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141A -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141A
KR20110055141A KR1020090112038A KR20090112038A KR20110055141A KR 20110055141 A KR20110055141 A KR 20110055141A KR 1020090112038 A KR1020090112038 A KR 1020090112038A KR 20090112038 A KR20090112038 A KR 20090112038A KR 20110055141 A KR20110055141 A KR 20110055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impact reduction
impact
dual structur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829B1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한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코리아 filed Critical (주)한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11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8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시 인체의 하중에 의해 발바닥이 받는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발포체 소재의 하부판과 경질발포체 소재의 상부판이 구비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이 앞발바닥과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충격저감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인솔로써,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이 연질발포체로 이루어진 하부판에서 일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완화된 충격이 충격저감용 돌기에 의해 상부판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완충되고, 또한 인솔의 하부판이 앞발바닥과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사람이 보행시 앞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와 발바닥 중심의 용혈 자극에 의한 혈류순환촉진 및 발뒷꿈치의 충격을 완화시켜 발의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본 발명은 하부판의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의 주변에는 상부판을 바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인솔로써, 신발을 신고 보행시에 인솔의 상부판이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충격저감용 돌기의 수용작용과 함께 상기 하부판의 받침대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충격완충효과를 더욱 향상시켰으며, 인체의 발바닥 형상에 맞게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형 성시켜 안정적으로 발바닥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충격저감용, 인솔, 이중구조, 돌기, 연질발포체, 하부판, 수용홈, 경질발포체, 상부판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Insole with double structure for reducing impact}
본 발명은 보행시 인체의 하중에 의해 발바닥이 받는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발포체 소재의 하부판과 경질발포체 소재의 상부판이 구비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이 앞발바닥과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충격저감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인솔로써, 사람이 보행시 앞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와 동시에 지압효과에 의해 발바닥 중심의 용혈 자극에 의한 혈류순환촉진을 시켜 발의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종래의 신발용 인솔은 주로 발바닥의 형상에 맞도록 한 컵인솔로서, 이러한 컵인솔은 사람이 보행시 발바닥이 지면에 닿으면서 하부로 가해지는 신체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EVA 발포체, PU 발포체 등과 같이 쿠션 성능을 갖는 충격완화용 소재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솔은 평탄한 구조의 쿠션형 소재의 형태로서 발바닥 전체가 하부의 바닥으로 가하는 압력만을 고려하고, 보행시 발바닥의 각 부분이 변형되면서 지면에 가하는 압력의 분포를 인체공학적으로 고려하지 않아 발이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보행중에는 밑창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발이 쉽게 피로하게 되고 심할 경우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므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인솔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안으로 제안된 기술들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5056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압력이 가해지는 발바닥의 구조를 고려하여 인솔의 전반부와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에 제1충격흡수부(11)와 제2충격흡수부(12)를 구비시킨 충격완화용 인솔(100)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충격완화용 인솔의 경우에는 발끝이 닿는 전반부와 발뒤꿈치가 닿는 후반부의 압력분포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획일적으로 폴리우레탄과 같이 압력을 적절히 흡수하는 부재만을 사용하여 탄성력이 없기 때문에 발뒤꿈치 등에 하중에 의해 지면과 닿는 충격이 정기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보행시에는 몸 전체의 하중이 인솔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근육 및 혈관의 압박에 의한손상, 허리에 충격 등을 가하여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인솔을 개선한 기술로서,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714410호로 등록 받은 바 있는 충격흡수 및 완화용 인솔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솔(100)의 상부 면에 순차적으로 제1함몰부(21), 돌출부(22) 및 제2함몰부(23)가 형성되고, 그 하부 면에 순차적으로 충격흡수부재(13), 혈류순환촉진부재(16) 및 충격완화부재(17)가 부착되어지며, 상기 혈류순환촉진부재(16)는 그 내부에 인솔의 하부면으로부터 자석(14), 자석지지부재(15)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서, 발바닥의 혈유 순환을 촉진시키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줌으로서, 근골격계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0758023호로 등록 받은 바 있는 완충 작용을 갖는 인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작용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하부판(110)과, 이 하부판(1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원단(미도시) 및, 하부판(110)의 뒤꿈치 부분(112) 저면(114)상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완충부재(10)로 구성되는 인솔(100)로서, 상기 완충부재(10)는 하부판(110)의 저면(114)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탄성돌기(12)와, 