고자동차의 부분별 점검을 위한 기본적인 측정 기구는 5kg용 스프링저울, 반사거울, 볼록렌즈, 원형 각도계 또는 2.5kg 저울추, 계산기, 깊이게이지, 최대 25mm의 소켓렌치, 연료 가스누출 탐지기, 타이어 공기 압력계, 소형 손전등, 초음파 두께게이지(supersonic thickness gauge), 적외선 온도게이지, 5m 길이의 금속 줄자, 30cm의 금속자, 틈새게이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중고자동차의 기능 상태의 확인 점검하기 위한 기계로서는 차대동력계, 편도승강기, 수평승강기, 그리고 앞 차륜정렬, 제동력, 속도계편차점검을 위한 ABS 시험기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자동차 성능 평가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스크린 화면이 포함된 전용 단말 기(10)를 이용하여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용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활성화시킨다(S10). 활성화된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용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에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가 표시된다(S11).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는 도 2의 도표와 같고, 상단에 기본 항목 입력창(W1)이 표시되고, 중앙에 점검항목 입력창(W2)이 표시되며, 하단에는 전문 평가사 나 전문 점검자 정보 및 평가 결과 입력창(W3)이 표시된다.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는 국내 자동차와 수입 자동차 등에 모두 적용되고, 자동차 모델별, 용도분류별, 사용연료별 등으로 구분하여 해당하는 점검항목이 달라질 수 있다. 더욱이 개별 부분 점검항목은 33가지이지만,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점검항목이 세부적으로 분류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점검항목에 대한 배점이나 감점은 항목의 개수에 따라 적용 범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가 초기 화면에 표출되면 기본 항목 입력창(W1)에 자동차의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한다(S12). 입력된 정보를 전용 단말기(10)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전용 단말기(10)에 저장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메인서버(20)로 전송되어 메인서버(2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다. 이는 전용 단말기(10)와 메인서버(20) 사이에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기본 항목 입력창(W1)에 기본 항목의 입력이 완료되면 점검항목 입력창(W2)의 개별 부분 점검항목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거나 점검의 필요 순서에 따라 점검항목별 점검이 이루어진다(S13).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점검항목 입력창(W2)에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을 순차적으로 점검한 후에 해당 항목의 점검에 따른 점수, 즉 기본 점수로부터 감점된 수를 입력한다(S14). 상기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은 세분화하여 점검한 후에 통합된 점수를 입력한다.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이 이루어지면서 점검항목 입력창(W2)의 모든 항목의 점검이 이루어진다(S15).
본 발명의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검사 및 점검은 크게 나누어 자동차 성능 검사 방법과 자동차 항목별 점검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자동차 성능 검사 방법은 자동차 주행속도(kmh), 자동차 견인효과, 견인인자, 자동차 총중량의 결정, 자동차 등판능력, 근사치 마력, 공기흡입 효율, 배기관 내부 허용배압, 배기파이프 내경, 대용품 구조변경, 자동차에서 액체 누출상태 점검 및 엔진오일 점도 지수 점검 등이다.
상기 자동차 주행속도(km/h)와 관련되는 부분은 4가지 인자(factor), 즉 엔진회전수(rpm), 타이어반경, 차축감속비, 정해진 정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주행속도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1
이다.
주행속도는 경제속도와 오버드라이브와도 관련이 있다.
상기 자동차 견인효과는 4가지 인자, 즉 엔진회전력, 전기어감속비, 기계효율, 타이어반경에 의하여 정해진다. 자동차 견인효과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2
이다.
상기 견인인자는 5가지 인자, 즉 엔진회전력, 전기어감속비, 기계효율, 자동차총중량, 타이어반경에 의하여 정해진다. 견인인자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3
이다.
상기 자동차 총중량의 결정은 5가지 인자, 즉 엔진회전력, 전기어감속비, 기계효율, 견인인수, 타이어반경에 의하여 정해진다. 자동차 총중량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4
이다.
상기 자동차 등판능력은 상기 견인인자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근사치 마력은 3가지 인자, 즉 배기량, 엔진정격회전, 정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근사치 마력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5
이다.
상기 산출식에서 근사치 마력은 가솔린엔진과 디젤엔진이 각각 다르고, 상기 산출식은 가솔린엔진에 해당된다.
상기 공기흡입 효율은 엔진이 공회전할 때에 흡입관의 진공압은 표준 진공압과 비교하여 60~75%이하이면 정상이다. 이때 공기청정기의 오염정도에 따라 진공압은 변한다. 그리고 공기청정기는 엔진의 배기량이 90%이상 공기를 통과시켜야 하며, 여과기가 먼지와 습기 등으로 막혀 있으면 정상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엔진 성능에 문제가 발생된다. 즉 엔진온도가 상승하거나 연료소비가 증가하거나 엔진출력 이 감소한다. 자동차가 경제속도로 주행할 때에 공기흡입효율은 평균 85~90%정도이다. 공기흡입 효율은 표준 진공도와 엔진이 흡입하는 진공도를 비교하여 산출한다.
