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192A -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192A
KR20120086192A KR1020110007497A KR20110007497A KR20120086192A KR 20120086192 A KR20120086192 A KR 20120086192A KR 1020110007497 A KR1020110007497 A KR 1020110007497A KR 20110007497 A KR20110007497 A KR 20110007497A KR 20120086192 A KR20120086192 A KR 20120086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nit
diagnostic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혁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192A/ko
Publication of KR20120086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통신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진단 정보 획득부; 상기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해당 단말기로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LE MANAGEMNE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같은 이동 통신 단말 또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이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경로를 안내하며, 기타 각종 정보 등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내장형 또는 탑재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외부의 전자기기 또는 외부의 서버와 유/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통신형 단말기로서 제작되고도 있다.
이러한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보급됨에 따라 종래에는 이용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들이 가능하게 되었고, 사용자들도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기본 기능인 길 안내 서비스 이외에 더 많은 부가 서비스들을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서 이용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 시스템과 내비게이션 단말을 연결 또는 연동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에 의하면 차량 시스템 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획득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단말과 연동시켜 사용자에게 안내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정비 등을 할 수 있도록 알람하는 등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차량 정비 업체로의 길 안내, 해당 차량 정비 업체로의 예약을 수행하는 등의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그 차량과 차량 정비 업체를 연계시키는 과정에서 그 중간에 텔레매틱스 서버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하면, 텔레매틱스 서버에 의한 중간 매개 없이는 차량 정비의 예약 등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에 주유 또는 정비, 긴급 구조 등이 필요한 시점에 그 차량의 상태에 관한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QR 코드 등의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유 업체, 정비 업체 등과 같은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는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를 읽는 간단한 방식으로 예약 처리를 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 및 이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서버의 중간 매개 과정 없이도 차량과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간에 예약 처리 등의 연계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 이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통신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진단 정보 획득부; 상기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해당 단말기로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운행 경로에 따른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예상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 탐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예상 거리 및 상기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 2차원 바코드에 따른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운행 경로에 따른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예상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 탐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상기 운행 경로 및 산출된 상기 예상 거리 및 상기 예상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지도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운행 경로에 따른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가 담긴 2차원 바코드 형식의 데이터를 수신된 경우,
상기 진단 정보 획득부는, 상기 2차원 바코드 형식의 데이터를 해독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바코드 생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해당 단말기로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차량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통신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주유 또는 정비, 긴급 구조 등이 필요한 시점에 그 차량의 상태에 관한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 정보를 QR 코드 등의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유 업체, 정비 업체 등과 같은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는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바코드를 읽는 간단한 방식으로 예약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텔레매틱스 서버의 중간 매개 과정 없이도 차량과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간에 예약 처리 등의 연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과 관련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 단말기로서 차량에 내장 또는 탑재되어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내비게이션 전용 단말이 아니더라도, 최근 스마트폰의 경우 GPS 수신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내비게이션 기능도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GPS 수신기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이 기본적으로는 구현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이라 하더라도 외부 기기 또는 서버로부터 GPS 위치 값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 수행을 위한 지도 정보, 본 발명의 구현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 등을 전송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데 문제는 없을 것이다.
