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105A - 조리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105A
KR20110057105A KR1020110044262A KR20110044262A KR20110057105A KR 20110057105 A KR20110057105 A KR 20110057105A KR 1020110044262 A KR1020110044262 A KR 1020110044262A KR 20110044262 A KR20110044262 A KR 20110044262A KR 20110057105 A KR20110057105 A KR 20110057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andle
support
cooking vesse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riority to KR1020110044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105A/ko
Publication of KR2011005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는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펼쳐지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필요한 만큼만 펼쳐서 요리 재료나 조미료 등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면에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가 부착된 부챗살 형태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일측 단부에 살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대축과, 상기 살대축이 설치된 살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살대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뚜껑 {Cover for cooking pots}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는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펼쳐지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필요한 만큼만 펼쳐서 요리 재료나 조미료 등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기나 전자레인지에서 음식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는 음식물을 조리용기에 담고 가열하게 되며, 이러한 가열조리기나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과 함께 가열된 조리용기는 조리용기 자체는 물론 음식물이 뜨거우므로 용기의 취급에 주의해야만 음식물이나 조리용기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에는 뜨거워진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손잡이는 조리용기에 리벳이나 나사로 고정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조리시간이나 온도에 따라서는 손잡이까지도 뜨겁게 가열되므로 조리용기를 취급하면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식 손잡이를 사용할 때는 주로 사용자가 두 손을 사용하여 조리용기를 집어내야 하는데, 손잡이가 함께 뜨거워진 것을 감안하여 장갑 등을 착용하고 인출하게 되면 미끄러짐 등으로 조리용기를 떨어트리는 경우가 발생되거나,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양손을 사용하여 용기를 인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출입구가 비교적 적게 형성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내부로 조리용기를 인출하는데 상당한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선단에 걸림구가 형성된 조리용기 집게가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하여 제안된바 있었으나, 이러한 조리용기 집게의 경우는 사용자의 손힘으로 집게를 조리용기에 일시 고정시키고 뜨거워진 조리용기를 옮기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많은 힘을 소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음식점의 주방 등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손의 악력이 저하되면서 조리용기를 떨어뜨려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등록특허공보 10-397656호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착탈이 가능한 조리용기 손잡이가 개발되어 손잡이를 분리한 상태로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등 좁은 공간에서 조리가 가능하고, 인출시에는 손잡이를 손쉽게 설치하여 인출 및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볶음 요리 등을 할 때처럼 내용물을 타지않게 조리용기를 흔들어 주기 위한 손잡이와 내용물이나 기름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필요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구조상 손잡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뚜껑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대가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조리용기의 상부를 필요한 만큼만 덮게 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면에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가 부착된 부챗살 형태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일측 단부에 살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대축과, 상기 살대축이 설치된 살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살대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살대축의 상부에는 뚜껑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 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펼쳐지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필요한 만큼만 펼쳐서 손잡이 부위로 기름이나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요리 재료나 조미료 등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이 펼쳐진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뚜껑이 펼쳐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 전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기준 살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는 실시예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뚜껑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고,
도 8의 (a)는 도 6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b)는 도 7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이 접철 방식으로 수납되는 실시예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뚜껑이 접철식으로 펼쳐진 상태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버튼으로 록킹부를 작동시키는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손잡이로 록킹부를 작동시키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이 펼쳐진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뚜껑이 펼쳐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이 구비된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조리용기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부(400)와 손잡이부(400)의 상부에 뚜껑(300)을 수납하는 뚜껑 보관부(200)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 전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기준 살대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0)은 지지대(310), 살대축(320), 살대(330), 살대축 고정판(335), 레버(337), 커버(340), 살대멈춤돌기(350), 살대멈춤홈(35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10)는 내부가 비어있는 길죽한 사각 바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길이 방향의 일측 끝부분부터 일정 길이는 내부가 막혀있고, 타측 끝단부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10)의 내부가 막혀있는 일측 끝단부에는 두개의 살대축(320)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살대축(320)에는 살대(330)가 접철식 부채의 부챗살처럼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살대(330)는 두 그룹으로 나누어져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또한, 개개의 살대(330) 상면에는 내열성 투명 비닐로 이루어진 커버(340)가 부착되는데, 커버(340)가 부착된 살대(330)를 완전히 펼치게 되면 반원의 접철식 부채형상을 하게 된다.
