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946A -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 Google Patents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946A
KR20150056946A KR1020130139628A KR20130139628A KR20150056946A KR 20150056946 A KR20150056946 A KR 20150056946A KR 1020130139628 A KR1020130139628 A KR 1020130139628A KR 20130139628 A KR20130139628 A KR 20130139628A KR 20150056946 A KR20150056946 A KR 20150056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layer
cushion
layer
elastic body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지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102013013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946A/ko
Publication of KR2015005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6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에 관한 것으로, 제1 지지층(100); 복수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가 상기 제1 지지층(100) 상의 전면에 이격하여 배열된 제1 쿠션층(200); 복수의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가 상기 제1 쿠션층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와 머리를 맞대고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제2 쿠션층(400); 및 상기 제2 쿠션층(4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들 간의 이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510)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층(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SHOES MID-SOLE HAVING DOUBLE CUSHION}
본 발명은 신발 밑창의 쿠션재가 되는 신발 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인체의 발 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발등과 발목 부위을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甲皮)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신발창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신발창은 통상 신발용 깔창이 되는 안창과 보행시 인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나 발포 수지 또는 스폰지 재질 등으로 제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보행시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논슬립 패드가 되는 바닥창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신발창을 이루는 중창은 보행시 인체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킴은 물론 착용자의 보행 경로를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최근에 들어서는 여러한 중창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에어백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체를 중창에 삽입시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에어백, 에어쿠션의 탄성 복원체를 중창에 삽입시켜 신발 제품을 제조할 경우 신발 제품의 제조 원가가 크게 상승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게 됨은 물론이고 에어백, 에어쿠션의 공기 빠짐, 파열, 두께 조절의 실패로 인한 탄성 없음 등이 문제가 발생하였다(실용신안등록 제20-0365762호에 개시). 또한, 탄성복원체로 스프링을 적용시킨 경우에는 신발 제품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되어 착용자의 보행성 측면에 오히려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등록실용신안 제20-0400116호에 개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 쿠션이나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고, 내구성이 확보되면서, 쿠션 기능이 향상된 신발 중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 지지층; 복수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가 상기 제1 지지층 상의 전면에 이격하여 배열된 제1 쿠션층; 복수의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가 상기 제1 쿠션층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와 머리를 맞대고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제2 쿠션층; 및 상기 제2 쿠션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쿠션층의 탄성체들 간의 이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층을 포함하는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은, 상기 제1 쿠션층과 상기 제2 쿠션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지지층에 형성된 통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에 따르면, 정상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가 배열되어 있는 제1 쿠션층과 역상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가 배열되어 있는 제2쿠션층에 의해, 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2번에 걸쳐 감소시킴으로써 완충효과를 높이며, 또한, 제1 쿠션층의 탄성체와 제2 쿠션층의 탄성체가 서로 머리를 맞대는 구조(종 형상의 탄성체가 정상, 역상 형태로 적층된 모습)를 갖음으로써 발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탄성체의 면적(발이 닿는 탄성체의 면적, 제2 쿠션층 탄성체의 윗부분)을 최대화하여 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고, 또한, 탄성체가 땅에 닿는 부분(제1 쿠션층의 탄성체의 아랫부분)의 면적도 최대화하여 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 보다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지속적인 압력에 의한 쿠션층의 변형이나 파열 가능성도 낮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에 따르면, 제1 쿠션층 및 제2 쿠션층의 탄성체들 간의 이격부 및 제1 및 제2 지지층의 통기공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깔창의 환기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탄성체들간의 이격부의 공기층의 압력 변화로 인한 완충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을 이루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면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을 이루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은 제1 지지층(100), 제1 쿠션층(200), 제 2 쿠션층(400) 및 제 2 지지층(500)을 포함하며, 내구성 및 쿠션 기능 향상을 위해 제1 쿠션층(200)과 제2 쿠션층(400)의 사이에 개재된 중간막(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제1 지지층(100)은 상기 제1 지지층(100) 상에 적층되는 다른 구성(특히, 제1 쿠션층)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다른 구성을 지지해주면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지지층(100)은 1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1 지지층(100)의 두께가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신발 중창의 쿠션 기능이 현저히 저해되며, 상기 제1 지지층(100)의 두께는 20mm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층(100)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mm이다.
