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378A -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378A
KR20110058378A KR1020090115143A KR20090115143A KR20110058378A KR 20110058378 A KR20110058378 A KR 20110058378A KR 1020090115143 A KR1020090115143 A KR 1020090115143A KR 20090115143 A KR20090115143 A KR 20090115143A KR 20110058378 A KR20110058378 A KR 2011005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self
discharge
voltage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928B1 (ko
Inventor
김윤구
이우진
권용걸
홍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928B1/ko
Priority to JP2010135039A priority patent/JP2011115040A/ja
Priority to CN2010105362443A priority patent/CN102082310B/zh
Priority to US12/947,811 priority patent/US8896271B2/en
Priority to EP10192680A priority patent/EP2328224B1/en
Publication of KR2011005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일례로,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센싱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센싱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BATTERY PACK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CELL FROM HIGH TEMPERATURE SWELL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들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와, 상기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셀의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배터리 셀이 과충전되면 상기 충전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충전이 정지되도록 하고, 배터리 셀이 과방전되면 상기 방전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방전이 정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충전된 배터리 셀이 고온에 장시간 방치되면, 배터리 셀의 내부에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셀이 스웰링되고, 누액됨으로써, 배터리 팩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전자장치중 하나인 네비게이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네비 게이션이 전원선에 항상 연결되어 있으므로, 통상 네비게이션의 배터리 셀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여름철 차량의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의 배터리 셀에서 다량의 내부 가스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 셀이 심하게 스웰링되고, 누액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센싱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온도는 45~70℃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전압은 3.85V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을 0.1~2C로 방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을 0.1~0.5C로 방 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50~100%인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50%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3.8V일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배터리 셀 방전 단계; 배터리 셀 용량이 50%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 용량이 5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배터리 셀 전압이 3.8V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 용량이 50%보다 작으면 배터리 셀의 방전을 정지하고, 상기 배터리 셀 전압이 3.8V보다 크면 배터리 셀 방전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가 방전부;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얻은 온도값에 따라,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상기 자가 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셀이 자가 방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대전류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자가 방전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가 방전부는 직렬 연결된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 및 방전 저항은 상기 배터리 셀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가 방전부는 상기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와 방전 저항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와 방전 저항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이 병렬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써미스터 및 이에 연결된 분압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써미스터 및 이에 연결된 분압 저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 상기 자가 방전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50~100%인 경우 상기 자가 방전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차량용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한 상 태에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한 경우, 배터리 셀이 자가 방전됨으로써, 고온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100%인 구간에서, 상기와 같은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온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더불어, 이러한 자가 방전 동작은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수행됨으로써, 배터리 팩의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배터리 팩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보증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10), 온도 센서(120), 자가 방전부(130), 제어부(140),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100)은 충전기 또는 외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팩 양극 단자 P+ 및 팩 음극 단자 P-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며, 셀 양극 단자 B+ 및 셀 음 극 단자 B-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셀(110)은 통상의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셀 양극 단자 B+는 팩 양극 단자 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셀 음극 단자 B-는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를 경유하여, 팩 음극 단자 P-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온도 센서(120)는 상기 배터리 셀(110) 또는 그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110)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이러한 온도 센서(120)는 써미스터(121) 및 분압 저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써미스터(121)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한다. 또한, 상기 분압 저항(122)은 전압을 분압한다. 즉, 상기 써미스터(121)는 일전극이 셀 양극 단자 B+와 팩 양극 단자 P+ 사이의 노드 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전극이 상기 분압 저항(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압 저항(122)은 일전극이 상기 써미스터(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전극이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써미스터(121)와 분압 저항(122) 사이의 노드 N2는 제어부(140)의 VTH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분압 저항(122)은 제어부(140)의 VSSTH 단자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써미스터(121)는 주지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므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VTH 단자에 전압을 증가시켜 입력한다. 더불어, 상기 분압 저항(122)은 감지하고자 하는 온도 범위에 알맞은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압 저항(122)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감 지하고자 하는 온도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가 방전부(130)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양극 단자 B+ 및 음극 단자 B-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가 방전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TS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가 방전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 또는 정지된다. 