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284A -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 Google Patents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284A
KR20110057284A KR1020090113618A KR20090113618A KR20110057284A KR 20110057284 A KR20110057284 A KR 20110057284A KR 1020090113618 A KR1020090113618 A KR 1020090113618A KR 20090113618 A KR20090113618 A KR 20090113618A KR 20110057284 A KR20110057284 A KR 20110057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ipe
welding
shelf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145B1 (ko
Inventor
이안제
Original Assignee
이안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제 filed Critical 이안제
Priority to KR102009011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1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늘게 형성된 받침 와이어를 절곡하여 절단하는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반의 사용중에 손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는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쪽 또는 어느 일부분을 절곡한 받침 와이어(11)의 하측으로 중앙 와이어(13)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 와이어(11)의 절곡부분 하측을 감아 용접 고정하는 하부 와이어(16)와 중앙 와이어(13)의 절단면(12)에서 용접으로 연결된 상부고정 와이어(17)로 이루어진 선반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12)이 삽입되어 용접부(25a)에서 용접되는 마감 절개부(25)를 형성하며 양쪽에서 상부 와이어(22)의 연결돌기(22a)를 중공에 결합하여 용접하는 마감 파이프(2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90113618
선반, 절단면, 용접, 마감 파이프, 마감 절개부

Description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A Shelf}
본 발명은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늘게 형성된 받침 와이어를 절곡하여 절단하는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반의 사용중에 손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는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부엌이나 화장실 및 베란다의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 용품이나 물건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선반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선반(10)은 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절곡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가늘게 성형한 받침 와이어(11)일정한 간격으로 절곡하고, 하측의 중앙에는 중앙 와이어(13)를 설치하여 하측으로 처짐을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중앙 와이어(13)의 양쪽으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물받이를 삽입할 수 있는 물받이 삽입홈(14a)을 형성한 돌림 와이어(14)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물받이가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도록 스톱 퍼(15)를 설치한 후 받침 와이어(11)의 절곡부분을 따라서 하부 와이어(16)를 연결하고, 상측에는 양쪽에 연결부(18)를 형성하는 상부고정 와이어(17)를 설치하여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부분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와이어가 서로 교차되게 연결되는 부분에서 용접이 된 후 상부고정 와이어(17)의 상측으로 노출된 받침 와이어(11)의 절단면(12)을 따라 절단하여 필요한 위치에 설치하여 선반(10)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받침 와이어(11)의 절단면(12)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절단하게 되어 선반(10)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면서 날카롭게 절단된 절단면(12)에 걸리면서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자주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선반으로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상처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선반의 수요가 줄어드는 원인이 되며, 절단면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여 시장확대를 방해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스톱퍼와 같이 별도로 용접되는 부품이 많아서 제조하는 공수가 증가하여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하부 와이어와 상부고정 와이어를 전체면에 돌려 용접하게 되므로 와이어는 내부에 원재료가 채워진 상태이므로 원재료의 소모가 많아서 많은 중량의 소모로 인한 원가 상승을 초래하고 선반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받침 와이어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에 손이나 신체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 와이어와 상부고정 와이어의 일부를 파이프로 제공함으로써 중량을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 또는 어느 일부분을 절곡한 받침 와이어의 하측으로 중앙 와이어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 와이어의 절곡부분 하측을 감아 용접 고정하는 하부 와이어와 중앙 와이어의 절단면에서 용접으로 연결된 상부고정 와이어로 이루어진 선반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이 삽입되어 용접부에서 용접되는 마감 절개부를 형성하며 양쪽에서 상부 와이어의 연결돌기를 중공에 결합하여 용접하는 마감 파이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 와이어의 절단면 상측으로 설치하는 마감 파이프에 마감 절개부를 형성하여 받침 와이어의 절단면이 마감 절개부나 와이어 삽입공을 통하여 마감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에 손이나 신체에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 와이어와 상부고정 와이어의 일부를 파이프로 제공함으로써 받침 와이어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함께 원재료의 중량을 줄여 결과적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 와이어와 상부고정 와이어의 양쪽 선단에서 연결돌기를 형성하여 마감 파이프와 연결 파이프를 용접함으로써 마감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돌림 와이어로 스톱퍼를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선반의 전체면에 와이어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선반에 대한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선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에 대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받침 와이어에 마감 파이프를 결합하기 이전의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받침 와이어에 마감 파이프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중앙 와이어(13)의 상측으로 양쪽 선단을 절곡하거나 한 부분에서 필요한 형태로 절곡시킨 받침 와이어(11)를 설치하여 내부에 필요한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중앙 와이어(13)의 외측으로 받침 와이어(11)의 하측에는 물받이를 결합하는 물받이 삽입홈(14a)을 형성하고 후방으로 스톱퍼(15)를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성형한 돌림 와이어(14)를 설치한다.
