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873A -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873A
KR20160128873A KR1020150060956A KR20150060956A KR20160128873A KR 20160128873 A KR20160128873 A KR 20160128873A KR 1020150060956 A KR1020150060956 A KR 1020150060956A KR 20150060956 A KR20150060956 A KR 20150060956A KR 20160128873 A KR20160128873 A KR 2016012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inge
cookware
turn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103B1 (ko
Inventor
박선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블첸
박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블첸, 박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블첸
Priority to KR102015006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0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편수 조리기구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절반으로 나누어져 힌지결합에 의해 180도로 선회작동되는 절첩 손잡이(100)로 형성됨으로써, 조리기구의 포장비가 절감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관시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됨에 따라 장소의 제약을 줄일 수 있으며,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됨에 따라 조리과정에서 길게 손잡이가 필요할 경우와 이동간에 손잡이가 짧게 필요할 경우 각각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손잡이를 짧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힘의 낭비를 줄여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사용상 편의성이 우수한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A folding handle for cookware}
본 발명은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수로 이루어지는 냄비 또는 프라이팬에 결합되어 조리방법에 따라 손잡이 길이의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고, 보관시 손잡이를 접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 조리기구에는 냄비, 프라이팬이 있다. 이러한 조리기구는 열을 사용하여 조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열로부터 보호되면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부착된다.
조리기구에 부착되는 손잡이는 양쪽에 결합되는 양수형태와 한 쪽방향에 설치되는 편수형태로 나누어진다. 통상 양수형태는 좌우대칭형상을 이루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조리기구를 파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가 짧은 형태가 대부분이고, 편수형태의 경우에는 한 손으로 조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막대형으로 길게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기구에서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는 손잡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열원으로부터 사용자 손을 보호하고, 조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지만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를 포장하거나 보관시에는 불필요한 포장크기가 필요하거나 불필요한 공간이 필요로하여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즉, 편수형태의 조리기구는 손잡이의 길이만큼 포장재도 크게 형성하여야 하고, 손잡이의 길이만큼의 보관 공간도 필요로 하여 사용상에서 안전성은 확보되나 보관이나 이동간의 포장에서는 상당한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편수형태의 조리기구의 손잡이는 길게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을 조리한 후 편수를 잡아 이동시 손잡이 길이로 인한 이동간의 불편함이 따른다. 즉, 통상 편수 조리기구 손잡이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이동시에는 길게 형성된 손잡이가 사용자 팔에 걸리거나 주변 기물에 걸려 음식물을 흘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편수 조리기구의 손잡이를 조리기구 본체측 가까이 사용자가 파지하더라도 파지되지 않은 부분이 간섭되어 오히려 상술한 문제가 더 발생될 수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00-0017765호, 공개일자 2000년 10월 05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편수 조리기구의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포장비가 절감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관시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됨에 따라 장소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됨에 따라 조리과정에서 길게 손잡이가 필요할 경우와 이동간에 손잡이가 짧게 필요할 경우 각각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손잡이를 짧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힘의 낭비를 줄여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는 편수 조리기구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절반으로 나누어져 힌지결합에 의해 180도로 선회작동되는 절첩 손잡이(100)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첩 손잡이(100)는 일단에 조리기구에 결합되는 조리기구 결합구(112)가 형성되고, 타단에 포크형의 힌지결합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기구 결합구(112)와 상기 힌지결합부(114) 사이 하부면에 상측으로 요입형성된 절첩 수용부(116)가 형성된 고정손잡이(110)와;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힌지결합부(11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180도 