이러한 자가 방전부(130)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용량 또는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110)을 강제로 방전시킨다. 이러한 자가 방전부(1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온도 센서(120) 및 상기 자가 방전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어부(140)에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전압 및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도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연결 관계 및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온도 센서(120)로부터 얻은 온도값에 따라,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상기 자가 방전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셀(110)이 자가 방전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배터리 셀(110)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110)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며, 배터리 셀(110)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할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 상기 자가 방전부(130)를 동작 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10)이 강제로 방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배터리 셀(110)의 고온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논리 회로(141) 및 온도 센싱 회로(142)를 포함한다. 상기 논리 회로(141)는 상기 자가 방전부(130)에 TS 단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온도 센싱 회로(142)는 VTH 단자 및 VSSTH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 센서(120)로부터 감지된 값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논리 회로(141)에 입력한다. 즉, 상기 논리 회로(141)는 상기 온도 센싱 회로(142)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110)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며, 배터리 셀(110)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TS 단자를 통하여 상기 자가 방전부(13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 셀(110)의 전압 및 전류 등을 감지하여 배터리 셀(110)의 용량을 계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10)의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 뿐만 아니라, 상기 용량 계산 방법 역시 이미 당업자에게 주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더불어,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110)의 용량은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논리 회로(141)는 상기 온도 센싱 회로(142)로부터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110)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TS 단자를 통하여 상기 자가 방전부(13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터리 셀(110) 이 용량이 희생되는 대신,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 음극 단자 B-와 팩 음극 단자 P- 사이에는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전 스위치(150)는 소스가 셀 음극 단자 B-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제어부(140)의 DOUT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드레인이 충전 스위치(160)의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전 스위치(150)에는 셀 음극 단자 B-에서 팩 음극 단자 P-의 방향으로 순방향을 갖는 바디 다이오드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 스위치(160)는 소스가 팩 음극 단자 P-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제어부(140)의 COUT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드레인이 방전 스위치(150)의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스위치(160)에는 팩 음극 단자 P-에서 셀 음극 단자 B-의 방향으로 순방향을 갖는 바디 다이오드가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 스위치(150)는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배터리 셀(110)이 과방전 전압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DOUT 단자를 통하여 게이트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턴오프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110)의 방전이 정지된다. 그러나, 방전 스위치(150)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충전은 가능하다. 배터리 셀(110)의 방전시 과전류가 발생했을 경우도 위와 같이 동작한다.
상기 충전 스위치(160)는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배터리 셀(110)이 과충전 전압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COUT 단자를 통하여 게이트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턴오프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110)의 충전이 정지된다. 그러나, 충전 스위치(160)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방전은 가능하다. 배터리 셀(110)의 충전시 과전류가 발생했을 경우도 위와 같이 동작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기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는 상기 논리 회로(141)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논리 회로(141)는 실질적으로 상기 자가 방전부(130),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논리 회로(141)는 상기 방전 스위치(150) 또는 충전 스위치(160)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자가 방전부(130)를 제어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자가 방전부(130)와 방전 스위치(150), 또는 상기 자가 방전부(130)와 충전 스위치(16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제어부(140)의 TS 단자, DOUT 단자 및 COUT 단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1에서 상기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는 N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스위치의 종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방전 스위치(150) 및 충전 스위치(160)는 P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 IGBT 및 그 등가물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셀(110)의 온도, 전압 및 용량이 소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배터리 셀(110)이 자가 방전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 셀(110)의 온도가 45~70℃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110)의 전압이 3.85V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110)의 용량이 50~100%일 경우, 배터리 셀(110)이 강제로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배터리 팩(100)이 장착된 전자장치 역시 안정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더불어, 상기 온도 범위, 전압 범위 및 용량 범위는 배터리 셀의 종류, 형상, 구조 및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중에서 자가 방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방전부(130)는 방전 스위칭 소자(131)와 방전 저항(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전 스위칭 소자(131)는 예를 들면, N 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랜지스터의 종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전 스위칭 소자(131)의 소스는 배터리 셀(110)의 셀 음극 단자 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은 방전 저항(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방전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는 TS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전 저항(132)은 일전극이 상기 배터리 셀(110)의 셀 양극 단자 B+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상기 방전 스위칭 소자(131)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TS 