도 1은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과 관련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전체 시스템 구성은,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장착된 차량(20), GPS 위성(30), 이동 통신망(50), 통신 서비스 서버(60) 및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70)에는 도 1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정비 업체(72), 주유 업체(74), 견인 업체(76)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에 해당될 수 있는 대표적 몇몇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업체가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통해서,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 설명은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진단 정보 획득부(120), 검색부(130), 바코드 생성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디스플레이부(155), 내비게이션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11), CAN 통신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내비게이션부(160)는 위치 정보 수신부(161), 경로 탐색부(162), 지도 데이터 DB(16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필요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11), 방송 수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CAN 통신부(115)는 차량 내의 변속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또는/및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주행 속도, 오일량, 주유량, 도어의 상태, 에어컨, 에어백, 배터리, 기타 전자부품의 상태 등과 같은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진단 정보 획득부(120)는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는 CAN 통신부(115)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고,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른 단말기(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 등)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에 의해 전송된 정보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검색부(130)는 진단 정보 획득부(120)에 의해 획득된 차량에 관한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을 검색한다. 그리고 바코드 생성부(140)는 상기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즉, 내비게이션 단말기 사용자 또는 그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진단 정보 획득부(120), 검색부(130), 바코드 생성부(140)가 수행하는 구체적 기능은 후술할 도 3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스크린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5)는 내비게이션 단말기가 수신하거나 처리한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160)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위치 정보 수신부(161), 경로 탐색부(162), 지도 데이터 DB(16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 수신부(161)은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즉, 차량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 정보 수신부(161)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경로 탐색부(162)는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의 목적지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한다. 경로 탐색부(162)에 의해 탐색되는 운행 경로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 경로 탐색부(162)는 미리 설정된 경로 선택 알고리즘에 따라 최적인 경로(예를 들어, 최단 시간 경로, 사용자 선호 경로 등)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경로 탐색부(162)는 단순히 경로 탐색에 한정된 기능을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 중 어느 경로를 선택할지는 사용자에게 위임하는 방식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내비게이션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의 구현과 관련하여서, 상기 제어부(180)는, 앞서 설명한 검색부(130)에 의해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로 바코드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2차원 바코드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후술할 도 3의 설명을 통해서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의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의 관련 기능부에 따른 구체적 기능을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될 단계에서 단계 S200과 단계 S300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진단 정보 획득부(120)는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진단 정보는 차량 상태에 관련되어 차량에 현재 어떠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유가 필요한 시점임, 경정비가 필요한 시점임, 차량이 멈춰 섰기 때문에 긴급 출동 또는 차량 견인이 필요한 시점임 등을 알려주는 정보이다. 이때, 진단 정보는 위와 같이 차량 상태의 카테고리 별로 간략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이보다 더 구체적인 정비 방법, 정비 필요 내역 또는 정비 필요 부품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정비 방법에는 예약자(즉, 차량 운전자 등)가 차량 정비 업체 또는 차량 주유 업체로 직접 차를 몰고 가서 정비 또는 주유를 할 것인지, 아니면 그 정비 등을 위해 긴급 구조 또는 출동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정비 필요 내역으로는 수리가 필요한 부분, 교체/교환 필요한 부품, 고장 내역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정비 필요 부품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현 타이어 마모가 심해 타이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라면, 타이어의 종류, 타이어 제조사, 상품번호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진단 정보들은 추후 QR 코드 등의 2차원 바코드 형식으로 이미지화되어 차량 정비 업체 등에 전달됨으로써, 이를 바코드 리더기 등을 통해 찍어본(해독한) 정비 업체가 해당 차량의 정비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미리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진단 정보 획득부(120)가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의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방법들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진단 정보는, 차량 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같은 내부 전자 장치로부터 얻어진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단 정보 획득부(120)는 차량 내의 ECU 등으로부터 CAN 통신부(115)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차량 상태에 대한 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위와 같은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U로부터 수신된 엔진 오일량이 수신된 경우, 진단 정보 획득부(120)는 그 오일량이 미리 지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엔진 오일의 보충 또는 교환이 필요한 상태라는 진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다른 예로, 진단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됨으로써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진단 정보 입력을 위한 메뉴 항목 및 그 하위 카테고리로서 복수의 선택 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I 화면)를 통해서 해당 메뉴로 진입한 후, 제공되는 복수의 선택 항목들(간단한 예로서, 주유, 정비, 긴급 출동 항목이 있는 경우를 가정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예를 들어, 주유 항목)을 선택한 경우, 진단 정보 획득부(12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진단 정보(즉, 주유가 필요한 상황임)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에 의한 진단 정보의 입력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메뉴로 들어간 후, 진단 필요 내역을 직접 텍스트 입력하는 방식이 이용되거나 음성 입력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는 진단 정보 입력을 위한 UI 구성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인 바, 이외에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예로, 진단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른 단말기(여기서는 사용자의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으로 가정함)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최근,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인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 등과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서 정보 수신 또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진단 정보는 그 스마트폰 등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서 내비게이션 단말로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상태에 따라 각각의 진단 정보를 담고 있는 2차원 바코드 책자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그 책자 내에서 현재 차량의 고장 상황에 맞는 2차원 바코드를 찍어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내비게이션 단말로 전달하는 방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차량 상황에 맞는 진단 정보가 포함된 2차원 바코드를 스마트폰을 통해 직접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식 등)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단계 S200에서, 검색부(130)는 그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진단 정보 획득부(120)에 의해 진단된 차량의 상태가 주유가 필요한 상태라면, 주유소에 대한 목록을 검색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 경우, 검색부(130)는 지도 데이터 DB(163)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300에서, 바코드 생성부(140)는 상기 진단 정보와 예약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2차원 바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2차원 바코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이다.