여기서, 두 그룹의 살대(330)는 서로 대칭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두 그룹의 살대(330)를 모두 펼치게 되면 완전한 원을 이루게 되어 뚜껑(300)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340)의 상면에는 시온 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데, 온도에 따라 시온 안료의 색이 변하게 되므로 뚜껑(3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조리용기(미도시) 내부의 온도를 시온 안료의 색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살대(330)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기준 살대(330a,330b)의 전단부는 기어형태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두개의 기준 살대(330a,330b)가 서로 맞물려서 펼쳐지게 한다.
또한, 지지대(310)의 일측 내부가 막혀진 부분에는 살대(330)의 펼처지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살대멈춤돌기(3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살대멈춤돌기(350)는 지지대(310)의 일측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홈의 하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으로 살대멈춤돌기(35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살대(330b)에는 상기 살대멈춤돌기(350)에 대응하는 여러개의 살대멈춤홈(350a)이 원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살대멈춤돌기(350)와 살대멈춤홈(350a)의 작용으로 살대(330)는 필요한 정도만큼만 펼쳐진 채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살대(330a,330b)의 양측면에는 결합수단이 설치되는데, 상기 결합수단으로 자석(331)이 설치되어, 살대(33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각 그룹의 기준 살대(330a,330b)가 자석(331)으로 서로 고정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는, 상기 기준 살대(330a,330b)의 양측면에 결합수단으로 후크(미도시)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살대(330)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각 그룹의 기준 살대(330a,330b)가 후크(미도시)로 서로 고정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설치된 살대(330)의 상부에는 사각판형태의 살대축 고정판(335)이 설치되는데, 상기 살대축 고정판(335)의 양끝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살대축(320)을 흔들리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살대축 고정판(335)의 상면에는 레버(337)가 살대축(320)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레버(337)를 돌리면 살대축(320)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또한, 기준 살대(330a,330b)도 살대축(32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버(337)가 회전하면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레버(337)을 회전시켜 살대(330)를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대(330)는 하나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로, 살대(330)가 하나의 그룹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준 살대(330a)의 전단부에는 톱니(333)가 형성되지 않고, 기준 살대(330a)의 양측면에는 자석(331)이나 후크(미도시) 등의 결합수단도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된 살대(330)가 두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는 실시예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뚜껑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 상태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고, 도 8의 (a)는 도 6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b)는 도 7의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0)은 뚜껑 보관부(2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는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지지대(310)의 일측 내부가 막혀있는 부분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스프링 고정돌기(213)가 형성되고, 지지대(310)의 타측 끝단부 측면에는 지지대(310)를 뚜껑 보관부(200)에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부(317)가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 보관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310)가 설치되는 지지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10)의 내측 끝단부에 제1지지대 스프링(370)을 고정하기 위한 제2 스프링 고정돌기(3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홈(210)의 측면에는 지지대(310)의 가이드부(317)에 대응되게 가이드홈(217)이 형성되어, 지지대(310)가 뚜껑 보관부(2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10)의 후단부 하면에는 뚜껑(300)이 수납된 상태일 때, 제1지지대 스프링(370)의 탄성력에 의해 앞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걸림홈(3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 보관부(200)의 후단부에는 상기 걸림홈(315)에 대응되는 제3버튼부(360)가 형성되어, 상기 제3버튼부(360)를 작동시키면 수납된 뚜껑(3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튀어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217)의 전방 단부에는 단턱(220)이 형성되어, 지지대(310)의 가이드부(317)가 걸리게 함으로써 뚜껑(300)이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 보관부(200)의 전단부에느 지지대 걸림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되고, 지지대(310)에는 상기 지지대 걸림돌기(미도시)에 대응되는 지지대 걸림홈(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그래서, 뚜껑(300)이 전방으로 완전히 나왔을 때, 지지대(310)의 지지대 걸림홈(미도시)이 상기 지지대 걸림돌기(미도시)에 걸리게 되어, 손잡이부(400)을 흔들어도 뚜껑(300)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뚜껑이 접철 방식으로 수납되는 실시예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뚜껑이 접철식으로 펼쳐진 상태의 뚜껑 보관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0)이 뚜껑 보관부(200)에 접철 방식으로 수납되는 실시예로, 지지대(310)의 살대축(320)이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뚜껑 보관부(200)의 전단부를 지지축(380)으로 피봇 결합하여, 상기 뚜껑(300)이 펼쳐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뚜껑 보관부(200)의 측면으로 상기 지지대(310)가 접철식으로 수납 및 펼쳐짐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10)는 지지축(380)과 고정결합되어 지지대(310)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80)이 설치되는 뚜껑 보관부(200)의 하부에는 제2지지대 스프링(370a)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390)을 형성되는데, 상기 제2지지대 스프링(370a)의 일측 단부는 공간(390)의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대 스프링(370a)의 타측 단부는 지지축(380)에 형성된 관통홈(미도시)에 끼움 설치된다.