단자를 통하여 예를 들면 하이 시그널이 입력될 경우, 상기 N 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는 턴온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110)의 셀 양극 단자 B+로부터 방전 저항(132), 방전 스위칭 소자(131) 및 배터리 셀(110)의 셀 음극 단자 B-를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상기 방전 저항(132)을 통하여, 배터리 셀(110)이 자가 방전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방전부(230)는 추가적으로 발광 다이오드(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233)의 캐소드는 방전 저항(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애노드는 방전 스위칭 소자(131)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가 방전부(230)의 동작시 상기 발광 다이오드(233)가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 팩의 자가 방전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광 다이오드(233)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자가 방전률은 더욱 커진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방전부(330)는 추가 방전 저항(334)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즉, 추가 방전 저항(334)은 일전극이 배터리 셀(110)의 셀 양극 단자 B+에 연결되고, 타전극이 발광 다이오드(233)와 방전 스위칭 소자(131) 사이의 노드 N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방전 저항(334)이 더 연결됨으로써, 자가 방전부(330)의 자가 방전률은 더욱 커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이 장착된 네비게이션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4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각종 차량용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전자장치에 장착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여름철 고온의 환경에 놓일 경우 자가 방전함으로써,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배터리 팩 중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즉, 상기 제어부 중에서도 특히 논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을 센싱하고,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S100),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0), 상기 배터리 셀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600) 및 자가 방전 모드 단계(S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S200)에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일반 모드 단계(S300)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단계(S400)에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 단계(S500)가 수행된다.
더불어,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각 단계의 주체는 배터리 팩의 제어부 즉, 논리 회로로 이해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을 센싱하고,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을 계산하는 단계(S100)에서는, 제어부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지하고,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을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는 배터리 셀의 전압 또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을 계산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는, 제어부가 상기와 같이 센싱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온도는 45~70℃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온도 범위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기준 온도는 배터리 셀의 종류, 형상, 구조 및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대략 45℃에서부터 스웰링이 시작될 위험성이 있으므로, 상기 기준 온도는 적어도 대략 45℃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200)에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할 경우, 단계(S400)가 수행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는, 제어부가 상기와 같이 센싱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압은 3.85V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전압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기준 전압은 배터리 셀의 종류, 형상, 구조 및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대략 45℃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대략 3.85V를 초과하는 전압일 경우, 스웰링이 시작될 위험성이 크므로, 상기 기준 전압은 적어도 3.85V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0)에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할 경우, 단계(S600)가 수행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600)에서는, 제어부가 상기와 같이 계산된 배터리 셀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용량은 50~100%일 수 있으나, 이러한 용량 범위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기준 용량은 배터리 셀의 종류, 형상, 구조 및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는 대략 45℃를 초과하는 온도, 대략 3.85V를 초과하는 전압 및 대략 50~100%의 용량일 경우, 스웰링이 거의 확실하게 발생되므로, 상기 기준 용량은 적 어도 50~100%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0)에서 배터리 셀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할 경우, 단계(S700)가 수행된다.
상기 자가 방전 모드 단계(S700)에서는,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소정 레벨이 될 때까지 자가 방전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는 자가 방전부를 동작시킴으로써, 배터리 셀의 전압이 대략 3.8V가 될 때까지 자가 방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전압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 정지 전압은 배터리 셀의 종류, 형상, 구조 및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자가 방전은, 배터리 셀의 용량이 대략 50%까지 떨어지면 즉각적으로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즉, 현재의 배터리 셀의 전압이 3.8V를 초과한다고 해도,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까지 떨어지면 즉각적으로 자가 방전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은 대략 0.1~2C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은 대략 0.1~0.5C의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가 방전 속도는 배터리 셀의 종류, 형상, 구조 및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 또는 리튬 폴리머 전지의 경우 자가 방전 속도가 0.1C 미만이면,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현상을 억제하기 어렵고, 상기 자가 방전 속도가 0.5C를 초과하면, 배터리 셀의 열화가 빨리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 속도는 대략 0.1~0.5C가 적 절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 셀의 용량은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만이 고려되어 자가 방전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면 바로 배터리 셀이 자가 방전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방법에 의해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과도하게 저하되어, 배터리 팩의 사용 가능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팩의 잔존 용량 또는 사용 가능 시간이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및 누액 현상 등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려면, 상기와 같이 자가 방전시 배터리 셀의 용량이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계(S200), 단계(S400) 및 단계(S600)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러한 순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단계(S200), 단계(S600) 및 단계(S400)의 순서로 수행되거나, 단계(S400), 단계(S200) 및 단계(S600)의 순서로 수행되거나, 단계(S400), 단계(S600) 및 단계(S200)의 순서로 수행되거나, 단계(S600), 단계(S200) 및 단계(S400)의 순서로 수행되거나, 단계(S600), 단계(S400) 및 단계(S200)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최종적으로 상기 3개의 단계(조건)를 모두 만족할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자가 방전 모드 단계(S700)가 수행된다.
