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451A -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 Google Patents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451A
KR20110060451A KR1020090117041A KR20090117041A KR20110060451A KR 20110060451 A KR20110060451 A KR 20110060451A KR 1020090117041 A KR1020090117041 A KR 1020090117041A KR 20090117041 A KR20090117041 A KR 20090117041A KR 20110060451 A KR20110060451 A KR 20110060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grass
composite
turf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호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0451A/ko
Publication of KR20110060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2013/086Combination of synthetic and natur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잔디 구조체에 있어서, 기초지반; 상기 기초지반의 상부에 형태안정성이 부여되는 코팅층;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인조잔디가 포설되는 섬유기포; 상기 섬유기포상에 포설된 인조잔디; 상기 섬유기포 상부에 형성된 배토층; 및 상기 배토층 내에서 천연잔디의 종자가 발아되어 생육된 천연잔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복합잔디로서, 상기 배토층은 10~30 mm 높이로 토사에 충전재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복합잔디, 천연잔디, 충전재, 배토층, 충격흡수

Description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Combined turf structure mixing infill material}
본 발명은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잔디 위에 천연잔디를 생육시키되, 배토층에 충전재가 혼합되어 있는 복합잔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잔디란, 지표면을 피복하는 지피식물 중에서 잦은 깎기에 잘 견디며, 압축회복성의 특성을 갖고 있기에 경기장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천연잔디에 있어서, 생육 최적온도가 15 내지 25 ℃인 한지형 잔디로 켄터키블루그래스, 페너리얼라이그래스, 톨 훼스큐, 크리핑벤트그래스 등이 있으며, 25 내지 35 ℃에서는 난지형 잔디로 조이시아그래스, 버뮤다그래스류로 기후 특성에 맞도록 이용되는 빈도에 따라 각 잔디를 조성시킨다. 또한, 잔디 종류에 따라 생육 패턴이 다르며, 운동경기별로 그에 적당한 예고(예상높이) 및 예초(잔디깎기)의 빈도를 달리하여 최적의 조건을 지니도록 관리함이 중요하다. 그 밖에 잔디 품종별로 잔디의 마모저항성, 답압성, 압축 회복성, 형성속도, 뿌리 및 잎의 밀도, 내관수성, 비료 요구도 등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온에 따라 잔디의 성장 및 관수 방법을 달리하여 잔디가 생육관리 되어야 한다. 특히, 잔디의 높이가 높을수록 뿌리가 깊이 자라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또한 용도에 맞춰 잔디깎기를 실시해야 한다. 일예로 잔디 높이가 낮을수록 골프장 또는 티매트 등에 적용되며, 높이가 높을수록 정원, 경마장 또는 다른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천연잔디는 충분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질감이 좋고 쿠션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에서 안전하며, 미끄러졌을 때 마찰로 인한 상처가 거의 없다. 그러나,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심한 답압에 의한 외력에 대해 마모가 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잔디 경기장의 경우, 천연잔디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해 2 내지 3일 사용 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천연잔디 구장의 사용 일수에 제한이 있다. 이에, 내마모성 및 형태 안정성과 같은 내구성을 지니고, 관리하기에 용이하면서 천연잔디 촉감을 발현시킬 수 있는 인조잔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천연잔디의 대용품으로 미국에서 처음 제작된 이래 주로 스포츠 구장에 사용되었고 잔디의 생육이 불가능한 옥내 정원이나 일조시간이 극히 제한된 고층건물의 북쪽에 접한 옥외지역과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는 항상 푸르름을 유지하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아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하다. 인조잔디가 시공된 인조잔디 구장은 일반 천연잔디에 비해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관리의 편의성,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등으로 인해 선호도가 높다. 스포츠용 인조잔디에 있어서는 선수의 충격을 흡수하고, 공구름성, 공튀김성, 공이 지면에 바운드 되고난 이후의 공의 속도 변화 등 일련의 적정 경기성으로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조잔디가 활용되었다.
