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039Y1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039Y1
KR200312039Y1 KR20-2003-0002281U KR20030002281U KR200312039Y1 KR 200312039 Y1 KR200312039 Y1 KR 200312039Y1 KR 20030002281 U KR20030002281 U KR 20030002281U KR 200312039 Y1 KR200312039 Y1 KR 200312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aggregate
prefabricated
large memb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자
Original Assignee
이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자 filed Critical 이순자
Priority to KR20-2003-0002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47B2220/0041Short shoulder brackets f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벽에 설치하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고 선 벽간 거리에 따라 거기에 적합한 길이의 골재로 대체하면 선반판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부가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은, 앞뒤의 가장자리에 하향 삽입부(16a)가 주어진 대형 부재(12)에 동형이면서 폭만 대형 부재(12)에 비해 약간 작은 소형 부재(14)를 삽입한 길이가변형 선반판(10)과; 원형관 또는 각관의 일점에 그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 상기 대형 부재(12)와 소형 부재(14)의 삽입부(16a)(16b)가 겹친 상태로 삽입되는 폭을 갖는 직선형 삽입홈(22)이 형성된 앞뒤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골재(20)와; 상변의 선단 및 후단부에는 상기 골재(20)의 단부가 걸쳐지는 걸침홈(32)을 두고, 하부에는 부착공(33)이 천공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선반받침(3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Fabricated ledge}
본 고안은 실내의 벽에 설치하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고 선 벽간 거리에 따라 거기에 적합한 길이의 골재로 대체하면 선반판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부가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실내용 선반으로서 벽에 부착된 선반받침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내고 또는 수월하게 걸쳐두도록 제작된 조립식 선반은 선반판과, 이 선반판의 앞뒤쪽 밑을 떠받치는 골재로 구성된다.
물론 개중에는 선반판이 금속 파이프제 또는 강선제로 된 것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선반의 선반판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선반판을 떠받칠 선반받침이 부착된 벽간의 거리가 선반판보다도 가깝다거나 혹은 먼 경우에는 선반을 설치할 수가 없다.
이런 경우도 있다. 이를테면, 선반을 설치했을 때 선반판의 길이가 약간 짧아서 벽과 선반판의 측면 사이에 틈이 남는 경우인 데, 이럴 때는 그 틈이 좁아서 선반에 올려놓은 물건이 떨어질 우려가 없다면 괜찮겠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문제가 된다.
또, 선반을 설치할 벽간의 거리가 선반의 길이보다도 월등히 멀거나 좁은 경우에는 규격품인 선반은 설치할 수가 없다.
선반이 길다면 긴 만큼 잘라내야 하고 짧은 선반이라면 골재를 이어서라도 설치할 수는 있겠지만, 어떻게 하든 그것은 모두 편법이며, 설치 후 선반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
본 고안은 실내 벽에 설치하는 조립식 선반으로서, 서로 마주보고 선 벽간 거리와 선반판의 길이가 모자라거나 길더라도 이를 능히 극복할 수 있고, 또한 선반판의 길이가 과부족이거나 너무 길어서 설치가 불가능하더라도 용인된 범위 내에서 골재만 교체하면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이 기술적 과제는, 앞뒤의 가장자리가 직각으로 하향 절곡되어 골재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부로 삼은 선반판은 대형 부재에 동형의 소형 부재를 삽입하여 선반판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하고, 골재는 각관 또는 원형관으로 하고 그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 상기 대ㆍ소형 선반판 부재가 겹쳐진 삽입부도 동시에 끼워지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길이가 다른 골재에도 상기한 길이가변식 선반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동 조립도
도 3은 벽에 본 고안을 설치한 경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반판 12 : 대형 부재
14 :소형 부재 16a,16b : 삽입부
20 : 골재 22 : 삽입홈
30 : 선받받침
도 1에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은 조합형 선반판(10)과 앞뒤 한 쌍으로 이뤄지는 골재(20) 및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선반받침(30)으로 구성된다.
선반판(10)은 대형 부재(12)와 소형 부재(14)로 이루어진다.
이들 대ㆍ소형 부재(12)(14)는 다같이 두께가 동일한 직사각형 강판의 앞뒤 가장자리를 직각으로 하향 절곡하여 삽입부(16a)(16b)를 형성한 것으로서, 다만 앞뒤의 폭만 다르다.
그 차이는 소형 부재(14)가 대형 부재(12) 속으로 간신히 들어갈 정도이다.
이는 대략 강판의 2배 두께 정도인 데, 이것은 앞뒤에 삽입부(16a)(16b)를가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형 부재(12)에는 소형 부재(14)가 안긴다.
이 상태에서 소형 부재(14)를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어서 조합된 선반판(10)의 전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선반판(10)을 합친 전체 길이는 골재(20)보다도 훨씬 길게 하여 골재(20)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쪽 단부가 겹쳐진 부분(18)이 되도록 길게 남게 함으로써 골재(20)의 길이 선택 폭을 넓힌다.
골재(20)는 주면의 일부를 할애한 자리에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 삽입홈(22)을 형성한 것으로, 골재(20)로는 원형관 또는 각관을 사용한다.
이 삽입홈(22)은 직선형 홈이며, 동시에 대형 부재(12)와 소형 부재(14)의 삽입부(16a)(16b)가 겹친 상태로도 한꺼번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갖는다.
