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011A -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011A
KR20110060011A KR1020090116476A KR20090116476A KR20110060011A KR 20110060011 A KR20110060011 A KR 20110060011A KR 1020090116476 A KR1020090116476 A KR 1020090116476A KR 20090116476 A KR20090116476 A KR 20090116476A KR 20110060011 A KR20110060011 A KR 2011006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supply
roller
unloading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788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는: 이송된 운송물을 벨트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롤러부 및 롤러부에 가이드되어 공급부와 벨트컨베이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116476
연속하역기, 하역장치, 공급부, 롤러부, 벨트컨베이어

Description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UNLOAD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하역기에서 벨트컨베이어로 하역되는 운송물의 분진이 외측으로 비산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어 인접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선박에 적재된 연료와 원료 등의 운송물을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설비로 연속하역기를 사용한다.
연속하역기의 굴삭부에는 체인을 따라 회전하는 버킷(Bucket)이 구비된다. 버킷의 회전에 의해 선박의 적재부에 저장된 운송물이 버킷의 내측에 담겨져서 상측으로 이동된 후, 붐(Boom)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지상으로 이송된다
붐으로 이송된 운송물은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로 하역되어 지정된 장소로 이 송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연속하역기는 선박의 길이만큼 주행을 하면서 지상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로 운송물을 낙하하며, 이러한 작업 공정으로 발생된 분진은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비산되어 환경 오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연속하역기가 주행하면서 벨트컨베이어로 운송물을 낙하할 때, 분진이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비산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는: 이송된 운송물을 벨트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롤러부 및 롤러부에 가이드되어 공급부와 벨트컨베이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공급부는, 운송물을 공급받는 슈트부 및 슈트부에서 낙하된 운송물을 이동시키는 공급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부는, 커버부의 부상을 방지하는 제1롤러부 및 제1롤러부와 이격되며 커버부를 지지하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는 벨트컨베이어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부는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운송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는, 벨트컨베이어로 운송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벨트컨베이어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운송물의 낙하시 발생되는 분진이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박의 하역에 사용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가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1)는, 배에서 이송된 운송물(5)을 벨트컨베이어(40)로 공급하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롤러부(20) 및 롤러부(20)에 가이드되어 공급부(10)와 벨트컨베이어(40)를 커버하는 커버부(30)를 포함한다.
공급부(10)는, 연속하역기(이하 도시생략)를 통하여 이송된 운송물(5)을 벨트컨베이어(40)로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기능의 부재들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운송물(5)을 공급받는 슈트부(16) 및 슈트부(16)에서 낙하된 운송물(5)을 이동시키는 공급벨트컨베이어(12)를 포함한다.
슈트부(16)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속하역기에서 낙하되는 운송물(5)을 하측(이하 도 1기준)으로 안내한다.
슈트부(16)의 하측에는 공급벨트컨베이어(12)가 설치되어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받은 운송물(5)을 벨트컨베이어(40)로 이송한다.
공급벨트컨베이어(12)는 무한궤도로 이동하는 공급벨트(14)를 구비하며, 공급벨트컨베이어(12)의 몸체는 베이스프레임(19)으로 지지된다.
공급벨트컨베이어(12)의 상측에는 가이드프레임(18)이 구비되어, 공급벨트(14)를 따라 이동하는 운송물(5)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공급부(10)는 연속하역기의 하측에 고정되며, 연속하역기와 같이 연동된다. 연속하역기의 이동시, 공급부(10)는 벨트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하면서 벨트컨베이어(40)로 운송물(5)을 공급한다.
벨트컨베이어(40)의 상측에는 운송물(5)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커버부(30)가 공급부(1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안내하는 롤러부(20)가 공급부(10)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20)는, 커버부(30)의 부상을 방지하는 제1롤러부(22) 및 제1롤러부(22)와 이격되며 커버부(30)를 지지하는 제2롤러부(28)를 포함한다.
제1롤러부(22)와 제2롤러부(28)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4)와 롤러(24)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6)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26)은 베이스프레임(19)과 가이드프레임(18)에 고정되므로, 공급부(10)의 이동과 함께 롤러부(20)도 이동된다.
커버부(30)의 부상을 방지하는 제1롤러부(22)는 공급부(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커버부(30)를 지지하는 제2롤러부(28)는 공급부(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1롤러부(22)는 커버부(30)가 상측으로 뜨지 않도록 커버부(30)를 하측으로 눌러주면서 회전되며, 제2롤러부(28)는 커버부(30)가 공급부(10)에 접촉하지 않도록 커버부(30)를 지지하면서 회전된다.
커버부(30)는 벨트컨베이어(4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며, 벨트컨베이어(40)의 상측과 벨트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부(10)의 일측을 커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막부재를 포함한 다양한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30)의 양측에는 벨트컨베이어(40)에 고정브라켓(36)이 지지되며, 고 정브라켓(36)에 커버부(30)가 접한 상태에서 고정판(34)이 겹쳐지며, 이러한 고정판(34)은 체결부재(32)로 고정된다.
벨트컨베이어(40)는 공급부(10)에서 낙하된 운송물(5)을 이송하는 이송벨트(42)와, 이송벨트(42)를 구동시키는 메인롤러(44) 및 이송벨트(42)를 지지하는 지지롤러(46)를 포함한다.
이송벨트(42)의 상측에는 가이드부재(38)가 구비되어 이송벨트(42)를 따라 이동하는 운송물(5)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가이드부재(38)에 고정브라켓(36)이 접하여 고정된다.
가이드부재(38)의 상측 개구된 부분은 커버부(30)로 덮어지므로, 이송벨트(42)를 따라 이동하는 운송물(5)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물(5)은 공급부(10)를 통해 공급벨트컨베이어(12)로 낙하된 후, 공급벨트(14)를 따라 이동되어 벨트컨베이어(40)로 낙하된다.
벨트컨베이어(40)로 낙하된 운송물(5)은 이송벨트(42)를 따라 이동되며, 가이드부재(38)의 설치로 운송물(5)의 측면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커버부(30)는 벨트컨베이어(40)의 상측과 벨트컨베이어(40)의 상측에 위치한 공급부(10)를 커버하여 운송물(5)에서 발생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한다.
커버부(30)는 공급부(10)의 일측에 구비된 제1롤러부(22)의 하측과 공급부(10)의 상측에 구비된 제2롤러부(28)의 상측 및 공급부(10)의 타측에 구비된 제1 롤러부(22)의 하측을 차례로 통과하며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역기와 함께 공급부(10)가 벨트컨베이어(40)를 따라 이동하면, 커버부(30)는 제1롤러부(22)로 가압되어 공급부(10)의 양측에서 커버부(30)의 부상이 방지된다.
제1롤러부(22)를 지나는 커버부(30)는 제2롤러부(28)에서 지지되어, 커버부(30)가 공급벨트컨베이어(12)에 접하여 운송물(5)의 이송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1)는, 벨트컨베이어(40)로 운송물(5)을 공급하며 이동하는 공급부(10)와 벨트컨베이어(4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30)를 구비하여, 운송물(5)의 낙하시 발생되는 분진이 벨트컨베이어(40)의 외측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선박의 하역에 사용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벨트컨베이어에 운송물을 하역하는 다른 산업분야에도 본 발명의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가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5: 운송물 10: 공급부
12: 공급벨트컨베이어 14: 공급벨트
16: 슈트부 20: 롤러부
22: 제1롤러부 28: 제2롤러부
30: 커버부 38: 가이드부재
40: 벨트컨베이어 42: 이송벨트
44: 메인롤러 46: 지지롤러