일반적인 인조잔디는 최하부에 골재, 석분, 투스콘 등과 같은 물질이 형성되어 배수작용을 원활케 하는 지반층과, 상기 지반층의 상부에 천연잔디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잔디파일과, 상기 잔디파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층과, 상기 고정층의 상부에 충전되어 잔디파일 사이사이를 채우는 모래 등의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부에 충전되어 탄성을 좋게하는 쿠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도 1은 기존의 인조잔디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최하부에 모래와 모래 상부에 합성수지 충전재가 충전된 쿠션층이 있고, 그 상부에 인조잔디가 포설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쿠션층은 충분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주로 재생 가능한 폐타이어, 또는 폐고무들을 잘게 부숴 만든 고무칩, 합성수지계 고무칩 등을 충전하여 사용된다. 상기 고무칩은 탄력을 주기 위해서 뿌려지는 것으로서, 답압개선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10~20kg/m2의 많은 양이 사용되어야 한다. 인조잔디 축구장 하나에는 보통 120톤의 고무칩이 들어갈 정도로 많은 양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무칩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다져짐 효과가 떨어져서 유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 다.
이러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041688호가 있는 데, 경기장에 적합하며, 적어도 제 1인조 잔디 섬유가 부착되는 기재와, 상기 제 1인조 잔디 섬유들 사이에 구비되고 재생 가능한 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입상 충전재(granular infill)로 구성되는 인조 잔디에 있어서, 인조 잔디의 경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입상 합성 충전재에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전재를 인조잔디에 충전하는 경우, 충전재의 유실과 내구성의 문제로 주기적으로 재충전시켜야하는 불편함과 충전재 구매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렇듯 인조잔디의 사용은 생산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과 함께 천연잔디와 같은 촉감을 그대로 나타낼 수 없었다. 따라서, 최근 경기장이나 공원에 잔디를 적용함에 있어서, 최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천연잔디 및 인조잔디의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방안으로, 인조잔디 매트릭스(Matrix) 상에 천연잔디를 식모하여 천연잔디에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고, 천연잔디 뿌리가 보호되도록 하며 촉감이 우수하면서도 영구적인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내구성을 지닌 복합잔디에 대한 연구가 일본 특허공개 제2001-214407호 및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219383호에서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인조잔디 사이에서 생육된 천연잔디가 생육이 완료되거나 고사된 후에는 잔디의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의 기능을 제대로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조잔디 위에 천연잔디를 생육시켜 천연잔디를 보호하는 복합잔디 의 경우에 있어서, 인조잔디가 천연잔디의 식생을 돕고 천연잔디의 보호를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천연잔디가 생육이 완료되거나 고사하여 없어진 후에도, 사용하던 합성수지 충전재의 양을 줄이더라도 내구성이 있으면서 인조잔디의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쿠션층의 기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기술이 소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에 천연잔디를 생육시킴으로써 천연잔디가 복합잔디에서 충전재 기능을 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충전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잔디 사이에 생육된 천연잔디가 생육이 완료되거나 고사된 후라도 그 위에 기존에 사용되던 양보다 적은 양의 충전재로 인조잔디의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의 기능을 내구적으로 충분히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포츠용 복합잔디의 탄성력, 충격흡수성 등의 물성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복합잔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합잔디 구조체에 있어서, 기초지반;상기 기초지반의 상부에 형태안정성이 부여되는 코팅층;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인조잔디가 포설되는 섬유기포; 상기 섬유기포상에 포설된 인조잔디; 상기 섬유기포 상부에 형성된 배토층; 및 상기 배토층 내에서 천연잔디의 종자가 발아되어 생육된 천연잔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복합잔디로서, 상기 배토층은 10~30 mm 높이로 토사에 충전재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사가 규사, 사질토, 점질토, 마사토, 적옥토, 부엽토, 배양토, 동생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충전재는 합성수지 충전재로 하되, 상기 합성수지 충전재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토층에서 토사 및 충전재의 혼합비율은 60:40 내지 40:6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조잔디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 된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잔디가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KB), 퍼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PR) 및 톨 훼스큐(Tall Fescue;TF)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어 이루어지고, 파종량 10~30g/m2으로 