한편, 상기 제1 지지층(100)은 탄성 소재의 수지로 형성됨이 신발 중창의 완충 효과 확보를 위해 바람직하며, 탄성 소재 수지 중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라텍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쿠션층(200) 및 제2 쿠션층(400)은 신발 중창에 가해지는 발의 압력 및 신발이 땅에 닿았을 때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쿠션층(200)은 복수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가 상기 제1 지지층(100) 상의 전면에 이격하여 배열되며, 제2 쿠션층(400)은 복수의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가 상기 제1 쿠션층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와 머리를 맞대고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종래의 신발 중창의 쿠션재로 이용되던 에어 쿠션은 반구 형상의 구조를 갖는데, 반구 형상은 발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면적이 좁아 압력이 분산되는 정도가 적어 충격이 완화되는 정도가 적었으며, 또한 압력이 좁은 면적에 가해지게 되므로 사용에 따른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쿠션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쿠션층(200, 400)에서 이용하는 탄성체(210,410)는 종 형상을 가지므로, 발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면적을 넓혀 압력을 분산시키므로 탄성체의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을 낮춰 내구성을 증진시킨 장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신발 중창의 쿠션층(200,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와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가 머리를 맞대는 구조를 갖는데, 이 경우 발의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인 역상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의 상면은 탄성체 중 가장 면적이 넓은 부분이므로 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최대한 분산시키며, 또한, 신발이 땅에 닿을 때 충격이 가장 먼저 전해지는 정상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의 하면도 가장 면적이 넓은 부분이므로 충격을 최대한 분산시켜 완충 효과를 최대화하며, 또한 탄성체 발의 압력, 땅의 충격이 전해지는 부분의 면적이 넓어 압력을 분산시키므로 지속적인 압력에 의해 탄성체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와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가 머리를 맞대는 구조를 갖는 경우 1차적으로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가 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최대한 분산시키면서 탄성체의 압축과 복원에 의해 압력을 감소시키고, 2차적으로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에 의해 압력이 감소되므로 이중 쿠션에 의해 완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보면, 상기 제1 쿠션층(200) 및 상기 제2 쿠션층은 탄성체(210, 410)가 이격하여 배열됨으로써 압축에 의한 탄성체의 형상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발의 착지와 도약 시 탄성체간의 이격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형상 변화에 의해 신발 내부에 있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발 내부에 있는 공기가 순환되면 발에서 나는 냄새나 습기가 발과 신발 사이의 틈이 있는 발목 쪽 공간으로 빠져나가 발과 관련된 질병들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 탄성체(210,410)는 3mm 내지 10mm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것이 쿠션 기능을 고려해보았을 때 가장 바람직하다. 탄성체(210)간 이격 간격이 3mm 미만인 경우 탄성체들 사이의 빈 공간이 너무 좁아 압력에 의한 탄성체 압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쿠션 기능이 저하되며, 10mm 초과한 경우 배열되는 탄성체의 수가 너무 적어져 쿠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쿠션층(200)의 탄성체(210),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는 하면이 1 내지 5cm의 반경을 가지는 원이고, 상면은 0.5 내지 3cm의 반경을 가지는 원인 종 형상인 것이 쿠션 기능 최대화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쿠션층(200)의 탄성체(210),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라텍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탄성력 확보 및 내구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지지층(500)은 상기 제2 쿠션층(400) 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2 지지층(500)에서 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일부 흡수하여 상기 제2 쿠션층(40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지지층(500)은 탄성 소재의 수지로 형성되며, 탄성 소재 수지 중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라텍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탄성력 확보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지지층(500)은 상기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들 간의 이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510)이 형성된다. 이는 발의 착지와 도약 시 탄성체간의 이격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탄성체의 형상 변화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발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통기공(510)은 1.5mm 내지 10mm의 반경을 갖는 것이 상기 탄성체 간의 이격부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 간의 이격부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압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발의 착지, 도약 시 탄성체가 압축, 복원에 의해 탄성체가 변형되는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어 완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기공(510)의 반경이 1.5mm 미만이면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기 어렵고, 10mm의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 구멍이 너무 커서 상기 탄성체 간의 이격부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가 너무 빠르게 빠져나가 발의 착지, 도약 시 탄성체가 압축, 복원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져 완충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층(500)은 내구성 확보 및 쿠션 기능의 최대화를 위해 2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3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mm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은 내구성 및 쿠션 기능 향상을 위해 중간막(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막(300)은 상기 제1 쿠션층(200)과 상기 제2 쿠션층(400)에 개재되며, 이는 상기 제1 쿠션층(200) 및 상기 제2 쿠션층(400)의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여 쿠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의 하면(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을 보다 넓은 면적의 상기 중간막(300)에 접하게 하고, 상기 제1 쿠션층(200)의 탄성체(210)의 상면을 보다 넓은 면적의 상기 중간막(300)에 접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한 후 제1 쿠션층(200)의 탄성체(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압력에 의한 탄성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막(300)은 상기 제2 지지층(500)에 형성된 통기공(5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310)이 형성된다. 이는 발의 착지와 도약 시 탄성체간의 이격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공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탄성체의 형상 변화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발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통기공(310)은 1.5mm 내지 10mm의 반경을 갖는 것이 상기 탄성체 간의 이격부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 간의 이격부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압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발의 착지, 도약 시 탄성체가 압축, 복원에 의해 탄성체가 변형되는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어 완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기공(310)의 반경이 1.5mm 미만이면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기 어렵고, 10mm의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 구멍이 너무 커서 상기 탄성체 간의 이격부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가 너무 빠르게 빠져나가 발의 착지, 도약 시 탄성체가 압축, 복원되는 속도가 너무 빨라져 완충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막(300)은 1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내구성 확보 및 쿠션 기능 확보를 위해 바람직하며, 1mm 내지 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mm 두께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에 따르면, 쿠션층의 변형이나 파열 가능성도 낮춰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쿠션층을 이루는 탄성체들의 구조에 의해 쿠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깔창의 환기효과를 높일 수 있다.