즉, 배터리 셀의 온도가 45~70℃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의 전압이 3.85V를 초과하며,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100%일 경우, 자가 방전 모드 단계(S600)가 수행된다. 더불어, 자가 방전 모드 단계(S600)는 배터리 셀의 전압이 아직 3.8V까지 떨어지지 않았다고 해도,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까지 저하되었을 경우 바로 정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일반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반 모드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작을 경우 수행된다. 즉, 단계(S200, 도 4 참조)에서 "아니오"일 경우 일반 모드가 수행된다.
상기 일반 모드는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충전 전압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310), 상기 단계(S310)에서 "예"일 경우 충전을 정지하는 단계(S320), 상기 단계(S310)에서 "아니오"일 경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방전 전압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S330) 및 상기 단계(S330)에서 "예"일 경우 방전을 정지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단계(S300)에서 "아니오"일 경우 상기 단계(S310)로 복귀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충전 전압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310)에서는, 제어부가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충전 전압(예를 들면, 4.3V)보다 큰지 판단한다.
상기 충전을 정지하는 단계(S320)에서는, 제어부가 충전 스위치에 충전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충전 스위치가 턴오프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충전은 정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도 충전 스위치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해 배터리 셀의 방전은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방전 전압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S330)에서는, 제어부가 전압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전압이 과방전 전압(예를 들면, 2.3V)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상기 방전을 정지하는 단계(S340)에서는, 제어부가 방전 스위치에 방전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방전 스위치가 턴오프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방전은 정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도 방전 스위치의 바디 다이오드에 의해 배터리 셀의 충전은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단계(310) 및 단계(330)는 상술한 바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계(330)가 먼저 수행되고, 이후 단계(310)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기는 하지만,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수행된다. 즉, 단계(S400, 도 4 참조)에서 "아니오"일 경우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가 수행된다.
이러한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는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단계(S510) 및 배 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52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단계(S510)에서는, 제어부가 충전 스위치 또는 방전 스위치를 턴오프하여 배터리 셀의 충전 또는 방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즉,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상태이므로, 배터리 셀이 안정화되도록 배터리 셀의 충전 또는 방전이 정지된다. 여기서, 배터리 셀을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는 동시에 턴오프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S520)에서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즉, 45~70℃ 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보다 작을 경우, 배터리 셀이 안정화된 것이므로,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가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여전히 클 경우, 배터리 셀이 아직 안정화된 것이 아니므로, 상기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단계(S510)로 복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자가 방전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자가 방전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의 온도, 전압 및 용량이 소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수행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 셀의 온도가 45~70℃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의 전압이 3.85V를 초과하며,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100%일 경우,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이 수행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 셀의 용량은 상기 자가 방전 모드에서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자가 방전 모드는 배터리 셀 방전 단계(S710), 배터리 셀의 용량이 정지 용량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S720) 및 배터리 셀의 전압이 정지 전압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자가 방전 모드는 배터리 셀의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은 배터리 셀이 충전중이거나, 방전중이거나 또는 대기중일 때 수행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어떠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해도, 배터리 셀의 스웰링, 이상 발명 및 누액 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배터리 셀 방전 단계(S710)에서는, 제어부가 자가 방전부에 자가 방전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배터리 셀이 자가 방전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용량이 정지 용량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S720)에서는, 제어부가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만약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자가 방전부에 자가 방전 정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이 즉각적으로 정지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는 자가 방전 모드를 해제한다.