식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는 천연잔디가 복합잔디에서 충전재 기능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는 충전재 유실에 의한 주기적 재충전이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복합잔디 구조체의 구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는 생육된 천연잔디의 생육이 완료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사되어도 기존의 인조잔디에 충전되던 충전재의 양보다 적은 양의 충전재로 충전해도 충분한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는 스포츠용에 사용되는 잔디의 탄성력, 충격흡수성 등의 물성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복합잔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인조잔디 위에 천연잔디를 생육시켜 천연잔디만을 보호하는 복합잔디의 경우에 인조잔디가 천연잔디의 생육을 돕고 천연잔디의 보호를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인조잔디에 천연잔디를 생육시킴으로서 천연잔디가 충전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인조잔디에 생육되어 있던 천연잔디의 생육이 완료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고사하여 없어진 후에도, 내구성이 있으면서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쿠션층의 기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복합잔디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 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잔디 구조체 100은 인조잔디 110 및 천연잔디 130을 포함하되, 기초지반 10 위에 코팅층 30이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 상부의 섬유기포 50에 인조잔디 110이 포설되고, 상기 섬유기포 50의 상부에 높이 10~30mm로 배토층 70이 배토된 다음, 상기 배토된 배토층 70에 천연잔디 종자가 10~30g/m2 의 양으로 파종된 후, 상기 파종된 천연잔디 종자가 배토층에서 발아되어 생육된 천연잔디 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기초지반 10은 적정한 투과율을 갖는 쇄석층이거나, 쇄석층과 모래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지반의 상부에는 코팅층 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층 3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아크릴(Acryl)계 수지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SBR)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코팅층은 본 복합잔디 구조체의 뗏장의 크기를 좌우하고, 인조잔디 110이 빠지지 않도록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생된 천연잔디의 뿌리가 더 이상 뻗어나가지 못하게 제한하고, 일정 뗏장의 두께 및 크기를 형성시켜 뗏장을 뜨기 용이하도록 하여 경기장이나 잔디가 필요한 곳으로의 운반의 편리성과 함께 단위생산이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기포 50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브레이드(Braid) 또는 메쉬(Mesh) 형태의 섬유 상층부와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는 하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기포에 인조잔디를 식설함으로써, 식설된 인조잔디를 섬유기포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섬유기포에 인조잔디의 식설은 터프팅(Tufting) 방식, 모켓(Moquett) 방식 및 라셀 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식설하여 인조잔디가 섬유기포에 강하게 결속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배토층 70은 배수를 돕고 천연잔디의 생육을 위해 필요한 층으로 인조잔디 110 상에 구축된다. 상기 배토층은 토사(土沙)에 충전재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사 및 충전재를 혼합함으로써 서로 간에 엉김 및 다져짐이 발생하여 충전재의 유실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특히 기존의 제일 상부에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충전재의 유실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전재의 양을 살펴보면 기존의 사용되던 충전재의 양보다 약 30 내지 50%정도 적게 사용하더라도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토층 70에서 토사 및 충전재의 혼합비율은 40:60 내지 60:4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이 충족된다. 토사의 혼합 비율이 40 미만인 경우에는 천연잔디의 생육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고사비율이 높아질 수 있고, 다져짐 효과가 떨어져 배토층이 쉽게 유실될 수 있다. 토사의 혼합비율이 6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전재가 적게 혼합됨으로써 천연잔디가 고사된 후에는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토사의 성분은 규사, 사질토, 점질토, 마사토, 적옥토, 부엽토, 배양토, 동생사 등을 단일 혹은 1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합성수지 충전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합성수지 충전재로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수지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가 포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은 우수한 충격완화기능(쿠션성)을 제공하고, 경제적이면서도 황이나 발암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친환경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충전재의 크기는 평균 지름이 0.5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토층 70에서 인조잔디가 식설된 섬유기포의 상부에 배토량, 즉 배토 높이가 중요한데, 배토 높이는 섬유기포로부터 10~30 mm 높이로 배토되는 것이 인조잔디 사이에서 생육되는 천연잔디의 생육 능력을 높여 충격완화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좋다. 