상기 배기관 내부 허용배압은 배기장치에 카본이 누적되면 배기가스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때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기관 내부 허용배압은 1,000rpm 당 0.1kg/cm2 이상일 때에 소음기를 교환해야 한다. 소음기의 체적은 통상 엔진배기량의 3배 정도가 사용되지만, 고속일 때에 배압 발생으로 인하여 정형의 소음기는 엔진배기량의 6배 이상이 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배기관 내부 허용용적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6
로 정형의 소음기 체적이다.
상기 배기파이프 내경은 가솔린엔진과 디젤엔진이 서로 다르고, 여기서는 가솔린엔진에 적용된다. 엔진 최고 회전과 배기량을 고려하여 배기파이프의 내경을 결정한다. 엔진배기량에 적용되는 4가지 인자, 즉 엔진배기량, 엔진폭발회전수, 배기가스속도, 초속을 분속으로 전환에 의하여 정해진다. 배기파이프 내경의 결정을 위한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7
이다.
여기서 배기 파이프의 꼬리길이는 제외된다.
그리고 상기 대용품 구조변경은 엔진, 변속기, 보조변속기, 차축, 소음기 등 자동차의 기본품에 비하여 ±5% 범위 이내이면 대용품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성능 검사에서 12초 이내에 100km/h를 초과하면 정상이지만, 정상에서 1km 미달할 때마다 1점을 감점 처리하고, 90km/h이면 10점을 감점 처리한다.
상기 자동차에서 액체 누출상태 점검은 엔진오일, 기어오일, 브레이크오일, 자동미션오일, 냉각수 누출 등을 점검한다. 또한, 엔진오일 점도 지수도 점검한다. 엔진오일 점도 지수의 점검은 장시간 사용으로 오일이 오염되어 점도수가 떨어지면 기계적인 마모를 촉진하는 원인이 되므로 오일 점도 지수를 점검하는 것이 엔진의 수명연장을 위하여 필요하다. 그리고 엔진오일 점도 지수를 점검하는 방법은 엔진의 시동을 끄고 외부에서 오일팬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오일 점도 지수는 오일 수준량 게이지를 이용하여 5cm2의 평판 위에 오일을 3방울 정도 떨어뜨리고 1cm2의 봉에 오일을 접착한 다음에 더러울 때에는 오일이 같이 붙어 올라오다가 떨어지는 지점을 점도 지수라 한다.
더욱이 자동차의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되는 점검 부분으로 최초 점화시기,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점화시기진각, 밸브개폐시기, 연료공급압력, 압축압력, 점화회로, 시동회로 결함, 공기흡입효율 및 배기배압상태 등이다.
다음으로 자동차 항목별 점검방법에 대하여 대략 33가지로 설명되고, 해당 점검방법에는 보다 세부적인 점검항목이 포함된다.
(01) 사고차의 가부와 차의 밑바닥 절단이나 용접여부의 점검으로, 먼저, 타이어의 마모가 균일하여야 하고, 공기압력이 균등해야 하며, 점검을 위하여 주차한 지면이 평탄해야 한다. a) 축간 거리 중간위치 지면과 차체 좌우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한다. b) 앞, 좌우 휠 중심에서 펜더(fender)까지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한다. c) 차량 밑 지지빔과 보강판의 용접상태를 점검한다. d) 좌우 축간 거리의 편차를 점검한다. e) 앞 차축 좌측과 뒤 차축 우측을 "X" 자형으로 비교하여 측정한다. f) 차 밑바닥 절단 용접 여부를 점검한다. g) 차의 지붕 교체여부를 점검한다. h) 앞 그릴 또는 좌우 펜더, 보닛(bonnet) 등의 수리나 교체여부를 점검한다. i) 뒤 트렁크 양쪽 펜더와 후드 또는 뒤 패널 교체여부를 점검한다. j) 윈드실드 교체여부를 점검한다.
(02) 차체 판금 용접 부분 도장여부를 점검으로, 상기 사고차의 가부와 차의 밑바닥 절단이나 용접 여부의 점검과 동시에 수행된다. 따라서 차를 올려놓고 차량의 밑에서 엔진 지지대, 차량 중간절단 후의 연결, 차량 뒤 현가장치의 위치 변경, 차체 판금용접 부위, 재 도장 가부 및 좌우 차체의 높이 편차 등을 점검한다.