선반받침(30)은 크랭크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변의 선단 및 후단부에는 골재(20)의 단부가 걸쳐지는 걸침홈(32)을 두고, 벽에 못으로 고정시킬 부착공(33)을 천공한 것이다.
걸침홈(32)은 상기 골재(20)를 원형관 또는 각관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홈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이 걸침홈(32)은 원형관 또는 각관 중 사용되는 골재(20)의 단면 형상의 하반부와 부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한 선반판(10), 골재(20) 및 선반받침(30)을 조립하면 도 2와 같은 양상을 띈다.
즉, 소형 부재(14)를 대형 부재(12) 밑으로 올려 끼워서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일정한 폭으로 겹쳐진 부분(18)이 있게 한 채 그 삽입부(16a)(16b)를 위로 향한 골재(20)의 삽입홈(22)에 내려 끼운다.
이때, 대형 부재(12)와 소형 부재(14)의 외측단이 골재(20)의 양단부로 튀어나오면 거치적거리므로 선반판(10)의 길이를 골재(20)의 길이에 맞춘 상태로 포장하거나 보관한다.
상기와 같은 단순 조립상태 및 실제로 선반의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 3에서 겹쳐진 부분(18)의 종단면을 옆에서 바라다보면 도 4와 같이, 대ㆍ소형 부재(12)(14)의 삽입부(16a)(16b)가 겹쳐진 채로 골재(20)의 삽입홈(22)에 끼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좌우 벽(a)(b)간의 거리(L)가 골재(20)의 길이보다는 멀고 선반판(10)을 최대한 늘린 길이보다는 짧은 경우에는 선반판(10)을 들어내고 골재(20)만 상기 거리(L)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고, 이 골재(20)에 상기 선반판(10)의 길이를 그에 맞게 줄여서 재결합해 설치한다.
다른 예로써, 좌우 벽(a)(b)간의 거리(L)가 골재(20)의 길이보다도 짧아서 설치할 수 없고, 선반판(10)은 최소의 길이로 줄이지 않으면 곤란한 경우에는 골재(20)를 그 거리(L)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고, 선반판(10)의 길이를 최소가 되도록 변경하여 상기 골재(20)에 끼워 맞춘다.
이처럼 선반판(10)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 범위 내에서라면 얼마든지 선반판(10)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선반판(10)의 길이조정은 대형 부재(12)와 소형 부재(14)의 겹침 폭을 길게 또는 짧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은 서로 마주보고 선 벽간 거리에 따라 전체 길이의 조정이 가능한 선반판의 최대길이와 최소길이 범위 내라면 골재만 벽간 거리에 맞는 것으로 대체하여 선반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앞뒤의 가장자리에 하향 삽입부(16a)가 주어진 대형 부재(12)에 동형이면서 폭만 대형 부재(12)에 비해 약간 작은 소형 부재(14)를 삽입한 길이가변형 선반판(10)과;
    원형관의 일점에 그 길이방향 전반에 걸쳐 상기 대형 부재(12)와 소형 부재(14)의 삽입부(16a)(16b)가 겹친 상태로 삽입되는 폭을 갖는 직선형 삽입홈(22)이 형성된 앞뒤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골재(20)와;
    상변의 선단 및 후단부에는 상기 골재(20)의 단부가 걸쳐지는 걸침홈(32)을 두고, 하부에는 부착공(33)이 천공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선반받침(3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20)는 각관으로 하고 선반받침(30)의 걸침홈(32)은 상기 각관의 단면 형상의 하반부와 부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20-2003-0002281U 2003-01-24 2003-01-24 조립식 선반 KR200312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81U KR200312039Y1 (ko) 2003-01-24 2003-01-24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81U KR200312039Y1 (ko) 2003-01-24 2003-01-24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039Y1 true KR200312039Y1 (ko) 2003-05-09

Family

ID=4933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281U KR200312039Y1 (ko) 2003-01-24 2003-01-24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145B1 (ko) 2009-11-24 2011-08-29 이안제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145B1 (ko) 2009-11-24 2011-08-29 이안제 무 절단면으로 이루어진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19571A1 (en) A mounting system
US7275648B2 (en) Easy stud rack
CA2356788A1 (en) Recessed fixture frame
CA2568259A1 (en) Shelf bracket and support structure
KR200312039Y1 (ko) 조립식 선반
JP4142711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枠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EP2997854B1 (en) Modular component of furniture item
US20050056758A1 (en) Base for a control box
JP4127185B2 (ja) 縦仕切の取付構造
US7380385B2 (en) Adjustable length decoration panel
CA2121450C (en) Electrical box with integral support member
JP7340823B2 (ja) 収納装置
GB2364335A (en) Stud wall construction
US5193697A (en) Rail element for the reception of article supports
CA2211583C (en) Stud bracket
KR200346228Y1 (ko) 가설 방음판
CH694101A5 (it) Cornice di riquadratura per asole di controsoffitti.
KR200181823Y1 (ko) 슬라이드 결합 지지수단을 갖춘 매입형 스위치 박스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200203566Y1 (ko) 전선용 지지구
GB2196235A (en) Shelving system
KR950008942Y1 (ko) 천정판 설치용 바아의 연결구 구조
KR200355500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333135Y1 (ko)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