이 제 1 탄성돌기(12)의 앞측에 하부판(110)의 앞쪽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2 탄성돌기(14)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 1 탄성돌기(12) 및 제 2 탄성돌기(14)는 측면 둘레에 상하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다수개의 주름(13,15)이 형성되도록 하여, 주름의 수축 및 복원 작용에 의해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이미 특허 등록받은 바 있는 인솔들의 경우에는 충격완화의 특성은 대단히 우수하지만 상기 인솔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분품들이 많기 때문에 제조공정에서 복잡한 수작업 공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보행시 인체의 하중에 의해 발바닥이 받는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발포체로 이루어진 하부판과 경질발포체 상부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인솔로써,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이 연질발포체로 이루어진 하부판에서 일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완화된 충격이 충격저감용 돌기에 의해 상부판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질발포체 소재의 하부판이 앞발바닥과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충격저감용 돌기가 형성되고, 경질발포체 소재의 상부판이 이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인솔로써, 사람이 보행시 앞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와 지압효과에 의해 발바닥 중심의 용혈 자극에 의한 혈류순환촉진 및 발뒷꿈치의 충격을 완화시켜 발의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판의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의 주변에는 상부판을 바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 의 인솔로써, 신발을 신고 보행시에 인솔의 상부판이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충격저감용 돌기의 수용작용과 함께 상기 하부판의 받침대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충격완충효과를 더욱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구조를 갖는 인솔의 상부판에 통기공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외부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켜 완충효과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중간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로부터 타측의 외부방향으로 돌기들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 인솔로써, 인체의 발바닥 형상에 맞게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형성시켜 안정적으로 발바닥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제공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괴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저감용 인솔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층격완충용 돌기들이 형성되어진 연질발포체 소재의 하부판과,
상기 충격저감용 돌기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진 경질발포체 소재의 상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은 각 판의 테두리 면이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앞발바닥의 중심부와,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의 하부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연질발포체로 이루어진 하부판과 경질발포체 상부판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인솔로써,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이 연질발포체로 이루어진 하부판에서 일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고, 완화된 충격이 충격저감용 돌기에 의해 상부판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완충되고, 또한 인솔의 하부판이 앞발바닥과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사람이 보행시 앞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와 발바닥 중심의 용혈 자극에 의한 혈류순환촉진 및 발뒷꿈치의 충격을 완화시켜 발의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판의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의 주변에는 상부판을 바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인솔로써, 신발을 신고 보행시에 인솔의 상부판이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충격저감용 돌기의 수용작용과 함께 상기 하부판의 받침대에 의해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충격완충효과를 더욱 향상시켰으며, 인체의 발바닥 형상에 맞게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형성시켜 안정적으로 발바닥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것이 장점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인 도 4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신발용 인솔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상부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하부판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 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결합된 상태의 외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 하부판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 하부판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 하부판의 C-C'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의 기술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인 도 4 내지 도 11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은 충격저감용 인솔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층격완충용 돌기(10)들이 형성되어진 연질발포체 소재의 하부판(20)과,