(03) 동력전달장치의 마모율 점검으로, 차량의 연령과 주행거리의 차이가 클 때에 마모율을 점검한다. 마모율을 측정하여 기본 허용값을 삭감하고 잔류량 1° 당 50,000km 주행으로 계산하여 산출한다. 동력전달장치의 점검을 위하여 a) 제동장치를 완전히 해제한다. b) 구동축 한 쪽을 약 50mm정도 지면에서 들고 수동변속기는 1단에 치합시킨다. c) 손으로 휠을 4-5회 좌우로 끝까지 움직인 후에 차축 허브에 각도계를 설치한다. d) 휠의 반지름 길이 끝에 2.5kg의 추를 달고 각도계 눈금을 "0"에 맞춘다. e) 휠의 반지름 길이 막대기를 반대쪽으로 이동하여 수평으로 한다. f) 각도계 지침이 "0"의 위치에서 이동한 수치를 확인한다. g) 이때, 각도계 지침 이동각도에서 차종에 따라 기본각도를 뺀 나머지가 마모이다. h) 월 500km, 년 6,000km 이하 주행한 차량은 마모율 점검을 필요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유격에 대한 마모율은 총 마모율 각도에서 기본 각도를 공제한 후에 잔류각도 1° 마모에 50,000km 주행한 통계적인 수치이다. 여기서 10,000km 주행에 대하여 1.00점을 감점으로 처리한다.
(04) 앞, 차륜 정열상태 점검으로, 차량의 조향력을 점검하는 것이다. 조향력의 점검을 위한 조건으로 타이어압력을 동일하게 주입하고, 평탄한 지면에 주차하며, 타이어 마모가 동일하여야 한다. 점검 사항으로는 조향 휠에 스프링 저울을 걸고 기계식 조향은 4.5kg~5kg 범위의 힘으로 작동시켰을 때에 차륜이 움직이면 정상이고, 유압식 조향은 엔진 시동 후 2.2kg~2.5kg 범위의 힘으로 작동시켰을 때에 차륜이 움직이면 정상이다. 그리고 조향복원력은 전 차륜의 정렬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토우인, 캠버, 캐스터, 킹핀 경사각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조향복원력의 점검은 조향 휠을 좌측이나 우측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 완전히 돌린다. 수동변속기는 1단에 치합시킨 후에 출발과 동시에 잡고 있던 휠을 놓고 6m 정도 이동했을 때에 자동적으로 돌아오는 한도가 75% 이상 복원되면 정상이다. 그리고 유압식 조향은 6m 전진했을 때에 90% 이상 복원되면 정상이다.
또한, 조향기구의 기능 점검은 조향 휠 작동과 바퀴 동작이 기준 허용한도를 초과하면 0.50점을 감점 처리하고, 조향복원력의 시험결과 기준과 맞지 않을 때에 1.00점을 감점 처리하며, 조향기구의 유격이 기준에 맞지 않을 때에 0.50점을 감점 처리한다. 또한, 조향 휠 유격이 기준을 초과하면 1.00점을 감점 처리하고, 앞 좌우 바퀴 각도의 편차가 허용한도를 초과하면 1.00점을 감점 처리하며, 타이롯트 애드볼 유격이 기준을 초과하면 2.00점을 감점 처리한다.
(05) 타이어상태, 스페어 포함, 그리고 소지공구를 비치하였는지를 점검하는 것으로, 타이어 패턴의 마모한도, 타이어 옆 균열상태, 타이어 종류, 휠의 종류(알루미늄 합금 또는 특수용 확인), 타이어 프리이수에 따라 공기주입 압력을 점검한다. 공기압력 프라이에 따라 공기압은 달라진다. 표준에서 타이어의 마모량이 50%까지를 정상으로 보고, 마모량이 50%를 초과하면 타이어 1개당 1점을 감점 처리한다.
또한, 소지공구는 잭(jack), +/- 드라이버, 플라이어(pliers), 휠 렌치, 오펀펜치 세트, 점화플러그 렌치, 조정식 렌치 등의 기본 공구의 비치 여부를 점검한다. 소지공구의 비치 여부에 따라 1개당 0.50점을 감점 처리한다.
(06) 구조변경, 상치품의 가부를 점검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동력발생장치, 조향장치, 동력전달장치, 전기와 연료장치, 차대와 차대변경, 배기장치의 변경 등을 점검한다. 즉 엔진 배기량이 다른 엔진으로 교체, 엔진 기통수 형태 등을 차량등록증과 대조하고, 앞부분의 그릴 변경, 배기장치의 구조변경, 앞뒤 범퍼 개조 변경 부착이나 충격완화용 쇽 업소버(shock absorber)의 교체, 소음기 용량과 배기파이프의 내경 변조 및 실내공간의 변조와 길이의 변경 여부를 점검한다. 타이어와 대용품의 사용으로 연료소비와 엔진의 출력과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되는 지를 점검한다. 상기 구조변경이나 상치품을 대치한 경우에 1.00~5.00점을 감점 처리한다.
(07) 유리상태와 문 유리 상하 자동제어의 점검으로, 기본적으로 유리의 균열이나 파손, 문 유리의 상하 자동제어, 문 잠금 자동제어 및 와이퍼와 백미러의 기능을 점검한다.
(08) 차문 잠금장치의 자동 제어 기능의 점검으로, 이는 안전장치에 해당하 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에 문이 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잠금장치의 점검은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원거리 자동 제어기(remote controller)에 의한 잠금장치 및 기능을 점검하여 필요하면 수정한다. 그리고 문을 외부에서 열지 못하게 하는 잠금장치의 점검도 확인한다. 차문 잠금장치의 상태 및 기능이 미비하면 2.00점을 감점 처리한다.
