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087A -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 Google Patents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087A
KR20110055087A KR1020090111959A KR20090111959A KR20110055087A KR 20110055087 A KR20110055087 A KR 20110055087A KR 1020090111959 A KR1020090111959 A KR 1020090111959A KR 20090111959 A KR20090111959 A KR 20090111959A KR 20110055087 A KR20110055087 A KR 2011005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riving
drive
endoscope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562B1 (ko
Inventor
김경섭
우장명
최상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562B1/ko
Priority to EP10250065.9A priority patent/EP2325685B1/en
Priority to US12/696,953 priority patent/US8419615B2/en
Priority to JP2010018528A priority patent/JP4929361B2/ja
Publication of KR2011005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84Arrangements in relation to a camera or imaging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92Arrangements for use in a hostile environment, e.g. a very hot, cold or radioactiv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 촬영수단(10)과,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20)으로 구성된 내시경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동홀(100)과; 상기 구동홀(100) 각각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삽입수단(20)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0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구동홀(100)을 이용하여 간헐기어 및 스프라켓 등의 치형을 갖는 구동장치로 내시경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협소한 공간 내로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연성회로 박막의 채용으로 굴곡 반경이 작아 로봇과 같은 좁은 공간에 장착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 취급하기 편리하므로 관이 좁은 전열관이나 전열관 사이의 틈새를 검사하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촬상소자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처리 및 전송하는 회로수단이나 전송수단이 연성회로 박막상에 형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으로 탁월한 경제성이 있고, 고장이나 오동작의 우려가 없어 내시경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구동홀, 촬상소자, 연성회로, 내시경장치, 구동수단.

Description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Arc-shaped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type endoscope using imaging device with driving holes}
본 발명은 산업용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상소자로서 CCD 또는 CMOS 센서를 내장한 헤드 하우징에 필름상의 연성회로 박막을 연결한 내시경장치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구동홀을 이용하여 간헐기어 및 스프라켓 등의 치형을 갖는 구동장치로 내시경장치를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는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 있는 증기발생기의 2차측 관판 상부에는 매우 협소한 절열관 틈새를 갖는 다수의 전열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열관 틈새 사이에는 슬러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전열관의 손상 등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나 이물질에 의한 전열관의 손상 등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인 육안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육안검사에는 소형로봇 등에 장착되는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는 내시경 검사가 활용되고 있다.
내시경 검사란 인체나 물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내부에 삽입관을 삽입하여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식으로서 비파괴 검사의 한 방법이다.
이러한 내시경은 검사할 대상에 따라 의료용과 산업용으로 나누어지며 이 중 산업용 내시경은 삽입부 크기가 작고 가늘어 제작이 어렵다.
따라서 국내에서 산업용으로 연구개발되거나 상품화되어 있는 것은 없으며 대부분의 장비는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산업용 내시경은 육안으로 검사하기 위한 입출력장비, 광원, 삽입관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검사장비는 검사원이 작업하기에는 크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촬영한 영상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화학적인 처리방법을 통하여 사진으로 인화하여 보관하여야 하고, 현장에 설치된 영상장비를 통하여 검사결과를 판독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따르며, 네트웍을 통한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부터 전열관의 육안검사에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내시경장치로는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내시경 카메라 및 CCD 센서 포함)와 케이블이 내장된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내시경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내시경장치는 체인 또는 벨트의 두께가 두꺼워 원형으로 말아서 사용할 경우에 큰 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로봇과 같은 좁은 공간에 장착하여 관이 좁은 전열관의 내부를 검사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벨트형 또는 원형 케이블형의 내시경 카메라의 경우에는 충분히 얇은 구조로 할 경우 지나친 연성으로 인해 직진성과 같은 강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시경 카메라와 케이블 및 조명기구 등이 일체형으로 체인 또는 벨트형의 이송수단에 내장되어 있어 굴곡반경(Bending Radius)이 크기 때문에 로봇과 같은 좁은 공간에 장착하여 취급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협소한 공간을 촬영하는 기술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319401호의 "원격 점검작업장치"가 공개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원격 점검작업장치"는 비디오 카메라의 촬상소자로서 CMOS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고 조명용 백색 LED가 내장된 점검 헤드를 유연한 금속 나선관을 개입시키며 통전 상태에 접속된 비디오 카메라용 및 백색 LED용의 전원을 조작하여 협소한 공간을 촬영하는 점검작업장치이다.