상기 받침 와이어(11)의 절곡된 양측에는 내부가 중공 상태인 연결 파이프(23)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23)의 양쪽에 형성되는 중공으로 하부 와이어(16)의 양쪽에 형성한 연결돌기(21a)를 결합하여 용접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 와이어(11)는 연결 파이프(23)의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절단하여 절단면(12)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절단면(12)에는 상측에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마감 파이프(24)의 한 방향에 마감 절개부(25)와 같이 전체면이 절개된 부분을 결합하여 절단면(12)이 마감 절개부(25)를 관통하여 마감 파이프(24)의 중공에 위치하게 되므로 용접부(25a)에서 받침 와이어(11)와 마감 파이프(24)가 용접되어 절단면(12)이 마감 파이프(24)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마감 파이프(24)의 양쪽에는 상부 와이어(22)의 연결돌기(22a)가 결합되어 용접되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도이다.
연결돌기(21a, 22a))가 연결 파이프(23)와 마감 파이프(24)의 양쪽에서 결합되면 단이지게 형성되므로 결합돌기(26)와 같이 지름이 작게 형성하여 연결 파이프(23)와 마감 파이프(24)에 결합되면 단이지지 않고 일자형태로 결합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받침 와이어(11)의 양쪽을 절곡하여 중앙 와이어(13)의 상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돌림 와이어(14)를 받침 와이어(11)의 하측에 설치하여 상기 받침 와이어(11)와 중앙 와이어(13) 및 돌림 와이어(14)가 교차되는 부분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 와이어(11)가 절곡된 부분이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절단하여 절단면(12)이 노출되도록 한다.
받침 와이어(11)가 절곡된 부분의 하측에서 연결 파이프(23)의 양쪽으로 하부 와이어(21)의 연결돌기(21a) 또는 결합돌기(26)를 용접하여 연결하고, 받침 와이어(11)와 연결 파이프(23)가 용접에 의해 교차되는 부분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받침 와이어(11)의 절단면(12) 상측에는 마감 파이프(24)의 마감 절개부(25)를 벌려서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도 5b와 같은 상태로 용접하여 결합하고, 마감 파이프(24)의 양쪽에서 상부 와이어(22)의 연결돌기(22a) 또는 결합돌기(26)를 연결한 후 용접부(25a)와 같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와이어(22)의 연결돌기(22a)를 마감 파이프(24)에 연결하는 경우 지름이 서로 달라 단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합돌기(26)와 같이 결합 하는 경우 단이 지지않고 동일한 지름으로 연결되어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감 파이프(24)를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에는 받침 와이어(11)로 인하여 발생하는 절단면(12)을 감아서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절단면(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반(10)을 사용할 때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절단면(1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해를 당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 파이프(23)와 마감 파이프(24)는 얇은 코일을 이용하여 원형으로 말아 성형한 것이므로 원재료의 소모량이 적고,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며, 원가의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어서 저렴한 간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림 와이어(14)는 물받이 삽입홈(14a)을 형성하는 부분과, 후방에서 물받이가 더 이상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스톱퍼(15)를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와이어의 절단부가 없이 선반(20)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20)은 주방용이나, 화장실용 및 베란다와 실내 및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물품을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중에 손이나 신체에 입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면을 중공을 갖는 마감 파이프의 마감 절개부 또는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하여 용접함으로써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에 손이나 신체에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선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선반에 대한 평면도
도 2c 는 본 발명의 선반에 대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분리상태 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에 대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b 는 본 발명의 받침 와이어에 마감 파이프를 결합하기 이전의 정면도
도 4c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도 5a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5b 는 본 발명의 받침 와이어에 마감 파이프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5c 는 본 발명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도 5d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파이프와 와이어의 분리상태 정면도
도 6b 는 본 발명의 파이프와 와이어의 연결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선반 11 : 받침 와이어
12 : 절단면 13 : 중앙 와이어
14 : 돌림 와이어 15 : 스톱퍼
16, 21 : 하부 와이어 17 : 상부고정 와이어
21a, 22a : 연결돌기 22 : 상부 와이어
23 : 연결 파이프 24 : 마감 파이프
25 : 마감 절개부 25a : 용접부
26 : 결합돌기