(09) 와이퍼 및 백미러의 제어 기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차량의 실내에서 백미러 조정기로 미러를 상하 및 좌우로 조절하여 운전자의 시각에 맞도록 조정이 가능한지를 점검한다. 백미러 자체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기능이 정상인지를 점검하여 필요하면 수정한다. 와이퍼의 기능은 저속 위치에서 4초에 1회 작동, 중속 위치에서 2초에 1회 작동, 고속 위치에서 1초에 1회 작동하는 지를 점검한다. 와이퍼의 기능과 백미러의 기능 불량의 경우에 각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0) 안내표시용 게이지의 기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온도 게이지의 상승한도 표시, 연료량 게이지의 표시기능 정확도 점검, 주행속도 및 엔진회전속도의 점검, 충전표시등 기능의 점검, 시계기능 점검, 오일순환압력 게이지 기능, 전압 게이지 기능, 전류 게이지 기능, 기어위치 표시등 등을 점검한다. 해당 기능이 미비할 경우에는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1) 액세서리와 옵션기능의 가부를 점검하는 것으로, 실내 시거라이터의 점검, 시트이동의 기능, 실내 환풍기능 제어, 실내외 온도감지기 기능, 안전감지등 기능의 점검과 내비게이션, 속도 자동제어 기능 등을 점검한다. 정상기능이 미비하면 1개당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2) 라디오, AM, FM, TAPE 기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라디오의 수신상태, AM, FM, TAPE의 음성고저 조정과 특히 TAPE의 발음이 깨끗한지 등을 점검한다. 점검 후에 불량할 경우에 1개당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3) 히터 기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엔진 방열기의 출구온도가 75℃이상일 때에 시험을 수행한다. 실내온도 0℃ 기준 히터의 송풍위치를 최대로 한 상태에서 5분 이내에 출구온도가 25℃를 초과하여야 한다. 이때, 엔진회전수(rpm)는 1,800±200rpm 범위에서 점검한다. 히터의 송풍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4) 에어컨 기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대기온도 30℃를 기준으로 하여 시험한다. 에어컨 송풍위치를 최대로 한 상태에서 5분 이내에 출구온도는 20℃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때, 엔진회전수(rpm)는 1,700±300rpm 범위에서 점검한다. 에어컨의 송풍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에어컨 온도가 정상이하가 되지 않으면 냉매부족이나 응축기의 결함이다.
(15) 완충스프링 장력 편차 허용 범위를 점검하는 것으로, 완충스프링의 장력을 점검하기 전에 타이어의 마모가 균일해야 하고 타이어의 공기압이 동일해야 하며, 주차한 지면이 평탄해야 한다. 점검방법은 차륜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지면에서 수직으로 펜더 밑까지 높이를 측정한다. 완충스프링의 장력 허용 범위의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8
이다.
예를 들어, 지면에서 펜더까지의 높이가 700mm이면 15mm이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초과하면 2.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6) 부위별 액체의 누출을 점검하는 것으로, 엔진오일, 기어오일, 냉각수, 브레이크오일, 자동미션오일, 파워조향오일 등에서 누출을 점검한다. 누출 개소에 따라 0.50점을 감점 처리한다.
(17) 주차 수동브레이크의 기능 점검은 주차 수동브레이크의 레버위치는 완전히 작동되었을 때에 45°를 초과하면 조정해야 한다. 주차 수동브레이크는 공차중량의 20%이하이면 정상이다. 예를 들어, 공차중량이 1,000kg의 20%인 200kg이하가 되어야 한다. 주차 수동브레이크는 차량에 따라 중량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다. 기능이 미비하면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그리고 제동력 시험 결과 부족하면 3.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8) 주행용 브레이크의 기능 점검은 앞 축 중의 50%이상 제동력이 발생하면 정상이다. 뒤 차축 브레이크는 축 중의 20%이상이면 정상이다. 예를 들어, 공차중량이 1,000kg일 때에 앞뒤 브레이크 제동력은 대략 380kg이면 정상 제동기능을 발휘한다. 각도로는 주차 수동브레이크 기능은 0.2sin 각이면 정상이다. 주행용 브레이크의 기능은 0.4sin 각이면 정상이다. 주행 브레이크는 안전에 관한 것이므로 미비할 경우에 10.00점을 감점 처리한다.
(19) 차 밑 주위 방청과 부식상태의 점검은 차체 옆과 차량 아래의 하부 철판과 주변의 부식 발생을 확인하고 현가장치 주변과 녹 쓴 부분을 점검하고, 차문 양쪽 밑에 녹과 부식 발생을 점검한다. 부위 당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이때, 크기에 따라 15cm~20cm, 25cm~30cm, 35cm~40cm 정도에 따라 감점이 달라진다.
