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409A -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409A
KR20110059409A KR1020090116131A KR20090116131A KR20110059409A KR 20110059409 A KR20110059409 A KR 20110059409A KR 1020090116131 A KR1020090116131 A KR 1020090116131A KR 20090116131 A KR20090116131 A KR 20090116131A KR 20110059409 A KR20110059409 A KR 2011005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maintenance history
status information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환
Original Assignee
김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환 filed Critical 김형환
Priority to KR102009011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9409A/ko
Publication of KR2011005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장치는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서버로부터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의 정비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하에 정비이력정보 및 차량상태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비소의 입장에서는 차량의 식별정보뿐 아니라 차량의 상태정보를 차량으로부터 직접 무선으로 수신함에 따라, 해당 차량의 현재 상태, 정비 이력 등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차량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자동차, 정비, 부품

Description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formation of car condition}
본 발명은 차량 상태정보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 부속품의 상태정보를 정비소에 제공하고, 엔진오일, 미션오일 등의 소모품 교체 시기 등에 관한 정비 정보를 차량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하게 차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또는 일정 주행거리마다 정비를 받아야 하며, 또한 고장이나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때도 정비나 수리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차량 정비는 일반적으로 정비업체에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정비업체는 정비를 필요로 하는 차량이 입고되면, 문제가 되는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한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차량 소유주로부터 직접 얻는다. 최근에는 정비소마다 컴퓨터를 구비하여 고객의 차량 정비내역을 관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입고된 차량의 이전 정비이력을 컴퓨터로부터 확인하여 현재 차량의 상태정보를 판단하는데 이용하며, 차후 차량을 정비한 후에는 실시한 정비내역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에 따르면, 정비업소 관 계자는 입고된 차량의 상태정보로써, 이전에 정비된 내역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현재의 차량 상태정보는 직접 일일이 차량을 살피거나, 차량 소유주로부터 직접 문제가 되는 부분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더욱이, 기존의 차량 정비 내역을 알기 위해서는 정비업체에 구비된 컴퓨터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여 해당 차량의 정비 내역을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겪어야 한다.
또한, 차량의 정비내역이 특정 정비업체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차량 소유자가 다른 정비업체로 가서 정비를 맡기게 되면, 기존의 정비 내역을 확인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소유자가 자기 차량의 정비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정비를 행한 정비업체에서 차량의 정비내역을 종이 등의 매체에 출력된 형태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소모품을 교체해야 하는 시기를 일일이 직접 계산해야 하는 불편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근거리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상태정보를 정비업체에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상태에 따른 정비 일정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정비 내역에 대한 정보를 차량 소유주에게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여, 차량 소유주가 편리하게 차량 정비를 위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의 정비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정비이력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정보 관리장치는 정비 내역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정비 내역을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상기 회원의 정비이력정보를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며, 상기 부품교체시기는 상기 데이터통신부에 의해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특정 부품에 부착 또는 결합 또는 일체화되며, 상기 부품의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를 포함하는 부품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부품상태인식모듈; 상기 부품상태인식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및 외부의 정비소 단말로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상태정보 관리 자동차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부품상태인식모듈은 상기 부품의 마모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마모상태를 상기 부품상태정보로써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비소에 구비된 차량정보 관리 장치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회원을 인식하고, 상기 회원의 회원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화면 출력 또는 인쇄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정비이력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교체시기를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정비소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차량정보 통합 관리 장치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비소 단말기가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취득한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을 인식하고, 정비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회원의 회원 정보를 상기 정비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비소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비 내역에 따라 상기 정비이력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갱신된 상기 정비이력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교체시기를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비소의 입장에서는 차량의 식별정보뿐 아니라 차량의 상태정보를 차량으로부터 직접 무선으로 수신함에 따라, 해당 차량의 현재 상태, 정비 이력 등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차량 정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정비소에게 자동으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차량 소유주는 보다 명확하게 자신의 차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반 드시 필요한 정비만을 수행토록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차량 정비에 따른 자금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정비 이력을 통해 다음 번 차량 정비 시기를 산출하여 차량 소유주에게 알려줌으로써, 차량 소유주는 보다 편리하게 자신의 차량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정보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차량(즉, 자동차(10)), 자동차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 차량정보 관리장치(50) 및 보험사 서버(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차량 정비업소에 구비될 수 있다.