상기 충격저감용 돌기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0)들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진 경질발포체 소재의 상부판(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과 상부판(40)은 각 판의 테두리 면이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은 하부판(20) 및 상부판(40)이 별도로 분리되어지는 구조가 아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20) 및 상부판(40)의 테두리 면이 접착된 일체형 구조로서,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람이 보행시에 발바닥의 앞부분부터 지면에 먼저 닿고, 그리고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순차적으로 지면에 닿는 운동 과정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인솔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은 앞발바닥의 중심부와,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판(20)에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사람이 보행시에 발바닥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들이 순차적으로 인솔에 형성되어있는 충격저감용 돌기(10)들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로감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앞발바닥 부분이 접하는 부분이라 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솔의 바닥판에서 충격저감용 돌기들이 형성된 a 부분을 의미하며, 중간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이라 함은 b 부분을 의미하고, 발뒷꿈치 부분이 접하는 부분이라 함은 c부분을 의미하고, 또한 중간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라 함은 발바닥 내측의 중 간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판(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직물원단층(41), 연질발포체층(42) 및 경질발포체층(43)의 순으로 적층되고, 상기 직물 원단층(41)은 직경이 작은 통기공(44)들이 형성되고, 상기 경질 발포체층(43)은 직물 원단에 형성된 통기공(44)들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통기공(45)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질발포체층(42) 및 경질발포체층(43)의 적층구조에 의해 하부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순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은 이중구조를 갖는 인솔의 상부판(40)에 통기공(44, 45)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인솔의 하부판(20) 및 상부판(40)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외부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켜 완충효과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은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의 주변에 상부판을 바쳐주기 위한 받침대(50)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신발을 신고 보행시에 인솔의 상부판(40)이 하부판에 형성되어 있는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의 수용작용과 함께 상기 하부판(20)의 받침대(50)에 의해 하부판(20) 및 상부판(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충격완충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앞발바닥,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의 하부판(20)에서 상기 앞발바닥 부분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은 도 9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앞발바닥이 접하는 중심부에서 양 발이 내측으로 접하는 방향의 우측부분을 고점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의 하부판(20)에서 상기 중간발바닥 부분에 접하는 부분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은 도 10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간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중간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에서 타측의 외부방향으로 돌기(10)들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발뒷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10)들은 도 6 및 도 1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10a)를 중심으로 주변에 네개의 충격저감용 돌기(10b, 10c, 10d, 10e)들이 균형 되게 배치되고, 발뒷꿈치의 바닥면을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판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세개의 돌기(10c, 10d, 10e)들은 돌기의 상부 면들이 발뒷꿈치의 형상에 따라 중앙부에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10a)를 향해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는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10a 내지 10e)들은 발바닥에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발바닥에 전달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의 하부판(20)에 형성되어지는 받침대(50)를 설명하면, 도 6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발바닥 형상의 구조에 대응될 수 있도록 중간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받침대(50)는 중간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에서 타측의 외부방향으로 받침대(50)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이고, 발뒷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받침대(50)는 발뒷꿈치 부분으로부터 앞발바닥 방향으로 받침대(50)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의 하부판(20)과 상부판(40)의 소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상기 상부판은 직물원단층(41), 연질발포체층(42) 및 경질발포체층(43)의 순으로 적층된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직물원단층(4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연질발포체층(42)의 소재는 합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질발포체층(43)의 소재는 인솔의 소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소재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솔의 하부판(20)은 연질발포체의 소재가 합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발포시킬 경우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에 비해 반발탄성력과 신축성이 대단히 우수하여 보행시에 신체의 하중에 의해 발바닥이 지면으로부터 받은 외부의 충격을 일차적으로 하부판에 흡수되어 완화된 충격이 상부판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에 전달되면서 충격이 완화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합성고무 소재는 네오프렌고무(NR),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부타디엔고무(BR), 클로로프렌고무(CR) 또는 폴리우레탄고무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충격완화용 인솔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충격흡수 및 완화용 인솔의 부분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충격흡수 및 완화용 인솔의 부분품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상부판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하부판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의 상부판과 하부판이 결합된 상태의 외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 하부판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 하부판의 B-B'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 인솔 하부판의 C-C'선을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층격완충용 돌기 20 : 하부판