한편, 상기 단계(S720)에서 배터리 셀의 용량이 여전히 50%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730)가 수행된다.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정지 전압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S730)에서는, 제어부가 배터리 셀의 전압이 대략 3.8V 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만약 배터리 셀의 전압이 대략 3.8V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셀 방전 단계(S710)로 복귀한다. 그러나, 배터리 셀의 전압이 대략 3.8V보다 작다면, 배터리 셀의 자가 방전은 정지된다. 즉, 제어부는 자가 방전 모드를 해제한다.
더불어, 상기 단계(720) 및 단계(730)는 상술한 바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계(730)가 먼저 수행되고, 이후 단계(720)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온도, 전압 및 용량이 소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배터리 셀이 자가 방전된다. 즉, 배터리 셀의 온도가 45~70℃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의 전압이 3.85V를 초과하며, 배터리 셀의 용량이 50~100%일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배터리 셀이 3.8V까지 강제로 방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및 누액 현상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물론, 이러한 방법이 적용된 배터리 팩은 안정성 및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은 고온 상태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자장치 예를 들면 차량용 전자장치 또는 네비게이션 등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에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중에서 자가 방전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이 장착된 네비게이션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일반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충전 또는 방전 정지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에서 자가 방전 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110; 배터리 셀 120; 온도 센서
121; 써미스터 122; 분압 저항
130; 자가 방전부 131; 방전 스위칭 소자
132; 방전 저항 140; 제어부
141; 논리 회로 142; 온도 센싱 회로
150; 방전 스위치 160; 충전 스위치

Claims (20)

  1.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센싱된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온도는 45~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3.85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을 0.1~2C로 방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을 0.1~0.5C로 방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50~100%인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50%일 때까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이 3.8V일 때까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을 자가 방전시키는 단계는
    배터리 셀 방전 단계;
    배터리 셀 용량이 50%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 용량이 50%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배터리 셀 전압이 3.8V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셀 용량이 50%보다 작으면 배터리 셀의 방전을 정지하고,
    상기 배터리 셀 전압이 3.8V보다 크면 배터리 셀 방전 단계로 복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 방지 방법.
  10.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배터리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자가 방전부;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얻은 온도값에 따라,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에 상기 자가 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 셀이 자가 방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대전류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자가 방전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방전부는
    직렬 연결된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 및 방전 저항은 상기 배터리 셀에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방전부는
    상기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와 방전 저항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방전 스위칭 소자와 방전 저항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저항이 병렬 로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써미스터 및 이에 연결된 분압 저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써미스터 및 이에 연결된 분압 저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고, 배터리 셀의 전압이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충전, 방전 또는 대기시 상기 자가 방전부를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잔존 용량이 50~100%인 경우 상기 자가 방 전부를 동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차량용 전자장치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KR1020090115143A 2009-11-26 2009-11-26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KR10109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43A KR101093928B1 (ko) 2009-11-26 2009-11-26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JP2010135039A JP2011115040A (ja) 2009-11-26 2010-06-14 バッテリーセルの高温スウェリングを防止できる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の方法
CN2010105362443A CN102082310B (zh) 2009-11-26 2010-11-03 能够保护电池单体免受高温膨胀的电池包和方法
US12/947,811 US8896271B2 (en) 2009-11-26 2010-11-16 Battery pack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cell from high-temperature swelling and method thereof
EP10192680A EP2328224B1 (en) 2009-11-26 2010-11-26 Battery pack capable of protecting battery cell from high-temperature-swell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43A KR101093928B1 (ko) 2009-11-26 2009-11-26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378A true KR20110058378A (ko) 2011-06-01
KR101093928B1 KR101093928B1 (ko) 2011-12-13

Family

ID=4338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143A KR101093928B1 (ko) 2009-11-26 2009-11-26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96271B2 (ko)