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자동차(10)로부터 차량식별정보(예를 들어 차량 등록번호) 및 차량상태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차량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차량 소유주, 보험등록 정보, 차량 등록번호 등)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식별정보를 보험사 서버(7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보험등록 정보(보험 특약, 보험 유효 기간 등)를 취득할 수 있으며,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차량이 회원으로 등록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회원인 경우 기존의 정비이력을 출력하여 정비사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차량상태정보는 자동차(10)의 정비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자동차(10)의 특정부품의 상태정보(생산일자, 교체일자, 마모정도 등)를 취합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상태정보는 엔진오일, 미션오일에 대한 생산 또는 교체 일자,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 타이어의 교체일자 및 마모상태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입고된 차량의 정비가 완료되어 정비 내역이 입력되면, 해당 정비 내역을 차량의 소유주에게 제공한다. 물론 종이 등에 인쇄된 형태로 정비 내역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차량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정비 내역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SMS(단문 메시지 서비스),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비 내역을 차량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정비 내역을 메시지로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30)의 화면을 예시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된 내역에 대한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차량 소유주는 자신의 차량이 정비된 내역을 쉽게 알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각 회원 차량의 정비이력을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며, 이를 차량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제공한다. 통상 자동차(10)는 엔진오일, 미션오일, 브레이크 라이닝, 타이어 등 일정 주행거리마다 교체해야 하는 소모성 부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차량 소유주의 운전 성향, 습관 등에 따라 부품 교체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한 점들을 고려하여, 기간별 주행거리(예를 들어 한달 동안의 주행거리), 주행거리 대비 부품 마모 정도 등을 이용하여 교체시기가 산출될 수 있다. 즉,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차량의 정비이력 정보와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정비해야 하는 내역 및 예상 정비일자를 산출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면, 5천 킬로미터 주행거리마다 엔진오일을 교체한다고 가정할 때, 회원 A의 경우 평균적으로 4개월마다 5천 킬로미터를 주행하는 경우, 4개월마다 엔진오일을 교체해야 함에 따라 마지막 교체일로부터 4개월 후가 교체시기가 되는 것이다. 마지막 교체일은 해당 회원의 정비이력으로써 미리 차량정보 관리장치(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차량정보 관리장 치(50)가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차량상태정보를 통해 인식될 수도 있다.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산출된 교체시기를 해당 차량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하며(도 7참조), 또한 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LCD 모니터 등)에 출력하여 정비사가 이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정비사는 각 부품들의 교체시기를 인식함으로써, 이를 차량 정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정보 관리장치(50)가 각 정비소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한 것인데 반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가 상기한 차량정보 관리장치(50)의 주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비업체에는 정비소 단말기(40)가 구비되고, 통신망을 통해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와 결합된다.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원의 차량정보 및 정비이력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여 해당 차량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 및/또는 정비소 단말기(40)로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정비소 단말기(40)는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의 식별정보 및 차량상태정보를 취득하여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로 전송하고,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로부터 해당 차량의 차량정보 및 정비이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차량의 정비가 완료되면, 정비소 단말기(40)는 해당 정비 내역을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로 전송하여,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가 해당 차량의 정비이력을 갱신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전체시스템과 비교하여 차량 정보 관리장치(50)의 기능을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와 정비소 단말기(40)가 연동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에서 통합적으로 각 회원들의 차량정보가 관리되기 때문에, 차량 소유주는 서로 다른 정비소에서 차량을 정비하더라도 동일한 차량상태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의 기능을 보험사 서버에서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도 2에 따른 시스템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차량정보를 관리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자동차(10) 및 차량정보 관리장치(50)의 구성을 통해 각 장치의 기능 및 역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 및 차량정보 관리장치(50)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각각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자동차(10)의 구성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10)는 하나 이상의 부품상태인식모듈(12-1, 12-2, 12-3,..., 이하 12로 통칭), 제어모듈(14), 외부통신모듈(16)을 포함한다.
부품상태인식모듈(12)은 자동차 부품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품의 일측에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부품상태인식모듈(12)은 해당 부품의 생산일자, 교체일 자, 마모상태 등에 따른 상태정보를 갖는다. 예를 들어, 부품상태인식모듈(12)이 타이어와 연결된 경우, 타이어의 교체일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타이어의 현재 공기압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최근엔 자동차의 공기압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는 장치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향후에도 타이밍벨트의 마모상태를 체크하는 등 각 자동차 부품의 마모상태 등을 체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 및 기술은 계속하여 개발될 것이며, 이러한 것들이 본 실시예에 따라 차량상태정보로써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예를 하나 더 들면, 미션오일이 담겨있는 케이스에 연결된 부품상태인식모듈(12)의 경우, 미션오일이 교체된 교체일자 및 미션오일의 점성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 또는 미션오일 등의 부품 교체일자는 정비사가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RFID 기술을 응용하여 새로운 부품이 교체되면 부품상태인식모듈(12)이 해당 부품의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새로운 부품이 교체된 일자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부품상태인식모듈(12)은 해당 부품의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정보를 제어모듈(14)로 전송한다. 최근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 적용된 차량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CAN과 같은 시스템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CAN 통신은 초창기 자동차 산업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된 네트워크 방식으로, 버스(bus)를 통해 모듈간의 비동기식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술이다. 부품상태인식모듈(12)은 이러한 CAN통신 등의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모듈(14)로 각 부품의 상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모듈(14)은 부품상태인식모듈(12)로부터 수집된 각 부품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통신모듈(16)을 이용하여 근거리의 차량정보 관리장치(5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14)은 미리 저장된 차량의 식별정보(차량 등록번호 등)를 차량상태정보와 함께 외부통신모듈(16)을 이용하여 외부로 발송한다.