상기 높이가 10 mm 미만으로 배토되는 경우, 인조잔디 사이에 천연잔디의 생육이 잘 되지 않고, 생육 밀도도 저하되며, 천연잔디의 고사 비율이 너무 높아 충전재의 역할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30 mm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인조잔디의 높이가 낮아져 복합잔디의 물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110은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파일 섬유로서 파일의 두께 80~300㎛, 폭 2 내지 20 mm 이고, 높이 30~7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잔디의 파일의 높이가 30 mm 미만인 경우, 토양이 채워지는 깊이가 낮아 생육된 천연잔디의 뿌리가 약해져 너무 쉽게 고사되고, 경기장 등에 적용 시 디봇 강도가 약하게 되며, 70 mm 를 초과하면, 뗏장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운반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의 폭이 2 mm 미만이고, 두께가 80 ㎛ 미만인 경우, 인조잔디 파일의 직립성 및 견고성이 낮을 우려가 있으며, 폭이 20 mm를 초과하고, 두께가 300 ㎛를 초과하면, 너무 넓은 엽폭 및 두께로 인해 천연잔디의 파종 및 배토 작업이 어려워 활착률이 낮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잔디 130는 우리나라 기후 특성에 맞는 한지형 잔디인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KB), 퍼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PR) 및 톨 훼스큐(Tall Fescue;TF)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한지형 잔디 중에서 내성이 가장 강하고, 회복력이 빠르며, 지하 포복경이 있어 맨땅을 메울 수 있고, 발아속도가 7 내지 15 일 정도로 잔디 품질이 아주 좋다.
상기 천연잔디 130의 파종량은 10 내지 30 g/㎡ 임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파종량이 10 g/㎡ 미만인 경우, 잔디의 피복률이 낮아져 충격완화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0 g/㎡을 초과하면, 파종량의 증가에 따른 피복률 및 기능상의 상승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파종 후의 생육된 천연잔디의 높이는 10 내지 50 mm가 되도록 생육 및 관리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천연잔디의 높이가 10 mm 미만인 경우, 내답압성이 낮아 잔디의 손상이 쉬우며, 50 mm를 초과하면, 잔디 높이가 너무 높아져서 직립성이 낮아 오히려 충전재의 역할을 하지 못해 경기 시 미끄러지기 쉬워 경기자의 부상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잔디의 높이가 일정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잔디의 스트레스 내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잔디를 나타낸 사진이다.
인조잔디가 식설된 섬유기포 위에 규사(모래)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를 50 : 50의 중량비율로 배토층을 형성하되, 배토층의 높이를 20mm로 하고, 켄터키 블루 그래스 천연잔디 종자를 파종량 20g/m2로 파종하여 3개월간 생육시킨 상태로서, 상대적으로 굵은 파일의 인조잔디 사이사이에 인조잔디보다 얇은 천연잔디가 생육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잔디 구조체는 천연잔디 자체가 충전재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충전재의 사용보다 적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답압방지 및 충격흡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스포츠용에 사용되는 잔디의 물성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가로 × 세로가 3 × 7.5 m 인 쇄석지반과 20 cm 두께의 모래로 이루어진 기초지반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고습강도 레이온으로 이루어진 섬유기포가 형성되고, 상기 섬유기포상에 터프팅 방식으로 옆폭이 10 mm, 파일 높이 45 mm 인 인조잔디를 식설한 후, 규사(모래)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를 50 : 5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인조잔디가 식설된 섬유기포 상에 20 mm 높이로 배토하여 배토층을 형성시켰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배토층 내에 천연잔디 종자인 켄터키 블루그래스 씨앗 20 g/㎡을 파종하였으며, 이 후 주기적으로 생육상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잔디가 25 mm 를 유지하도록 잔디깎기를 실시하여 생육관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규사(모래)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를 40 : 6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배토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규사(모래)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를 60 : 4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배토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배토층의 높이를 10 mm로 배토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배토층의 높이를 30 mm로 배토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켄터키 블루그래스 씨앗의 파종량을 30 g/㎡로 하여 파종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각각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배토 높이 5 mm로 배토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배토층은 모래만을 형성하고 배토층의 높이는 20 mm로 배토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규사(모래)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를 30 : 70의 중량비율로 하고 배토층의 높이는 50 mm로 배토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천연잔디를 식생하지 않고, 상기 배토층의 높이를 20 mm로 배토하였다.