선회작동되는 힌지돌기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부(122)에 연장되어 상기 절첩 수용부(116)에 수용되도록 절첩되거나 상기 힌지결합부(114)를 기준으로 선회작동되어 상기 절첩 손잡이(100) 길이가 확장되도록 형성된 선회손잡이(120)와;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포크형 힌지결합부(114) 사이에 상기 선회손잡이(120)의 힌지돌기부(122)가 힌지대응되어 선회작동하도록 결합되는 선회핀(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손잡이(110) 상부면의 상기 힌지결합부(114)가 형성된 일측으로 단차 형성된 단턱면(118)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손잡이(120) 하부면의 상기 힌지돌기부(122)가 형성된 일측으로 상기 단턱면에 걸림되는 걸림면(128)이 형성되어 상기 선회손잡이(120)가 상기 고정손잡이(110)로부터 180도 이상 선회작동이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수 조리기구의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포장비가 절감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관시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됨에 따라 장소의 제약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가 절반으로 절첩됨에 따라 조리과정에서 길게 손잡이가 필요할 경우와 이동간에 손잡이가 짧게 필요할 경우 각각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손잡이를 짧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힘의 낭비를 줄여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사용상 편의성 및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포장 또는 보관시 공간을 줄이는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수 주방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의 포장 또는 보관시 공간을 줄이는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는 절반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포장비용의 절감 및 보관에 따른 장소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사용상에서 운반용이성 및 조리과정에서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100)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절반으로 나누어져 힌지결합에 의해 180도로 선회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절첩 손잡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손잡이(110), 선회손잡이(120), 선회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손잡이(110)는 조리기구에 결합되어 조리기구와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일단에 조리기구에 결합되는 조리기구 결합구(112)가 형성되고, 타단에 포크형의 힌지결합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기구 결합구(112)와 상기 힌지결합부(114) 사이 하부면에 상측으로 요입형성된 절첩 수용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선회손잡이(120)는 전술한 상기 고정손잡이(110)에 힌지결합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회작동시켜 전체 손잡이 길이를 길게 확장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힌지결합부(11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180도 선회작동되는 힌지돌기부(1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돌기부(122)에 연장되어 전술한 상기 절첩 수용부(116)에 수용되도록 절첩되거나 상기 힌지결합부(114)를 기준으로 선회작동되어 상기 절첩 손잡이(100) 길이가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회핀(200)은 상기 고정손잡이(110)와 상기 선회손잡이(120)가 힌지결합되어 선회시, 선회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포크형 힌지결합부(114) 사이에 상기 선회손잡이(120)의 힌지돌기부(122)가 힌지대응되어 선회작동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핀(200)은 암수볼트와 너트로 형성하거나 리벳으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손잡이(110) 상부면의 상기 힌지결합부(114)가 형성된 일측으로 단차 형성된 단턱면(118)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손잡이(120) 하부면의 상기 힌지돌기부(122)가 형성된 일측으로 상기 단턱면에 걸림되는 걸림면(128)이 형성되어 상기 선회손잡이(120)가 상기 고정손잡이(110)로부터 180도 이상 선회작동이 제어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절첩 수용부(116)에 수용된 선회손잡이(120)가 선회핀(200)을 기준축으로 선회작동하고, 계속적으로 선회작동시 상기 걸림면(128)이 상기 단턱면(118)에 접하면서 180도 이상 선회작동이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구의 측면에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조리기구 결합구(112)를 대응하여 결합한다. 이후, 상기 힌지결합부(114)에 선회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선회손잡이(120)를 힌지작동시켜 180도 범위에서 선회손잡이를 접었다 폈다 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선회손잡이(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구 제품포장시 절첩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포장재 크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포장재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불필요한 포장재로 인한 자원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조리기구를 사용하다가 보관시에도 손잡이 절반을 절첩하여 줄임에 따라 보관장소가 협소하더라도 보관이 용이하고, 손잡이를 절반으로 줄임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구간을 조리기구 측으로 가져갈 수 있어 작은 힘으로도 조리기구를 손쉽게 들어 이동이 가능하다. 즉, 조리기구에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을 경우에 음식물의 무게와 조리기구의 무게로 인한 과도한 힘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손잡이 절첩으로 인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위치가 달라져 결국에는 무게중심을 이동하는 역할로 인해 작은 힘으로 조리기구를 들어올리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절첩 손잡이 110 : 고정손잡이