여기서, 예약자 식별 정보란, 차량 정비가 필요한 차량 또는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차량번호, 사용자 성명,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2차원 바코드 이미지는 후술할 단계 S400을 통해 정비 업체 등의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에 전송될 데이터로서, 위의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 이외에도 그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의 예약 및 필요한 조치를 위해 유용한 다른 정보들이 더 포함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예로, 운전자가 차량 정비를 위해 해당 정비 업체로 향하는 경우, 차량 정비 업체는 그 차량의 현재 위치(예를 들어, 2차원 바코드가 생성된 시점의 위치일 수 있음), 그 차량의 현재 위치와 정비 업체 간의 거리, 정비 업체까지 오는데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시간 또는 예상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차량 정비 예약 및 준비를 하는데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긴급 구조/출동, 견인이 필요한 상황인 경우, 위의 차량 번호, 사용자의 핸드폰 번호 등과 같은 예약자 식별 정보 이외에도,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가 있다면 그 견인/출동 업체 등에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생성부(140)는 그 구조 상황에 따라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에 위와 같은 거리, 예상 시간, 예상 도착 시간, 차량의 현재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의 현재 위치는 위치 정보 수신부(161)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거리/예상시간(또는 도착시간) 등은 경로 탐색부(162)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400에서, 제어부(180)는, 앞선 단계 S200를 통해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 중 특정의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로, 앞선 단계 S300을 통해 생성된 2차원 바코드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 중 특정의 서비스 제공 업체를 선택하는 방식은 크게 다음의 2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을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이 그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들 중 미리 결정된 기준(예를 들어, 현재 차량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업체, 주유/정비시 할인(카드 할인 등)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업체 등)에 부합하는 업체가 자동 선택되는 방식이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때, 2차원 바코드 이미지는 선택된 업체의 해당 단말기로 전송된다. 여기서, 업체의 해당 단말기란, 업체에서 사용하는 PC(인터넷 연결된)일 수도 있지만, 업체 대표 전화 또는 휴대폰일 수도 있다. 즉, 지도 데이터 DB(163)를 참조하면 해당 업체의 IP 주소, 업체 대표 전화, 휴대폰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그 업체의 해당 단말로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정비 등을 위한 예약 등을 함에 있어서, 해당 진단 정보, 예약자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된 2차원 바코드 이미지가 내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해당 업체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되고, 해당 업체에서는 이를 바코드 리더기로 해독하여 직접 예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텔래매틱스 서버 등을 통한 중간 매개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비 등을 받을 업체가 선택되면, 경로 탐색부(162)는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 업체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80)는 그 탐색된 운행 경로를 지도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그 운행 경로에 따른 길 안내를 바로 시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70 :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100 :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기
120 : 진단 정보 획득부
130 : 검색부
140 : 바코드 생성부
180 : 제어부

Claims (11)

  1. 통신 단말기로서,
    무선 통신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진단 정보 획득부;
    상기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해당 단말기로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운행 경로에 따른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예상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 탐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바코드 생성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예상 거리 및 상기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 2차원 바코드에 따른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운행 경로에 따른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예상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 탐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상기 운행 경로 및 산출된 상기 예상 거리 및 상기 예상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지도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운행 경로에 따른 안내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가 담긴 2차원 바코드 형식의 데이터를 수신된 경우,
    상기 진단 정보 획득부는, 상기 2차원 바코드 형식의 데이터를 해독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진단 정보를 상기 바코드 생성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는, 차량에 필요한 정비 내역에 관한 정보 및 차량에 대한 구조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정비 내역에 관한 정보는 주유 정보, 교체/교환/수리 필요한 부품 정보, 고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구조 요청 정보는 차량 견인 요청 또는 긴급 출동 요청과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바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