30 : 수용홈 40 : 상부판
41 : 직물원단층 42 : 연질발포체층
43 : 경질발포체층 44, 45 : 통기공
50 : 받침대

Claims (11)

  1. 충격저감용 인솔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층격완충용 돌기들이 형성되어진 연질발포체 소재의 하부판과,
    상기 충격저감용 돌기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충격저감용 돌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진 경질발포체 소재의 상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은 각 판의 테두리 면이 접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앞발바닥의 중심부와, 중간발바닥 및 발뒷꿈치가 접하는 부분의 하부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직물원단층, 연질발포체층 및 경질발포체층의 순으로 적층되 고, 상기 직물 원단층은 직경이 작은 통기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경질 발포체층은 직물 원단에 형성된 통기공들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통기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충격저감용 돌기의 주변에 상부판을 바쳐주기 위한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앞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앞발바닥이 접하는 중심부에서 양 발이 내측으로 접하는 방향의 우측부분을 고점으로 하여 양 방향으로 충격저감용 돌기들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중간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에서 타측의 외부방향으로 돌기들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뒷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킨 충격저감용 돌기들은 중앙부에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를 중심으로 주변에 네개의 충격저감용 돌기들이 균형되게 배치되고, 발뒷꿈치의 바닥면을 안정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부판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세개의 돌기는 돌기의 상부 면들이 발뒷꿈치의 형상에 따라 중앙부에 형성된 충격저감용 돌기를 향해 완만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받침대는 중간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에서 타측의 외부방향으로 받침대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뒷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받침대는 발뒷꿈치 부분으 로부터 앞발바닥 방향으로 받침대의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연질발포체의 소재가 합성고무이고, 경질발포체의 소재가 경질발포체의 소재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연질발포체의 소재가 합성고무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1020090112038A 2009-11-19 2009-11-19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10110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038A KR101105829B1 (ko) 2009-11-19 2009-11-19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038A KR101105829B1 (ko) 2009-11-19 2009-11-19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141A true KR20110055141A (ko) 2011-05-25
KR101105829B1 KR101105829B1 (ko) 2012-01-17

Family

ID=4436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038A KR101105829B1 (ko) 2009-11-19 2009-11-19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753A (zh) * 2017-11-30 2018-05-01 陕西科技大学 蘑菇型压力分散逐级减震鞋底
WO2020213872A1 (ko) * 2019-04-19 2020-10-22 이응열 칠보석이 부착된 인솔과 발교정 아웃솔이 포함되는 신발
KR102197025B1 (ko) * 2019-09-24 2020-12-30 최영숙 다 기능성 구두 깔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73Y1 (ko) * 1990-05-22 1992-06-15 김상도 환기와 완충 및 패션을 겸비한 신발창
JPH09262104A (ja) * 1996-03-29 1997-10-07 Yamato Kk 中敷の取り替え自在な健康増進履物
KR19980076776A (ko) * 1997-04-08 1998-11-16 임성조 2중의 공간부를 갖는 신발용 쿠션튜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753A (zh) * 2017-11-30 2018-05-01 陕西科技大学 蘑菇型压力分散逐级减震鞋底
WO2020213872A1 (ko) * 2019-04-19 2020-10-22 이응열 칠보석이 부착된 인솔과 발교정 아웃솔이 포함되는 신발
KR102197025B1 (ko) * 2019-09-24 2020-12-30 최영숙 다 기능성 구두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829B1 (ko) 201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642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US10201211B2 (en) Insole with inferiorly extending projections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BRPI0710787A2 (pt) artigo de calçado com conjunto de suporte tendo placa e indentações nela formadas
US20100242305A1 (en) Therapeutic cushioned sole
WO2010037258A1 (zh) 一种带减震鞋垫的鞋底
KR101651922B1 (ko)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KR20090012624A (ko) 탄성부재가 구비된 신발
JP2019500088A (ja) 主としてシューズ用のミッドソール又はインソール
KR101105829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KR101450432B1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4410B1 (ko) 충격흡수 및 완화용 인솔
KR200452734Y1 (ko) 신발중창의 복합완충 구조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1149489B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KR100972043B1 (ko) 미끄럼 방지 겸용 충격 흡수식 신발깔창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20220002004U (ko) 지압 슬리퍼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20150056946A (ko)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KR101451377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