112 : 조리기구 결합구 114 : 힌지결합부
116 : 절첩 수용부 118 : 단턱면
120 : 선회손잡이 122 : 힌지돌기부
128 : 걸림면 200 : 선회핀

Claims (3)

  1. 편수 조리기구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절반으로 나누어져 힌지결합에 의해 180도로 선회작동되는 절첩 손잡이(10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손잡이(100)는 일단에 조리기구에 결합되는 조리기구 결합구(112)가 형성되고, 타단에 포크형의 힌지결합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조리기구 결합구(112)와 상기 힌지결합부(114) 사이 하부면에 상측으로 요입형성된 절첩 수용부(116)가 형성된 고정손잡이(110)와;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힌지결합부(11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180도 선회작동되는 힌지돌기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부(122)에 연장되어 상기 절첩 수용부(116)에 수용되도록 절첩되거나 상기 힌지결합부(114)를 기준으로 선회작동되어 상기 절첩 손잡이(100) 길이가 확장되도록 형성된 선회손잡이(120)와;
    상기 고정손잡이(110)의 포크형 힌지결합부(114) 사이에 상기 선회손잡이(120)의 힌지돌기부(122)가 힌지대응되어 선회작동하도록 결합되는 선회핀(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110) 상부면의 상기 힌지결합부(114)가 형성된 일측으로 단차 형성된 단턱면(118)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손잡이(120) 하부면의 상기 힌지돌기부(122)가 형성된 일측으로 상기 단턱면에 걸림되는 걸림면(128)이 형성되어 상기 선회손잡이(120)가 상기 고정손잡이(110)로부터 180도 이상 선회작동이 제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KR1020150060956A 2015-04-29 2015-04-29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KR10170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956A KR101706103B1 (ko) 2015-04-29 2015-04-29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956A KR101706103B1 (ko) 2015-04-29 2015-04-29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873A true KR20160128873A (ko) 2016-11-08
KR101706103B1 KR101706103B1 (ko) 2017-02-14

Family

ID=5752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956A KR101706103B1 (ko) 2015-04-29 2015-04-29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7277A (zh) * 2019-11-21 2020-01-07 宁波华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对把手折叠的阀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0007B (zh) * 2018-03-29 2020-08-28 李云志 一种锅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5U (ko) 1999-03-04 2000-10-05 김성수 조리용기 손잡이
US20070256315A1 (en) * 2006-05-02 2007-11-08 Siu Wah Wong Salad Spinner
KR20090001100A (ko) * 2007-06-29 2009-01-08 정효순 접이식 손잡이를 가지는 조리 기구
KR20150029234A (ko) * 2013-09-09 2015-03-18 정정숙 조리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5U (ko) 1999-03-04 2000-10-05 김성수 조리용기 손잡이
US20070256315A1 (en) * 2006-05-02 2007-11-08 Siu Wah Wong Salad Spinner
KR20090001100A (ko) * 2007-06-29 2009-01-08 정효순 접이식 손잡이를 가지는 조리 기구
KR20150029234A (ko) * 2013-09-09 2015-03-18 정정숙 조리용기용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7277A (zh) * 2019-11-21 2020-01-07 宁波华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对把手折叠的阀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03B1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906B2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10362891B2 (en) Pressure-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that operates asymmetrically
KR102011190B1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JP5827050B2 (ja) 折り畳みハンドル付調理器具
KR101706103B1 (ko) 편수 조리기구의 절첩식 손잡이
KR200464111Y1 (ko) 조리용 냄비
KR101785871B1 (ko) 직화 조리방식을 적용한 프라이팬
KR20110011200U (ko) 냄비
CN204207546U (zh) 一种烹饪锅
JP2010035976A (ja) 鍋蓋および鍋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JP2019170449A (ja) 調理用鍋
CN209058762U (zh) 一种具有锁盖功能的煲耳及锅具
KR20130003072U (ko) 넘침 방지 증기배출 뚜껑 손잡이
KR20110057105A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309456Y1 (ko) 튀김조리기 및 그 구조
CN218164983U (zh) 一种空气炸锅的接油组件
KR200332974Y1 (ko) 조리용기 덮개의 결합구조
CN208524604U (zh) 锅具
JP3211624U (ja) 電子レンジ調理用蒸し器
EP2779875B1 (en) Pan handle
CN208973315U (zh) 烹饪器具
US20140131362A1 (en) Pan Handle
KR101566344B1 (ko) 조리기구용 접이식 손잡이
KR20170106092A (ko) 손잡이가 뜨겁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