Claims (5)

  1. 이송된 운송물을 벨트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외측을 감싸며 설치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에 가이드되어 상기 공급부와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운송물을 공급받는 슈트부; 및
    상기 슈트부에서 낙하된 상기 운송물을 이동시키는 공급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커버부의 부상을 방지하는 제1롤러부; 및
    상기 제1롤러부와 이격되며,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운송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20090116476A 2009-11-30 2009-11-30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17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76A KR101175788B1 (ko) 2009-11-30 2009-11-30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476A KR101175788B1 (ko) 2009-11-30 2009-11-30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11A true KR20110060011A (ko) 2011-06-08
KR101175788B1 KR101175788B1 (ko) 2012-08-21

Family

ID=4439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476A KR101175788B1 (ko) 2009-11-30 2009-11-30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0341A (zh) * 2016-04-27 2016-07-27 杭州奥拓机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散料卸料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45B1 (ko) 2014-09-25 2015-10-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오탁수처리장치
KR102122664B1 (ko) * 2018-11-26 2020-06-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0341A (zh) * 2016-04-27 2016-07-27 杭州奥拓机电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散料卸料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788B1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175788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KR20110047038A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355517B1 (ko) 트리퍼 장치
KR20130046564A (ko) 트리퍼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JP5371516B2 (ja) 積付・払出し装置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00118030A (ko) 연속식 언로더의 버킷 개폐장치
KR101435050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176005B1 (ko) 연속하역기의 급수장치
KR101424469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20040042020A (ko) 부상식 벨트콘베이어 장치
KR20110060004A (ko) 벨트컨베이어의 슬립 방지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KR20160036429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20100118015A (ko) 연속식 적재물 하역장치
KR101330537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낙광 방지장치
KR101377503B1 (ko) 스태커용 이송물 운반장치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1424452B1 (ko) 이송부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