외부통신모듈(16)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어모듈(14)로부터 출력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외부로 발송토록 기능한다.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은 현재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통신 기술이므로, 해당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본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14) 및 외부통신모듈(16)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부품상태인식모듈(12)이 RFID 태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로 차량상태정보를 전달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10)의 각 부품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고, 외부의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자동차(10)의 각 부품에는 생산일자 또는 교체일자에 대한 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가 부착되고, 정비업체의 차량정보 관리장치(50)의 RFID 리더기가 상기한 RFID 태그들에 내장된 상태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이다.
물론 이 경우 차량 식별정보를 함께 정비업체에 제공해야 하므로, 차량 식별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가 차량 번호판, 앞유리 등의 특정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반드시 차량 자체에 차량 식별정보를 내장한 RFID태그가 부착될 필요는 없으며, 차량 소유주가 보유한 특정 카드, 전자장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에 부착 또는 내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보험사에서는 차량 보험에 가입한 회원들에게 차량 정비 등에 이용할 수 있는 회원카드를 발급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회원카드에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가 내장된 RFID태그가 삽입될 수 있으며, 차량 소유주는 정비소에 입차 시 상기한 회원카드를 이용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식별정보를 정비소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차량정보 관리장치(50)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데이터베이스부(51), 무선 수신부(53), 제어부(55), 디스플레이부(57) 및 데이터 통신부(59)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51)에는 회원들의 회원정보가 저장된다. 회원정보는 차량등록번호, 정비이력 등의 차량정보와, 차량 소유주에 대한 성명, 주민번호, 주소, 연락처(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 수신부(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으로부터 차량 식별정보 및 차량 상태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RFID 기술을 예로 들면, 무선 수신부(53)는 RFID 리더기로 구현되어,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해당 RFID 태그에 내장된 정보를 독출한다. 예 를 들어, 차량에는 차량의 등록번호에 대한 정보를 내장한 메인 RFID 태그와, 특정 부품에 각각의 상태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무선 수신부(53)는 각각의 RFID 태그를 판독하여 내장된 정보들을 독출할 수 있다. 태그 및 리더기 방식인 RFID 기술이 아닌, 양방향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수신부(53)는 블루투스 모듈 등으로 구현되어, 차량으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차(10)와 차량정보 관리장치(50) 간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5)는 자동차(10)로부터 수신된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 차량의 차량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도록 기능한다. 만일 도 2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 정비소 단말기(40)의 제어부(55)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차량정보 통합관리장치(60)로부터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차량정보 및 개인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55)는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정보 및 자동차(10)로부터 수신된 차량상태정보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부(57, 예를 들어 LCD 모니터 등)를 통해 출력되도록 데이터베이스부(51), 무선 수신부(53) 및 디스플레이부(57)를 제어한다. 물론, 반드시 화면상에 차량상태정보 등을 출력할 필요는 없으며, 종이 등의 매체에 인쇄된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정비업체의 정비사는 별도의 입력 작업 없이도 입고된 차량의 정비이력 등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55)는 정비이력 및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품의 교체시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부품교체시기는 데이터 통신부(59)를 이용하여 차량 소유주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5)는 통신망을 통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59)를 이용하여, 보험사 서버(70)로 차량식별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차량의 보험 정보(보험약관, 보험만기 일자, 보험특약 등)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57)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새롭게 정비된 내역에 따라 정비이력을 갱신할 수 있도록 정비 내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정보 관리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 차량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장치(50)가 회원 차량의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정비소 내에 진입하여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자동차(10)에게 차량식별정보 및 차량상태정보를 요청한다(S410).
자동차(10)는 각 부품의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고(S415), 이를 차량식별정보와 함께 차량정보 관리장치(50)로 전송한다(S420). 자동차(10)가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를 보험사 서버(70)로 전송하여 보험정보를 요청하고(S425), 보험사 서버(70)는 수신된 식별정보에 따른 차량의 보험정보를 검색하여 차량정보 관리장치(50)로 전달한다(S430).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해당 차량의 식별정보에 따른 그 동안의 정비이력을 포함하는 회원정보, 수신된 차량상태정보 및 보험정보를 화면 출력 또는 인쇄하여 정비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35).