또한, 뚜껑 보관부(200)에는 제4버튼부(360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10)의 하면에는 상기 제4버튼부(360a)에 대응되는 걸림홈(315a)이 형성되어, 뚜껑(300)이 뚜껑 보관부(200)에 수납되었을 때 고정되게 된다.
그래고, 상기 제4버튼부(360a)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2지지대 스프링(370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뚜껑(300)이 측면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 보관부(200)의 전단부에는 지지대 걸림돌기(미도시)를 더 형성하고, 지지대(310)에는 상기 지지대 걸림돌기(미도시)에 대응되는 지지대 걸림홈(미도시)을 더 형성된다.
그래서, 뚜껑(300)이 뚜껑 보관부(200)의 측면으로 완전히 펼쳐졌을 때, 지지대(310)의 지지대 걸림홈(미도시)이 상기 지지대 걸림돌기(미도시)에 걸리게 되어, 손잡이부(400)을 흔들어도 뚜껑(300)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버튼으로 록킹부를 작동시키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고정부(420), 록킹부(410), 연결부(430), 록킹 손잡이(440), 록킹 스프링(450), 제1 버튼부(46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손잡이부(400) 몸체의 전면에는 조리용기(미도시)의 외측이 고정되는 고정부(420)가 형성되고, 조리용기(미도시)의 내측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420)에 고정시키는 록킹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30)는 상기 록킹부(410)에서 연장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430)에는 상기 록킹 스프링(450)의 탄성력을 받는 스프링 지지부(457)와 록킹부(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 걸림돌기(435)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손잡이부(400)의 후단부에는 상기 록킹 걸림돌기(435)에 대응되는 록킹 멈춤돌기(465)가 형성된 제1 버튼부(460)가 설치된다.
나아가, 상기 록킹 손잡이(440)가 연결부(430)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조리용기(미도시)를 고정부(420)와 록킹부(410) 사이에 고정시킬 때, 상기 록킹 손잡이(440)를 사용하여 록킹부(410)를 직접 밀지 않고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의 손잡이로 록킹부를 작동시키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고정부(420), 록킹부(410), 연결부(430), 연결 스프링(450a), 고정 손잡이(470), 제2 버튼부(460a)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자면, 상기 손잡이부(400) 몸체의 전면에는 조리용기(미도시)의 외측이 고정되는 고정부(420)가 형성되고, 조리용기(미도시)의 내측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420)에 고정시키는 록킹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30)는 록킹부(410)에서 연장 형성되는데, 연결부(430)의 일측 상부에 연결 스프링(450a)이 설치되어 연결부(43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43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손잡이부(400)의 몸체와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 스프링(450a)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430)가 밀리게 되면 연결부(430)의 타측에 형성된 록킹부(410)가 고정부(420)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고정된 조리용기(미도시)를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손잡이부(400)에는 고정 손잡이(47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430)를 지지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고정 손잡이(470)를 작동시킴으로서 록킹부(410)을 움직이게 하여 조리용기(미도시)를 고정부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손잡이(470)와 대응되는 제2버튼부(460a)가 손잡이부(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손잡이(470)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래서, 고정 손잡이(470)를 느슨하게 잡아도 조리용기(미도시)는 록킹부(410)와 고정부(41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버튼부(460a)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고정 손잡이(470)가 하부로 내려오게 되어, 록킹부(410)와 고정부(410) 사이에 고정된 조리용기(미도시)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와는 별개로 조리용기용 뚜껑(10)만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그 구성은 부챗살 형태의 살대(330)와 상기 살대(330)의 상면에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340)와 상기 살대(330)의 일측 단부에 살대(3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대축(320)과 상기 살대축의 상부에는 형성된 뚜껑손잡이(320a)와 상기 살대축(320)이 설치된 살대(33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살대고정부(332)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조리용기용 뚜껑(10)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살대(330) 접어서 보관하다가, 상기 조리용기용 뚜껑(10)이 필요할 때에는 살대 살대(330)를 펼쳐서, 상기 살대고정부(332)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과는 별개로 상기 착탈식 손잡이(20)만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뚜껑(300)이 구비되지 않은 착탈식 손잡이(20)는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낮아지게 되므로, 굳이 뚜껑(300)이 필요하지 않은 곳에서는 상기 착탈식 손잡이(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기는 접철식으로 이루어져 펼쳐지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필요한 만큼만 펼쳐서 요리 재료나 조미료 등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는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200 : 뚜껑 보관부 210 : 지지홈