(20) 축간거리 편차 허용 범위의 점검으로, 차량의 양쪽 축간거리를 측정하여 편차를 비교한다. 차량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편차가 발생되고, 차축 지지대 부싱의 파손으로 편차가 발생되며, 차축 지지대의 변형으로 인한 편차가 발생된다. 축간거리 편차 허용 범위에 관한 공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09
이다. 예를 들어, 축간거리가 3,300mm이면 요인 수 10을 대입하여 18mm 이내가 정상이다. 따라서 양쪽 축간거리 편차가 18mm 이상이면 수정이 필요하다. 수정이 없이 사용하면 타이어는 편마모하게 된다. 축간거리의 편차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2.00점을 감점 처리한다.
(21) 엔진의 시동 성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점검 부분은 a) 키 스위치를 작동시켜 크랭킹 3초 이내에 시동이 걸려야 한다. b) 시동시간이 3초를 초과할 때는 1초를 기준으로 감점한다. c) 6초까지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수정하여 재점검한다. 상기 시동시간의 초과로 인한 감점 기준은 엔진시동이 3초 이내이면 정상 상태로 보고, 엔진시동이 3초를 초과하면 6초까지 1초당 1.00점을 감점 처리하며, 엔진시동이 6초를 초과하면 수정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엔진시동이 6초를 초과하면 결함에 대한 수리를 요구하고, 엔진시동이 10초 이상이면 수정조치 후에 재점검하는 것이다. 더욱이 엔진의 시동 성능은 가솔린엔진, 디젤엔진 및 LPG엔진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즉 가솔린엔진은 엔진시동이 3초 이내이면 정상으로 보고 1초를 초과할 때마다 1.00점씩 감점 처리하고, 디젤엔진은 엔진시동이 5초 이내이면 정상으로 보고 1초를 초과할 때마다 1.00점씩 감점 처리하며, LPG엔진은 엔진시동이 7초 이내이면 정상으로 보고 1초를 초과할 때마다 1.00점씩 감점 처리한다.
상기 엔진의 시동 성능에 관한 주요한 점검 사항으로 가솔린엔진은 최초 점화시기, 밸브 타이밍, 압축압력부족, 점화회로의 누전과 점화전, 기동회로 결함, 연료공급 결함, 공기흡배기 결함에 대하여 확인 점검이 필요하고, 디젤엔진은 연료주입펌프 공급밸브의 누출, 분사노즐 니들밸브의 결함, 조속기의 보상력 결함에 대하여 확인 점검을 필요로 한다. 또한, 엔진의 시동 성능은 주행거리에 따라 타이밍 벨트의 교환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엔진의 회전속도와 잡음발생을 점검한다. 즉 점검 부분은 a) 기통수와 행정에 따라 공회전상태를 점검한다. b) 정속일 때에 엔진의 진동발생을 점검한다. c) 가속할 때에 잡음발생을 점검한다. d) 잡음은 발생부위에 따라 구분하여 감점 처리한다. 상기 기통수와 공회전 범위를 초과하거나 부족하면 0.50점을 감점 처리한다. 그리고 엔진에서 이상한 잡음이 날 때에는 잡음에 따라 감점은 달라진다. 즉 기통수와 공회전 속도가 높으면 0.50점 감점 처리, 회전 중에 타벳 소리가 높으면 1.00점 감점 처리, 크랭크케이스 내에서 소리가 나면 2.00점 감점 처리한다.
(22) 가속 성능시험 확인점검은 실제 도로에서 가속성능은 자동차가 출발하여 12초 이내에 100kmh를 초과하여야 한다. 가속 성능시험은 엔진을 시동시켜 온도가 74℃ 이상이면 시험을 한다. 특수차를 제외한 일반 차량은 공차 중량에 8~10%에 해당하는 마력이 필요하고, 8% 이하 출력은 과부로 인한 연료소비 과다이며, 10% 이상 출력은 연료소비 과다이다. 가속 주행시험 결과로 표준에 미달, 즉 1kmh 미달에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만일 100kmh에서 10% 이상, 즉 90kmh 이하이면 수리 후에 재시험을 하도록 한다.
(23) 차체 재도장 가부점검은 초음파 두께측정기를 이용하여 도장 두께를 랜덤하게 측정하여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편차가 있을 경우에 재도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판금용접 등을 점검하여야 한다. 더욱이 보닛 펜더수리 부품 판금도장 부위당 0.50점을 감점 처리하고, 문짝 수리 또는 도장 부위당 0.50점을 감점 처리하며, 뒤 양쪽 펜더 또는 덮개 수리 또는 도장 부위당 0.50점을 감점 처리하고, 천장 도장도 0.50점을 감점 처리한다. 또한, 부분 판금도장은 크기에 따라 다르며 15cm를 기준으로 1개당 0.50점을 감점 처리하고, 전체를 도장한 경우에는 10.00점을 감점 처리하며, 차 밑바닥 방청용 도장에 결함이 있으면 5.00점을 감점 처리한다.
