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724A -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724A
KR20110053724A KR1020090110380A KR20090110380A KR20110053724A KR 20110053724 A KR20110053724 A KR 20110053724A KR 1020090110380 A KR1020090110380 A KR 1020090110380A KR 20090110380 A KR20090110380 A KR 20090110380A KR 20110053724 A KR20110053724 A KR 2011005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user
display devic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262B1 (ko
Inventor
송세경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주) 퓨처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퓨처로봇 filed Critical (주) 퓨처로봇
Priority to KR102009011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262B1/ko
Priority to PCT/KR2010/008101 priority patent/WO2011059298A2/ko
Publication of KR2011005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와, 상기 본체의 수직방향으로 화면부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에 탑재된 화면부의 화면각을 조정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화면각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편의를 최대한 높이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뛰어난 홍보 효과를 갖게 되고, 디스플레이장치를 기기 본체의 전방에 탑재시켜 대화면 구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정보제공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며, 화면부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INTELLIGENT DISPLAY APPARUTUS}
본 발명은 지능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화면각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홍보 또는 매장/회사/공공장소의 안내 등을 위해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공공장소 등에 설치되는 금융 업무를 위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단말기나 발권, 구매, 등록을 대행하는 단말기,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검색용 단말기 등의 컴퓨터 자동화 시스템, 즉 키오스크도 같은 선상에 있다. 나아가 최첨단 서비스 로봇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니터가 고정된 장소와 정해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정보를 재생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는 모니터는 측면에서의 시야각이 좋지 않기 때문에 홍보의 대상이나 이용자가 직접 모니터 앞으로 다가와서 키를 낮추거나 몸을 구부리는 등의 동작을 통해 모니터와의 적정 시야각을 맞추지 않을 경우, 제공되는 정보의 내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갖는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모니터의 설치 각이 대부분 일반 성인의 키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어린이나 노인 등에 대해 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무인자동화기기나 이동형 로봇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모니터가 기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됨에 따라, 화면 크기가 작고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보를 전달하는데 많은 제약을 갖게 되어 홍보 및 이용에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용자의 접근성 좋지 않고, 특히나 이용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지 못함으로써,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화면각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기기 본체의 전방에 탑재시켜 대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편의를 돕도록 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수직방향으로 화면부(1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30)와, 상기 제1구동부(130)에 탑재된 화면부(120)의 화면각을 조정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40)와, 상기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16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주행이 가능한 대차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시인 각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시켜 화면부(120)의 높이 및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한다.
이때, 최적 시인각은 사용자의 시선과 화면부(120)가 직각 상태를 이루는 각도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60)는 카메라 또는 IR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본체(210)와, 상기 로봇본체(210)의 전면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220)와, 상기 화면부(220)를 로봇본체(210) 전면에 거치시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거나 화면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팔구동부(230)와, 상기 팔구동부(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250), 및 상기 제어부(2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본체(210)는 주행이 가능한 대차부(27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구동부(230)는 인체와 유사한 관절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관절운동을 통해 화면부(220)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거나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센서부(260)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시인 각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팔구동부(230)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적 시인각은 사용자의 시선과 화면부(220)가 직각 상태를 이루는 각도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260)는 카메라 또는 IR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화면각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편의를 최대한 높이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뛰어난 홍보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기기 본체의 전방에 탑재시켜 대화면 구현이 가능한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정보제공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가 기기 본체의 외부에 탑재되도록 함으로써, 화면부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 예>
도 1,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수직방향으로 화면부(1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30)와, 상기 제1구동부(130)에 탑재된 화면부(120)의 화면각을 조정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40)와, 상기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1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는 무인자동화기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10)에는 수직방향으로 화면부(1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경로가 제공되도록 하는데, 이때, 승강경로는 레일형태가 될 수 있고, 대략 일반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춰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체(110)는 특정장소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고, 본체(110) 하부에 대차부(170)를 형성시켜 주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부(170)는 자동주행모드가 가능한데, 이는 센서부(160)를 통해 주변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부(1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화면부(120)는 LED, LCD, PDP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이 이용될 수 있고, 본체(110)의 전방에 승, 하강 및 화면각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본체(110)의 제어부(150)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아 화상으로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130)와 제2구동부(140)는 화면부(120)를 본체(110)의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전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정교한 제어를 위해 서보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시인 각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시켜 화면부(120)의 높이 및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최적 시인각은 사용자의 시선과 화면부(120)가 직각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160)는 다수의 센서를 설치시켜 다각적인 감지시스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본체(110)에 탑재되도록 하거나 본체(110) 주변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센서부(160)의 설치 위치는 가급적 사용자의 얼굴부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체(110)의 상단 또는 천장이나 벽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60)는 카메라 또는 IR센서가 이용될 수 있는데, 사람의 얼굴의 이미지를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 2실시 예>
도 3,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는 로봇본체(210)와, 상기 로봇본체(210)의 전면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220)와, 상기 화면부(220)를 로봇본체(210) 전면에 거치시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거나 화면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팔구동부(230)와, 상기 팔구동부(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250), 및 상기 제어부(2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2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봇본체(2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로봇본체(210)는 인간의 형상을 닮은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봇본체(210)는 특정장소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고, 로봇본체(210) 하부에 대차부(270)를 형성시켜 주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부(270)는 자동주행모드가 가능한데, 이는 센서부(260)를 통해 주변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2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부(2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화면부(220)는 LED, LCD, PDP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이 이용될 수 있고, 로봇본체(210)의 전방에 승, 하강 및 화면각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로봇본체(210)의 제어부(250)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아 화상으로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팔구동부(230)는 화면부(120)를 본체(110)의 수직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팔구동부(230)는 인체와 유사한 관절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관절운동을 통해 화면부(220)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거나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절운동을 구현하는 엑츄에이터는 정교한 제어를 위해 서보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로봇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센서부(260)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시인 각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팔구동부(230)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최적 시인각은 사용자의 시선과 화면부(220)가 직각 상태를 이루는 각으로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260)가 로봇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260)의 형태는 사람의 얼굴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260)는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다각적인 감지시스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중 일부 센서는 로봇본체(210)의 외부(천정이나 벽 등)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센서부(260)는 카메라 또는 IR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화면각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편의를 최대한 높이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 에게 적극적인 정보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켜 뛰어난 홍보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기기 본체의 전방에 탑재시켜 대화면 구현이 가능한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정보제공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부가 기기 본체의 외부에 탑재되도록 함으로써, 화면부의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20: 화면부
130: 제1구동부 140: 제2구동부
150: 제어부 160: 센서부
170: 대차부 210: 로봇본체
220: 화면부 230: 팔구동부
250: 제어부 260: 센서부
270: 대차부