시험방법
천연잔디 종자를 파종하여 3개월 후에 천연잔디의 생육상태를 단위 면적에 파종된 파종량에 대해 발아되어 생육된 천연잔디의 양(%)으로 평가하였으며, 각 복합잔디를 1개월간 축구경기용으로 이용토록 한 후, 복합잔디 표면에 축구공을 튕겨 탄성력을 5(우수)에서 0(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천연잔디의 파종과 생육은 생육적기(평균기온 15 내지 25 ℃, 평균강수량 150 내지 200 mm)에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구분
생육상태
(%)
충격흡수기능(탄성력)
특이사항
이용전 1개월
이용후
실시예 1 30 4.3 4.3 탄성력 유지
실시예 2 30 4.5 4.5 탄성력 유지
실시예 3 40 4.0 4.0 탄성력 유지
실시예 4 40 4.5 4.3 탄성력 유지
실시예 5 40 4.6 4.3 실시예 1의 천연잔디가 전부 고사된 후에 탄성력 평가-탄성력 유지
실시예 6 40 4.5 4.3 탄성력 유지
비교예 1 10 2.5 2.0 탄성력 부족
비교예 2 10 2.5 2.5 탄성력 부족
비교예 3 15 2.0 2.0 탄성력 부족
비교예 4 15 2.0 2.0 탄성력 부족
비교예 5 5 3.5 3.5 합성수지 충전재함량을 증가하더라도 충전재함량 증가에 따른 탄성력 증가없음
비교예 6 - 3.0 2.0 탄성력은 어느정도 만족되나 천연잔디의 부존재에 따른 배토층의 소실이 다소생김
상기 표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으로 보아, 본 발명의 모래 및 충전재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배토층으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10∼30㎜)한 경우의 복합잔디 구조체(실시예 1 내지 3)는 충격흡수기능(탄성력)이 우수하게 발현되고, 배토 높이가 낮은 복합잔디 구조체(비교예 1 내지 3) 및 배토층이 모래만으로 이루어진 복합잔디 구조체(비교예 4)는 충격흡수기능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의 경우 천연잔디가 생육을 멈추고 고사된 후에 우수한 탄성력이 유지되었으며, 비교예 5에서와 같이 충전재의 함량을 모래보다 많이 함유하도록 하고 배토층의 높이를 증가하여 많은 합성수지 충전재를 혼합하여도 그에 따른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적은 양의 충전재의 첨가만으로도 우수한 충격흡수기능이 발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잔디가 포함되는 복합잔디 구조체는 잔디 이용 후에 탄성력이 유지된 반면, 천연잔디를 포함하지 않은 인조잔디 구조체(비교예 6)는 이용 후에 배토층의 소실이 다소 있어서 탄성력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는 기존의 인조잔디 구조체에 대한 단면도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잔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기초지반 30: 코팅층
50: 섬유기포 70: 배토층
100: 복합잔디 구조체 110: 인조잔디
130: 천연잔디

Claims (6)

  1. 복합잔디 구조체에 있어서,
    기초지반;
    상기 기초지반의 상부에 형태안정성이 부여되는 코팅층;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인조잔디가 포설되는 섬유기포;
    상기 섬유기포상에 포설된 인조잔디;
    상기 섬유기포 상부에 형성된 배토층; 및
    상기 배토층 내에서 천연잔디의 종자가 발아되어 생육된 천연잔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복합잔디로서,
    상기 배토층은 10~30 mm 높이로 토사에 충전재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는 규사, 사질토, 점질토, 마사토, 적옥토, 부엽토, 배양토, 동생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합성수지 충전재로 하되,
    상기 합성수지 충전재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층에서 토사 및 충전재의 혼합비율은 60:40 내지 40:6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는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잔디는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KB), 퍼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PR) 및 톨 훼스큐(Tall Fescue;TF)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어 이루어지고, 파종량 10~30g/m2으로 식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KR1020090117041A 2009-11-30 2009-11-30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KR20110060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041A KR20110060451A (ko) 2009-11-30 2009-11-30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041A KR20110060451A (ko) 2009-11-30 2009-11-30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451A true KR20110060451A (ko) 2011-06-08

Family