(24) 방열기의 상하온도 비율 점검은 방열기(라디에이터)는 상부의 온도가 85℃이고, 방열기의 하부의 온도가 65℃일 때에 냉각 효율은 20~29%가 정상 범위이다. 따라서 이 범위를 초과하면 2.00점을 감점 처리한다. 상기 방열기 필요 온도상승 계산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0
이다.
(25) 엔진의 공회전상태에서 연소효율의 점검은 엔진을 공회전시킬 때에 배기온도와 연소효율을 점검하는 것이다. 즉 엔진온도가 75℃일 때에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연소효율을 점검한다. 연소효율에 관한 계산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1
이다. 상기 배기온도가 10℃ 차이일 때에 정수는 변화한다.
(26) 연료소비와 주행거리 근사치의 점검은 해당 차량의 연료소비에 대한 주 행거리의 근사치를 점검하는 것으로, 연료소비와 주행거리 근사치를 구하는 공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2
이다. 배점과 감점은 별도로 정한 것에 의한다. 또한, 차량이 경제속도로 주행할 때에 작동하는 마력공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3
이다.
(27) 범퍼 틈새 허용한도에 대한 점검으로, 차체와 범퍼의 부착 틈새의 간격이 2mm 이상이면 요철도로를 주행할 때에 잡음의 발생 원인이 되므로 2mm를 초과하면 수정하거나 2.00점을 감점 처리한다. 더욱이 범퍼, 균열, 파손과 부착 틈새 및 도장 등을 점검하여 필요에 따라 수정하거나 범퍼의 부착부분이 파손된 것은 교환해야 한다.
(28) 조명 중에서 안전등 기능의 점검으로, 안전등, 전조등, 방향지시등, 제동등을 점검하는 것이다. 계기판 패널, 실내조명등의 자동 점등여부, 차폭등, 위험 적색등의 기능 상태를 각각 점검한다. 더욱이 전조등의 원거리나 단거리 조정여부, 방향지시등의 기능과 초당 점멸회수, 제동등, 제동등이 작동될 때에 2중 점등 여부, 그리고 적색과 황색등의 점등 여부를 판단하여 1개 불량마다 1.00점씩 감점 처리한다. 더욱이 전기장치 중에서 축전지의 용량, 발전기의 출력 용량, 안전에 관한 등화, 실내 안내(독서)등, 패널 센서, 지시등화 및 케이블 접지저항 등을 점검하여 부족하면 각 1.00점을 감점 처리한다.
(29) 앞뒤, 앞 양쪽 거리센서 등의 기능을 점검하는 것으로, 차에 설치된 거 리센서의 기능을 점검하는 것이다. 즉 앞뒤에 설치된 거리센서의 기능과 앞 양쪽에 설치된 거리센서의 기능을 점검하는 것이다. 즉 실내에서 센서가 작동되도록 한 다음에 차량의 앞이나 뒤에서 1.5m에서 차량 쪽으로 접근하면 경보음이 울릴 때에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1m이상의 거리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면 정상으로 처리한다.
(30) 실내 오염공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기능의 점검은 실내공기 오염도가 0.05ppm 이상일 때에 센서 작동에 의하여 실내공기 배출기능을 점검한다. 예를 들어, 담배연기를 농도센서 앞에 내품었을 때에 배출기가 작동하여 실내공기를 배출하면 정상으로 처리한다.
(31) 시트 자동 제어기능의 점검은 실내 시트의 전후 이동, 등받이의 상하 제어, 앞 시트의 등받이의 수평위치로 침대가능 등을 점검하고, 미비한 경우에 수정 보완한다. 각 시트 당 제어가 불량하면 1.00점씩 감점 처리한다.
(32) 배기가스 농도를 분석하는 점검은 냉각수 출구온도가 74℃ 이상에서 측정한다. 국내 배기가스의 농도규제는 일산화탄소(CO)는 1.2% 이하(미국, 1.5% 이하), 이산화탄소(CO2)는 15% 이하(미국, 15% 이하), 탄화수소(HC)는 220ppm 이하(미국, 150ppm 이하) 등이다. 배기가스 발산농도가 허용 기준치보다 배출량이 많으면 해당 부분을 수리한 후에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연소효율이 88%이상이면 배기가스농도는 규제치 이하가 되므로 연소효율을 측정하여 농도측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3) 자동차 차령에 의한 자연 손실율(감가상각)을 확인하고 점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신차를 구입하고 난 후에는 자연 손실이 발생한다. 차량은 고급차량, 명차, 일반 차량 등으로 나누어 자연 손실율(손실계수)을 산정한다. 즉 자연 손실과 잔류량에 대한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4
이다. 따라서 차량에 따라 손실율의 적용이 달라진다. 즉 고급차량의 월 자연 손실율은 0.30~0.35이고, 명차의 월 자연 손실율은 0.40~0.45이며, 좋은 차량의 월 자연 손실율은 0.50~0.55이고, 일반 외제차량의 월 자연 손실율은 0.60~0.65이며, 국내 생산된 일반 차량은 0.70~0.75의 월 자연 손실율을 기준으로 적용하고, 차량에 따라 0.80~1.00까지도 적용한다.