Claims (11)

  1.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수직방향으로 화면부(120)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130)와,
    상기 제1구동부(130)에 탑재된 화면부(120)의 화면각을 조정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140)와,
    상기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50), 및
    상기 제어부(1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주행이 가능한 대차부(1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센서부(160)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시인 각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제1구동부(130) 및 제2구동부(140)를 구동시켜 화면부(120)의 높이 및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시인각은 사용자의 시선과 화면부(120)가 직각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60)는 카메라 또는 IR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로봇본체(210)와,
    상기 로봇본체(210)의 전면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220)와,
    상기 화면부(220)를 로봇본체(210) 전면에 거치시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거나 화면각이 조절되도록 하는 팔구동부(230)와,
    상기 팔구동부(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250), 및
    상기 제어부(2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본체(210)는 주행이 가능한 대차부(2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팔구동부(230)는 인체와 유사한 관절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관절운동을 통해 화면부(220)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거나 화면각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50)는 센서부(260)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의 시인 각이 최적 상태가 되도록 팔구동부(230)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시인각은 사용자의 시선과 화면부(220)가 직각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60)는 카메라 또는 IR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90110380A 2009-11-16 2009-11-16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KR10124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380A KR101243262B1 (ko) 2009-11-16 2009-11-16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10/008101 WO2011059298A2 (ko) 2009-11-16 2010-11-16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380A KR101243262B1 (ko) 2009-11-16 2009-11-16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724A true KR20110053724A (ko) 2011-05-24
KR101243262B1 KR101243262B1 (ko) 2013-03-13