Claims (3)

  1. 양쪽 또는 어느 일부분을 절곡한 받침 와이어(11)의 하측으로 중앙 와이어(13)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 와이어(11)의 절곡부분 하측을 감아 용접 고정하는 하부 와이어(16)와 중앙 와이어(13)의 절단면(12)에서 용접으로 연결된 상부고정 와이어(17)로 이루어진 선반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12)이 삽입되어 용접부(25a)에서 용접되는 마감 절개부(25)를 형성하며 양쪽에서 상부 와이어(22)의 연결돌기(22a)를 중공에 결합하여 용접하는 마감 파이프(2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와이어(22)의 연결돌기(22a)는 결합돌기(26)를 형성하여 마감 파이프(24)에 지름이 같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3.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와이어(21)는 마감 파이프(24)의 하측으로 연결 파이프(23)를 용접 고정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23)의 양쪽에서 하부 와이어(21)의 연결돌기(21a)를 용접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KR1020090113618A 2009-11-24 2009-11-24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KR10106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618A KR101060145B1 (ko) 2009-11-24 2009-11-24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618A KR101060145B1 (ko) 2009-11-24 2009-11-24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284A true KR20110057284A (ko) 2011-06-01
KR101060145B1 KR101060145B1 (ko) 2011-08-29

Family

ID=4439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618A KR101060145B1 (ko) 2009-11-24 2009-11-24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1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67Y1 (ko) 1999-11-03 2000-03-15 김권섭 주방용 선반
KR200231939Y1 (ko) 2001-02-15 2001-07-19 주식회사 팬물산 부엌용품 정리대
KR200279949Y1 (ko) 2002-03-21 2002-07-02 재 권 전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0312039Y1 (ko) 2003-01-24 2003-05-09 이순자 조립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145B1 (ko) 201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7156A (en) Hose and tool rack
US8485690B1 (en) Decorative light string clip device
US6840702B2 (en) Joint between tubes of a tube combination having annular trenches
KR101060126B1 (ko)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KR101060145B1 (ko)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JP5042641B2 (ja) ケーブルプロテクタ
JP4848680B2 (ja) 形状変更ができるガイドワイヤーホルダー
JP5379251B2 (ja) 鳥除け具
KR20020067214A (ko) 와이어식 진공청소기 부속품 걸이대
USD938807S1 (en) Payout tube
JP4896277B2 (ja) 条体の収容容器
KR102040515B1 (ko) 물뿌리개
KR101783828B1 (ko) 위생 랩 고정거치대
US1064734A (en) Towel-rack.
KR200332227Y1 (ko) 씽크 선반
KR200468730Y1 (ko) 단일 프레임 고무장갑 건조대
US9655476B2 (en) Device for holding kitchen utensils, especially knives
JP3122427B2 (ja) 花立て
JP7132614B2 (ja) 四華花
JP3146949U (ja) ブーツ挿入具
JP7169747B2 (ja) ロールペーパーディスペンサー
WO2020135270A1 (zh) 医疗器械收纳装置及其制备方法
KR200302803Y1 (ko) 샤워기용 연결호스의 보호장치
KR20040040777A (ko) 샤워기용 연결호스의 보호장치
US20050198732A1 (en) Wall mounted bathroom support bars with integral mounting fl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