상기 개별 부분별 점검 항목에 대한 점검과 점수 입력이 완료되면(S16), 전용 단말기(10)에 저장된 설정 알고리즘에 의한 계산이 수행된다(S17). 상기 알고리즘은 해당하는 공식, 산출식, 계산식 등이 포함되고, 해당 부분의 적용을 위한 데이터가 프로그램 내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전용 단말기(10)에서 점검한 자동차의 현재 가치의 평가가 수행된 후에 평가 정보가 스크린 화면에 표시된다(S18). 상기 평가 정보 데이터는 전용 단말기(10)에 저장된다(S19).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에서 점검자 정보와 평가 결과를 입력하는 창(W3)에는 점검 대상 자동차의 종합적인 평가율(%)이 표시된다. 즉 종합적인 자동차의 평가율(%)을 산출하는 공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5
이다. 여기서 기 준되는 수는 200이고, 차손은 자동차 점검 결과 종합적인 손실율이다. 예를 들어, 45~55의 감점을 말하는 것이다. 자손은 자연손실계수로 차량의 연령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차량에 따라 적용되는 범위가 다르다. 상기 (33)에서 자동차 차령에 의한 자연 손실율(손실계수)이 적용된다. 따라서 평가율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일반 자동차의 점검 결과로서 자동차의 월 손실 적용 계수를 0.70~0.75이고, 자동차의 기계적인 종합 손실계수는 50이고, 신차로 등록된 후에 6년이 경과하면 72개월×0.75=54점이 공제된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평가율인 현재 잔류상태는 200-(50+54)/200은 0.48, 즉 평가율은 48%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평가율(%)로부터 신차 구입비용이 예를 들어, 1,500만원이라면, 1,500만원×0.48 = 720만원의 가치를 보유하게 된다. 차량의 보유가치는 객관적인 평가로 책정된 것으로 실제 매매거래에서는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점검하는 부분은 33가지로 분류되지만, 세부적으로는 대략 45개 이상이므로 정밀하고 세밀한 점검과 평가가 요구된다. 그리고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는 하나 이상의 전문평가사에 의하여 점검 및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객관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에 의하여 중고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관리법을 기준으로 필수적인 점검 항목과 세부적인 점검 항목의 점검과 해당 점검 항목에 대한 감점으로 보다 객관적인 자동차의 성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중고 자동차의 평가에 따른 현재 가치의 표시로 신뢰성, 투명성, 공정성을 향 상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매매상사나 매도자 및 매수자가 안전하고 믿을 수 있게 매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용 단말기 20: 메인서버
22: 데이터베이스 24: 프린터
26: 모니터

Claims (8)

  1. (a)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스크린 화면이 포함된 전용 단말기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에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기본 항목 입력창에 자동차의 기본적인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전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 점검표의 점검항목 입력창에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을 순차적으로 점검한 후에 해당 항목의 점검에 따른 점수를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자동차의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의 점검이 완료되면 해당 항목별 설정된 수학식이나 알고리즘에 의한 계산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점검 및 계산 수행이 완료된 자동차에 대한 현재 가치를 평가 및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평가가 완료된 정보와 더불어 점검자 정보 및 평가 결과 입력창에 하나 이상의 점검자 정보와 평가 결과 정보가 표시되고, 전용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메인서버로 전송되어 메인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부분별 점검항목은 세분화하여 점검한 후에 통합된 점수를 입력하는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가치의 평가는 자동차의 평가율(%) 또는 금액(원)으로 표시하고, 상기 평가율(%)에 관한 산출식은
    Figure 112009074452320-PAT00016
    (여기서, 기준은 기본점수이고, 차손은 자동차 점검 결과 종합적인 손실점수이며, 자손은 차령에 해당하는 자연손실계수)에 의하여 산출되고, 상기 금액(원)은 상기 평가율(%)에 신차 구입 당시의 금액을 곱하여 산출된 금액으로 환산하는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성능 평가를 위한 점검 및 평가는 사고차의 가부와 차의 밑바닥 절단이나 용접여부의 점검, 차체 판금 용접 부분 도장여부를 점검, 동력전달장치의 마모율 점검, 앞, 차륜 정열상태 점검, 타이어상태, 스페어 포함, 그리고 소지공구를 비치하였는지를 점검, 구조변경, 상치품의 가부를 점검, 유리상태와 문 유리 상하 자동제어의 점검, 차문 잠금장치의 자동 제어 기능의 점검, 와이퍼 및 백미러의 제어 기능을 점검, 안내표시용 게이지의 기능을 점검, 액세서리와 옵션기능의 가부를 점검, 라디오, AM, FM, TAPE 기능을 점검, 히터 기능을 점 검, 에어컨 기능을 점검, 완충스프링 장력 편차 허용 범위를 점검, 부위별 액체의 누출을 점검, 주차 수동브레이크의 기능 점검, 주행용 브레이크의 기능 점검, 차 밑 주위 방청과 부식상태의 점검, 축간거리 편차 허용 범위의 점검, 엔진의 시동 성능을 점검, 가속 성능시험 확인점검, 차체 재도장 가부점검, 방열기의 상하온도 비율 점검, 엔진의 공회전상태에서 연소효율의 점검, 연료소비와 주행거리 근사치의 점검, 범퍼 틈새 허용한도에 대한 점검, 조명 중에서 안전등 기능의 점검, 앞뒤, 앞 양쪽 거리센서 등의 기능을 점검, 실내 오염공기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기능의 점검, 시트 자동 제어기능의 점검, 배기가스 농도를 분석하는 점검, 자동차 차령에 의한 자연 손실율(감가상각)을 확인 및 점검하고, 점검에 대한 감점 처리 및 평가를 수행하는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주행속도(kmh), 자동차 견인효과, 견인인자, 자동차 총중량의 결정, 자동차 등판능력, 근사치 마력, 공기흡입 효율, 배기관 내부 허용배압, 배기파이프 내경, 대용품 구조변경, 자동차에서 액체 누출상태 점검 및 엔진오일 점도 지수 검사 및 평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자동차 성능 평가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118429A 2009-12-02 2009-12-02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KR20110061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29A KR20110061890A (ko) 2009-12-02 2009-12-02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29A KR20110061890A (ko) 2009-12-02 2009-12-02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890A true KR20110061890A (ko) 2011-06-10