  7.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으로서,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에 상응하는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 및 예약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의 해당 단말기로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운행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운행 경로에 따른 상기 선택된 차량 관련 서비스 제공 업체까지의 예상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산출된 상기 예상 거리 및 상기 예상 도착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한 2차원 바코드에 따른 상기 2차원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상기 운행 경로 및 산출된 상기 예상 거리 및 상기 예상 도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지도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운행 경로에 따른 안내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에 따른 진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형 내비게이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가 담긴 2차원 바코드 형식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2차원 바코드 형식의 데이터를 해독하여 상기 진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통신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007497A 2011-01-25 2011-01-25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KR20120086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97A KR20120086192A (ko) 2011-01-25 2011-01-25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97A KR20120086192A (ko) 2011-01-25 2011-01-25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92A true KR20120086192A (ko) 2012-08-02

Family

ID=4687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497A KR20120086192A (ko) 2011-01-25 2011-01-25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1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4724A (zh) * 2013-02-27 2013-06-19 深圳市元征软件开发有限公司 基于二维码技术的汽车诊断装置及方法
KR101377646B1 (ko) * 2012-11-02 2014-03-2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주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34271A1 (ko) * 2015-08-21 2017-03-02 박준영 지능형 견인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N109166204A (zh) * 2018-07-25 2019-01-08 浙江晶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技术的物流运输门禁系统
CN112213119A (zh) * 2020-10-27 2021-01-1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功能设置方法、装置及诊断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46B1 (ko) * 2012-11-02 2014-03-2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주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3164724A (zh) * 2013-02-27 2013-06-19 深圳市元征软件开发有限公司 基于二维码技术的汽车诊断装置及方法
WO2017034271A1 (ko) * 2015-08-21 2017-03-02 박준영 지능형 견인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CN109166204A (zh) * 2018-07-25 2019-01-08 浙江晶慧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技术的物流运输门禁系统
CN112213119A (zh) * 2020-10-27 2021-01-1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功能设置方法、装置及诊断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61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vehicle content determination
JP5814047B2 (ja) 車両維持のためのインターネットテレマティクス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088925A (ja) エコタクシー配車支援システム
CN107004356A (zh) 用于与数字标牌交互的系统和方法
KR20120086192A (ko) 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통한 차량 관리 방법
JP7228777B2 (ja) 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バッテリ管理方法および端末装置
JP2005243010A (ja) 車両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車両関連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20100185356A1 (en) Compiling Source Information From A Motor Vehicle Data System and Configuring A Telematic Module
US201600786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transport information
CN109684001A (zh) 基于用户情景预览应用程序
KR100532141B1 (ko) 차량 장착 단말기 및 차량 종합 관리 서버와, 이 차량장착 단말기를 사용한 차량 종합 관리 시스템
US20200027183A1 (en) Network computer system to determine suitabilities of vehicles using blockchain records
US20200193460A1 (en)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6575403B (zh) 信息提供系统、显示控制装置、信息设备以及信息提供方法
KR100810695B1 (ko) 콜택시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4445B1 (ko) 차량 유지를 위한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0833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車載機、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900348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routes for commercial motor vehicles
KR20180077645A (ko) 전기차량의 관리 스케줄 예약 시스템 및 예약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604571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924829B1 (ko) 노선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2817A (ko) 차량 관리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차량 관리 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19194822A (ja) 燃料配送管理システム、配送車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10825A (ko) 차량장치를 이용한 상황 인식 기반의 주문결제 방법
CN111007994B (zh) 图像生成装置、图像生成方法和记录程序的非暂时性记录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