ID=4439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041A KR20110060451A (ko) 2009-11-30 2009-11-30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04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4856A (zh) * 2014-10-31 2015-03-11 广州傲胜人造草有限公司 一种真草和人造草复合草皮及其制备方法
WO2017114492A1 (zh) * 2015-12-31 2017-07-06 广州傲胜人造草股份有限公司 一种人造草与天然草混合的景观草坪
CN109811618A (zh) * 2019-01-28 2019-05-28 江苏共创人造草坪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防霉性的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CN110318316A (zh) * 2019-08-05 2019-10-11 罗明 一种草坪混植系统
KR102096246B1 (ko) 2019-06-26 2020-04-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개구부가 있는 기재를 활용한 식모 방식의 인조잔디 구조체
KR102268606B1 (ko) 2020-01-21 2021-06-24 (주)대원그린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094210A (ko) 2020-01-21 2021-07-29 (주)대원그린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4856A (zh) * 2014-10-31 2015-03-11 广州傲胜人造草有限公司 一种真草和人造草复合草皮及其制备方法
WO2017114492A1 (zh) * 2015-12-31 2017-07-06 广州傲胜人造草股份有限公司 一种人造草与天然草混合的景观草坪
CN109811618A (zh) * 2019-01-28 2019-05-28 江苏共创人造草坪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抗菌防霉性的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KR102096246B1 (ko) 2019-06-26 2020-04-0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개구부가 있는 기재를 활용한 식모 방식의 인조잔디 구조체
CN110318316A (zh) * 2019-08-05 2019-10-11 罗明 一种草坪混植系统
KR102268606B1 (ko) 2020-01-21 2021-06-24 (주)대원그린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094210A (ko) 2020-01-21 2021-07-29 (주)대원그린 Pe계 유니소재로 제작된 복합잔디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0451A (ko) 충전재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US9003694B2 (en) Mixed turf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5850708A (en)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US7357966B2 (en) Synthetic turf system and method
EP0648292B1 (en) Improved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CA1253896A (en) Pedestrian, vehicular or sports playing surfaces and underlays/shock pads
JP6363107B2 (ja) スポーツ表面及びガーデニング表面用の芝生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によって芝生を栽培する方法
EP2626468B1 (en) Mixed turf and method of making
KR100864276B1 (ko) 복합잔디 및 이의 생육관리방법
EP1781859B1 (en) Mixed turf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6295756B1 (en)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EP0403008A1 (en) Sports field with natural grass and artificial grass and a method for laying same
NZ737764A (en) Hybrid turf surface and support therefor
US20230337598A1 (en) Hybrid grass support structure with stone wool layer
KR20130103855A (ko) 천연잔디 식생이 용이한 인조잔디 구조체
US6691455B1 (en) Sports playing surfaces with biodegradable backings
EP2161981B1 (en) Surfaces for sporting and other activities
KR20110060452A (ko) 종이가 혼합된 복합잔디 구조체
KR20120111334A (ko) 인조잔디 파일 식모형 복합잔디구조체
KR20110035587A (ko) 천연잔디 충전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WO1999056523A1 (en) Improved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KR102065876B1 (ko) 식생 토낭을 이용한 친환경 및 천연 잔디형 복합 잔디 구조체
EP3623530B1 (en) Hybrid grass support structure with stone wool layer and biodegradable box comprising such structure
EP2129834B1 (en) Artificial lawn
JPH10178885A (ja) 芝生の床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