Family

ID=4439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429A KR20110061890A (ko) 2009-12-02 2009-12-02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189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35B1 (ko) * 2012-03-05 2014-04-21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용 오일젯의 성능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523276B1 (ko) * 2014-03-20 2015-05-28 이금용 중고차 거래 기반의 차량 검수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643845B1 (ko) * 2015-04-28 2016-08-1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 등판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9672543B1 (en) 2016-02-12 2017-06-0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valuation
CN109632341A (zh) * 2019-01-23 2019-04-16 中永(苏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检测、分析二手车性能的方法
US10528992B2 (en) 2016-02-12 2020-01-0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execution of device-related services
CN113496415A (zh) * 2020-04-01 2021-10-1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评价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22045842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통합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335B1 (ko) * 2012-03-05 2014-04-21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용 오일젯의 성능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523276B1 (ko) * 2014-03-20 2015-05-28 이금용 중고차 거래 기반의 차량 검수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643845B1 (ko) * 2015-04-28 2016-08-10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 등판 성능 평가 방법 및 시스템
US9672543B1 (en) 2016-02-12 2017-06-0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valuation
WO2017139021A1 (en) * 2016-02-12 2017-08-1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valuation
US9972035B2 (en) 2016-02-12 2018-05-1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valuation
US10395284B2 (en) 2016-02-12 2019-08-2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valuation
US10528992B2 (en) 2016-02-12 2020-01-07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execution of device-related services
CN109632341A (zh) * 2019-01-23 2019-04-16 中永(苏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检测、分析二手车性能的方法
CN113496415A (zh) * 2020-04-01 2021-10-1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评价处理方法、装置及系统
WO2022045842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통합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1890A (ko) 자동차 성능 평가 방법
CN109087144A (zh) 一种二手车检测与估值系统
US200700884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OBD repairs
US20040030574A1 (en) System and method of warranting products monitored for proper use
Leister Passenger car tires and wheels: Development-Manufacturing-Application
Frey et al. Comparison of real-world fuel use and emissions for dump trucks fueled with B20 biodiesel versus petroleum diesel
CN103543020A (zh) 一种基于适时技术检测数据评估二手汽车成新率的方法
US11341791B2 (en) Method for monitoring emissions from a vehicle fleet
KR101966220B1 (ko) 자동차 관리 시스템
Loman et al. Comparison of fuel consumption of a passenger car depending on the driving style of the driver
US20210201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utomotive preventive maintenance service
CN107292671A (zh) 二手车检测参数的定量估价方法
KR100847371B1 (ko) 자동차 성능의 상태점검방법
Semanová et al. Drag reduction of semi-trailer aerodynamic devices determined by two different methods
Amedorme Investigation of braking system (efficiency) of converted Mercedes Benz buses (207)
Manual et al. Rhode Island
Oaxaca Status and Measurement of Vehicle-In-Use Defects
KR20230082410A (ko) 중고차 부품 거래 방법 및 서버
CN109470487A (zh) Suc性能检测系统及其方法
Doshi et al. Vehicle maintenance and garage practice
OWNER Owner’s I
Hull et al. Alternative Inspection Policies for Collision Damaged Vehicles and Inspection of Special Purpose Vehicles
CN116183249A (zh) 一种乘用车轮胎道路磨耗整车试验方法
Kesch et al. Emission-control legislation
CN116223052A (zh) 基于实际出行工况的整车动力驾驶性产品力测试评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