따라서 촬영부가 CMOS센서 및 조명부로 구성되어 협소한 공간을 촬영하여 점검할 수 있지만,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처리 및 전송하는 회로수단이나 전송수단을 금속 나선관 자체에 형성할 수 없으므로 금속 나선관과 별도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처리 및 전송하는 회로수단이나 전송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산업용 내시경장치에서 야기되는 각종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08년 8월 14일자로 대한민국에 특허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8-79894호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 형 내시경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08-79894호의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1a)를 구비하는 촬상소자(11)와 조명수단(12)이 장착되는 헤드 하우징(13)으로 이루어져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수단(10)과; 형상 연성박판(21)과, 절연 접착필름(22)과, 회로필름(23) 및 절연 보호필름(24)이 적층되어 피검사물의 공간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일측 단부에 상기 촬영수단(10)이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콘넥터(25)를 통해 전송 케이블(26)과 연결되는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20) 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명수단(12)은 LED 램프로서, LED 램프(12a)가 지지대(12b)에 장착된 채로 상기 헤드 하우징(13)의 램프 삽입홈(13a)에 삽입되도록 지지대(12b)가 상기 헤드 하우징(13)의 지지대홈(13b)에 삽입되어 지지대(12b) 이면의 LED 단자 접점이 지지대홈(13b) 후방 측면의 단자 접점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헤드 하우징(13)은 전방 선단 상하부에 다수의 램프 삽입홈(13a)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삽입홈(13a)에 연통되어 다수의 지지대홈(13b)이 형성되며, 전방 선단 중앙부에 창(13c)이 형성되고, 상기 창(13c)에 연통되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촬상소자 삽입홈(13d)이 형성되며, 촬상소자 삽입홈(13d) 후방 측면에 촬상소자의 단자 접점이 형성되고, 헤드 하우징(13)의 후단부는 접속면(13e)이 형성되어 접속면(13e)의 단부에 핀홈(13f)이 형성되어 고정대(14)와 고정핀(15)에 의해 촬영수단(10)과 삽입수단(20)이 연결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특허출원 제10-2008-79894호의 내시경장치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어 회전하는 롤러(30) 들의 마찰력에 의해 롤러(30) 사이로 내시경장치의 삽입수단(20)이 진행하도록 구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박판상의 삽입수단(20)과 롤러(30)의 접촉면에서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내시경장치를 정밀하게 구동 제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장치의 삽입수단을 이루는 연성회로 박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구동홀을 이용하여 간헐기어 및 스프라켓 등의 치형을 갖는 구동장치로 내시경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내시경장치의 협소한 공간 내로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상소자로서 CCD 또는 CMOS 센서를 내장한 헤드 하우징에 필름상의 연성회로 박막을 연결한 구성으로 굴곡반경이 작아 로봇과 같은 좁은 공간에 장착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 취급하기 편리하므로 관이 좁은 전열관이나 전열관 사이의 틈새를 검사하기에 용이한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상의 연성회로 박막의 사용으로 촬상소자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처리 및 전송하는 회로수단이나 전송수단이 연성회로 박막상에 형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 으로 탁월한 경제성이 있고, 고장이나 오동작의 우려가 없어 내시경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는 촬상소자와 조명수단이 장착되는 헤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수단과, 형상 연성박판, 절연 접착필름, 회로필름 및 절연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피검사물의 공간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일측 단부에 상기 촬영수단이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콘넥터를 통해 전송 케이블과 연결되는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으로 구성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동홀과; 상기 구동홀 각각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삽입수단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시경장치의 삽입수단을 이루는 연성회로 박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구동홀을 이용하여 간헐기어 및 스프라켓 등의 치형을 갖는 구동장치로 내시경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내시경장치의 협소한 공간 내로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촬상소자로서 CCD 또는 CMOS 센서를 내장한 헤드 하우징에 필름상의 연성회로 박막을 연결한 구성으로 굴곡반경이 작아 로봇과 같은 좁은 공간에 장착하여 협소한 공간 내에서 취급하기 편리하므로 관이 좁은 전열관 이나 전열관 사이의 틈새를 검사하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필름상의 연성회로 박막의 사용으로 촬상소자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처리 및 전송하는 회로수단이나 전송수단이 연성회로 박막상에 형성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의 절감으로 탁월한 경제성이 있고, 고장이나 오동작의 우려가 없어 내시경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긴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는 촬상소자와 조명수단이 장착되는 헤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수단(10)과, 형상 연성박판, 절연 접착필름, 회로필름 및 절연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피검사물의 공간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일측 단부에 상기 촬영수단이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콘넥터를 통해 전송 케이블과 연결되는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20) 으로 구성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동홀(100)과; 상기 구동홀(100) 각각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삽입수단(20)을 이동시키는 