EP (1) EP2328224B1 (ko)
JP (1) JP2011115040A (ko)
KR (1) KR101093928B1 (ko)
CN (1) CN102082310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2623B2 (en) 2012-09-24 2016-02-02 Samsung Sdi Co., Ltd. Protection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KR20160129626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23397B2 (en) 2013-08-27 2018-03-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KR20190090250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스웰링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3178634A (zh) * 2015-06-10 2021-07-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感知电池单元膨胀的系统和方法
US11196096B2 (en) 2016-04-28 2021-12-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pack
WO2022075707A1 (ko) * 2020-10-05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의 안전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12447T1 (de) * 2008-12-24 2011-06-15 St Microelectronics Rousset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temperatur eines elementes
FR2963167B1 (fr) * 2010-07-20 2013-03-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et procede pour le refroidissement d'un moyen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JP6065561B2 (ja) 2012-03-08 2017-0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制御装置およびsoc検出方法
JP6135110B2 (ja) * 2012-03-08 2017-05-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およびsoc検出方法
CN103311898A (zh) * 2012-03-13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充电保护电路
EP2645527A1 (en) * 2012-03-26 2013-10-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263901B2 (en) * 2012-05-19 2016-02-16 Tesla Motors, Inc. Secondary service port for high voltage battery packs
CN103904379B (zh) * 2012-12-27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保护电池的方法及电子设备
TWI579686B (zh) * 2013-01-07 2017-04-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控制功能之電子裝置
ES2717477T3 (es) 2014-01-28 2019-06-2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daptador de corriente, terminal y método para gestionar anomalías de impedancia en bucle de carga
EP3419134B1 (en) 2014-12-17 2020-08-05 SZ DJI Technology Co.,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1950463B1 (ko) * 2015-10-06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팽창을 감지하기 위한 프로브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US10490861B2 (en) 2015-12-21 2019-11-26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electric device for preventing battery from expanding
CN105429249B (zh) * 2016-01-19 2018-08-24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控制装置以及控制电池的方法
CN107171373A (zh) * 2016-03-07 2017-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池保护方法及装置、终端
CN107179819B (zh) * 2016-03-10 2021-06-15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预防电池膨胀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102564469B1 (ko) 2016-04-14 202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2121545B1 (ko) 2016-05-27 2020-06-11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배터리 보호 보드, 배터리 및 이동 단말기
WO2017201736A1 (zh) * 2016-05-27 2017-11-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保护板、电池和移动终端
DE102016214484A1 (de) * 2016-08-04 2018-02-08 Audi Ag Verfahren zum Vorbereiten einer 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für einen Transport und Kraftfahrzeug
CN107769290A (zh) * 2016-08-22 2018-03-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控制方法、装置、设备及移动终端
KR102206285B1 (ko) 2016-12-28 2021-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19241B1 (ko) * 2017-01-03 2021-10-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압 검출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16487794A (zh) 2017-01-09 2023-07-2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用于向电气设备提供输出电力的设备
WO2018176428A1 (zh) * 2017-03-31 2018-10-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电池放电控制方法、电池放电控制系统及智能电池
JP6864536B2 (ja) * 2017-04-25 2021-04-28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システム、充電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KR102433146B1 (ko) * 2017-09-28 2022-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의 스웰링을 방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TWI684315B (zh) * 2017-10-19 2020-02-01 新盛力科技股份有限公司 電池供電裝置
KR102365631B1 (ko) 2018-01-09 2022-0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TWI689152B (zh) * 2018-03-09 2020-03-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池管理裝置
CN109742289B (zh) * 2018-11-23 2022-01-14 颍上北方动力新能源有限公司 一种锂电池
DE102019207692A1 (de) * 2019-05-26 2020-11-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und Vorrichtung
KR20210027948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CN113119759A (zh) * 2019-12-30 2021-07-16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的充电策略、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车辆
US11668756B2 (en) 2020-09-25 2023-06-06 Google Llc Battery degrad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US11680918B2 (en) 2020-09-25 2023-06-20 Google Llc Thermal gradient batt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TWI780896B (zh) * 2021-09-07 2022-10-11 台灣福興工業股份有限公司 週期性激活電池單元的方法及電子裝置