100 제1 지지층
200 제1 쿠션층
210 제1 쿠션층의 탄성체
300 중간막
310 중간막의 통기공
400 제2 쿠션층
410 제2 쿠션층의 탄성체
500 제2 지지층
510 제2 지지층의 통기공

Claims (12)

  1. 제1 지지층(100);
    복수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가 상기 제1 지지층(100) 상의 전면에 이격하여 배열된 제1 쿠션층(200);
    복수의 역상(逆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410)가 상기 제1 쿠션층의 정상(正像) 형태의 종 형상의 탄성체(210)와 머리를 맞대고 배치되도록 배열되는 제2 쿠션층(400); 및
    상기 제2 쿠션층(4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쿠션층(400)의 탄성체(410)들 간의 이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510)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지지층(500)을 포함하는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200)과 상기 제2 쿠션층(40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2 지지층(500)에 형성된 통기공(5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기공(310)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막(300)을 포함하는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층(100)은 1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의 탄성체(210)는 3mm 내지 10mm 간격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층의 탄성체(410)는 3mm 내지 10mm 간격으로 이차원적으로 배열되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층(500)은 2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300)은 1mm 내지 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층의 통기공(510)은 1.5mm 내지 5mm의 반경을 갖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의 통기공(310)은 1.5mm 내지 5mm의 반경을 갖는 것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의 탄성체(210)는 하면이 1 내지 5cm의 반경을 가지는 원이고, 상면은 0.5 내지 3cm의 반경을 가지는 원인 종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층의 탄성체(410)는 하면이 1 내지 5cm의 반경을 가지는 원이고, 상면은 0.5 내지 3cm의 반경을 가지는 원인 종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을 포함하는 신발.
KR1020130139628A 2013-11-18 2013-11-18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KR20150056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28A KR20150056946A (ko) 2013-11-18 2013-11-18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28A KR20150056946A (ko) 2013-11-18 2013-11-18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46A true KR20150056946A (ko) 2015-05-28

Family

ID=5339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28A KR20150056946A (ko) 2013-11-18 2013-11-18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9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6141A (zh) * 2016-08-29 2018-03-09 天津天纺投资控股有限公司 一种自然抗皱仪纶面料
EP3632252A4 (en) * 2017-05-22 2021-01-13 Ho Dong Sung SHO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6141A (zh) * 2016-08-29 2018-03-09 天津天纺投资控股有限公司 一种自然抗皱仪纶面料
EP3632252A4 (en) * 2017-05-22 2021-01-13 Ho Dong Sung SHOE
US11464280B2 (en) 2017-05-22 2022-10-11 Ho Dong Sung Sho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163B2 (en) Shock-absorbing elastic sheet for shoes, cushion pad formed from the elastic sheet, and shoe having such cushion pad
JP5711967B2 (ja) 履物用のインナーソールサポートシステム
US11589645B2 (en) Variable reflex footwear technology
US20110126422A1 (en) Shoe sole with compressible protruding element
KR101067892B1 (ko) 이종 경도에 의한 다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US8914996B2 (en) Antistatic insole
US20040025375A1 (en) Heel construction for footwear
US20160353840A1 (en) Insole and shoe comprising a removable insole
KR101450432B1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US20110314692A1 (en) Open-toe footwear base member system
KR101685112B1 (ko) 하이힐용 안창
KR20150056946A (ko) 이중 쿠션 기능을 가진 신발 중창
JP2014033966A (ja) 衝撃吸収機能及び通気性を有する靴
US20070101611A1 (en) Shoe Sole
CN105901833B (zh) 透气舒适的泡泡缓震鞋底
CN211129903U (zh) 一种缓震舒适鞋底
KR20110055141A (ko) 이중구조를 갖는 충격저감용 인솔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CN208192345U (zh) 具有多重缓震效果的鞋底结构
KR20110007867U (ko) 신발 내부의 땀 및 열 배출이 원활한 안창
KR101760432B1 (ko) 기능성 신발 하부 구조체
KR101241422B1 (ko) 다중 경도에 의한 구름보행 기능을 갖는 신발 중창 및 그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200412015Y1 (ko) 기능성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