Family

ID=4399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380A KR101243262B1 (ko) 2009-11-16 2009-11-16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3262B1 (ko)
WO (1) WO2011059298A2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614B1 (ko) * 2011-10-04 2013-04-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425144B1 (ko) * 2013-04-17 2014-08-05 (주)고려디지웍스 태양 위치 추적을 이용한 난반사 방지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76730Y1 (ko) * 2011-12-29 2015-03-26 주식회사 오리온 전자테이블 기능을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KR20150064663A (ko) * 2013-12-03 2015-06-11 박연제 센서 값에 따라 표시부를 조정하는 전자장치
KR20170008469A (ko) * 2015-07-14 2017-01-24 이광현 건설 기계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80024671A (ko) * 2016-08-31 2018-03-08 김봉한 발광식 입간판
KR20190101928A (ko) * 2019-03-08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102147050B1 (ko) * 2020-06-03 2020-08-21 주식회사이씨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WO2020184739A1 (ko)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20210002753U (ko)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모토브 모빌리티 장착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5572B1 (en) 2011-12-20 2019-08-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formation of image data based on user position
CN103594046A (zh) * 2012-08-13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展示板调整系统、方法及具有该调整系统的广告板
CN106737702A (zh) * 2016-11-15 2017-05-31 上海木爷机器人技术有限公司 机器人和机器人控制方法
EP3563979B1 (en) 2016-12-23 2020-12-02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EP3563980B1 (en) 2016-12-23 2020-10-28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EP3338963B1 (en) 2016-12-23 2022-02-02 LG Electronics Inc. Guide robot
KR102348041B1 (ko) 2017-03-28 202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9648561A (zh) * 2018-12-30 2019-04-19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机器人交互方法
CN109531627A (zh) * 2018-12-30 2019-03-29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移动机器人
CN109571502A (zh) * 2018-12-30 2019-04-05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机器人配送方法
US11385851B2 (en) 2019-03-0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Robot
CN112782986A (zh) * 2019-11-08 2021-05-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显示屏的控制方法、家用电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21848B (zh) * 2020-01-10 2021-06-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传感器组件
CN114827707B (zh) * 2020-03-13 2024-03-2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开机动画显示方法
EP4173775A4 (en) * 2021-01-15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ROBOT DEVICE
CN114869113B (zh) * 2022-04-15 2023-07-07 广西钦州商贸学校 一种平面设计多角度展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736B2 (ja) * 1998-08-05 2004-11-04 富士通株式会社 ロボットの動作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20009703A (ko) * 2000-07-26 2002-02-02 이설민 로봇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614B1 (ko) * 2011-10-04 2013-04-0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금융기기
KR200476730Y1 (ko) * 2011-12-29 2015-03-26 주식회사 오리온 전자테이블 기능을 구비한 키오스크 장치
KR101425144B1 (ko) * 2013-04-17 2014-08-05 (주)고려디지웍스 태양 위치 추적을 이용한 난반사 방지 키오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4663A (ko) * 2013-12-03 2015-06-11 박연제 센서 값에 따라 표시부를 조정하는 전자장치
KR20170008469A (ko) * 2015-07-14 2017-01-24 이광현 건설 기계를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80024671A (ko) * 2016-08-31 2018-03-08 김봉한 발광식 입간판
KR20190101928A (ko) * 2019-03-08 2019-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WO2020184739A1 (ko)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WO2020184738A1 (ko) * 2019-03-08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US11383387B2 (en) 2019-03-0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Robot having a head unit and a display unit
US11413740B2 (en) 2019-03-08 2022-08-16 Lg Electronics Inc. Robot
KR20210002753U (ko) * 2020-06-02 2021-12-09 주식회사 모토브 모빌리티 장착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1061U (ko) * 2020-06-02 2022-05-11 주식회사 모토브 모빌리티 장착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7050B1 (ko) * 2020-06-03 2020-08-21 주식회사이씨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298A3 (ko) 2011-09-15
WO2011059298A2 (ko) 2011-05-19
KR101243262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262B1 (ko) 지능형 디스플레이장치
RU2737565C2 (ru) Пост управления краном, экскаватором и т.п.
JP4915417B2 (ja) ロボット
JP5122770B2 (ja) 映像認識の可能な移動体誘導システム
KR20120097978A (ko) 자동 높이조절이 가능한 로봇 키오스크
CN104055462A (zh) 机器人清洁器及其操作方法
CN208543477U (zh) 一种迎宾机器人
CN111730575A (zh) 一种用于物品配送的自动乘梯机器人及其工作方法
US11215832B2 (en) Electronic device
CN102419632A (zh) 可调节的视线跟踪人机交互装置
CN101954191A (zh) 一种智能娱乐移动机器人
JP6636260B2 (ja) 自律移動体の走行経路教示システムおよび走行経路教示方法
EP38483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abin operating panels in elevator cabs based on positions of passengers
KR20190094130A (ko) 사용자 인식 기반의 유모차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CN108682071A (zh) 一种可移动组群式售卖机
JP2010082714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ロボット
KR101496910B1 (ko) 로봇
CN101571619A (zh) 相机镜头调节装置及应用其的图像追踪系统
CN209063106U (zh) 一种基于视觉slam的图书盘点机器人
CN211324156U (zh) 一种智能镜
KR100917272B1 (ko) 적외선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수단의 액티브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CN105729485B (zh) 一种服务用机器人
CN212591334U (zh) 一种展示柜
KR20090112984A (ko) 장애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로봇
KR20130024159A (ko) 이동 로봇의 거리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219

Effective date: 2012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