차후 정비가 완료된 이후,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정비업체 직원으로부터 정비내역을 입력받아 해당 차량의 정비이력을 갱신한다(S445).
그리고,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입력된 정비내역을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45).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비소 직원은 별도의 입력작업 없이, 정비소 내에 진입한 차량에 대한 이력정보, 식별정보, 보험정보 등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차(10) 소유주는 정비된 내역을 자신의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30)를 받아볼 수 있다.
또한,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여 알려주는 과정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정비 내역을 입력 받으면(S610), 해당 차량의 기존 정비 이력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S620).
그리고, 차량정보 관리장치(50)는 갱신된 새로운 정비이력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차량으로부터 미리 수신된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특정 부품들에 대한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고(S630), 이를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제공한다(S64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정보 관리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및 차량정보 관리장치의 기능에 따른 구성을 각각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에서 차량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관리장치가 회원 차량의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여 회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비내역 및 부품교체시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Claims (7)

  1. 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의 정비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정비이력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정비 내역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정비 내역을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상태정보 및 상기 회원의 정비이력정보를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며, 상기 부품교체시기는 상기 데이터통신부에 의해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관리장치.
  4. 차량의 특정 부품에 부착 또는 결합 또는 일체화되며, 상기 부품의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를 포함하는 부품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부품상태인식모듈;
    상기 부품상태인식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및
    외부의 정비소 단말로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상태정보 관리 자동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상태인식모듈은 상기 부품의 마모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마모상태를 상기 부품상태정보로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 관리 자동차.
  6. 정비소에 구비된 차량정보 관리 장치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회원을 인식하고, 상기 회원의 회원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화면 출력 또는 인쇄하는 단계;
    상기 회원의 정비이력 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교체시기를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 방법.
  7. 정비소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된 차량정보 통합 관리 장치가 차량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비소 단말기가 근거리통신 유효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취득한 하나 이상의 부품에 대한 교체일자 또는 생산일자에 따른 부품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상태정보 및 차량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식별정보에 따른 회원을 인식하고, 정비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회원의 회원 정보를 상기 정비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비소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비 내역에 따라 상기 정비이력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갱신된 상기 정비이력정보 및 상기 차량상태정보를 이용하여 부품교체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교체시기를 상기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관리 방법.
KR1020090116131A 2009-11-27 2009-11-27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10059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31A KR20110059409A (ko) 2009-11-27 2009-11-27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31A KR20110059409A (ko) 2009-11-27 2009-11-27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09A true KR20110059409A (ko) 2011-06-02

Family

ID=4439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31A KR20110059409A (ko) 2009-11-27 2009-11-27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9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431A (ko) * 2017-11-09 2017-11-17 이영빈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 정비 방법 및 시스템
KR102275908B1 (ko) * 2020-09-02 2021-07-08 이용우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431A (ko) * 2017-11-09 2017-11-17 이영빈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 정비 방법 및 시스템
KR102275908B1 (ko) * 2020-09-02 2021-07-08 이용우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7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Vehicle Maintenance and Service
US20200175618A1 (en)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Module Therefor
US10431097B2 (en)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utility of vehicle inspection records by including route identification data in each vehicle inspection record
KR101604468B1 (ko) 차량 유지를 위한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77302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0393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on of vehicle accident damage and repair
US8972097B2 (en)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utility of vehicle inspection records by including route identification data in each vehicle inspection record
US20090112396A1 (en) Automobile servicing method, diagnostic server and automobile thereof
US20080133432A1 (en) Automated rental vehicle check-in system
US201103071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CN103035048A (zh) 用于管理车辆车队的远程数据库
CN108701267B (zh) 轮胎运用服务系统以及方法
US201603143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line replaceable unit removal data
KR20060052028A (ko)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79419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459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관리 시스템
KR20110059409A (ko) 차량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0009123A (ja) 車両走行情報管理システム、走行距離計算装置および車両走行情報管理方法
KR100897475B1 (ko) 차량부품 관리장치, 차량부품 관리시스템 및 차량부품관리방법
KR20160143040A (ko) 운행 일지 자동 생성 기능을 갖는 운행 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6192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KR101684445B1 (ko) 차량 유지를 위한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387971B2 (ja) 車両点検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点検方法
KR101102469B1 (ko) 무선 통합 ap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서비스 활용 및 운용 시스템과 그 방법
JP638093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