구동수 단(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홀(100)은 상기 삽입수단(20)의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구동홀(100)과 삽입수단(2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회로필름인 인쇄회로 박막(101)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 박막(101)의 이면에 형상 연성박판(102)이, 전면에는 절연 보호필름(103)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홀(100)은 상기 삽입수단(20)의 중앙과 삽입수단(2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구동홀(100)이 없는 부분에 인쇄회로 박막(101)을 형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00)은 외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원통상 돌기(201a)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롤러(201)와, 상기 삽입수단(20)을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201)에 밀착 설치되는 종동롤러(202)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내시경장치를 사용하여 절열관과 같은 협소한 내부 틈새를 관찰하고자하면, 내시경장치의 헤드부인 이미지 촬영수단(10)를 피측정 부위에 정확하게 밀어 넣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에 의해 정밀한 회전량으로 구동롤러(201)를 정회전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구동롤러(201)에 밀착되어 있는 종동롤러(202)도 구동롤러(201)와 함께 회전하면서 삽입수단(20)은 구동롤러(201)와 종동롤러(202) 사이에서 구동 홀(100) 각각에 구동롤러(201)의 원통상 돌기(201a)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므로 구동롤러(201)의 정회전에 의해 본 발명 내시경장치의 촬영수단(10)은 피측정물 내부로 정밀하게 전진하여 필요한 량 만큼 삽입되고, 구동롤러(201)의 역회전에 의해 본 발명 내시경장치의 촬영수단(10)은 피측정물 내에서 정밀하게 후퇴하여 퇴출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내시경장치에 따른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의 구성도,
도 4는 종래 내시경장치의 구동수단으로 구동되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본 발명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의 구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미지 촬영수단 11 : 촬상소자
12 : 조명수단 12a : LED 램프
12b : 지지대 13 : 헤드 하우징
13a : 램프 삽입홈 13b : 지지대홈
13c : 창 13d : 촬상소자 삽입홈
13e : 접속면 13f : 핀홈
14 : 고정대 15 : 고정핀
20 :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 21 : 형상 연성박판
22 : 절연 접착필름 23 : 회로필름
24 : 절연 보호필름 25 : 콘넥터
26 : 연결 케이블 100 : 구동홀
101 : 인쇄회로 박막 102 : 형상 연성박판
103 : 절연 보호필름 200 : 구동수단
201 : 구동롤러 201a : 원통상 돌기
202 : 종동롤러

Claims (4)

  1. 촬상소자와 조명수단이 장착되는 헤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촬영수단(10)과, 형상 연성박판, 절연 접착필름, 회로필름 및 절연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피검사물의 공간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일측 단부에 상기 촬영수단이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콘넥터를 통해 전송 케이블과 연결되는 피검사물 내 삽입수단(20) 으로 구성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동홀(100)과; 상기 구동홀(100) 각각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면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삽입수단(20)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홀(100)은 상기 삽입수단(20)의 중앙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구동홀(100)과 삽입수단(2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회로필름인 인쇄회로 박막(101)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 박막(101)의 이면에 형상 연성박판(102)이, 전면에는 절연 보호필름(103)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홀(100)은 상기 삽입수단(20)의 중앙과 삽입수 단(2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구동홀(100)이 없는 부분에 인쇄회로 박막(1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0)은 외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원통상 돌기(201a)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롤러(201)와, 상기 삽입수단(20)을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201)에 밀착 설치되는 종동롤러(20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KR1020090111959A 2009-11-19 2009-11-19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KR10107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59A KR101077562B1 (ko) 2009-11-19 2009-11-19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EP10250065.9A EP2325685B1 (en) 2009-11-19 2010-01-15 Arc-shaped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type endoscope using imaging device with driving holes
US12/696,953 US8419615B2 (en) 2009-11-19 2010-01-29 Arc-shaped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type endoscope using imaging device with driving holes
JP2010018528A JP4929361B2 (ja) 2009-11-19 2010-01-29 駆動孔を有する撮像素子を用いた弧状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薄膜型内視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59A KR101077562B1 (ko) 2009-11-19 2009-11-19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87A true KR20110055087A (ko) 2011-05-25
KR101077562B1 KR101077562B1 (ko) 2011-10-28

Family

ID=4222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959A KR101077562B1 (ko) 2009-11-19 2009-11-19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9615B2 (ko)
EP (1) EP2325685B1 (ko)
JP (1) JP4929361B2 (ko)