213,313 : 제1,2 스프링 고정돌기
217 : 가이드홈 220 : 단턱
300 : 뚜껑 310 : 지지대
315, 315a : 걸림홈 317 : 가이드부
320 : 살대축 320a : 뚜껑손잡이
330 : 살대 330a,b : 기준 살대
331 : 자석 332 : 살대고정부
333 : 톱니 335 : 살대축 고정판
337 : 레버 340 : 커버
350: 살대멈춤돌기 350a : 살대멈춤홈
360,360a : 제3,4버튼부 370,370a : 제1,2지지대스프링
380 : 지지대축 390 : 공간
400 : 손잡이부 410 : 록킹부
420 : 고정부 430 : 연결부
435 : 록킹 걸림돌기 440 : 록킹 손잡이
450 : 록킹 스프링 450a : 연결 스프링
457 : 스프링 지지부 460,460a : 제1,2버튼부
465 : 멈춤돌기 470 : 고정 손잡이

Claims (2)

  1. 조리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면에 커버가 부착되는 부챗살 형태의 살대와,
    상기 살대의 일측 단부에 살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대축과,
    상기 살대축이 설치된 살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살대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대축의 상부에는 뚜껑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 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KR1020110044262A 2011-05-11 2011-05-11 조리용기용 뚜껑 KR20110057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262A KR20110057105A (ko) 2011-05-11 2011-05-11 조리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262A KR20110057105A (ko) 2011-05-11 2011-05-11 조리용기용 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102A Division KR20100010469A (ko) 2008-07-22 2009-04-14 조리용기용 뚜껑과 착탈식 손잡이 및 뚜껑이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105A true KR20110057105A (ko) 2011-05-31

Family

ID=4436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262A KR20110057105A (ko) 2011-05-11 2011-05-11 조리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1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449A (zh) * 2011-12-19 2012-06-13 苏州市邦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锅把的锅
WO2019071701A1 (zh) * 2017-10-12 2019-04-18 沈春梅 一种厨师专用智能炒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449A (zh) * 2011-12-19 2012-06-13 苏州市邦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锅把的锅
WO2019071701A1 (zh) * 2017-10-12 2019-04-18 沈春梅 一种厨师专用智能炒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201B2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US6298775B1 (en) Pan with a foldable handle
US8991640B2 (en) Extending pot
RU2608275C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крышку, имеющую ручку с опорой для кухо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JP2010246892A (ja) 非対称に動作するロック/アンロック用の操作部材を備えた圧力調理器具
CN104757891B (zh) 折叠式把手结构
KR20110057105A (ko) 조리용기용 뚜껑
JP2004203486A (ja) 貯蔵容器
JP6178922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KR101785871B1 (ko) 직화 조리방식을 적용한 프라이팬
KR100663088B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KR102243026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100010469A (ko) 조리용기용 뚜껑과 착탈식 손잡이 및 뚜껑이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CN109497840A (zh) 煎烤机
KR20060102593A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100617935B1 (ko) 접이식 양면 전기구이기
CN102264267A (zh) 便携式烹饪系统
KR20160128873A (ko)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JP6547156B1 (ja) 調理用鍋
KR200404674Y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CN102973157A (zh) 一种烹调用锅的可折叠手柄
KR101748325B1 (ko) 사용이 편리한 국자
CN107041676B (zh) 加热皿及烹饪器具
KR100988278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20130019761A1 (en) Grill with anti-shak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