KR20230050929A (ko) 2021-10-08 2023-04-17 (주)그리너지 이차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14325407B (zh) * 2021-12-31 2023-08-22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自放电测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803A (en) * 1998-06-09 1999-08-31 Black & Decker Inc. Apparatus for determining battery pack temperature and identity
JP3212963B2 (ja) 1999-03-16 2001-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二次電池制御回路
JP2000308274A (ja) 1999-04-22 2000-11-02 Aichi Electric Co Ltd 電池の充電電流制御装置
JP2001043902A (ja) * 1999-07-28 2001-02-1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車用バッテリーパックの制御方法
JP2002056900A (ja) * 2000-08-14 2002-02-2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型電池装置及び電池パック
JP2002141112A (ja) * 2000-11-06 2002-05-1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池装置
US7592776B2 (en) * 2001-11-07 2009-09-22 Quallion Llc Energy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discharge energy in response to unsafe conditions
KR100614393B1 (ko) * 2004-09-24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열시 알람이 작동하는 배터리 팩
KR100614392B1 (ko) 2004-10-18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WO2006115342A1 (en) 2005-04-08 2006-11-02 U-Nisum Technology Co., Ltd Circuit and chip for protecting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0782101B1 (ko) 2005-04-08 2007-12-04 유니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보호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1147747B1 (ko) 2005-05-23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온 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814884B1 (ko) * 2006-10-16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TW200824212A (en) * 2006-11-22 2008-06-01 xian-yuan Guo Power management method for battery at high temperature and the device thereof
US7777451B2 (en) * 2007-04-17 2010-08-17 Chun-Chieh Chang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and power system using same
KR20080099469A (ko) 2007-05-09 2008-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5098501B2 (ja) 2007-08-07 2012-12-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929036B1 (ko) 2007-09-27 2009-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2623B2 (en) 2012-09-24 2016-02-02 Samsung Sdi Co., Ltd. Protection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US9923397B2 (en) 2013-08-27 2018-03-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KR20160129626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178634A (zh) * 2015-06-10 2021-07-27 株式会社Lg化学 用于感知电池单元膨胀的系统和方法
CN113178634B (zh) * 2015-06-10 2024-04-16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感知电池单元膨胀的系统和方法
US11196096B2 (en) 2016-04-28 2021-12-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pack
KR20190090250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스웰링 탐지 시스템 및 방법
US11611114B2 (en) 2018-01-24 2023-03-21 Lg Energy Solution,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attery cell swelling
WO2022075707A1 (ko) * 2020-10-05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의 안전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1787A1 (en) 2011-05-26
JP2011115040A (ja) 2011-06-09
CN102082310B (zh) 2013-12-25
EP2328224A1 (en) 2011-06-01
US8896271B2 (en) 2014-11-25
EP2328224B1 (en) 2012-08-29
KR101093928B1 (ko) 2011-12-13
CN102082310A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928B1 (ko)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KR100824905B1 (ko) 하이브리드 배터리 및 그것의 완전 충전 용량 계산 방법
US8299759B2 (en) Battery pack and battery capacity calculating method
KR1019753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JP5262034B2 (ja) 充放電保護回路および該充放電保護回路を組み込んだバッテリーパック、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00176764A1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93167B1 (ko) 배터리 팩, 충전기, 및 충전 시스템
US10498149B2 (en)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rechargeable battery prote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KR20090126098A (ko)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KR20130046234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49880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1115012A (ja) 電池パックおよび制御方法
KR20090014897A (ko) 배터리셀을 선택하여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팩과 휴대용전자기기, 배터리의 방전 제어방법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제어방법
KR20100090198A (ko) 배터리 팩의 보호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10134751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0166752A (ja) 電池パックおよび充放電制御方法
KR20080019447A (ko) 배터리 팩
JP5181311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充電方法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358435B1 (ko) 배터리 충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60043543A (ko) 배터리 보호회로
JP2004127532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9195036A (ja) パック電池の制御方法
JP5165405B2 (ja) 充電制御回路、電池パック、及び充電システム
KR20160043544A (ko) 배터리 보호회로
KR20200021789A (ko)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