KR (1) KR1010775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75B1 (ko) * 2017-12-11 2018-05-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유닛
CN111913297A (zh) * 2019-05-07 2020-11-10 韩电Kps株式会社 柔性电路板和包括柔性电路板的内窥镜式检查装置
KR102205484B1 (ko) * 2020-08-11 2021-01-2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기어구동형 내시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2644B2 (ja) * 2009-07-30 2013-12-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US8485967B2 (en) * 2010-03-31 2013-07-16 Fujifilm Corporation Endoscopic imaging device and endoscope apparatus having a configuration to prevent condensation
KR20120073887A (ko) * 2010-12-27 201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US20130162789A1 (en) * 2011-12-22 2013-06-27 Himax Imaging Limited Endoscope with a light source
US20130162767A1 (en) * 2011-12-22 2013-06-27 Himax Imaging Limited Endoscope an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thereof
CN108098791B (zh) * 2017-12-28 2024-03-26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CN108106997A (zh) * 2017-12-28 2018-06-01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悬伸检测设备及其悬伸搭载装置
KR102013073B1 (ko) * 2018-10-15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이송장치, 내시경유닛 및 원격 검사장치
CN111580573B (zh) * 2020-05-28 2021-05-07 北京中农绿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设施农业温室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6079A (en) * 1983-10-07 1986-04-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Fiberscope delivery system
JPH067817B2 (ja) * 1986-02-27 1994-02-02 株式会社町田製作所 固体撮像素子を内蔵した内視鏡
US5341406A (en) * 1987-03-18 1994-08-23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Sliding lance guide flexible lance system
KR0167989B1 (ko) 1989-02-24 1999-02-01 에릭 뮐러 안전 벨트용 관성 릴 어셈블리
JPH07327923A (ja) * 1994-06-02 1995-12-19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システム
US6142930A (en) * 1997-01-13 2000-11-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ndoscope having compact construction
CN1217637A (zh) * 1997-02-13 1999-05-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窥镜、其制造方法及插入部件
US6595913B2 (en) * 2000-09-07 2003-07-22 Fuji Photo Optical Co., Ltd. Cable structure in electronic endoscope
US6877389B2 (en) * 2002-01-14 2005-04-12 R. Brooks Associates, Inc. Device for remote inspection of steam generator tubes
JP3668480B2 (ja) * 2003-03-06 2005-07-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KR200339210Y1 (ko) * 2003-10-13 2004-01-24 지문수 벨트 타입의 회전하는 나사 공급타래
US7300397B2 (en) * 2004-07-29 2007-11-27 C2C Cure, Inc. Endoscope electronics assembly
JP2006319401A (ja) * 2005-05-10 2006-11-24 Tech Pipe Co Ltd 遠隔点検作業装置
JP2008135894A (ja) 2006-11-28 2008-06-12 Nippon Seiki Co Ltd 視覚センサ装置
KR100960262B1 (ko) * 2008-08-14 2010-06-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75B1 (ko) * 2017-12-11 2018-05-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유닛
CN111913297A (zh) * 2019-05-07 2020-11-10 韩电Kps株式会社 柔性电路板和包括柔性电路板的内窥镜式检查装置
CN111913297B (zh) * 2019-05-07 2022-07-26 韩电Kps株式会社 柔性电路板和包括柔性电路板的内窥镜式检查装置
KR102205484B1 (ko) * 2020-08-11 2021-01-2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기어구동형 내시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9615B2 (en) 2013-04-16
JP2011107670A (ja) 2011-06-02
KR101077562B1 (ko) 2011-10-28
EP2325685A1 (en) 2011-05-25
EP2325685B1 (en) 2014-09-17
US20110118548A1 (en) 2011-05-19
JP4929361B2 (ja)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562B1 (ko) 구동홀을 갖는 촬상소자를 이용한 형상 연성회로 박막형 내시경장치
JP4995804B2 (ja) 撮像素子を用いた弧状フレキシブル回路薄膜型内視鏡装置
JP5477853B2 (ja) ラインセンサーカメラを用いたx線検査装置
US9462933B2 (en) Image pickup unit for endoscope
JPWO2005046462A1 (ja) 内視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影方法
CN105828689B (zh) 摄像装置和内窥镜装置
KR101724987B1 (ko) 증기발생기 잔류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JP4802056B2 (ja) 管内検査カメラ装置
JP2008224746A (ja) クリーニングテープおよ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9201887A (ja) 内視鏡システム
JP5112108B2 (ja) カプセル型内視鏡カメラ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3816763B2 (ja) 管内検査装置及び管内検査方法
JPH11160629A (ja) 配管に挿入される内視鏡の挿入方法及び内視鏡装置
JPH03106331A (ja) 内視鏡用湾曲検出装置
JP2007307279A5 (ko)
JP2003164418A (ja) 内視鏡装置
JP4544942B2 (ja) 内視鏡システム
CN104216105B (zh) 内窥镜装置
JPS6088920A (ja) 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内視鏡
WO2021077240A1 (zh) 智能侦测脏器的内视镜主机及内视镜装置
JP5011135B2 (ja) 燃料体寸法検査方法および燃料体寸法検査装置
KR20110020653A (ko) 영상 전달장치
JP2003004652A (ja) 管内検査装置及び管内検査方法
JP2011072412A (ja) 内視鏡挿入部案内用ガイドチューブ、およびそのガイドチューブを用いた内視鏡検査方法
JP2017196178A (ja) 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